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린더] 오실레이터(Oscillator)에서의 다이버전스(Divergence)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많은 분들이 오실레이터의 다이버전스에 대해 궁금해하셔서 다시 한번 정리해드리려 합니다.
분석 글에 앞서 당부의 말씀을 드릴 것이 있습니다.
주말은 제가 쉬는 날이며 주중에 분석과 공부를 위한 충전의 시간을 가지는 날입니다.
제가 어지간한 댓글의 질문들은 모두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절대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쉴 시간에 쉬기 때문에 답변을 미뤄두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 때문에 서운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오실레이터(Oscillator)에서의 다이버전스(Divergence) 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통 가격이 높은 고점을 만들면 오실레이터도 높은 고점을 만들며 가격이 낮은 저점을 만들면 오실레이터도 낮은 저점을 만들고 있어야 합니다.
다이버전스는 주가의 움직임과 지표의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지표의 해석에 있어 추세 전환의 가능성을 분석할 때 사용합니다. 즉, 추세의 마지막 국면에서 바꾸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요.
지표에서는 RSI, MACD, 스토캐스틱, CCI 등을 사용하며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다만 RSI와 스토캐스틱이 MACD보다 신뢰도가 높은 편입니다.
다이버전스는 일반 다이버전스와 히든 다이버전스가 있습니다. 일반 다이버전스 는 추세의 반전 신호가 되며 히든 다이버전스 는 추세의 지속 신호가 됩니다.
1)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는 가격의 저점이 낮아지는데 오실레이터의 저점이 높아지는 것이며 하락 추세에 있어 상승 추세로의 반전 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2)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
비트코인 일봉 차트이며 앞서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에서 저항받을 때 함께 근거로 제시해드렸던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입니다.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는 가격은 고점이 높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낮아지는 것입니다. 이는 상승 추세에서 하락 추세로의 반전 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3)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는 가격의 저점이 더 낮아지지 않고 높이 있는데 오실레이터의 저점은 낮아질 때 발생합니다. 이는 앞선 상승 추세에 있어 다시 상승 추세를 예상 할 수 있게 됩니다.
4)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차트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면 발생하며 앞선 하락 추세에 있어 하락 지속 을 예상할 수 있게 됩니다.
다시 한번 일반 다이버전스는 추세 반전, 히든은 추세 지속의 신호가 됩니다.
다이버전스로 매매를 할 때 일찍 진입을 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주의할 점은 모멘텀 지표의 교차를 기다려야 합니다 .
물론 위 차트에서 스토캐스틱을 사용하며 차이가 많이 나긴 하지만 어쨌든 %K선과 %D선의 교차를 확인할때 매매하여도 늦지 않다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 두번째는 과매수와 과매도에서 벗어났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매도 상황에서 다이버전스가 형성되었으나 매도 압력이 강하여 새로운 저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는 추세선의 돌파 여부와 패턴의 완성 여부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시에 역헤드앤숄더의 실패를 예상했던 것도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며 상승 추세가 전환되며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추세선의 돌파와 패턴의 완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지표 중에는 다이버전스 인디케이터(Divergence Indicator) 라는 지표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다이버전스가 나타났을 때 표시가 나오는 지표입니다. 물론 발생한 다이버전스를 모두 나타내진 않기 때문에 참고만 하고 다이버전스를 직접 확인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결론 으로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는 하락 에 있어 가격의 저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저점은 높아지면서 상승 으로의 반전 이며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 는 상승 에 있어 가격의 고점은 높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낮아지면서 하락 으로의 반전 이며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는 상승 에 있어 가격의 저점은 높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저점은 낮아지면서 상승 으로의 지속 이며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 는 하락 에 있어 가격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면서 하락 으로의 지속 입니다.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 은
첫번째, RSI, MACD, 스토캐스틱, CCI 등의 여러 지표에서의 다이버전스를 확인 하고
두번째, 1시간 이상에서의 높은 시간 프레임에서 확인 하며
세번째, 모멘텀의 교차까지 기다리는 것
네번째, 추세선과 패턴 등과 함께 확인하는 것 입니다.
좋은 공부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디어에서 "oscillator"에 대해 찾기
[번] 지표: 웨이브 트렌드 오실레이터 [WT]웨이브트렌드 오실레이터 (WaveTrend Oscillator) 는 유명한 TS/MT 지표를 (www.youtube.com) 포팅한 것입니다.
오실레이터가 과매수 밴드 (붉은 줄) 위에서 그 아래 점선을 뚫을 때가 보통 좋은 매도 신호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오실레이터가 과매도 밴드 (녹색 줄) 아래에서 그 위 점선을 뚫을 때가 좋은 매수 신호가 됩니다.
차트에 뚫는 지점을 몇개 표시해 놓았습니다. 보다시피, 그 신호들만 나오는 것은 아니니 여러분이 원하는 종목에 넣어서 해보고 의견을 말해 주십시오.
---- 이 차트에서 커스텀 지표 임포트 및 사용법 (PDF) ----
drive.google.com
//
// @author LazyBear
//
// 이 코드를 원래 형태 또는 바꾸어 쓸 경우, 알려 주십시오.
//
study(title="WaveTrend ", shorttitle="WT_LB") // study 는 이 코드가 지표임을 나타냄, 전략을 만들려면 strategy 를 쓰면 됨
n1 = input(10, "Channel Length")
n2 = input(21, "Average Length")
obLevel1 = input(60, "Over Bought Level 1") // 과매수 레벨 1
obLevel2 = input(53, "Over Bought Level 2") // 과매수 레벨 2
osLevel1 = input(-60, "Over Sold Level 1") // 과매도 레벨 1
osLevel2 = input(-53, "Over Sold Level 2") // 과매도 레벨 2
a p = hlc3 // (고 + 저 + 종) / 3
esa = ema(a p, n1) // ema => 지수이평
d = ema(abs(a p - esa), n1)
ci = (a p - esa) / (0.015 * d)
wt1 = ema(ci, n2)
wt2 = sma(wt1,4) // sma => 단순이평
plot(0, color=gray) // 0 기준선
plot(obLevel1, color=red) // 과매수 1선
plot(osLevel1, color=green) // 과매도 1선
plot(obLevel2, color=red, style=3) // 과매수 2선
plot(osLevel2, color=green, style=3) // 과매도 2선
plot(wt1, color=green) // 웨이브트렌드 1
plot(wt2, color=red, style=3) // 웨이브트렌드 2
plot(wt1-wt2, color=blue, style=area, transp=80) // 웨이브트렌드1 - 웨이브트렌드 2
나의 무료 지표 리스트: bit.ly
나의 앱스토어 지표 리스트: blog.tradingview.com
비트코인 장기 시나리오21년 강세장 당시
- RSI 과매수 유지
- 고점 돌파후 약 62일때 조정 시작
- MACD 0 위에서 계속 놈
4시간 차트)
현재
- RSI 과매수 재진입
- 이제 고점 재돌파
- MACD 양호
4시간 차트)
앞으로 재료
- 오늘 CPI 발표
- 곧 2월 엔디비아 실적 발표
- 3월 금리 이슈
* 동결 발표 되어도 제롬 파월 연설에서 인하 이슈가 있는지 확인 (가장 중요)
- 비트코인 반감기 4월 중순 예상
- 이더리움 현물 ETF 5월
* 비트코인 현물 ETF는 승인되었지만 거절될거라고 예상 하지만 기대감에 발표 전날까지 상승
재료매매는 잘 안하지만 앞으로 이슈 고려한다면 6만 달러 ~ 6만 4000 달러 부근쯤 저항받고 빠진다음 3분기 시작인 7월부터 다시 상승하지 않을까 싶네요
상승 1파 or B반등? 어쨋든 숏은 공통구간1파를 리딩으로 카운팅을 했는데 거래량이 조금찜찜하긴 하네요.
엘리엇파동으로 보았을때 현재 3-5파부근이 아닌가 보여지네요.
지금 3-5파가 끝이났다고 가정하에 4파가 나올텐데 4파는 보통 3파의 피보나치기준 382를 잘지켜줍니다.
47K부근에서 반등이 온다면 5파진행으로 봐도 무방할거같구요. 마지막 5파가 나온다면 65K에서 내려오는 하락추세선이
있기는 한데 의미가 있는 추세선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한번은 걸리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금 상승이 상승1파 혹은 ABC중 B반등 2가지 의견이 갈리고있지않나싶네요.
하지만 어찌되었든 C로 내려가던 2파 조정이오던 공통구간이 곧 발생할것 같습니다.
조정크기에 따라 상승이냐 하락이냐 그때 차트보고 대응을 하시면 될거같네요.
비트코인 관점(수렴중)저의 아이디어는 매매복기나 앞으로 한주의 흐름정도로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디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레퍼럴 링크를 추가한 기존 아이디어들이 규정 위반으로 모두 삭제가 됐네요 규정을 숙지하지 못한 제 잘못입니다.t.t
21일 오후에 56000달러 다이버전스 확인후 진입하여 58000에 포지션 종료 하였습니다.
현재 비트관점은 한시간봉기준 수렴중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2~3일후 추세이탈 여부가 결정될것 같습니다.
포지션진입은 수렴중인 추세선을 터치했을때 시그널을 확인한후 진입하도록하겠습니다.
추세선 안쪽에서 움직일때는 관망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루한 횡보장이 될수도있겠네요 알트들이 움직임을 기대해 봅니다.
패닉셀을 원하던 트레이더들은 지금이 기회이다.시장은 강한 하락을 만들었고, 패닉셀로 이어졌습니다.
올해 첫 패닉셀이며, 매수를 원했던 트레이더들 입장에서는 지금의 자리를 위해 몇 달의 인고를 버티는 시간이었습니다.
만약 시장이 작년처럼 과매도와 과매수를 반복하여 떨어진 시점이었다면 지금의 자리를 매수하라고 권하지 않지만, 상승추세의 첫 패닉셀이니 과감히 상승 배팅에 무게를 두겠습니다.
하지만 8800선에서 지지해줬따면 상승장의 조건이 이어졌겠지만 강한 이탈이니 아직 대추세로 하락추세 전환인지 상승추세를 이어갈지는 지난 차트로 볼때는 알수없습니다.
그러나 과거를 비롯하여 본다면 일봉상 RSI 30 이하의 매수법은 상당히 높은 승률을 자랑하니 적당히 먹을 수 있는 좋은 위치로 보입니다.
만약 8천 이하로 다시 이탈한다면 이 전략은 유효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난 12월과는 다르게 아직 이동 평균선은 20일선을 제외하고 정배열을 그리고 있으며, 이는 매수세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지속되는 하락 다이버전스로 인한 숏 포지션1시간봉의 단기 상승다이버전스는 현재 이미 나왔다고 보고 이제 다시 하락다이버전스로 인한 지속하락 예상
일봉 종가 마감 3428이상으로 마감한다면 6-8일 일봉 하락다이버전스는 해소되지만 일봉 3428이상 3464 미만 마감과 RSI 42이상 올라갈시 2월 2일과 하락다이버전스 유지로 하락 지속
4시간봉 역시 하락 다이버전스로 일봉 1시간봉과 마찬가지로 1차적으로 3428 돌파 마감 하지만 4시간봉 또한 일봉과 비슷한 타점에서 돌파 실패시 하락 지속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3468이상 돌파 가능 할 것 같습니까?
추가적으로 좀더 장기적으로보면 3468 돌파 RSI 돌파 하더라도 이 다음 타점 3617 돌파 가능할까요?
비트 하루 겨우 60~70불 변동에 요근래 잡알트들 펌핑도 고려해보면 지옥을 향한 지름길?
두번째) 비트코인 상승 목표가 100K최초 작성한 아이디어의 피드가 너무 길어져서 새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이번에는 보조 지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의 주봉에서 StochRSI 지표를 보면 다이버전스가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StochRSI 지표는 대단히 민감한 지표이지만 과매수 과매도가 심할 경우 다이버전스를 쉽게 구분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볼린저 밴드 내부에서 가격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린저밴드의 %, Bolinger Band % (BB%) 지표를 추가하기로 합니다.
쉽게 말해서 볼린저 밴드라는 정규분포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로 표현한 것 입니다. 이 지표의 장점은 다이버전스가 매우 잘 나타난다는 것이며, 단점은 값의 변동폭이 다른 지표에 비해 작은 편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변동성이 좋은 StochRSI 에 BB% 의 값을 곱하여 StochRSI 의 미약한 다이버전스 신호를 증폭하는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그 결과는 100% 마음에 들지 않지만 정말 어려운 상황에서 약간은 쓸모가 있다고 자평합니다.
StochRSI 와 BB% 를 결합한 지표를 차트에 적용해 본 결과 하락다이버전스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일봉 단위에서 보면 체이킨 머니 플로우 (Chaikin Money Flow) 지표의 값이 가격이 올라갈 수록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것도 보입니다.
이것은 하락의 전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게시한 가격 구조를 보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결국 B섹션의 하단, 60K 에서 59K 사이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아룬 (Aroon) 지표의 Down 값이 100% 에 도달하여야 하락이 끝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룬 지표를 켜놓고 과거 차트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아룬 지표가 변곡점을 지시하는데 완벽한 지표는 아니지만 인터벌이 길어질수록 (큰 시간대일수록) 잘 맞는 편입니다. 물론 이 지표 하나에만 의지해서는 안됩니다.
일단 여기까지 작성하고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해시리본의 BUY 시그널 이후 건강한 조정 (4편)1. 19.5k를 깨뜨렸기 때문에 "해시리본 BUY 이후 0.88 부근(18.5k)에서 진입'한 롱포지션은 종료.
2. 저점을 네 번째 낮춘 것은 제 매매 기준에서 탈락이므로 설정한 시나리오는 폐기합니다.
3. 이후 하락 추세선을 아예 뚫는 (1)위치 (22~22.5k)를 지지받는 것을 본 뒤 진입할 예정입니다.
이 외에는 롱 관점이 없으며, 이마저도 비트코인의 괴랄한 무빙 외에는 상정하지 않는 시나리오 입니다.
4. 마지막 시나리오로, 현재 그리고 있는 하락채널을 아래로 확장했을 때 하단부분과 직전 저점/고점 피보나치 기준 1.13부근이 (2)위치, 18k로 겹치고, 이 자리에서 상승다이버전스는 노려볼 만 합니다.
5. 거시경제상황(미국금리인상기조, 달러강세, 자산 및 제3국 통화 약세 등)을 대입하면 4번에서 언급한 (2)위치에서 적절하게 FOMC 결과 75BP 인상이 호재(? 미친거죠)로 반영되는 것에 기대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6. 18.5k가 깨지는 순간, '건강한' 이라는 표현은 삭제할 예정입니다.
7. 언급한 (1), (2) 이외에는 매매하지 않을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