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USD 현재 위치 고찰.안녕하세요 주말에 애인도 없이 차트만 보는 낙타만미리 입니다.
오늘은 딱 세가지만 볼게요.
1. 피보나치 채널 0.786 리테스트
2. 200 이평 리테스트
3. 삼각 수렴바닥에서의 지지/상승 패턴
큰 그림에서 위 세가지를 중점적으로 볼 것입니다.
해당 구간들을 넘는가, 못넘는가.
이전 삼각수렴 바닥에서처럼 도지캔들 만들고 위로 올라가버릴 것인가. (아니면 그러는 척 하고 낚을 것인가)
이전 관점에서 wyckoff 재축적 패턴과 엘리엇 웨이브를 통해 시장을 봤었습니다.
전고점을 넘느냐 마느냐 하는 관문에서 보기좋게 아래로 고꾸라진 차트를 볼 수 있었습니다.
패턴 특성상 아직 미완이라 하기 뭣하지만, 꽤나 큰 하락이 나왔기에 섣불리 갖다붙일수도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차트에서 보실 수 있듯이 패닉셀을 동반한 하락이 나왔고,
이후 약간 지지받는 그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0.382 되돌림 구간에서 지지.
여기서 더 내려가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올라가리란 보장도 없지요.
여기서부터는 흐름을 만드는 자들의 의도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개미가 무슨 힘이 있나요. 개미는 뭉쳐도 개미지요
하지만 어차피 위 아래라면, 최소한 어떤 포인트가 중요할지는 미리 생각해두는 것도 좋겠지요.
초록색 구간과 하늘색 구간을 확인 해주세요.
빨강색 구간은 상승을 본다면 반드시 뚫고 지지받가나, 단번에 뚫어야 하는 구간입니다.
1-2일 내로 8400 ~ 8470 구간을 힘있게 뚫어준다면 재상승 기대도 해볼만 하지만
그렇다 해도 여전히 하락 채널 안쪽이란 것을 반드시 유념하시기 바라구요,
상승한다면 초록색 구간 중 8770, 최대 9100까지 노려볼만 하다고 봅니다.
하늘색 구간은 매도인이라면 익절 구간이 되겠고,
하락 후 매수 기회를 노리는 분들에게는 진입 구간이 되겠지요.
바닥일까요? 아니면 지하실이 있을까요?
성투를 빕니다.
아이디어에서 "WYCKOFF"에 대해 찾기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Part 4관련 아이디어 2를 다시 확인한다면 여전히 신뢰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계속해서 1주 봉 기준으로 2015년 매수 강세 시장과 오늘날을 비교하여 큰 추세에서 여전히 상승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시장은
작은 추세는 이전 아이디어와 관련 아이디어 1을 확인하고,
큰 추세는 관련 아이디어 2에 이어서 이 아이디어를 확인하여 큰 추세에 도움을 얻으십시오.
1주 봉 기준 MA 20 은 큰 추세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전 아이디어에 따라 약 9월 23일 이전에 상승 돌파를 보여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장세의 비교에 신뢰를 얻기 위해 RSI, Stoch RSI, MACD, 일목 구름도 함께 확인하십시오.
단, 1주 봉 기준 MA 20 을 깬다면 큰 추세를 다시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이전 아이디어: 비트코인 1일 봉 관점 대칭 삼각 수렴 가능성 Part 3
관련 아이디어 1: 비트코인 1일 봉 2016년 2월과 오늘날 프랙탈 비교
관련 아이디어 2: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Part 3
BTCUSD 비트코인 프랙탈과 지지, 저항으로 본 중단기 상승 가능성 안녕하세요 camel10000mg 입니다.
이전 엘리어트 삼각수렴 파동으로 본 중단기 상승 가능성에 대해 아이디어를 올려드렸었습니다 - (이전 아이디어 참조)
해당 아이디어에 더하여 현재 지지와 저항, 직전 차트에서의 프랙탈로 보이는 흐름을 공유드립니다.
제 차트 분석은 실제 매매에 활용하시기보다는, 관점 참고 용도로 사용해주시기를 희망합니다.
직전 차트에서, V와 U자 형태를 그리는 아담 이브 패턴이 형성되었고, (빨강 삼각형 / 노랑 반원구간)
이후 넥라인을 상향 돌파, 수렴상단의 추세선 저항을 맞고 매물대를 형성한 뒤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차트를 보면 이전 아담 이브 패턴의 모습과 유사한 프랙탈이 그려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하단 9950 ~ 9671 구간은 월봉+주봉상의 지지 매물대를 형성했다고 보기 때문에,
단기간에 삼각수렴 하단을 이탈하고, 이 구간까지도 이탈할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삼각수렴 하단에서 밑꼬리를 길게 달고 반등한 캔들을 참고해주세요
10246 ~ 10444.5 또한 월봉+주봉상 지지/저항대라고 보고 있고요,
이곳에 매물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아서는 이곳을 지지삼아
현재 수렴 중단으로 보고 있는 10800 ~10809 구간을 향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구간은 월봉 종가 (양봉)+시가(음봉)이 겹치는 구간으로, 꽤 강한 저항이 예상됩니다.
이전 아담 이브 패턴의 넥라인 부근이기도 합니다.
이곳에서 한차례 저항이 예상되지만, 10800 매물대를 돌파한다면,
수렴추세선 상단인 11300 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보고 있습니다.
11300이상의 구간은 추세선 저항도 강력할 것이라 예상하므로,
여기서 엘리엇 삼각수렴파동의 D를 찍고 재차 수렴안으로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직에 가까웠던 하락추세 기울기가 수렴안에서 점차 수평형태로 변화 하고 있는 것을 확인부탁드리며,
이는 제 개인적인 관점인
wyckoff reaccumulation + 엘리엇 삼각수렴파동 과 더해져
중기적으로 상승 가능성을 보고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단기적로는 수렴안에서 소파동의 상승, 하락, 횡보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BTCUSD 비트코인 엘리어트 수렴 삼각형 파동으로 본 상승 가능성 재 정리.안녕하세요 camel10000mg 입니다.
시장은 현재, 재차 상승할 힘을 비축하며
엘리어트 수렴 삼각형 파동(대칭형)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각 파동의 A-B-C-D-E 지점과 (파란색)
소파동 3-3-3-3-3을 (검정색) 카운팅하여 다시 정리해봤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C파동을 완료 후
D파동 진행중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 파동 진행 당시 소 파동 2번이 잠시 수렴 하단선을 이탈한 것이 조금 신경쓰입니다.
이 구간이 이전 17-18년도의 고점 부근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에,
곧 추락할 것으로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긴꼬리(매수세)를 보이며 수렴 안으로 재 진입, 일봉이 마감되었습니다.
이후 파동 B가 완성되었습니다.
이는 일종의 휩쏘였거나, 혹은 시장이 반전되었음을 보여준 것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이 점과 관련해서 내린 제 결론은,
앞선 A를 이탈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렴 파동을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승을 전제로 했을때
파동 E는 A와 C를 잇는 경계선, 즉
수렴 하단선에 못 미치거나, - 나만 안데리고 가는 경우
지나칠 수 있습니다. - 강한 휩쏘로 한번 털고 가는 경우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그의 경험상 자주 발생했다고 합니다.
현재 위치를 봤을때, D파동을 성공하지 못하고 하방 이탈시 이 패턴은 무효입니다.
이전에 올려드렸던 wyckoff reaccumulation 관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는데요,
이는 따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Part 3여전히 2015년 매수 강세 시장의 흐름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오늘날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다음을 확인하여 2015년과 오늘날 장세를 비교하십시오.
1. 일목 구름 지표의 음운과 오늘날 가격대를 비교하십시오.
2. 상승추세선을 확인하십시오. 초록 원은 이것을 깬 오늘날과 2015년의 모습이 비슷함을 보여줍니다.
3. 노란 선은 MA 20 를 보여줍니다. 이것과 가까워지기 위해 조금 더 하락하거나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하십시오.
4. 1주 봉 RSI 가 과매수 구간을 유지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확인하십시오. (하늘 원)
5. 이에 따라 2015년과 비슷한 흐름의 상승 가능성을 확인하십시오. (파란 선)
단, 주요 지지선 또는 MA 20 을 깬다면 2015년과 다시 비교해야 할 것입니다.
지난 아이디어: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Part 2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Part 2저는 6월 초에 2015년 매수 강세 시장의 흐름과 오늘날 시장을 비교 했었고, 오늘날 여전히 그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이제 주요 저항선으로 설정했던 $10,000 가격대를 앞두고 있으며 이것을 기준으로 오늘날 다시 흐름을 비교해보고 싶습니다.
매수 강세 저항선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오늘날 앞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 돌파할 수 있을지 확인하십시오.
1. 바닥 확인 캔들에서 형성된 상승추세선을 확인하십시오.
2. 아직 이것을 깨지 않았지만, $10,000 가격대를 상승 돌파하지 못하는 흐름을 보여주며 2015년 흐름과 같이 상승추세선을 깨게 될지 궁금합니다.
3. 이것이 깨진다면 하락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최대 $8,020 가격대까지 확인하십시오.
4. 이후 다시 상승을 보여주어도 여전히 $10,000 가격대는 주요 저항선으로 작용됩니다.
5.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큰 상승 삼각수렴을 형성한다면 그 기간은 오늘날로부터 약 3개월 이상이 될 것입니다. (빨강 선)
6. 약 3개월 후인 10월쯤, 매수 강세 저항선 $10,000 가격대를 상승 돌파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단, $8,020 가격대를 깬다면 2015년과는 다르게 움직임을 보여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싶습니다.
관련 아이디어: 비트코인 2015년과 매수 강세 시장 흐름 사이클 비교
비트코인 작년 8월과 오늘날의 계단식 하락 프랙탈 비교여러 차례 작년 7, 8월과 오늘날 시장을 비교해왔지만, 보고 싶었던 움직임을 보기 힘들었으나 비슷한 방향을 선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전 아이디어와 같이 Phase D 가 진행 중이라면 계단식 하락을 보게 될 것이고, 그 움직임을 작년 8월 프랙탈에서 도움을 얻고 싶습니다.
아래 항목들을 확인하십시오.
1. 9k 가격대를 깨며 하락을 보여줍니다.
2. 각 빨강, 보라 원처럼 두 번 지지하여 1차 저항선을 상승 돌파합니다.
3. 그러나 2차 저항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고, 1차 저항선을 깨며 아래로 이동합니다.
4. 1차 지지선을 세 번째 테스트 중임에 따라 그 매수 힘이 믿을만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 이제 분홍 원에서 오늘날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우리가 보고 싶은 것을 볼 수 있다면, 1차 저항선과 단기 하락추세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고 저점을 낮추게 됩니다.
6. 아래로 이동한다면, 다음 2차 지지선에 도달할 수 있을지 확인하십시오.
단, 단기 하락추세선을 상승 돌파한다면 시장을 다시 바라보십시오.
이전 아이디어: 비트코인 Wyckoff 패턴과 오늘날 시장 비교 분석 (Distribution)
[비트코인] Wycoff 도식을 통해 보는 매집 단계와 현재위치안녕하세요 EXCIA 입니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 Richard Demille Wyckoff (1873–1934)의 매집과 분산 도식을 통해 현재의 비트코인의 위치를 살펴 보고자 합니다.
Wycoff는 차트의 방법론은 3가지 법칙을 따르고 이것을 통해 준비하고 움직여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1.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가격 방향이 결정된다.
- 중등교육을 받은 분들이라면 누구나 자세히는 모르지만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이야기 입니다. 수요와 공급 사이의 균형을 이루며 어느 한쪽이 크다면 그의 방향으로 가격은 움직인다는 것이지요.
2. 원인과 결과(효과)의 법칙을 통해 가격이 변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효과)가 발현 될 충분한 원인이 있어야 하며 그 원인과 결과는 정비례 할 것이다. 라고 보았습니다. 다시 말해 가격이 오르고 그 효과가 막바지에 이르면 다시 내리게 되고 오르기 까지는 충분한 원인(시간의 축적)이 발생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노력의 법칙이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가격이 오르는 기울기 즉 그 추세에 비례하여 가까운 미래에 가격이 변화할 수 있는 경고를 미리 주며 거래량과 가격의 다이버전스를 통해 가격의 변화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그에 따르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Wycoff는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과 심리를 거래량 분석을 통해 1차적 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그것을 원인으로 가격의 변화를 단계별로 규정하기도 하였습니다.
위 차트에 도식화 한 것은 Distribution(분산)국면이 끝난후 Accumulation(매집)국면으로 접어 들었을 때의 Wycoff의 도식을 비트코인에 적용해 본 것입니다.
몇가지 이벤트에 특별한 용어를 붙였는데요
그중 몇가지를 살펴 보면
PS: Preliminary Support , 실질적인 매수세가 줄어들고 지지받는 힘이 약해지며 거래량이 늘어 나는 단계로 매도 강세로 하락추세의 막바지를 설명합니다.
SC: Selling Climax , PS단계의 붕괴 이후 분산과정의 종결로 매도세는 극에 달해 대중들이 공포에 떨며 하락의 가속이 붙었지만 결국 더이상 팔고자 하는 사람이 없어지는 단계를 말합니다.
Automatic Rebound , 강력했던 매도세가 감소하고 시장에 일시적 참여자들이 출현하지만 곧 소멸되고 공급 비중이 늘며 특별한 거래 범위의 상단을 만들게 됩니다.
LPSY: Last Point of Supply , 가격이 하락하며 일시적 가격변화에 수요의지가 꺽이며 공급이 우세해지는 포인트로 거래구간의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는 가격을 형성합니다.
LPS: Last Point of Support , SOS 이후 반응이 오거나 LPSY를 톨파한 이후 저항이였던 가격을 지지 받는 가격을 만듭니다.
ST: Secondary Test , 가격은 SC 부근 까지 다시 하락하게 되며 이 수준의 가격에서 다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위 내용을 기반으로 제가 해석하고 있는 것은 비트코인 일부분만의 가격 스트럭처와 단편적인 거래량을 통해서이며 이는 더 긴 타임프레임의 관점에서는 여전히 PS 단계일 수도 있습니다.
현재의 시점이 Spring 단계를 거쳐 TR구간의 범위내에서 다시 지지를 테스트 하게 된다면 선인들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2018년도 이미 절반이 지나고 있습니다. 올해가 비트코인의 암흑의 역사로 남지 않기 위해서라도 부디 위 도식의 모습이 잘 적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180628 MercilessFrom Big Player`s View 시리즈를 토대로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From Big Player`s View pt2의 시나리오에서 좀더 가격대와 시간대에 신경을 써서 예측 해봤습니다.
차트를 분석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읽는 다는 것과 같고, 예측이 맞아서 마치 상대방에 대해 "own soul" 한 것 같은 그 희열은 차트쟁이에게 가장 큰 감정적인 보상과도 같습니다.
예측이란 단어가 나와서 그런데, 사실 여러분들이 매매로 수익을 내시려면 가격대를 예상하는 것이 아니라 대응을 하셔야 합니다. - 저도 그렇게 배웠고 남에게도 그렇게 말해줄 겁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매매 관점이 아니라 분석관점에서 수 많은 시나리오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 최종 저점이 $3,000 선에 찍혀 있다고 해서 그리 비관적으로 보시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측이라는 것은 충분히 틀릴 수 있고 (어떤 면에선 틀리기를 바라고), 설령 이번 포스팅의 내용이 정확히 맞는다 하더라도 결론은 9월 이후 to the moon 이니까요
현재 파동론 관점에서 두 번째 지그재그의 C파가 종료되어 간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쭉 올라서 전고점 $19,000을 갱신하는 경우 이중재그를 끝으로 충격파동으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겠죠.
요즘 보니까 Wyckoff Accumulation 관련 이론을 보시는 분들도 있고요 (굉장히 좋은 이론입니다, 실제 트레이드에서 써먹을 수가 없다는 문제만 빼면요.....)
그런데 말입니다...
제가 아직 어린 나이이지만, 세상을 살면서 느낀 것이 있는데...
있는 놈들이 더하고
해먹은 애들이 계속 해먹고
쥐어 짜내는 대는 자비가 없다
라는 거죠 ...공감하시나요?
반대 입장에서 생각해 봅시다.
여러분이 만약 세력이라서 성공적으로 계속해서 가격을 하락시키면서 매집 했고,
매집한 물량을 이용해 계속해서 좀 더 가격을 낮추는데 성공했다면, 당연히 끝까지 더 해먹고 싶지 않겠습니까?
너무 부정적인 이야기만 했으니, 이번엔 돈을 버는 이야기를 해봅시다.
설령 저 최악의 시나리오라 하더라도 이전에 from big player`s view 포스팅 처럼 지금 월말 시점부터 7월 5일까지의 양상을 보고 대응하면 어쨌든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1. 이런 식으로 흘러가면 롱을 들어가면서 다음달 까지 쭉 추세를 가져가시던지
#2. 아니면 이 경우도 있겠군요
작성하면서 보니 2번 케이스에서 처럼 재차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건 왜죠?;;;
이러고 보니 오늘 내일 중으로 한 번에서 두 번 정도는 퍽퍽 내려가 줘야 #1 처럼 상승할 거 같은데....
종합해 보면 현 상황은 매우 불명확한 상황이고 며칠 정도는 차트 분석보다는 트레이더로써 수익을 내기 위한 마인드셋 측면에서 포스팅을 작성할 생각입니다 :)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트레이딩이라는 분야는 기본적인 분석 스킬도 중요하지만, 그 못지 않게 마인드셋이 미치는 영향은 엄청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