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아이디어
비트코인(BTC), 업토버(Uptober) 랠리 올까?BINANCE:BTCUSDT
9월은 전통적으로 약세장이 자주 나타났지만, 10월은 반대로 강세장이 자주 찾아오는 달로 유명합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업토버(Up+October)” 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추세선 반등에 성공한 뒤, 점차 삼각 수렴 패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보통 변동성이 축소된 이후 강한 방향성 돌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업토버라는 계절적 기대감을 고려한다면 상방 돌파를 우선 시나리오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금일 111k 구간에서 더블 갭이 발생한 점은 주목해야 합니다. 과거 92k 구간에서 만들어진 갭과 함께, 다시 한번 111k 되돌림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결국 이번 업토버의 핵심은 삼각 수렴 돌파 방향입니다. 거래량과 미결제약정 추이를 함께 살펴보면서 상방 돌파 시에는 강세 랠리, 하방 이탈 시에는 단기 조정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 그 상승의 끝은 과연 어디인가현재구간 크게 보면 라지스케일상
거대 Y(임펄스) 파형 진행중
우리가 궁금한점은 과연 이
"마지막 임펄스 파형의 끝은 어딘가"
거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차트에서도 보이듯 라지스케일상 초 거대 Y파형이 진행중인것은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 상승의 끝을 성공적으로 예측하여야 의미있는 수확을 거둘 수 있겠는데요.
정말정말 개인적인 경험상 아직 끝이라고 보기엔 파형의 힘이 너무나도 빈약합니다
제가 17년, 그리고 20-21년에 보았던 비트코인의 피날레는 기형적인 90도에 가까운 기울기의
화려하다못해 기괴한 피날레를 항상 보여왔습니다. 차트를 기울기로 판단하는게 말이 되는가?
에 대한 질문을 저 본인에게 던져본 결과 생각보다 의미있는 분석입니다.
즉 상승이 끝났다고 보기엔 기울기가 너무나도 빈약하다. 가 제가 내린 결론입니다.
고로 저는 무려 115K 이런 기형적인 역대 최고점 위치에서 과감한 롱 배팅 하겠습니다.
90도 각도로 기괴하게 올라주세요! (제발)
그럼 300K는 무슨 근거로 도출된 피날레 TP인가? 에 대한 답은
예측상 광기를 감안한 90도 각도 상승에 엔딩다이아고날 TP입니다 즉 저도 정확히는 몰라요ㅋㅋ
아무튼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고 기원합니다 (제발)
XAUUSD – Francis FiboMatrix 계획 | $4,000을 주목하라?📊 시장 상황
금은 멈출 수 없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3,820 – $3,885의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으며, 심리적 $4,000/oz 지점을 향한 모멘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랠리는 다음 요인들에 의해 촉진되고 있습니다:
🏦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
🌍 증가하는 지정학적 위험과 안전 자산에 대한 글로벌 수요.
📉 USD 지수(DXY)의 약세가 추가적인 상승 동력을 제공.
은 또한 $50의 역사적 고점을 목표로 하며, 귀금속의 강세 흐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술적 수준 (H2/H4)
🟢 매수 구역
3782 – 3780 → 최적의 일중 진입 구역.
가격이 377x 위에 유지되면, 강세 구조는 유지됩니다.
🎯 목표 수준
TP1: 3800
TP2: 3829
TP3: 3848
TP4: 3885 → 3900+ 테스트 전의 잠재적 돌파 구역
❌ 현재 구조에서는 매도가 무효 → 하락 시 매수 및 롱 포지션 유지에 집중.
⚡ 거래 설정
진입: 3782 – 3780
손절매: 3772
이익 실현: R/R 1:1 → 1:4로 확장, 가격이 377x 위에 유지되면 장기 보유.
💡 Francis 노트
규율을 유지하세요: 고점을 쫓지 말고, 언급된 Fibo 구역에서 하락 시 매수하세요.
모멘텀은 중기적으로 $4,000 테스트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일중 조정을 기회로 보고, 위협으로 보지 마세요.
💬 커뮤니티 토크
금이 10월에 $4,000을 돌파할 것이라고 믿으십니까, 아니면 깊은 조정이 먼저 올까요? 설정 및 차트를 공유하세요 👇
9/29 오후 비트코인 시황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채널 상단을 돌파하지 못하고 상승세가 꺾이며 111.6k 까지 내려온 상태입니다. 111.5k 에서 지지받고 반등하며 채널 상단과 113.4k 위로 올라간다면 상승 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락 관점으로 아직 하락추세가 깨지지않았고 하락채널 상단과 200 이평선에서 저항받는 모습이 나오고 있어서 110.5k 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대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추가 하락이 온다면 107k 까지도 열어놓고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ETH 이더리움 하락 끝이 아닌가요?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ETH Wall St.의 블록체인 전환 + AI 수요가 겹침 그리고 DeFi의 핵심 연료지만, L2가 수수료를 더 많이 가져간다는 점을 경계
이 데이터를 꼭 참고하여 매매하세요
녹색시나리오처럼 흘러가면서 1번차트 참고하여 더블 바텀을 만들어주면서 넥라인 돌파 리테스트 + 4시간 장대 양봉 마감 확인하고 매수
마지막 지지라인인 3820 -3880 동일 보라색 라인 4060달러 에 올라 타줬고 리테스트 강하게 매수세를 한번 확인한 뒤 비중을 추가 하려고 합니다.
손익비 좋은자리에서는 꼭 매수 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제는 4060달러를 지켜준다면 4240달러까지는 충분히 단기적으로 상승 가능 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주요저항 4060 - 4100
4240 - 4270 돌파 안착 중요⭐️⭐️⭐️
주요지지 4060 ⭐️⭐️⭐️
주요매물대 3630 - 3680
3335 - 3380 이 두구간은 아랫꼬리 달리기 좋은자리
⭐️⭐️⭐️ 트레이딩 포인트
4060달러의 지지라인을 체크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것이 아닌 역추세 매매로 포지션을 잡아야합니다.
아직까지는 주요 저항라인까지 올라가지 않기때문에 아직까지는 숏 포지션 유리
이더리움의 방향성을 같이 타실 준비되셨습니까??🎮
🔍🔍🔍 ETH 포지션 공유
LONG 4014 2만달러
50% 분할 종료 SL 진입가
SHORT 4133 1만달러
SL 진입가
[서버린] 2025년 9월 30일 비트코인 하락 관점 공유서버린은 예리한 통찰력과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트레이딩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 팔로우하시면 관점이 업로드될 때마다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부스트와 따뜻한 코멘트는 서버린에게 정말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분.
모두 무탈한 하루들 보내고 계신지요?
오늘은 9월 30일 기준 비트코인 숏 포지션 관점을 공유드리려 글을 작성합니다.
이번 아이디어 역시 저는 하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1.13 ALT BAT 패턴입니다. 해당 하모닉 패턴은 이미 컨펌된 상태이나, 세부적인 피보나치 레인지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한 파동 정도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저는 우선 소량의 물량만 숏 포지션에 진입하고, 이후 가격 흐름에 따라 유동적으로 물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즉, 하락이 바로 전개된다면 제 분석이 적중하는 것이며, 반대로 단기적으로 한 파동 더 형성 후 하락 전환이 이뤄질 가능성 또한 충분히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둘째, 추세선의 하락 돌파입니다. 저는 하모닉 패턴만을 독립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추세선과의 결합 분석을 선호합니다. 이는 하모닉 이론이 갖는 유동적 특성 때문이며, 추세선을 통해서는 물량 조절의 기준점과 모멘텀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첫 번째 숏 포지션에 진입하였으며, 평균 타깃가는 110,500 USDT로 설정하였습니다.
최근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까지 전반적인 흐름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손실을 보고 계신 분들께도 더 나은 국면이 찾아오기를 바라며, 제 관점 공유가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차트 전개에 따라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제 생각을 투명하게 공유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버린 드림
FARTCOIN 하락 5파 + ABC 파동 종료 역추세 기대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FARTCOIN LONG +224% ⬆️
하락 5파동은 끝났다. 그렇다면?
추가하락이 나올 수 있다라는 가정을 열어두 매집을 진행한다면 한차례 큰 파동을 먹을 수 있습니다.
진입근거 0.816 피보 + 0.707 + POC + 이전저점
아직은 추세가 상승추세로 전환이 안되었고 짧게 짧게 추세선에 따라서 진입과 분할 종료가 중요해 보인다.
0.8달러 위까지는 안착해줘야 상승추세로 전환 될 수 있다 판단
⭐️⭐️⭐️ 트레이딩 포인트
해당자리 이탈없이 거래량이 동반 된다면 충분히 상승 할 가능성 높음🏃♂️
0.8348 / 0.8705 라인을 지켜준다면 비중을 추가로 넣을 예정 신규로 포지션을 오픈할 예정으로 보고있습니다.
만약 해당자리까지도 이탈시 0.4648 - 0.5092 해당자리를 보고있습니다. 가틀리패턴 D자리
밈코인은 밈코인으로 봐야합니다.
🔍🔍🔍 FARTCOIN 포지션 공유
LONG 0.5666달러
분할 수익 실현
세력들이 XRP를 몰래 담는 이유: RLUSD·ISO 20022·ETF·카드·소송 종결까지, 지금 판을 읽어라🚨 “세력들이 XRP를 몰래 담는 이유: RLUSD·ISO 20022·ETF·카드·소송 종결까지, 지금 판을 읽어라” 🚨
솔직히 뉴스만 보면 XRP는 소송 걸려서 힘들어 보이고, ETF는 비트코인·이더리움 얘기만 나오지? 근데 실제로 데이터랑 공식 발표를 뜯어보면, 뒤에서는 판이 다 깔리고 있음 . 이어서 계속👇
1️⃣ 리플×SBI, RLUSD 일본 상륙 ‘날짜 확정’
2025년 8월 22일 발표: 일본 SBI와 리플이 RLUSD 유통 MOU 체결. 2026년 3월 31일까지 SBI VC 트레이드가 RLUSD를 정식으로 취급 시작한다고 박아놨음. RLUSD는 현금+미국채 100% 담보 구조, 뉴욕 금융청(NYDFS) 승인까지 받음. 이건 “계획”이 아니라 실행 확정 로드맵 .
2️⃣ SEC 소송 종결 = 소매 투자자 리스크 제거
2025년 8월 최종 합의: 벌금 1억 2,500만 달러 , 기관향 직접판매만 제재.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프로그램매틱 판매(XRP 유통) 는 증권 아님이 확정. 즉, 리테일 투자자 입장에서는 “증권성 불확실성”이 사라진 거. 이게 시장 심리에서는 엄청 크지.
3️⃣ XRP 레일 성능 = 초고속+초저가
결제 속도 3~5초 , 수수료는 0.00001 XRP (1원도 안 됨). 비트코인은 10분, 이더리움은 가스비 폭탄 맞는데, XRP는 실생활 결제에 바로 박아 넣을 수 있는 스펙. 그래서 ‘은행·카드사·핀테크’가 좋아할 수밖에 없음.
4️⃣ 이미 레거시 금융권에서 쓰이고 있음
2017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가 미·영 B2B 결제 라인에 리플 도입. 2021년엔 SBI Remit—필리핀(코인스PH) 이 ODL(온디맨드 유동성) 가동. 말만 혁신이 아니라 이미 ‘현업’에서 몇 년째 굴러가고 있는 중.
5️⃣ ISO 20022 ‘공식 멤버’ → 제도권 표준 맞춤
전 세계 은행 메시징 표준 ISO 20022로 갈아타는 중. 리플은 최초 블록체인 멤버 로 이름 올림. 은행이 새 시스템 붙일 때 “표준 지원”이 필수인데, 리플은 이미 규격을 맞춰놨음. 이게 바로 ‘제도권 입장권’.
6️⃣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가치의 인터넷 OS
2015년 리플에서 시작, 지금은 독립 재단이 관리. 핵심은 “네트워크 간 송금 라우팅” . 은행·카드·블록체인 구분 없이 연결. 앞으로 애플페이·구글페이·카카오페이 같은 것도 붙일 수 있는 구조. 즉, RLUSD + ILP = “모든 페이망 연결” 청사진.
7️⃣ RLUSD = 엔터프라이즈 스테이블코인
2024년 12월 글로벌 출시, 2025년 1월엔 Bitstamp 상장 완료. 담보 명확, 회계감사 조건 충족, XRPL+이더 양쪽 지원. 테더나 USDC처럼 ‘대중형’이 아니라 기관·은행용 으로 포지셔닝.
8️⃣ XRP 신용카드 = 실생활 채택 신호탄
2025년 8월 Gemini에서 XRP 캐시백 카드 출시. 주유·EV충전·라이스셰어 4% XRP 리워드 , 외식 3%, 식료 2%, 기본 1%. 심지어 파트너사 쓰면 최대 10%. 이건 “XRP = 투자용”에서 “XRP = 결제 보상”으로 확장되는 첫 사례.
9️⃣ ETF 10월 데드라인
SEC가 스팟 암호화폐 ETF 규정 완화 → 이제 비트코인, 이더 뿐 아니라 XRP·솔라나 도 신속 심사 트랙. 10월 18~25일 사이에 결론 난다는 보도가 나왔음. 승인 = 자금 폭포수, 보류 = 단기 변동성 폭탄. 어쨌든 이벤트 드리븐 .
🔟 내 결론: 판은 가격이 아니라 ‘레일’에 깔려 있다
소송 끝, RLUSD 깔림, ISO·ILP 준비 완료, 카드 출시, ETF 대기… 이 5개가 결국 돈이 흘러올 관(파이프라인) 임. 그래서 난 단타·선물 안 하고 DCA(정기 분할 매수) 로 물량 쌓음. MVRV·코인에이지 같은 온체인 지표는 보조로만 봄. 결국 “레일=밸류”라는 그림이 명확해지고 있음.
👉 한 줄 요약:
“XRP는 가격 이슈보다, RLUSD·ISO·카드·ETF 로 이어지는 실제 자금 유입 경로 가 진짜 스토리다.”
형, 내가 여기서 숫자 데이터(벌금, 수수료, 리워드 %, 일정 등) 만 따로 깔끔하게 표로 정리해줄까?
잃어버린 거래를 청산하는 방법?손실 절단: 예술가의 마음과 트레이더의 전략
손실 절단은 위험 관리에서 중요한 기술입니다. 손실 체결 거래를 할 때 언제 손실을 인정하고 매도해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론적으로 손실을 줄이고 작게 유지하는 것은 간단한 개념이지만 실제로는 예술과 같습니다. 손실 체결 포지션을 청산할 때 고려해야 할 10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실 설정 전략 없이 거래하지 마세요. 주문을 입력하기 전에 언제 청산할지 알아야 합니다.
손실 설정은 가격 변동의 정상 범위 밖에 있는 수준에 설정해야 합니다. 이 수준은 귀하의 거래 관점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부 트레이더는 손실 설정을 백분율로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거래에서 +12%의 이익을 얻으려고 한다면 주가가 -4%로 하락하면 손실 설정을 설정하여 TP/SL 비율을 3:1로 만듭니다.
다른 트레이더는 시간 기반 손실 설정을 사용합니다. 만약 매매가 하락했지만 결코 손실 설정 수준에 도달하거나 설정된 기간 내에 수익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추세가 없다는 이유로 매매를 청산하고 더 나은 기회를 찾을 뿐입니다.**
많은 트레이더는 가격이 손실 설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시장에 급등이 있을 때 매매를 청산합니다.
장기적인 추세 거래에서는 손실 설정이 충분히 넓어야 실제 장기적인 추세를 포착할 수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 소음 신호로 인해 중단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200일 이동 평균과 같은 장기 이동 평균 및 이동 평균 교차 신호가 더 넓은 손실 설정을 갖도록 사용됩니다. 잠재적으로 더 변동성이 높은 거래 및 고위험 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더 작은 포지션 크기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신은 돈을 벌기 위해 거래하는 것이지 돈을 잃기 위해 거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손실 체결 거래가 손실 없이 손실 없이 청산될 수 있도록 잡고 기다리는 것은 최악의 계획 중 하나입니다.
손실 체결 포지션을 매도하는 가장 나쁜 이유는 감정이나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트레이더는 항상 손실 체결 거래를 청산할 합리적이고 정량적인 이유를 가져야 합니다. 손실 설정이 너무 빡빡하면 청산당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가 쉽게 작은 손실이 될 수 있습니다. 거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거래 자본의 최대 허용 손실 비율이 손실될 때 항상 포지션을 청산하세요. 손실 설정과 포지션 크기에 따라 총 거래 자본의 1%~2% 수준으로 최대 허용 손실 비율을 설정하면 계좌 폭발 위험을 줄이고 드로다운을 작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손실 체결 거래를 매도하는 기본적인 예술은 일반적인 변동성과 추세 변화 가격 변동의 차이점을 아는 것입니다.
솔라나 SOL 근거있는 자리에서 근거있는 반등신규 미국 스팟 SOL ETF 출시
2025년 2분기, 2억 7,100만 달러의 수익 발생 예상
온체인 활동의 지속적인 증가
💰 SOL LONG+ 162% ⬆️
(현물관점도 동일)
매수근거 더블바텀 넥라인 + 0.382 전체되돌림 (B파동) + POC + 이전고점
위 시나리오에서 매집해야하는 자리는 이미 공개해두었습니다.
주봉기준의 캔들 하단 210달러 안착이 중요합니다. 저항을 받더라도 209달러 위에서 ⭐️⭐️ 4시간봉 캔들 몸통이 위에 마감되면 충분히 223달러까지도 상승 능하다고 보고있습니다.
최대 상승은 230달러 까지도 기대
이번에도 안착을 못한다면, 190달러 이하까지 보셔야할 수 있습니다.
저항라인 210 / 223 / 230달러
(230달러 B파)
주요지지 2.55 - 2.62
🔍🔍🔍 보유포지션
SOL LONG 194달러 1만달러 진입
녹색박스부근에서 신규 포지션 오픈 예정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XRP, 판이 뒤집히는 10월… 스마트 에스크로·국채 토큰화·ETF까지 다 터진다🚨 “XRP, 판이 뒤집히는 10월… 스마트 에스크로·국채 토큰화·ETF까지 다 터진다” 🚨
솔직히 말해서, 지금 XRPL 돌아가는 그림 보면 그냥 업그레이드 수준이 아니야.
슈워츠 CTO가 내놓은 비전, 온도 파이낸스랑 국채 토큰화, 그리고 ETF 변수까지 겹치니까 완전히 퍼즐이 맞춰지는 느낌임.
이건 진짜 판을 뒤집겠다는 시그널로밖에 안 보이거든. (이어서 계속👇)
1️⃣ 📊 금융 80% 커버 선언
슈워츠가 뭐라 했냐면, “XRPL 기본 툴만 써도 금융 수요의 80% 커버 가능하다” 이랬거든. DEX, 발행 자산, 에스크로 이 세 가지 기능만으로 이미 웬만한 금융사들이 필요한 건 다 된다 이거야. 나머지 20%만 추가하면 끝난다는 얘기인데, 솔직히 이거 기관들이 들으면 귀 쫑긋할 수밖에 없지.
2️⃣ 🛠️ 스마트 에스크로 = 조건부 금융의 핵심
단순히 돈 보내는 걸 넘어서, “조건부 결제”가 가능해지는 거임. 예를 들어 대출금이 특정 조건 맞아야 풀린다거나, 투자금이 일정 이벤트 터져야 지급된다든가. 이런 걸 다 XRPL 안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되면, 금융사들이 스마트 컨트랙트처럼 활용 가능한 판이 열리는 거지.
3️⃣ 💻 경량 프로그래밍 전략
여기서 중요한 게 ‘경량(Lightweight)’이라는 단어야. 이더리움처럼 튜링 완전성까지 가면 복잡하고 보안 구멍도 많아져. 근데 XRPL은 꼭 필요한 로직만 딱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넣겠다는 거거든. 즉, 네트워크 효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금융 로직만 빠르고 안전하게 구현하겠다는 거.
4️⃣ 🔗 브릿징 문제 해결
지금 블록체인 업계 제일 큰 화두가 인터체인, 브릿징이잖아. 근데 여기서 XRPL은 ‘신뢰 최소화 브릿징’을 목표로 함. 증인 서버 같은 구조로 안전하게 체인 간 자산 옮기는 거지. 이게 되면 다른 체인 자산도 XRPL 위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으니까, 유동성 자체가 폭발적으로 늘어남.
5️⃣ 💵 온도 파이낸스 OUSG = 국채 토큰화 빅딜
이번에 온도가 들고 온 게 OUSG, 미국 단기 국채 기반 자산인데, 규모가 무려 69억 달러(약 9.5조 원) 이상임. 블랙록, 프랭클린템플턴 같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랑 견줄 수 있는 레벨의 상품. 이게 XRPL에서 RLUSD 기반으로 바로 민트·상환 가능해졌다는 게 포인트임.
6️⃣ ⏱️ 24/7 민트·상환 시스템
은행은 주말에 멈추지만, XRPL은 안 멈춤. RLUSD랑 붙여서 국채 토큰을 24시간 언제든 발행하고 상환할 수 있으니까, 기관 투자자 입장에선 국채 운용 효율이 미친 듯이 올라감. “국채 운용이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간다” 이게 진짜 금융혁신이잖아.
7️⃣ 📈 XRPL = 토큰화 결제 네트워크 전략
리플이 노리는 건 명확해. XRPL을 그냥 송금 네트워크가 아니라 ‘토큰화 자산 결제·정산 허브’ 로 세팅하는 거야. 스테이블코인, 국채, 실물자산 다 얹히면 결국 기관 돈이 들어올 수밖에 없음.
8️⃣ 📉 차트 포인트 = 2.75 vs 2.81
지금 가격은 9월 말 기준 2.75달러 지지선 잘 지키고 있음. 문제는 위에 있는 2.81달러 저항선인데, 이거만 뚫으면 기술적으로 3.62달러(약 +30%) 까지는 열려 있음. 만약 지지 깨지면 반대로 2.0달러까지도 밀릴 수 있어서, 단기 트레이더들한테는 지금이 피 말리는 구간임.
9️⃣ 📅 ETF 캘린더 러시
10월 18일 그레이스케일, 11월 14일 프랭클린템플턴… 이게 다 XRP 현물 ETF 심사 기한임. 게다가 SEC가 9월에 규정 바꾸면서 ETF 심사 기간이 최소 75일로 단축됐거든. 그래서 10월~11월은 XRP ETF 승인 여부가 몰려 있는 구간이 됐음. 승인 나면 유입 예상 금액이 40~80억 달러라는 분석까지 나옴.
🔟 🚀 Q4 랠리 패턴의 무서움
역사적으로 XRP는 Q4에서 날아다녔음. 평균 상승률이 +51%, 2024년엔 +240%, 2017년엔 무려 +1064% 폭등했거든. 이번 Q4는 ETF, 국채 토큰화, XRPL 업그레이드까지 겹치니까, 과거보다 더 큰 불꽃쇼가 나올 수도 있음.
👉 지금 XRPL은 “효율성(경량 프로그래밍) + 확장성(브릿징) + 기관형 자산(국채 토큰화) + 모멘텀(ETF)” 이 네 박자가 동시에 맞아 떨어지고 있음.
내 눈엔 이게 그냥 호재가 아니라, XRP가 진짜로 기관 금융 레이어로 올라가는 신호탄 같아.
외국인 10兆 매도·ETF 6억 달러 유출…한국·비트코인 판 뒤집히는 신호🔥 “외국인 10兆 매도·ETF 6억 달러 유출…한국·비트코인 판 뒤집히는 신호” 🔥
요즘 시장 진짜 이상하지 않냐? 한국에선 외국인들이 국채를 쓸어담다가 갑자기 사흘 만에 10조원이나 던져버렸고, 미국에선 비트코인 ETF에서만 6억 달러가 빠져나갔어. 환율은 흔들리고, 코인은 11만 달러 선에서 위태롭게 버티는 중. 이거 그냥 단순한 조정이 아닐 수도 있다니까?
(이어서 계속👇)
1️⃣ 📉 3년물 국채 선물 10조4419억 순매도
딱 사흘(9월 24~26일) 만에 외국인들이 팔아치운 국채 규모가 10조가 넘었어. 역대 하루 순매도 5위권 기록까지 찍었지. 이건 그냥 “나 한국 시장 안 믿어”라는 강한 시그널이야.
2️⃣ 💵 환율 1410원 돌파
외국인들이 채권 팔고 달러로 바꾸니까 원화가 밀리며 환율이 1410원을 넘겼어. 이건 단순한 변동이 아니라, 자본 유출의 공포가 현실화된 장면.
3️⃣ 📈 국채 금리 3년물 2.562%, 10년물 2.943%
금리도 급등. 10년물이 올해 최고치야. 시장은 이미 “한국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로 보고 있는데, 집값 상승이 버티고 있어서 금리 못 내린다는 거지.
4️⃣ 🇺🇸 미국 GDP 3.8% ‘깜짝 성장’
미국은 오히려 너무 잘 나가. 그래서 연준이 금리 인하를 늦출 가능성이 커졌고, 그럼 달러 강세는 계속 간다는 얘기. 한국 자산은 더더욱 매력 잃을 수밖에.
5️⃣ ⚖️ 3500억 달러 대미 투자펀드 협상 불확실성
미국이랑 한국이 대규모 펀드 구성 두고 줄다리기 중인데, 이게 늦어질수록 달러 조달 불안감이 커지고 환율은 더 튈 수밖에 없어. 외국인이 왜 발 빼는지 명확하지?
6️⃣ 🪙 비트코인 11만0376달러 턱걸이
코인판도 다르지 않아. 비트코인이 11만 달러를 겨우 지키고 있는데, 11만500달러에서 바로 매도 압력 맞고 후퇴했어. 시장 심리, 아직 방어적이라는 증거.
7️⃣ 📊 ETF 자금 유출: BTC 4.18억 달러, ETH 2.48억 달러
단 하루, 9월 26일에 빠져나간 돈만 6억 달러 넘는다. 특히 FBTC에서만 3억 달러 증발. 기관들이 차익 실현 들어갔다는 거야. 단기 반등 힘든 이유.
8️⃣ 🔄 CME 선물 거래량: ETH 1만5206건, BTC 6430건
재밌는 건 ETH 쪽에 단기 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거야. ETH 선물 거래량이 BTC의 두 배. 이건 기술적 반등을 노린 단타 자금이 이더 쪽에 더 들어온다는 의미.
9️⃣ 🌍 국가 채택 가속화 + 미국 SBR 전략
샘슨 모우는 “국가 간 비트코인 채택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어. 미국은 아직 실제 매집은 안 했지만, 전략적 비축(SBR) 얘기 계속 나와. 파키스탄·라틴아메리카가 먼저 치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는 거지.
🔟 🚀 2026년 강세장 확률↑
피델리티, 비트와이즈 CIO까지 다들 2026년을 다음 사이클의 본격 강세장으로 본다. 기관 수요, ETF 승인, 국가 채택… 퍼즐은 맞춰지고 있어. 지금은 ETF 유출 때문에 눌린 거지, 사이클은 오히려 더 길어졌다고 보는 게 맞아.
결론 👉 지금 한국 시장은 외국인 이탈 + 환율 불안으로 흔들리고, 비트코인은 ETF 유출 + 심리 방어 모드라서 단기적으로 불편해. 하지만 큰 그림 보면, 2026년 강세장을 위한 에너지가 차곡차곡 쌓이고 있는 중이야.
위즈덤트리가 던진 힌트 XRP ‘공급 쇼크’ 시계 빨라진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XRP LONG +2323%⬆️
😇엑스알피 현물 포함 분석
신규포지션 +125% ⬆️
XRP '공급 쇼크'는 비트코인보다 더 빨리 온다? 위즈덤트리 유럽 ETP 상장
3달러 부근을 강하게 이탈하면서 이전 중요하게 생각하던 넥라인 + 이전고점 + 녹색라인을 이탈 안하면서
신규 포지션을 오픈했습니다. 기존에 유지하던 포지션은 그대로 유지중입니다.
그래도 녹색라인을 지켜주었습니다.
반대로 해당자리 위에 있으면 충분히 상승 시나리오 만들어 질 수있습니다.
업비트 기준으로 4000원을 주요 분기점으로 보시면됩니다.
주요저항 3 달러
(하락추세선돌파 이번 상승에는 돌파가 나올 것으로 기대)
주요지지 2.55 - 2.62
🔍🔍🔍 보유포지션
LONG 1.67달러 20만달러 수익 中
LONG 2.757달러 신규 오픈
녹색박스부근에서 신규 포지션 오픈 예정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션타임 아카데미 - EURUSD(유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미국 8월 PCE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0.3%,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7% 상승하였고, 근원 PCE 가격지수는 각각 0.2%, 2.9%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
- 미국 연방정부는 10월 1일까지 예산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셧다운이 실행되며, 이 경우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 발표가 연기될 수 있으며, 장기화될 경우 9월 소비자물가지 발표 등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음.
- ECB가 내놓은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8월 기준 2.8%로 전달대비 0.2%포인트 확대,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2%로 0.1% 확대됨.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9월 30일: 호주 중앙은행 금리결정, 영국 2분기 GDP, 미국 9월 노동부 JOLTS
+ 10월 1일: 유로존 9월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9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변화
+ 10월 3일: 미국 9월 비농업 고용지수, 미국 9월 실업률
EURUSD 차트분석
최근의 하락 이후에 1.17000 라인에서 지지를 받아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해당 구간에서 무난하게 상승세를 이어갈 경우 1.20000 라인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 구간에서 다시 하방 압력이 강해진다면 1.15000 라인까지 후퇴할 수 있으니, 1.17000 라인에서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9월 29일 비트코인 하락장에도 누가 돈벌었는가?? 중요하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코인이 준비하는것일까?? 10월이 준비하는것일까?
10월을 향해 비트코인이 준비중입니다
의미있는 반등이 나왔네요?? 쭉 지켜봐주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시장이 하락해도 제가 자리에서는 반등이 나온다고 여러번 강조 드렸습니다.
실제로 시원하게 반등이 나와주었습니다.
이제는 주봉기준으로 111.2K - 112K 위에서 마감을 해주었고 긍정적인 흐름으로 10월을 향해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주요 지지라인 + 하락추세선 하단 반등 + 하락채널 돌파
지금까지는 좋았습니다. 9월 30일 미국 정부 셧다운 관련 이슈가 있기때문에 속단하지 마세요
차트상으로는 의미있는 반등이 나왔다고 박수치지 마세요 이렇게 반등하고 있을대는 하락에 대한 근거들이 분명 존재합니다.
본인이 중요자리에서 수익을 챙기지 않는다면? 언제 챙기실건데요?
제가 말씀드렸죠?? 유튜브에 이미 불장끝났습니다 영상이 올라왔네요😂
이제는 "자 제가 말했습니다 불장은 안끝났습니다" 영상들 많이 올라올겁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13K - 113.3K⭐️
115.5K - 115.9K⭐️⭐️⭐️
주요지지 111.2- 111.7K⭐️⭐️⭐️
(이구간을 돌파했으니 리테스트 후 방어해를 주는지 체크해주세요)
방어선 108K / 107.1K / 105.1K - 105.8K
⭐️⭐️⭐️ 트레이딩 포인트
메이저 알트 위주로 매집은 중단되었고 수익을 일부 챙길 구간🌺
비트코인은 숏관점은 짧게 롱관점은 길게 꼭 명심하세요
기억을 못하시겠으면, 매일 아침 8시마다 알람 맞춰놓으세요 (롱은 길게~ 숏은 짧게)
🔍🔍🔍 보유포지션
LONG 108,664 2만달러
(30% 비중정리
SHORT 117,200 3천달러
(포지션을 유지 중 신규 타점 잡고 있음)
9/29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미국 뉴욕 증시는 26일 금요일(현지시간) 8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가 시장이 예상한 대로 나왔다는 소식에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를 계속 인하한다는 관측이 나오며 투자 심리가 호전하면서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나흘 만에 반등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도 반등하며 110.5k를 돌파 후 200 이평선위로 올라간 상태입니다. 이대로 하락채널 상방 돌파하며 113.4k 위로 올라간다면 상승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락 관점으로 200 이평선 아래로 다시 내려간다면 110.5k 까지 떨어질 수 있고 추가 하락이 온다면 107k 까지도 내려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9월 25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지지구간을 터치 한 비트코인이지만 현재 상단에는 저항이 굉장히 많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25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어제의 지지구간인 2일차트 양운의 지지구간까지 터치 후
반등으로 현재 자리까지 상승을 하였고
이에따라 하단에 지지구간이 생성되면서 6시간 차트 MACD 골든크로스까지 각인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4시간 중앙선까지 터치 후 6시간 차트부터는 중앙선을 터치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단에 저항구간들은 여전히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정리 해보겠습니다.
1. 113,929 구간은 어제의 전고점 이기도 하지만 6시간차트의 볼린저밴드 중앙선 및
8시간 차트의 일목균형표 음운의 저항구간이기도 합니다.
이 구간을 한방에 돌파하기는 쉽지 않고 저항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조건이 있는
구간이니 참고 하셔야 합니다.
2. 비트코인이 113,929 구간에서 버티면서 상승 한다면 그 다음 저항구간으론
114,546 구간의 저항구간이 있으며 이 구간은 각 시간대 음운의 저항구간 및 4시간 저항선이
포함된 구간이기 때문에 조정에 대해 주의 하셔야 합니다.
3. 하단에 지지구간을 살펴 본다면 금일 주목하셔야 하는 구간은 112,434 자리이며
이 구간은 30분 1시간차트의 일목균형표 상 양운의 지지구간 및 1시간차트 볼린저밴드의
지지선 2시간 3시간차트의 중앙선의 지지구간 입니다.
비트코인은 이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4시간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이 나올 수 있으니
절대 이탈하면 안되는 자리 입니다.
4. 112,434 구간을 이탈한다면 비트코인은 바텀구간인 109,952 구간까지
꼬리 밀릴 수 있으며 이 구간은 일봉차트의 지지선 및 4일차트의 지지선이 포함된
자리이기 때문에 강하게 지지 받을 수 있는 조건들이 성립되는 자리 입니다.
####종합####
현재 비트코인이 지지라인을 터치 한 후 반등 중 이지만 상단에 저항구간이 굉징히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구간에서 다시 조정이 나온다면 하방의 압력이 강해질 수 있고
마지막 지지구간까지 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위의 지지구간을 참고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어제 2일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을 한번 터치 했기 때문에 2번째 터치 부터는 힘이
굉장히 약해 질 수 있으며 최대 바텀구간까지는 보셔야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09/29 이벤트 대기하며 숨고르기 전일 동향: 대규모 외국인 매도세에 1,410원도 상향 돌파
전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들의 주식 순매도 영향에 1,410원 초반 수준으로 상승. 장초반 미국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강달러 영향에 1,409원 수준에서 개장.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 선불 언급에 재차 상승 압력을 소화. 또한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세를 보이자 환율은 한때 1,414원 수준까지 상승폭 확대. 주간장 전일대비 3.1원 오른 1,412.4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물가 예상 부합, 양호한 소비 지속
(미국채 금리 단기↓,장기↑) 전일 미국채 금리는 물가와 소비 지표를 소화하며 장기물 중심 보합권 상승. 이날 발표된 PCE 물가는 헤드라인 기준 전년대비 2.7%(예상:2.7%, 이전:2.6%), Core 기준 2.9%(예상:2.9%, 이전:2.9%)로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 세부 항목을 보면 자동차/금속 및 시계/주류 등 관세 영향 품목의 물가 상승이 확인. 다만 주거비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물가도 높은 수준 유지되며 전반적인 인플레 압력은 여전. 한편 물가 영향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이 전월대비 0.4% 증가. 다만 소득 증가율 대비 소비의 증가율이 높아 저축을 소모해 소비했을 가능성. 이를 반영해 애틀란타 연은이 추정하는 3분기 GDP 연율화 수치는 3.9%로 지난 9월 17일 대비 0.6%p 상향 조정. 물가가 예상에 부합하며 단기물 금리는 소폭 하락했으나, 견조한 펀더멘탈 영향에 장기물 금리는 상승. 한편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55.1pt를 기록하며 전월(58.2) 대비 하락. 주식 보유량이 많은 소비자 심리는 긍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미보유 소비자들 중심으로 하락.
(달러↓) 달러화는 단기금리 하락에 연동되며 소폭 하락. 한편 CFTC에서 집계한 지난주(~9.23) 달러화 순매도 포지션은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유지(투기적 포지션은 약달러에 포진). (엔↑) 엔화는 선행 물가지표가(도쿄 CPI) 예상을 하회했으나 기타국 대비 관세 우위에 소폭 강세.
금일 전망: 하락하기도 상승하기도 어려운 시장, 1,410원대 유지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의 고용지표와 환율 협상 결과 발표를 주시하며 1,410원대 등락을 반복할 전망. 주말 사이 한국과 미국의 환율 협상이 완료됐다는 보도가 발표. 다만 이는 관세 협상의 연장선 이며, 최근 외환시장 불안감을 주도했던 통화스와프에 대한 우려는 여전. 정부의 입장발표와 더불어 이번주 미국의 고용지표를 대기하며 오늘 장중 환율은 1,410원대에서 보합권 움직임을 보일 전망. 한편 의약품과 대형트럭 등 미국의 관세 위협이 재발하는 조짐 있으나, 의약품 수출 비중이 낮은 국내 수출 구조상, 당장 외환시장에 반영될 재료는 아니라는 판단.
수급적으로 보면 미국 증시와 연동된 위험선호 회복에 외국인 자금은 유입될 것으로 기대. 또한 연휴를 앞둔 분기말 네고 물량 출회도 환율 하락 압력으로 소화될 여지. 다만 상술한 불안요소가 아직 잔존함에 따라 낙폭은 제한적을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07-1,41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