비트코인 하락지속관점 프렉탈 분석
지난 아이디어에서 보았던 Bullish Patten (Broadening Descending Wedge) 패턴의 목표가와 Inverse H&S 패턴의 목표가 모두 도달했습니다.
메인화면에서 보시다시피 8400달러는 주봉 볼린저밴드의 중단선, 달리 말해 20주선이 위치한 자리입니다.
주봉상 일목구름의 하단부이기도 합니다.
일봉상 일목구름의 상단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오늘 내일 추가상승이 나올지 보는 것도 좋겠지만, 저는 주봉이상의 사이클을 봅니다.
오늘은 제가 주봉이상의 사이클에서 추세선, 피보나치써클, 일목구름, RSI, MACD 를 기준으로 프렉탈 비교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추세선
추세선기반 분석은 간팬, 피보나치팬, 그리고 피보나치 타임존을 사용하였습니다.
2014
피보나치 타임존
1.414~1.618: 분산기간
2.414~2.618: 매집기간
피보나치팬
0.618: 하단 지지
0.5: 주요 변곡점
0.382: 주요 저항
2018~2019
피보나치 타임존
1.414~1.618: 분산기간
피보나치 타임존
1.886~2: 매집기간
(매집기간이 짧기 때문에 장기상승보단 일시적 상승 기대)
피보나치써클
피보나치써클은 프렉탈분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018년과 2019년에 써클을 그리는 분석만 했습니다.
녹색: 2.618, 3.131, 3.618, 4.236 확장비율 사용
핑크색: 2/3, 0.786 되돌림비율, 1.414 확장비율 사용
그레이색: 1.131, 1.886, 2.886, 3.131 확장비율 사용
하락시 예상경로
일목구름
일목구름과 기준선, TenKanSen 스팬을 사용하였습니다.
2014 / 2018
하락지속 트렌드에서의 큰 반등은 스팬의 이격도를 일시적을 해소합니다.
스팬이 우하향하다 횡으로 움직일 때쯤 추가하락이 발생합니다.
2014년에는 이러한 PA가 나왔으며, 2018년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텐칸센스팬을 일시적으로 넘어서는 움직임은 꾸준히 나왔으나 지지대로 삼지못하고 밀려버렸습니다.
2014 / 2020
현재모습도 마찬가지입니다.
텐칸센스팬을 넘었고 당장에 매수우위흐름이지만 스팬간의 이격도가 해소되지 않은 점과 스팬이 강하게 하방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유사한 흐름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RSI
RSI Plot, 7MA, BB(볼린저밴드)를 사용하였습니다.
2018 / 2020
RSI의 수치, RSI 7MA, BB등의 모든 흐름이 2018년의 A~C구간과 흡사합니다.
다만, RSI 볼린저밴드의 너비를 보면 이전보다 볼린저밴드의 수축과정이 많이 생략되어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아직 큰 상승을 위한 변동성 축소구간을 만들지 않았음을 뜻합니다.
2020년엔 2018년과 같은 장기횡보보다는 어느정도 꾸준한 변동성이 나오는 장으로 시작하되, 변동성을 줄이며 매집/분산이 확실하게 이뤄지는 구간이 반드시 필요해보입니다.
2014 / 2020
주봉
2018년과 달리 하락장 내내 장기 횡보구간이 없었습니다.
마지막 매도 클라이맥스 볼륨이 터지기 전의 상승을 살펴봤습니다.
여기는 지표흐름만 보겠습니다.
RSI BB 이격도 해소, BB 중단선의 저항, 7MA와 중단선 사이에서의 수렴 뒤 하락이 눈에 띕니다.
현재는 RSI도 50선가까이 올라왔으며 볼린저밴드 중단선도 일단은 돌파한 상태입니다.
이대로 주봉종가마감할 시에는 비교가 적절치 않아보입니다.
다만, RSI BB의 수축형태는 흡사합니다.
2주봉
2018~2020
2주봉은 이제야 BB 중심선이 꺾이고 있으며 A,B 구간은 7MA와 RSI Plot이 흘러가는 움직임이 거의 동일합니다. 이 역시 하락반전이 기대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2014 / 2020
RSI 수치값과 볼린저밴드의 수축형태, RSI & 7MA 의 볼밴상 위치와 크로스 시기 등이 흡사합니다. 다만, 볼린저밴드의 추세각이 다르단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월봉
월봉은 지표만 보겠습니다.
재작년말 저점에서 이미 RSI 더블바텀을 이뤘고, 그후로의 움직임은 2014년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입니다. 오히려 2018년 하락장을 참고하면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MACD
월봉
월봉 데드크로스에 따른 일시적 반등으로 일단은 해석됩니다.
2주봉
2018 ~ 2020
2018년엔 단기반등과 BULL FAKE, 횡보 등으로 시간을 떼우던 기간이 길었습니다.
2019년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조정과정이 전개되었습니다.
MACD에서는 2018년 횡보를 유도하였던 구간의 초입부에 발생한 히스토그램 상의 변화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그널이 현재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014 / 2020
하락장동안 두번의 BULL FAKE가 있었습니다.
두 곳 모두 일시적 반등이 아닌 바닥다지기 후 큰 양봉들이 출현하는 패턴이었기 때문에 오실레이터상에서도 변화는 감지되었습니다.
2주봉상에서는 이와같은 시그널이 첫번째로 나왔기 때문에 아직 하락을 염두해야 합니다.
주봉
2018~2020
히스토그램의 쌍바닥 형태를 두 곳 모두 갖췄습니다.
2018년 장이 암담했던 이유는 주봉상의 Bullish Divergence들이 모두 거절당했기 때문입니다.
2020년은 이보다는 체감공포가 덜한 장으로 2018년과 같은 MACD 패턴으로 떨어질 것이란 기대는 들지않습니다.
TRIX MA의 히스토그램도 전혀다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2014 / 2020
MACD 골든크로스가 실제 발생했었고 이후 분산기간을 거치며 하락이 나왔습니다.
현재의 모습과 비교하자면, MACD 히스토그램의 매수시그널에도 불구하고 상승 뒤 큰 하락이 발생했었단 점을 참고하는 정도로만 비교분석을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TRIX MA는 히스토그램이 완만하게 올라오기 시작하는 그림까지만 잘라서 보면 현재와 일치합니다. 저때당시와 비슷한 히스토그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8000선 위에서 고가놀이를 긴시간동안 해주면서 분산활동이 발생해야 합니다.
요약 및 결론
-2014년과 2018년 7월 반등장과의 유사성을 일부 발견할 수 있으나 결코 절대적인 대입을 할 수 없는 수준의 유사성으로 판단됨
-2014년과의 유사성은 하락추세각도와 오실레이터의 수렴/발산 패턴
-2018년과의 유사성은 저점/고점의 RSI 수치값, 추세선 상의 움직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8800달러 미만에서 상승이 멈추고 분산이 진행될 경우 저점갱신의 가능성이 살아있으며, 장기간 하락가능성이 열림
아이디어에서 "oscillator"에 대해 찾기
8k를 향하여현재는 추세 중간선을 뚫고 올라온 상태입니다. 추세 중단선에 대한 리테스트 정도는 이루어질 것 같으나 큰 하락은 없을것으로 예상해봅니다. 어제 7100에서 움직일때 저 포함 대다수의 분석가들이 피보나치 되돌림을 이용하여 6950~7000조정을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세력들은 저점을 주지않고 그대로 올려버렸습니다. 현재는 비슷한 상황으로 보이며 큰 조정을 주지 않고 갈 것으로 보입니다(7400권 조정은 가능하다고 보입니다). 일단 7.7~7.8k에서 한번 저항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번 상승 파동은 크게는 8.1~8.2k까지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향후 코멘트로 더 브리핑 하겠습니다.
마지막 롱자리지난번 아이디어에서 언급드렸던 분할 롱 구간이 왔습니다. 여기서 휩쏘를 좀 더 주고 간다면 6.5k 그렇지 않다면 바로 상승을 하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상승은 꽤나 강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상승의 시기에 관해서 말씀드리면 지체하지 않고 바로 올라가려면 시진핑과 같은 강한 재료가 있어야하겠고, 어느정도의 매집과 시간을 들인다면 몇일간의 횡보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마지막 이탈선을 무너뜨리고(6.5k 부근) 아래로 간다면 5k도 볼 수 있을 것이라 보여집니다. 현재는 5k는 고려하지 않고, 만약 5k를 간다고 할지라도 8k이상을 보여주고 다시 내려오는 모습이 더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슬슬 롱을 준비해야할 때아직 롱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다만 아래보다 위가 더 많이 열려있습니다. 하방은 6.4~6.5k까지로 보이며, 본격적인 상방으로 갈 경우 일단 8.4k까지는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관망하셨다가 6.8k부터 분할로 롱을 잡으시는게 대응하기 편할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위의 왼쪽 네모박스와 같은 휩쏘이후의 롱도 예상됩니다. 휩쏘의 마지노선은 위에도 말씀드렸듯이 6.4~6.5k까지로 보이며 그 이후에는 롱으로 대응하시는게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현재는 6.8~6.5k 하방을 친후의 롱을 보고 있습니다. 이후 코멘트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일봉상 7400이 깨진다면 6k를 볼수도...몇일간의 횡보로 지루한 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횡보하는 요 몇일간 저는 롱을 봤는데 관점을 숏으로 바꿔야할 것 같습니다. 마진은 제로섬게임이라고 봤을때 누군가가 잃어야 누군가가 수익을 얻는다는 점을 상기하면 말그대로 반대매매가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현재는 다수의 탑오써가 롱을 보는 시점입니다. 이제까지 많은 사람들이 롱을 봤을때 항상 숏이었고, 다수가 숏을 보면 항상 롱이었다는 점을 상기하여 현시점은 숏을 보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차트로 넘어가면 7410가량이 일봉 7일선상 지지선인데 그 선이 깨지면 6k가 열릴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4시간 MACD도 현재는 하락추세에 있어 짧은 손절로 숏을 보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몇일간 횡보했고 에너지가 응축된 만큼 큰 변동성이 두려우신 분들은 무포지션을 추천합니다.
추후의 상황은 코멘트에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탄탄한 지지 단기 7700~8000까지는 봐야할듯4시간 7일선 지지가 잘되면서 스물스물 비트가 오르고 있습니다. 장기 하락추세를 강하게 돌파못하면서 금방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지지가 예상보다 잘 되네요. 또한 7일,25일,99일 이평선이 모이고 그 부분을 뚫고 정배열을 만든 후라 급작스럽게 하락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7700~8000대에서 비트는 다시한번 방향을 결정할 것 같습니다.
위의 그림의 네모부분의 윗꼬리는 저항대 확인인게 확실한데 이번 12월 4일과 6일에 나온 윗꼬리는 매물대 확인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단기롱으로 보이며 상황이 더 보이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과매도(패닉셀)을 기다리는 매수자들안녕하세요. 오랫만에 아이디어를 올려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모두들 알다시피 통합 및 수렴 구간에 이르렀습니다. 거래량 감소가 이어지고 있지만, 4천대 같이 거래량이 줄진 않아 나쁘지는 않아 보입니다.
다만 시장의 공포지수에 비해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약간 시장의 속도가 예전만 못하고 만달러 이하에 매수세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오늘 아이디어의 핵심은 시장에서 가끔씩 오는 과매도를 국면에 대응하려는 전략입니다.
저를 비롯한 몇몇 트레이더들은 이 과매도 구간을 대기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 상승장 국면에서 이런 과매도 구간은 2번이 있었으며, 만약 10000달러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eam 120 일선을 터치하며 이런 국면이 반복될 확률이 생깁니다.
물론 과거 하락장에는 rsi 30 을 많이 터치했지만, 현재는 정배열 상승장이라 이렇게 주기적으로 오진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rsi30 구간이 된다면 가격은 약 8800~9200 정도이지 않을까 예상해 보지만, 만약 수렴구간에 상방으로 간다면 이 가격은 안오겟지만 현재처럼 무서운 패닉셀을 겪기싫은 트레이더들에겐 안정적인 전략으로 보이니
거래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거의 망해서 마진비율을 더 이상 연재하긴 힘들지만 비트맥스 선물가격이격으로 보는 개미 집중도도 연구 중이니 시간이 나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어지간하면 오실레이터 안보지만, 간만에 한번 봅니다. XBTUSD / 2019-05-231. 제가 보는 오실레이터는 RSI, N-SMI, 얼티밋 오실레이터 이 세가지 입니다.
2. 오실레이터는 어떤 오실레이터든 캔들의 움직임을 선행해서 보여주지 못하는 태생적 한계가 있어 잘 쓰지 않습니다
3. 그건 어떤 오실레이터도 마찬가지겠죠?
4. 얼티밋 오실레이터나 RSI는 기존에 사용하시는 분이 많으셔서 많은 설명은 필요없을 것으로 봅니다.
5. NSMI는 넥스젠에서 이런 저런 고민 끝에 만든 지표로 추세의 강도를 보여주는 오실레이터로 특정 구간에 도달하면 그 추세의 강도가 종료되어 변곡이 일어날 것을 이야기 해줍니다.
6. 단적인 예로 4H 기준으로는 5월 19일 오전 9시부터 하락추세가 끝났음을 의미하는 -40을 쳤습니다.
7. 그리고 거짓말 처럼 장대봉이 터진뒤 1H 기준으로 40을 치면서 오전 12시에 상승추세는 종료되었음을 알려줬습니다.
8. 더 재밌는건 4월 28일이후 숏추세가 끝났음을 알린뒤 단 한번도 롱 추세가 끝났다는 신호를 주지 않고 있습니다. 재밌죠?
9. 두 시간대에서는 아직까지 -40~40을 범위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이는 특정한 추세 방향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10. 현시간(2019-05-23) 기준으로 1H 기준으로에서는 40을 다시 쳤습는데 이는 횡보중 상승세가 한번은 꺾일 것을 의미합니다.
11. 여전히 롱추세가 우세하다고 보는 가운데 횡보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저희 오실레이터를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12. 여러분의 성투를 기원합니다.
비트코인 지난 13일과 상승 흐름 비교에 따른 추가 상승 가능성저는 어제(14일) 하락할 것만 같은 느낌을 받았지만, 그것은 잠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3일과 같이 급격하게 하락 이후 이것을 기다렸다는 것처럼 사는 사람들이 있는 듯이 보였고, 아직 상승 가능성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오늘날을 지난 13일 움직임과 비슷하게 고점을 높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다음 항목들에 따라 롱 포지션 전략을 확인하십시오.
1. 상승 파동을 보여 주더라도 직전 고점에서 멈출 수도 있음을 잊지 마십시오. 이것을 상승 돌파한다면 다음 1, 2차 저항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푸른 원과 같이 상승 이후 상승 추세선을 깨며 잠시 상승이 멎었고, 볼린저밴드 하단선 도달(빨강 원) 이후 다시 상승하는 흐름이 비슷합니다.
3. 분홍 원처럼 볼린저밴드 중심선에서 조금 옆으로 움직인다면, 다시 상승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4. 일목 구름 지표의 두꺼운 양운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5. 각 빨강선, 파랑선은 대략적인 움직임을 보여 줍니다.
단, 직전 고점 저항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는 파동에 주의 하십시오.
[캘린더] 6800달러대, 6600달러대의 저항과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10월 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횡보가 계속 길어지는 것이 저도 판단하기가 쉽지 않네요.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0월 4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5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앞서 만들어진 모닝 스타 캔들에 대해 아랫부근에서 지지를 지켜주며 다시 상승한 모습입니다.
다시 모닝스타 캔들이 만들어졌냐에 대해서는 트레이더마다 관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앞서 10월 2일 음봉에 대해 중간값은 넘어섰지만 음봉의 시가를 장악하지 못했다는 점에선 모닝스타 캔들이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상승에 대해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아직까진 6659달러를 뚫지 못하고 사이에서 횡보 중에 있습니다.
각각의 중요한 자리들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포인트에선 아직까지 P의 지지를 지켜주고 있으므로 지지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횡보에 대해 지켜주는 자리로서 있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앞서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대해 고점을 6826달러보다 아직 높이지 않았기 때문에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계속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RSI가 53보다 높아지면 꼭 인지하셔서 매도를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 분석 글에 말씀드린대로 50 EMA는 앞서 며칠동안 저항받은 것처럼 계속 저항받는 선입니다.
현재 663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부근에 있으면서 저항과 지지를 동시에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린 6604달러에 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 자리입니다. 현재 6642달러에 있습니다.
저항받으며 뚫고나선 매수 시그널로 바뀔 예정입니다.
그리고 현재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고점을 6648달러보다 높이기 전까지 유효합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다시 돌파하며 지지받을 자리에 있은 뒤에 계속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지지받을 6562~656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29.8원, JPY 9.91원
SFD: 2.4%
[캘린더] 무효화된 하락다이버전스, 검증해야 할 과정들(9월 13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먼저 전날인 9월 12일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9월 13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새벽동안 오르면서 아래꼬리가 긴 양봉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매수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선 다른 관점과 함께 확인해야 할 듯 합니다.
2. 패턴
1) 페넌트 패턴
위 추세선에 저항을 뚫어낸 뒤에 한 캔들 지지 테스트 후 상승 중에 있습니다.
다시 한번 패턴을 무효화했다고 볼 것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아직 매물대가 많았던 자리에서 벗어나진 못했습니다.
아직도 6200~6600대 매물대에 있으며 만약 매수를 받는다면 손절은 6200 아래에 종가 마감되는 것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 S1은 6096달러, P는 6591달러에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 그대로 매도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역시나 장기 추세에선 역배열이어서 하락 추세임을 염두에 두어야 하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수 시그널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DMI와 Aroon에서도 하락 추세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밴드에서 저항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을 건들었기 때문에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큽니다.
공격적인 매수를 받는다면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까진 기다릴 수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지만
고점을 어제 말씀드린 6399달러보다 높이면서 하락 다이버전스는 무효화되었습니다.
물론 다시 만들어질 수는 있겠지만 한시름 걱정 덜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이틀 간 말씀드렸던 21 EMA의 저항에 대해 종가가 위에 마감되면서 저항은 이제 지지로 바뀌었습니다.
다음 저항은 50 EMA에 있으며 6459달러에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곧 매도시그널입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2.1%
환율: USD 1122원, JPY 10.14원
SFD: 1%
BTCUSD 2018-06-21 비트코인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1.
하락채널 상단과 오늘중으로 만나게 됩니다.
저항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2.
일목균형 베이스라인과 하락채널 상단이 겹치게 됩니다.
이 역시 강한 저항레벨로 작용하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3.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발동되어 있습니다.
오늘중으로 6900불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발동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총평
6900불은 여러 요인이 만나 강한 저항레벨이 됐습니다.
직전 고점, 하락채널 상단, 일목균형 일봉상 베이스라인,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 등.
여러 요인이 가격의 하락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신규매수는 고려대상이 아닌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