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로 보는 차트 해석 방법 (거래 전략)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Vol & Trend', 'Strength' 보조지표는 기존에 있는 기존에 있는 지표들을 종합한 것으로서 공개 스트립트로 퍼블리쉬하는데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수식을 공개할 수 없다는 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
차트에 표시된 지표들을 전부 보고 해석하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가장 핵심적인 해석 방법으로 보고 해석해야 합니다.
처음으로 봐야 하는 것은 MS-Signal(1D 차트의 M-Signal), HA-Low, HA-High, 1W와 1M 차트의 M-Signal지표의 위치입니다.
이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MS-Signal(1D 차트의 M-Signal)지표와 가격의 위치입니다.
현재 MS-Signal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으므로 하락세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한가지를 더 추가하자면, 1W와 1M 차트의 M-Signal지표와의 관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1W 차트와 1M 차트의 M-Signal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으므로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하락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차트 전체적으로 하락추세로 접어들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거래하기 위해서는 HA-Low, HA-High지표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HA-Low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 캔들이 현재 부근에서 마감된다면, HA-Low지표가 21552.44 지점에 생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21552.44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졌습니다.
21552.44 부근에 1W 차트의 M-Signal지표가 지나가고 있으므로 21552.44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이 되었습니다.
HA-Low지표사 21552.44 지점에 생성되고 21552.44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이전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야 합니다.
만일 21552.44 지점에서 지지를 받게 된다면, MS-signal(1D 차트의 M-Signal)지표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MS-signal(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상향 돌파하는데 성공한다면, HA-High지표 부근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오늘 캔들이 생성되면, 하이킨아시(Heikin Ashi) 몸통(body)이 상승표시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이 상승하지 못하더라도 하이킨아시(Heikin Ashi) 몸통(body)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21552.44 부근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때, 21552.44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가격 차트에 있는 지표들은 추세 및 지지와 저항 역할을 나타냄으로서 가장 직관적으로 앞으로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Vol & Trend', 'Strength' 보조지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보조지표는 가격 차트의 지표들의 움직임이 애매하다고 판단될 때, 추가적인 근거를 제시해 줌으로서 가격 차트의 지표들의 해석에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
'Vol & Trend' 보조지표는 거래량과 연관된 지표입니다.
따라서,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매수세(buy strength), 매도세(sell strength)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의 추세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rength' 보조지표는 Stoch, StochRSI, RSI, CCI지표로 이루어졌습니다.
이중에서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StochRSI지표와 RSI지표입니다.
RSI지표는 HA-Low, HA-High지표와 연관되어 있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해석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Stoch지표와 한쌍을 이루어 상승추세와 하락추세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StochRSI지표는 변동성 기간을 예측하는데 활용됩니다.
또한, 파동의 변화로 앞으로 상승추세로 전환될 것인가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인가의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되었고,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CCI지표는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이상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지표들은 상승추세, 보합(Stationary), 하락추세로 점수를 매겨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Vol & Trend' 보조지표
보합((Stationary) : 1
하락추세 : 1
'Strength' 보조지표
상승추세 : 1
보합 : 2
하락추세 : 1
현재 가격 차트 부근에 있는 모든 지표들이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으므로 보조지표들의 판단 근거는 필요하지 않는 상황이긴 합니다.
만일 가격 차트 부근에서 보합(Stationary),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면, 그때부터 보조지표들의 도움으로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어느 분이 모든 지표가 다 있는 차트라고 말씀하셨는데, 네, 맞습니다.
하지만, 모든 지표를 언제나 다 보는 것이 아닙니다.
필요할 때에만 보고 판단 근거로 활용하면 됩니다.
위에 설명해 드린 해석 방법 이외에 각각의 지표에 대한 해석 방법을 추가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여기에 지지와 저항 지점을 결합하게 되면,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어떠한 방식으로 차트를 분석하든 분석은 분석으로 그 역할을 끝난 것 입니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차트 분석과 지지와 저항 지점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듬으로서 거래를 시작할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런데, 대부분 차트 분석만 되면, 거래 전략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거래 전략을 무시하게 되면, 생각했던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오게 된다면 대부분 대응 방법을 제대로 찾기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과 거래 전략 모두 중요하지만,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한 차트 분석을 해야 하는 것 입니다.
이를 잊고 차트 분석에 모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 되면, 결국 거래 전략을 제대로 만들 시간이 부족하게 되면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은 가장 빠른 방법으로 완료하여 거래 전략을 만드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과거의 움직임, 과거의 패턴으로 차트를 보지 말고 현재 이상의 움직임을 예측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아이디어에서 "COMMODITY"에 대해 찾기
[알트코인] 그래서, 결국, 무엇이, 언제 오르나요? (폴카닷) (2022.03.19.토)⭐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비트코인이 40K를 수복하면서 알트코인 반등이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저 포함 많은 사람들이 궁금한 것은 "그래서, 결국, 무엇이, 언제 오르나요?" 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할 것이라 생각하며 개인적인 관점으로 차트분석, 지표분석, 알고리즘 시스템 등을 통해서 차차 알아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각설하고 최근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폴카닷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 차트분석(주봉)
폴카닷 주봉입니다.
먼저 상위 차트 보조지표는 CCI(Commodity Channel Index) 입니다.
주봉 차트를 볼 때 CCI 보조지표가 상승반전 시도를 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CCI(Commodity Channel Index)는 이동평균선과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평균선은 캔들의 중심이 되는 평균선이기 때문에 캔들이 위로 가든 아래로 가든 결국 수렴하여 평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CCI의 개념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CI가 양수 : 오늘 값 > 이동평균 값 ➡ 오늘값이 이동평균 값 위에 있다.
CCI가 음수 : 오늘 값 < 이동평균 값 ➡ 오늘값이 이동평균 값 밑에 있다.
CCI 절대값이 크다 : 오늘값이 이동평균값의 차이가 크다 ➡ 이동평균에서 많이 떨어져있다!
즉, CCI 값이 의미하는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설정한 기간의 이동평균선과
2. 위아래로 뜨거나, 떨어진 정도를 수치화해서
3. 현재 추세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동평균선 이라는 것은 평균값을 의미하기에 CCI 지표가 바닥권에 있으면 이를 끌어올리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을 말미암아 폴카닷은 보조지표상 충분히 상승의 여지가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일봉입니다.
▪ 차트분석(일봉)
폴카닷은 고점(55달러)에서 내려오는 하락추세선을 돌파했고, 돌파했던 하락추세선에 대한 리테스트가 끝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빨간색 매물대(19.6달러 ~ 20달러)를 돌파하면 좋은 반등을 이어나갈 수 있으며, 상방시 주요 저항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항구간 : 22.4달러 / 25.1달러(강한저항) / 29.7달러 / 34.5달러
개인적인 관점으로 고점에서 내려오는 하락추세선을 돌파했기 때문에 최소 17달러 부근을 지켜준다면 반등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선물거래는 개인에 따른 배율 문제(고배율 욕심에 따른 청산 등)가 있다고 생각하며 현물을 조금씩 모아두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 결 론 ⭐
① 폴카닷 주봉 CCI 보조지표 상승반전 시도를 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② 고점에서 내려오는 하락추세선을 돌파했고 리테스트가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③ 빨간색 매물대(19.6달러 ~ 20달러)를 돌파하면 좋은 반등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④ 저항구간은 22.4달러 / 25.1달러(강한저항) / 29.7달러 / 34.5달러 입니다.
⑤ 하락추세선 및 보조지표를 고려할 때 반등 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습니다.
⑥ “그래서, 결국, 무엇이, 언제 오르나요?”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은 "폴카닷은 결국 지금 반등"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Tj] 암호화폐 시장 전망과 미증시에 따른 금 매매 전략안녕하세요.
공식적으로는 금과 S&P 1.10% 모두 처음 다루게 되었네요.
제 쟁점을 이해하기 위한 모든 재료는 차트위에 깔아 두었습니다.
2007년 (또는 2008년)의 경제위기에서의 금과 미증시의 상관관계는 아주 흥미롭게도 반대로 움직입니다.
투자 심리가 죽어나면서 오도가도 못하고있는 투자자들이 안전한 자산인 금으로 오면서 엄청난 골드 러시가 시작된 셈이죠.
흥미로운 점은 현재 금이 2007년과 유사한 삼각 패턴을 보여주면서 그 신빙성이 강해지고있습니다.
제가 제목을 암호화폐라는 단어로 시작한 이유는 미증시 하락의 시작과 동시 암호화폐로 대거 투자금이 세어들어갈것 이라는 주장입니다.
이 시나리오가 충분히 설득력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1. 증권에서 암호화폐는 어린아이 정도 되겠습니다. 몸집도 작고 목소리도 작고 아직은 애일 뿐이죠.
2. 암호화폐는 현재 Currency 보다는 Commodity에 가깝습니다.
금 또한 Commodity 입니다.
3. 암호화폐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고 금보다 더 한계 (limit)가 없다.
토큰화, 그냥 기술이 아니라 판 자체를 갈아엎는 게임 체인저🔥 “토큰화, 그냥 기술이 아니라 판 자체를 갈아엎는 게임 체인저” 🔥
요즘 자꾸 드는 생각… 이게 단순히 블록체인 기술 얘기가 아니라, 금융·데이터·디지털 생활 전체를 다시 짜는 거라는 거야. XRP가 그 중심에서 판을 열고 있다는 게 진짜 흥미롭지? (이어서 계속👇)
1️⃣ 🚀 지금 전세계 자산 중 10% 이상이 2030년까지 토큰화될 거라 예측돼. 단순히 주식·채권이 아니라 부동산, 미술품, 심지어 음악 저작권까지 다 블록체인 위에 올라온다니까.
2️⃣ 💸 2023년 기준 글로벌 토큰화 자산 시장 규모는 2,000억 달러였는데, 2030년엔 16조 달러로 폭발 성장 예상이야. 연평균 성장률(CAGR)이 무려 50% 이상.
3️⃣ 📲 XRP가 여기서 중요한 이유? 거래 속도 3~5초, 수수료 0.0002달러 수준 →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로 이미 검증됐고, 토큰화 자산 전송에 최적화된 구조야.
4️⃣ 🌍 실제로 10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XRP 기반 인프라를 테스트/도입 중이야. 은행, 송금회사, 핀테크 스타트업까지 다 “빠르고 싸고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들어오고 있지.
5️⃣ 📊 흥미로운 포인트: 2024년 상반기 기준, XRP 온체인 거래량 중 60% 이상이 단순 코인 이동이 아니라 토큰 발행·스마트 컨트랙트 연계 거래라는 사실. 이미 생태계가 바뀌고 있는 거야.
6️⃣ 🏦 블랙록, 시티그룹 같은 거대 기관도 RWA(실물자산 토큰화) 파일럿을 진행 중인데, 여기서 중요한 건 결국 결제·정산 인프라야. XRP는 실시간 유동성 브릿지로 맞춤형이야.
7️⃣ 🔐 규제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어. SEC 소송 이후 점점 상품(commodity) 성격으로 인정받는 흐름 → 토큰화 자산 거래소들이 XRP 레일을 쓰는 데 부담이 줄어드는 거지.
8️⃣ 📉 반대로 ETH는 가스비 문제, BTC는 확장성 문제 때문에 대체재로 밀려나고 있어. XRP가 ‘비용·속도·규제 명확성’ 삼박자를 잡으면서 토큰화 시대의 핵심으로 치고 들어가고 있는 거.
9️⃣ ⚡️ 5년 안에, 글로벌 부동산 시장(약 375조 달러)의 1%만 토큰화돼도 3.7조 달러 규모. 이걸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몇 개 없는데, XRP는 그중 하나라는 거.
🔟 🎯 결국 요약하면: 토큰화 = 새로운 디지털 세상, 그리고 XRP = 그 세상의 혈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단순히 코인 가격 얘기하는 수준이 아니라, 진짜 금융 인프라의 근간 얘기라는 거지.
👉 결론: “토큰화의 시대, XRP는 단순한 알트코인이 아니라 새로운 금융 네트워크의 OS가 될 수 있다.”
“XRP, 족쇄 풀린 날부터 게임 체인저 모드 ON… 진짜 변수는 ‘ETF’가 아니라 ‘공급+기관수요’다”🔥 “XRP, 족쇄 풀린 날부터 게임 체인저 모드 ON… 진짜 변수는 ‘ETF’가 아니라 ‘공급+기관수요’다” 🔥
소송 끝, 자금조달 부활, ETF 심사 줄세움. 그런데 가격은 아직 ATH -17.7% 구간. 이건 ‘기대’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야.
내 결론? 다음 2 ~4주, 에스크로·심사 문서·기관 트레저리 3박자 확인하면 방향 결정난다. (이어서 계속👇)
1️⃣ 소송 클로징 확정⚖️ + 벌금 $125M 유지
8/7(현지) 양측이 항소·반항소 동시 취하 로 사건 종결. 2024년 토레스 판사가 부과한 $125M 벌금 과 기관향 판매 금지 는 그대로 남아. “끝났다”는 공식 헤드라인이 바로 이 포인트.
2️⃣ Reg D ‘불량행위자’ 해제 = 사모 조달 재가동💵
SEC가 Rule 506(d) 해제 명령(Release No. 33-11383) 을 공개. 리플 입장에선 적격투자자 대상 사모모집(Reg D) 루트가 정상화됐다는 뜻. 향후 지분·전략 자금 유치 가속 트리거.
3️⃣ ETF는 ‘승인’이 아니라 ‘심사’ 단계📑
Cboe BZX에 XRP 현물 ETP 4건 이 2/6 동시 접수: WisdomTree(19b-4: SR-CboeBZX-2025-019) , Bitwise(-020) , 21Shares(-021) , Canary(-022) . 모두 BZX Rule 14.11(e)(4) 기준의 Commodity-Based Trust Shares 상장 규정 변경안. “심사 중”이지 “승인” 아님.
4️⃣ SEC 절차의 ‘길이’ 이해해야 해⏱️
19b-4는 ‘제출 → 공고(연방관보) → 의견수렴/연장 → 승인·불승인’ 로 굴러간다. 비트와 이더 때처럼 OIP·연장 이 반복될 수 있고, 따라서 “예비투표 가결” 같은 표현은 오해 소지 100%. 실제로 Bitwise XRP 건은 연방관보 ‘Notice of Filing’ 노출로 수순 밟는 중.
5️⃣ 블랙록? “지금은 안 달린다” 대기 전략🧊
미국 내 블랙록은 XRP 현물 ETF ‘당장 계획 없음’ 기조. 빅하우스가 관망이면, 비(非)메가하우스 파일링 중심으로 일정이 굴러간다고 보면 돼. 심사 자체는 의미 있지만, 승인 컨센서스 는 아직 형성 전.
6️⃣ 일본 SBI ‘제출’ 헤드라인은 사실 정정📵
“SBI, 비트코인·XRP 듀얼 ETF 제출” 보도 있었지만 SBI가 부인 . 혼선성 기사였고, 실제로는 계획 단계 톤. 해외 헤드라인 과장 주의.
7️⃣ 에스크로: ‘월 10억 XRP’는 구조, 매달 재예치 관행🔁
XRPL 설계상 월 최대 10억 XRP 언락(2017년 55개월 에스크로 시퀀스 시작). 남은 물량은 재에스크로 가 기본 메커니즘이라 매달 ‘실질 유통순증’은 따로 계산해야 함. 공급 쇼크를 피하려 만든 장치라는 점, 명확.
8️⃣ 8월 언락 디테일: ‘1B 언락(약 $3.28B)’ + 레벨맵🧩
이번 달 1B XRP 언락 으로 $3.28B 규모 가 헤드라인에 찍힘. 기술적으로는 저항 $3.4687 , 지지 $2.9611 ~ $2.7354 구간이 단기 체크포인트. ‘전량 매도’ 시나리오는 과장이고, 재예치/OTC/내부배분 등 흐름이 매번 달라.
9️⃣ 거래소 예치↑ + 단기보유자 이익실현 시그널📉
온체인 기사 기준, 최근 거래소 예치 증가 + 단기 HODL 감소 조합이 포착. 보통 이 패턴은 단기 조정 을 부른 적이 많았고, 실제로 3.55→3.17 급락 세션 사례도 확인됨. 그래서 난 “추세는 위지만, 단기 상단 소화 필요” 쪽.
🔟 가격 포지션: $3.16 & ATH -17.7%📍
현재가 $3.16 (H: $3.32 / L: $3.12). ATH $3.84(2018-01-04, CMC 집계) 대비 -17.7% 구간. 절대 레벨로 보면 $3.5 ~3.8 박스 상단 돌파 여부가 ‘신고가 컴백’의 분기점.
1️⃣1️⃣ 기업 트레저리 수요: VivoPower·Worksport·QNTM🏦
VivoPower : 리플 지분 $1억 매입으로 ‘기초 2.11억 XRP(추정 $6.96억) 익스포저’ 노린다는 공식 PR. Worksport : BTC·XRP 트레저리 전략(최대 $5M 한도) 공시. Quantum BioPharma : BitGo 수탁으로 XRP 포함 암호자산 보유 명시. 중소형 위주라 집중·지속 리스크 는 별도 판단 필요.
1️⃣2️⃣ 매크로 바람: 401(k) 대체투자 허용→자금 유입 레일🚀
미국 정책 변화(401k 대체자산 허용)와 SEC-리플 종결 조합 이후, 크립토 전반에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 기대가 유입. “돈이 들어올 레일”이 깔리면, 알트에도 심리 개선 이 확산되는 법.
요약 한 줄 : ETF ‘희망회로’보다 Reg D(자금조달) 현실화 + 에스크로(공급) 관리 + 기업 트레저리(수요) 가 가격의 진짜 축 이야. 이 3개 숫자 데이터가 좋아지면, 헤드라인은 뒤따라온다.
[국내주식] 삼성전자 주가분석 (2022.05.13.금)⭐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국내 우량주인 삼성전자 주가가 연일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 때 10만전자의 꿈을 싣고 많은사람들을 기대하게 했던 삼성전자 주가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차트분석(3일봉)
본격적으로 삼성전자 3일봉 입니다.
삼성전자는 작년 말부터 고점을 더 이상 올리지 못하고 5개월 째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64,500원까지 조정을 받았으며 현재는 이전 저점(64,500원)을 지키고 양봉을 만들면서 들린 쌍바닥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편, 상위차트 보조지표는 CCI(Commodity Channel Index)입니다.
CCI 보조지표는 쉽게 말해서 이동평균선과 떨어진 거리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삼성전자 3일봉 CCI 지표는 -99.94이며 드디어 -100 이상으로 올라왔습니다.
즉, 추세반전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으로 진입했으며 금일 저점을 보호하면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보조지표의 태생적인 한계로 추세를 파악하지만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CCI 또한 한 가지 시간 봉보다는, 다양한 시간 봉으로, 단독으로 보기보다는 RSI 등 여러 가지를 종합해서 매매를 최종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상방 시 저항구간은 68,300원 / 72,000원 ~ 74,100원 / 76,800원 ~ 80,700원(강한저항) / 82,000원 입니다.
검은색 추세선 및 68,300원을 돌파하면 반등을 이어갈 것이라 생각하며 특히, 76,800원 ~ 80,700원에서는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주가가 반등하더라도 장기투자자가 아니라면 해당 구간에서 일부 정리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하방 시 지지구간은 피보나치와 매물대를 고려할 때 63,200원 ~ 62,800원 입니다.
62,800원은 지난저점(64,500원) 대비 약 -2.6% 정도이기 때문에 62,800원을 강하게 이탈하면 손절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CCI 보조지표 수치(-100 이상으로 올라옴) / 캔들의 모양(들린 쌍바닥)을 고려할 때 반등이 기대되며
개인적인 관점에서 삼성전자 현재 구간은 R(Risk)/R(Reward) 측면에서 유리한 매수구간이라 생각합니다.
⭐ 결 론 ⭐
① 삼성전자 3일봉 CCI 지표는 -100 이상으로 올라오면서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에 진입을 했습니다.
② 저항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68,300원 / 72,000원 ~ 74,100원 / 76,800원 ~ 80,700원(강한저항) / 82,000원
③ 검은색 추세선 및 68,300원을 돌파하면 반등을 이어갈 것이라 생각하며 76,800원 ~ 80,700원에서는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 CCI 보조지표 및 캔들 형태를 고려할 때 반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현 구간은 R/R 측면에서 유리한 매수구간이라 생각합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