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찐이 나오네안녕하세요 동보입니다.
어제 불반등이 나오는 동안 숏 타점마다 숏을 모았으나, 모든 저항을 무시하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거래량이 생각보다 많이 터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구심을 갖고, 또한 되돌림은 줄 것이기에 존버를 시전했습니다.
하지만 오늘 오전부터 주요 지지구간을 모두 이탈하며, 어제의 무빙은 찐이 아니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제 전략은 물려도 숏으로 물려라 전략입니다.
지금 하락분에 대한 되돌림을 406 - 408정도까지라고 생각하고, 그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숏 진입 후 목표가 367- 369까지 분할 익절하며 끌고 내려가는 전략입니다.
이상 저의 무지성 예측 및 그에 대한 전략이었습니다.
따봉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땡보
패러렐 채널
기적적인 구사일생안녕하세요 동보입니다.
일주일 만인데요, 그 동안 개같이 물려 있어서 그냥 존버 모드에 있었습니다.
엊그제, 기적적으로 급등을 해주면서 일주일 동안 물려있던 롱이 수익 전환되었습니다.
그때 물린 물량 중 절반을 털고 일부를 홀딩 중입니다.
지금 상승에 대한 되돌림이 나오긴 하겠지만, 우선은 큰 채널의 중단 지지를 잘 받고 있기 때문에 예측 숏은 잡지 않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분위기가 괜찮아 42 언저리는 트라이하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되돌림을 준다면 380, 375에 롱을 타 볼까 합니다.
365 중반까지는 보이지만, 여기까지는 안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번 달 달봉이 양봉으로 마감했으면 좋겠습니다.
따봉 부탁드립니다.
땡보
롱 걸어놓고 행복한 주말 되세요안녕하세요 동보입니다.
지난 번 42에서 40 갔다오장께 아이디어 올리자마자 44까지 올라서
흠칫하긴 했지만, 덕분에 생각보다 높은 평단에서 숏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평행 채널 두 개의 하단부를 깨면서 나름 큰 하락이 나와주었습니다.
추가 코멘트에 남긴대로 442에 숏 잡아서 435, 418, 408에서 익절을 했습니다.
그리고 40이 오면 롱을 받을거라고도 했는데요, 406에 롱을 소액만 잡아보았습니다.
거래량을 보니 더 빠질 것 같아 일단은 소액만 진입했네요.
그리고 40부터 밑으로 388까지 거미줄을 쳐놓고, 주말을 맞이하려고 합니다.
2월 중순이 넘어가는데 날씨가 아직 춥네요.
코로나도 미쳐 날뛰는데 건강 조심하시고 주말동안 집에서 잘 쉬시길 바랍니다.
추가 코멘트 시간날 때 마다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따봉 부탁드려요.
땡보
앞으로 기대되는 비트코인의 방향에 대해안녕하세요, 간만에 퍼블리쉬로 찾아뵙습니다.
작년 말부터 장 상황도 그렇고 다사다난한 기간을 보낸 듯 하네요
현재 비트코인의 위치와 앞으로 제가 기대하는 방향에 대해서 간단히 풀어보려고 합니다.
1월 24일 32.8K 반등 근거에 대해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도 기구중 하나인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툴을 사용하였습니다.
4월 14일의 고점 - 6월 22일의 저점 - 11월 10일의 고점을 이었을 때
되돌림 100% 구간인 32,992에 근접한 곳에서 반등이 나왔습니다.
해당 구간을 이탈했다면 더 아래를 봤을텐데, 다행히 꼬리를 상당히 길게 빼며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단기적인 저점은 완성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매매를 이어나갔습니다.
현재 반등의 목표값에 대해
현재 반등중인 장 상황에 대해 여러 의견들이 있습니다.
차트의 기술적 근거 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그리고 미국의 금리인상, 테이퍼링 등
여러가지 장외 이슈가 겹쳐지며 상당히 어려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반등에 대한 근거는 위에서 서술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의 되돌림 비율을 만족시킴도 있지만
관측되는 중단기 패턴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1. 하락 쐐기형 패턴
위는 12시간 프레임
이 차트는 2일 프레임입니다
1일봉 프레임에서도 아랫선을 지켰다고 해석이 되긴 하지만
종가상 일부분의 이탈이 있었으므로 2일 프레임을 공유드렸습니다.
2일 프레임상 중심선의 테스트 (중간의 붉은선) 까지 마치고 재차 반등하여 상방 돌파가 나왔고,
현재는 직전 고점을 살짝 갱신한 후 41.6K 까지의 조정이 온 상황입니다.
보통 패턴의 상방 돌파, 또는 하방 이탈 이후 리테스트를 해석할 때
첫번째는 정확히 이탈한 추세를 닿았는지, 두번째는 직전 매물대의 테스트만 간단히 끝냈는지를 봅니다.
전자의 경우엔 매매의 강한 근거가 되지만 후자는 조금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간단히 매물대만 테스트 하고 방향을 이어나갈지, 혹은 약반등 이후 재차 추세선까지 테스트를 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현재로써는 직전 매물대에 대한 간단한 테스트 후 재차 반등을 이어 나가는 것으로 보이며
해당 쐐기형의 목표값으로는
쐐기 하단선의 평행 채널(하늘색)을 통해 도출 해낼 수 있을 것이고 -> 이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값이 바뀌게 됩니다
또는 쐐기 넓이에 따라서 상방 돌파 지점으로부터 약 2만달러,
61.3K 정도 까지 목표값 설정이 가능하지만,
최근 비트코인 움직임의 트렌드는 쐐기 폭 보다는 보통 평행 채널의 값만 만족시켜주는 경우가 잦았습니다.
즉, 1차 목표값은 50K 언저리의 평행 채널 상단이며
2차 목표값은 약 61.3K 근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 역헤드앤숄더 패턴
사실 저는 비트코인 차트에서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훼이크성으로 넥라인 돌파, 이탈 이후 재차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잦았고
목표값까지 달성하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입니다.
무튼간에 현재 보이는 역헤드앤숄더의 패턴 목표값은 약 57K 근처라고 보여집니다.
위에서 서술한 쐐기형과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목표값 까지 종합한다면
50K - 57K - 61.3K 순으로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겠습니다.
장기 프레임에서 관측되는 하락형 패턴
현재의 반등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불안해 하는 이유는
아직 우리는 큰 프레임으로 봤을때는 하락의 속에서 진행되는 단기 반등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략 2020년 11월쯤부터 시작되어 만들어진 큰 쐐기형 패턴의 하방 이탈이
22년 1월에 발생하였고, 아직 이탈한 쐐기형 패턴의 하단선에도 도달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이전 파트에서 설명한 리테스트의 범주중에,
정확히 추세선까지 닿을것이냐, 직전 매물대의 테스트만 마치고 리테스트를 끝낼것이냐 에 대한 짧은 설명이 있었는데
현재 상황으로 봤을때 직전 매물대의 간단한 테스트는 끝났다고도 판단이 가능합니다.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올해 1월 42K로의 하락이 나오기 직전 한달동안 만든
박스권 매물대의 하단까지는 꼬리로 테스트를 마쳤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의 단기 반등이 상승 쐐기의 리테스트까지 마친 것이라면
이 쐐기의 목표값은 첫번째로 평행 채널 하단 - 32.4K 언저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짐)
또는 쐐기 폭과 동일한 값만큼 하락할 수 있으므로 최대 11.4K 까지의 하락이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이전의 하락 쐐기 패턴에 대해 다루면서 최근 쐐기형 패턴의 목표값은
쐐기 폭 보다는 평행채널으로 도출되는 목표값을 달성시킨적이 많았으므로,
11K의 꽉찬 목표값 보다는 32.4K 근처의 목표값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일목 구름 관점
현재 12시간 프레임 기준으로는 작년 11월 16일 양운 하방 이탈 이후
일시적인 돌파를 제외하고는 약 82일만의 제대로된 구름 돌파가 나왔으며
2월 19일 09시를 기점으로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양날의 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구름대 모습이 관측됩니다.
구름의 얇은 부분을 잘 파고들어서 일봉이 시작되었지만
최근의 하락 추세동안 단기 프레임들에서 사례를 살펴보면
돌파할 확률 보다는 결국 돌파하지못하고 하방으로 크게 흐르는 경우가 많았던 구름대 모습입니다.
다만 2월 19일 이후 구름대 돌파만 성공해준다면 42.5K에 형성된 평평한 부분을 지지대 삼아
상승 추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의 큰 프레임에서는 3월 중순쯤 3일 프레임의 변곡점이 형성되어있으므로
해당 기간 전 캔들이 어디에 위치하느냐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 결론
우선 현재 반등은 피보나치 확장 비율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하락쐐기형 패턴을 이쁘게 만들어내며
잘 가는 중이지만,
장기적으로 형성된 상승 쐐기형을 하방 이탈한 후 리테스트 범주 , 또는 리테스트를 마친 것으로 보입니다.
일봉상 구름은 돌파/돌파 실패의 확률이 반반정도 되어 보이는 애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단기적인 변곡점은 2월 19일 , 3월 11일 정도로 예상됩니다
2월 19일의 변곡 점 전에 일봉 구름을 잘 돌파해준다면 42.5K를 지지대 삼아 재차 상승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며
이때의 상승 목표값은 50K - 57K - 61.3K 순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대형 상승 쐐기형의 하단을 재차 밟고 올라서야 추가 상승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이며
만약 상승 쐐기형 패턴의 하단을 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하락한다면 그 목표값은 32.4K 언저리로 설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상으로 현재 제가 보고있는 비트코인 차트 상황에 대해 간단히 풀어보았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비트코인 - 2월 15일 전까지 주목!! 피보나치채널을 추세로 활용하면 신기한 지지 저항 구간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회취남입니다.
비트가 조정을 마무리 짓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 저점을 갱신 또는 저점에 쌍바닥패턴을 보이며 '상승다이버전스'
2) 상승다이버전스 영향으로 강한 장대양봉
3) 그 장대양봉이 일봉 하락추세선을 돌파(제일 중요)
피보나치 채널을 활용하면, 그림과 같이 지금의 일봉 하락추세, 몇일전 저점을 정확하게 터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예상은?
2월 15일 전까지 위 3가지조건을 만들면서 상승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위 관점은, 피보나치채널의 하단을 이탈 마감할 경우 관점은 폐기됩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하락 채널에 따른 하락 추세 설정여전히 비트코인은 하락 추세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전의 하락 채널을 형성한 것처럼 오늘날도 하락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면, 하락 채널 상단선에서 숏 포지션 전략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확인했던 거래량이 이번 반등에서 기대한 정도를 미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저항 매물대를 상승 돌파하지 못한다면 하락 채널을 하락 추세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숏 포지션 전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 는 완전히 하락 기울기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놀랄 수 있는 장대양봉을 확인할 수 없다면 하락 추세가 계속되고 있을 것입니다.
분홍 원은 이전 하락 채널과 오늘날 위치의 가능성을 표시하며, 당장 하락을 보여주지 않더라도 분홍 원과 같이 옆으로 움직인다면 다음 하락을 기대할 것입니다.
첫 번째로 1차 지지선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 확인할 것이지만, 이것을 깬다면 더욱 매수 힘은 작아질 것입니다.
이때, 시장을 확인할 수 있다면 목표 가격대를 더욱 멀리 기대하고 싶습니다.
단, 1차 저항선을 상승 돌파한다면 시장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이전 아이디어: 비트코인 거래량에 따른 추가 하락 가능성
이더리움(ETH) 하락 채널 최하단 지지에 따른 반등 가능성안녕하세요 basically98입니다
이 글은 그저 제가 보는 하나의 가능성일 뿐입니다
이 점을 항상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이더리움 차트 분석입니다. 반등 가능성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
(이더리움 일봉 - 선형차트)
🔴 하락 채널
이더리움의 하락 채널을 확인하세요.
이더리움은 해당 하락 채널을 38일 동안 유지하며 약 36.5% 하락했습니다.
🔵 하락 채널 최하단 지지
하락 채널 최하단에서 지지한 모습입니다.
이미 최하단 도달 후 작은 반등을 했으나, 추가 반등 가능성을 높이 사고 싶습니다.
⚫ 검은색 가로줄
tp1입니다.
하락 채널을 빠르게 하방 이탈할 가능성보다는 과거 긴 꼬리 최저점까지의 반등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더리움 일봉 - 로그차트)
🟢 녹색 추세선
형성 이후 2차례 완벽한 지지를 보여준 상승 추세선입니다. (4점 추세선)
어제의 최저점 역시 해당 추세선에서 방어한 모습입니다.
🟣 보라색 추세선
형성 이후 아직 사용되지 않은 추세선입니다 (2점 추세선)
녹색 추세선과 거리가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를 추세선 지지의 마지노선으로 설정하고 싶습니다.
(녹색 추세선 이탈에 따라 매도를 했는데 보라색 추세선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함)
-
보라색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이더리움 반등 관점을 철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