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아이디어
비트코인 차트 주요 구간 분석, 50주 이동평균선 3번째 이탈
1. 추세 구조
차트 상단의 하락 추세선(Resistance line)이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격이 여러 차례 저항을 받고 있으며, 중기적으로는 하락 추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2. 주요 가격 구간 및 지표
50주 이동평균선(50-week EMA)
최근 3번째 하향 이탈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전통적 관점에서 중장기 약세 전환 가능성을 높이는 신호로 평가됩니다.
POC(Point of Control)
차트 중간 구간의 POC가 강한 매물대로 작용하고 있으며,
최근 반등 시도에서도 이 구간을 강하게 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3. 유동성 구간(Liquidity zones)
차트 상단·중단에 두 개의 주요 유동성 구간이 표시돼 있습니다.
112k 부근 유동성 구간(상단)
대규모 유동성·청산 포인트가 모여 있는 구간
단기 반등이 나올 경우 가장 먼저 의식되는 목표
102k 부근 유동성 구간(중단)
4h FVG와 겹쳐 있으며, 매도·매수 양측이 모두 주목하는 가격대
4. FVG(Fair Value Gap)
4시간 봉 기준 FVG가 복수 존재하며, 일부는 이미 채워진 상태입니다.
미채워진 FVG는 향후 시장 조정 과정에서 가격이 회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CME 갭(CME gap)
평일에 발생한 CME 갭은 모두 메워진 상태이며 단기 저항 구간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6. 현재 가격 구조 해석
가격은 현재 하락 추세 하단부에서 반등을 모색하는 구조입니다.
다만, 상단의 POC와 FVG·저항선이 겹치는 구간이 많아 상승 시 강한 매도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으로는 96k~100k 구간에서 변동성 수렴이 예상됩니다.
7. 요약
중기 추세는 하락이며, 50주 EMA 하향 이탈이 지속적인 약세 신호
단기 바닥 패턴 시도는 있으나, 상단 매물대가 밀집해 반등 한계 존재
FVG·POC·유동성 구간이 모두 현재 가격대 근처에서 충돌하며 변동성 확대 가능성
💬 이 분석이 유익하셨다면,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부스트를 안 누르신 분들은 꼭 부스트도 부탁드립니다!
🔔 다음 인사이트를 놓치지 않으려면 팔로우해주세요!
우리는 어떤 시점으로 바라봐야하는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아르키입니다.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 고군분투하시는
여러분들께 진심을 다해 존경을 표합니다
우선 저의 마지막 글은 우려해야하는 상황을 작성하였습니다.
아직 한번 더 가격이 하락할 수 있는 글을 작성 하였었는데요.
현재 결론만 말씀드리면 중단기적으로 93.6k 까지는
충분히 열어둬야하는 상황이라고 우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해당 근거는 2024년 11월~25년 3월까지
지속해서 버텨왔던 지지구간이 바로 93.6k 부근이며,
더 큰 하락이 온 뒤에
리테스트로 다시한번 지지를 해주었던 구간입니다.
때문에 해당 부근은 심리적인 매수 진입 구간이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 93.6k 부근까지는
충분히 내려앉을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4시간봉으로 좁혀본 비트코인입니다.
지난 글에서 저는 MACD와 RSI를 활용한 매매법을 공개했었는데요.
현재 과매도 구간에 오긴했지만 교육을 해드린대로
4시간봉상 MACD의 오실레이터와 이격도가 붙어있습니다.
그렇다는건 여전히 더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은 충분히 높다.
라는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현재 지속해서 상단 추세선을 넘지못하고
의미적인 100.7k 구간도 넘기지 못한 상태입니다.
반등을 현재 구간에서 해준다면 100.7k는 1차적인 타겟이 되겠습니다.
해당 구간은 지속해서 잘 견뎌준 지지대이기 때문에
현재 공포심이 극심으로 치솟는 분위기 속에서
단기적인 수익실현 구간인 자리이기도 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의 전환점은 해당 추세선을 이탈 후,
안착을 해야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지속적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유출이 되고 있습니다.
시장에 돈이 마르고 있기 때문에 그 어느때보다도 인내심이 필요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응원합니다.
43일 셧다운 끝난 순간, 비트코인 슈퍼사이클의 스위치가 클릭된 이유 10가지🔥 “43일 셧다운 끝난 순간, 비트코인 슈퍼사이클의 스위치가 클릭된 이유 10가지”
솔직히 말해서… 이번 셧다운, 그냥 정치쇼 아니었다.
정부가 43일 동안 ‘멈춘 척’하는 동안 하루 144억 달러씩 부채를 찍어내는 걸 보고 난 확신했다.
이 판 진짜 길게, 세게 온다. 이제부터가 본게임이다.
이어서 계속👇
1️⃣ 43일 셧다운 동안 부채 +6,190억 달러💣 — 이건 구조적 ‘달러 약세’ 선언이다
10/1~11/12 딱 43일 멈춘 기간에 미국 부채가 6,190억 달러 늘면서 총 부채가 38.126조 달러를 넘었어. 이 정도 속도면 하루 평균 144억 달러씩 찍혀 나간 건데, 이건 “우린 부채로 인플레 태울 거다”라고 직접 말한 거나 마찬가지. 공급 고정 BTC에겐 그냥 ‘빗물 받는 양동이’ 같은 환경임.
2️⃣ 10월 CPI·고용 데이터 통으로 증발📉 — 연준은 이제 데이터 없는 ‘맹목 비행’
CPI·고용·실업률 같은 핵심 지표가 아예 수집이 안 됐고, 백악관이 직접 “영구 손상” 언급까지 했어. 실업률 없는 고용보고서는 그냥 ‘온도 없는 날씨예보’. 연준은 이 상태에서 공격적 긴축? 절대 못함. 금융시장 깨트릴까 무서워서 완화 쪽으로 무조건 기운다.
3️⃣ 소득 10만 달러 이하에 2,000달러 현금💵 — 트럼프식 유동성 폭탄 1단계
재무부는 관세 수입을 근거로 2,000달러 리베이트를 논의 중인데, 관세 수입으론 턱없이 부족해. 결국 국채 더 발행한다는 뜻이야. 즉 단기·중기적으로 ‘다시 돈 풀기’란 얘기. 이게 리스크 자산, 특히 BTC에 직접적인 펌핑 압력.
4️⃣ 2025~2028 아기 1,000달러 자동 주식투자🍼📈 — 트럼프 계좌는 장기 자금 송곳처럼 꽂힌다
신생아마다 1,000달러를 정부가 미국 주식·ETF에 자동 투자해주는 제도. 부모·고용주가 연 5,000달러까지 추가 불입 가능. 이건 평생 갈 장기 자금 파이프라인이고, 유동성이 아래 세대에서 위로 계속 올라가는 구조. 진짜 무서운 건 이거 장기적으로 유입이 ‘끊기지 않는다’는 점.
5️⃣ 팁 소득 연 2만5천 달러 비과세 + 오버타임 공제⏰ — 저소득층까지 실질소득 폭증
저·중소득층에게도 “세후 현금”이 늘어나면 여기서 새로 들어오는 몇 조 단위의 소액 유입은 결국 리스크 자산으로 간다. 지난 사이클이 그랬고, 이번 막대한 인센티브는 개인 투자 사이클 강도를 훨씬 키울 가능성이 높다.
6️⃣ 글로벌 금리 인하 129회🌎 — 전 세계가 ‘돈 풀기’ 모드로 다시 전환됐다
2024~2025년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129회나 금리를 내렸고, 금리 인하 행렬은 신흥국에서 선진국까지 이미 확산 중. 이런 환경에서 달러·채권 위주로 자본이 묶여 있을 이유가 없음. 하드·테크·디지털 자산 쪽으로 자연스레 옮겨붙는다.
7️⃣ 연준 QT 속도 250억→50억으로 80% 감속⚙️ — 사실상 긴축 종료 수준
연준이 국채 롤오프 상한을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줄였다는 건 ‘방어적 완화’. 대놓고 말은 못 하지만 실질 효과는 QT 중단에 가까움. 시스템이 깨지기 직전이라 손놓은 거고, 이게 비트코인 리퀴디티(유동성) 환경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8️⃣ 글로벌 M2 사상 최고🌊 vs 비트코인 -20~25% 조정🪙 — 이건 명백히 ‘시차(래그)’ 구간
돈은 넘치는데, 비트코인은 ATH 12만6천달러에서 9만7천~10만달러로 눌려 있는 상태. 과거에도 M2→BTC 상승은 평균 수개월 시차가 있었고, 지금은 그 ‘뒤처진 구간’이라 구조적으로 업사이드가 더 열려 있다.
9️⃣ ETF 하루 +5억2,400만달러 유입 + JP모건 IBIT 64% 증가🏦 — 진짜 기관판 올인 시작
블랙록·피델리티·아크 ETF로 하루에 5억 달러 넘게 유입됐고, JP모건이 IBIT 보유를 무려 64% 늘려 3억4천만 달러어치를 들고 있다. 코인 욕하던 금융권이 지금은 “말은 안 하고 돈은 사부작 들고” 하는 단계임.
🔟 체코·대만·러시아·미국까지 국가 단위 BTC 매입🏛️ — 이건 투기자산이 아니라 ‘준-전략 비축 자산’이란 뜻
체코 중앙은행은 100만 달러 BTC 매입 시범 포트폴리오 공식 발표. 대만은 전략 비축 검토, 러시아는 ‘최고 수익 자산’ 언급, 미국은 아예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EO(행정명령)로 압수 BTC 수십만 개를 장기 보유. 이 정도면 자산 클래스가 ‘국가 레벨’로 승격된 거다.
필자는 지금 이 흐름을
“단기 펌핑이 아니라 2026년까지 이어질 장기 구조적 강세장 초입"
이라고 본다.
문제는 시장이 아니라, 우리가 이 변동성을 버틸 준비가 되어 있냐는 거다.
“지금 코인 시장… 진짜 하락은 ‘아직 시작도 안 했다’ — 고래 81만5천 BTC 덤핑·MSTR -50%·중앙은행🔥 “지금 코인 시장… 진짜 하락은 ‘아직 시작도 안 했다’ — 고래 81만5천 BTC 덤핑·MSTR -50%·중앙은행 634톤 금 매수, 이 판 완전히 다른 그림 나온다”
솔직히 말해서…
요즘 시장 움직임 보면, 겉으론 ‘10만 달러 버티네?’ 싶은데
속을 다 뜯어보면 진짜 위험한 건 지금부터 시작이라는 느낌이 너무 강하게 와.
이게 왜 그런지? 데이터 하나씩 박아보면 답이 바로 나온다.
(이어서 계속👇)
# 🔥 1️⃣ 12만4천 → 10만 달러 박스… 숫자만 보면 ‘조정’ 같은데, 실제론 상단 분배 국면이라는 게 더 무섭다 😮💨📉
비트코인이 2025년 10월 124,000달러 찍고 지금 100,000~106,000달러에서 버티는 건,
지지가 아니라 고점 근처에서 고래들이 물량 슬슬 넘기는 딱 그 패턴이야.
특히 윅 대부분이 윗꼬리로 잡히는 게 진짜 정답.
# 🔥 2️⃣ 연준 대차대조표 9조 → 6.6조달러 증발… QT 멈춘 건 ‘돈풀기’가 아니라 유동성 위기 방어조치다 💸🚨
QT 종료라고 호재 포장하는 사람 많은데,
실제로는 유동성이 너무 말라서 시스템 깨질까봐 브레이크 건 거임.
QE? 전혀 아님.
이 말은 단순해 — 리스크자산(코인)은 아직 살려주는 판이 아니라는 거.
# 🔥 3️⃣ CPI 3.0%, PCE 2.9%… 인플레도 안 죽고 경기 둔화도 오고, 코인은 딱 사이에 끼어서 맞는 구간 🤯🔥
인플레는 계속 3%대에서 끈적이고,
연준은 금리 팍 못 내리고,
유동성은 빡빡하고…
이건 코인에 가장 안 좋은 매크로 조합이야.
# 🔥 4️⃣ 장기보유자(LTH) 30일간 815,000 BTC 매도… 7년 고래들이 던지는 순간은 사이클 후반부 신호 딱 그거다 🐋📉
8십만 개 넘는 물량이면 지금 시세 기준 약 80조 원 규모야.
이 정도 매도면 시세 안 부러지는 게 이상한 거지.
게다가 7년 이상 안 팔던 고래들까지 움직였다는 게 핵심.
# 🔥 5️⃣ MSTR 주가 고점 대비 -50%… 매수량 22,000 BTC → 487 BTC로 폭감, 이젠 ‘지지세력’이 아니라 ‘리스크폭탄’ 💣😨
2025년 7~10월만 해도 10,000~22,000 BTC씩 사던 애들이
10~11월엔 168~487 BTC 수준으로 급감.
주가는 400달러 → 209달러로 반토막.
여기서 추가 문제는 신규 자금조달 금리가 10%야.
= 이젠 공격적 매수할 여력 거의 없다.
# 🔥 6️⃣ 중앙은행 올해만 금 634톤 매수… 2025 총 900톤 전망, 완전히 ‘금 중심 세상’으로 구조가 기울었다 🪙👑
중앙은행의 3년 누적 금 매수 3,100톤 돌파.
올해만 634톤, 3분기 220톤.
준비자산 비중에서 금이 20% 넘어가며 유로 제쳤다.
이 말이 뭐냐?
시장은 지금 위험자산이 아니라 ‘안전자산 절대주의’로 돌아섰다는 거다.
# 🔥 7️⃣ ETF도 롤러코스터 — 하루 +5.24억 유입 → 다음날 -2.78억 유출… 이건 ‘장기 매수’가 아니라 ‘단기 트레이딩판’ ⚖️🎢
ETF가 코인을 더 안전하게 만든다?
천만에.
지금 흐름은 대형 이벤트(CPI, 금리) 앞두고 ETF를 레버리지처럼 쓰는 단타세력이 주도하는 구조야.
= 방향성 없음 = 불확실성 극대화.
# 🔥 8️⃣ 스테이블코인 3,000억 달러 시대… GENIUS Act로 T-bill 빨아들이는 ‘달러 머신’ 완성, BTC 상승 촉매는 아님 💵🪙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이 100% 현금·단기국채 의무화되면서
미국은 아예 온체인 국채 수요 창출기를 만들어버렸어.
하지만 이건 달러·국채엔 호재지,
BTC와는 직접적 상관 거의 없음.
오히려 리스크오프 땐 BTC 먼저 던지고 스테이블로 도망감.
# 🔥 9️⃣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보유 증가(미국·중국·영국)… 덕분에 ‘-80% 박살’은 어려워졌지만, 하락장이 끝난 것도 아니다 🏛️🧩
미국만 해도 198,000 BTC 전략적 비축,
각국 정부 보유 합산 50만 BTC+ 예상.
이건 구조적 지지축이라서
“비트코인은 죽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긴 해.
근데 그게 지금 가격을 올린다는 뜻은 아니지.
# 🔥 🔟 결론: 지금은 ‘상승판 끝 → 진짜 하락 진입 직전의 고지대 분배 구간’… 가장 위험하고 가장 조용한 지역이다 ⚠️🔥
상승을 만들 재료는 없고,
하락을 강화하는 재료만 주기적으로 쌓여간다.
진짜 하락은 “이미 왔다”가 아니라
“이제 슬슬 열리는 중”에 가깝다는 게 내 결론이다.
“XRP, 지금 ‘기관판 올인’ 시작됐다 — ETF·M&A·마스터카드까지… 이 판 진짜 뒤집히는 10가지 신호”🔥 “XRP, 지금 ‘기관판 올인’ 시작됐다 — ETF·M&A·마스터카드까지… 이 판 진짜 뒤집히는 10가지 신호”
솔직히 말해서… 요즘 리플이 보여주는 움직임은 그냥 ‘호재’가 아니야.
이건 전통 금융판 전체를 다시 짜는 수준의 구조 변동이야.
특히 2025년 들어온 숫자들 보면… 내가 왜 이렇게 흥분하는지 바로 이해될걸?
(이어서 계속👇)
1️⃣ 💥 “2025년 11월 13일, 미국 나스닥 — XRP ETF 첫날 거래량 최대 5,800만 달러”
나스닥에서 XRP 현물 ETF(XRPC)가 출발했는데, 첫날부터 거래량이 3,600만~5,800만 달러 박혔다.
2025년에 나온 ETF 중 초반 기세 1등급. 이건 기관들이 이미 대기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2️⃣ 📈 “ETF 줄줄이 7개… 기관한테 고속도로를 여러 개 뚫어준 셈”
DTCC 프리런치 리스트에는
Bitwise, Franklin Templeton, CoinShares, 21Shares 등 최소 6~7개 XRP ETF가 추가로 대기 중.
이건 그냥 ‘하나 열었다’가 아니라 기관 유동성 폭발의 구조를 마련한 것이다.
3️⃣ 🚀 “리플, 2025년 M&A 규모만 40억 달러(5조5천억 원)”
히든로드 12.5억 달러, GTreasury 10억 달러, Rail 2억 달러, Palisade 미공개(추정 1억+)…
아예 기관용 금융 인프라의 팔·다리·몸통을 통째로 사들여 베어본 수준이다.
이런 M&A 속도는 전통 핀테크에서도 거의 전례 없음.
4️⃣ 🏦 “Ripple Prime — 히든로드 12.5억 달러 인수 후 ‘프라임 브로커리지’ 완성”
프라임 브로커리지는 헤지펀드들이 쓰는 VIP 금융 인프라다.
수탁·대출·공매도·리스크 관리·시장 접근까지 ONE-STOP.
리플이 이걸 갖췄다는 건, 이제 기관들이 XRP를 실제 운영 자산으로 쓸 수 있게 됐다는 뜻.
5️⃣ 🔒 “커스터디 라인 — 메타코(2.5억) + 팔리세이드 인수로 ‘디지털 금고’ 완성”
기관이 돈 맡기는 가장 중요한 기능이 커스터디(수탁)다.
리플은 메타코 + 팔리세이드로 수조 원 규모 기관 자산을 담을 금고를 완성했다.
ETF, 프라임, 결제… 모든 서비스의 핵심 기반이 바로 ‘수탁’이기 때문.
6️⃣ 🌐 “GTreasury 10억 달러 — 다국적 기업이 매일 쓰는 ‘TMS 시장’까지 장악”
기업 재무 관리 시스템(Treasury Management System)은
애플·삼성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현금흐름·환리스크·해외 결제 관리에 쓰는 ‘중추신경’이다.
리플이 여길 먹었다 = 기업 일상 업무가 리플 인프라로 이동한다는 뜻.
7️⃣ 💲 “RLUSD 스테이블코인 — 출시 1년 만에 시총 10억 달러 + 누적 정산 950억 달러”
이건 그냥 성공이 아니라 ‘기관용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를 박은 수치다.
특히 RLUSD는 결제·정산·트레저리 운영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다는 점이 다른 스테이블코인과의 차이.
8️⃣ ⚡ “마스터카드와 파일럿 — 기존 2~3일 걸리던 정산을 ‘수 초’로 줄임”
2025년 11월 5일 발표.
마스터카드 + WebBank + Gemini + Ripple 이 조합은 말 그대로 구조 혁신이다.
카드 결제 정산의 ‘중간 비용’을 XRP Ledger 기반으로 싹 갈아엎으면
금융 백엔드가 교체되는 수준의 변화가 된다.
9️⃣ 🤑 “월스트리트 투자 직격탄 — Citadel, Fortress가 5억 달러 투입”
2025년 11월 5일, 리플 기업가치 400억 달러(52조 원) 인정.
가장 보수적이고 계산적인 자본인
시타델·포트리스가 들어왔다는 건
그들이 XRP 가격이 아니라 리플의 금융 인프라 자체에 베팅했다는 뜻.
🔟 🧨 “리플, 이미 ‘은행 급사이즈’ — 2025년 7월 미국 National Bank 라이선스 신청”
여기서 게임이 끝난다.
이 라이선스를 받으면 리플은 단순 기업이 아니라 은행과 같은 지위를 가진다.
그리고 연준(Fed)의 결제망에 직접 접근 가능해진다.
정말 말 그대로,
전통 금융의 ‘중추’에 리플이 들어가는 것이다.
✔️ 최종 인사이트: 리플은 더 이상 ‘크립토 회사’가 아니다
2025년 리플은 이미 이렇게 구성돼 있다.
ETF → 기관 유동성 유입 경로 확보
커스터디 → 기관 자산 수탁 기반 완성
프라임 브로커리지 → 프로 거래 인프라 구축
TMS·결제 → 글로벌 기업 업무 직접 장악
RLUSD → 온체인 결제·정산의 혈류 완성
마스터카드 → 금융 백엔드 실사용 발화점
4조 달러급 밸류 인정 → 월스트리트 공식 진입
이걸 전체적으로 묶어서 말하면 한 마디야.
🔥 리플은 ‘탈중앙화의 대안’이 아니라, 전통 금융의 새로운 운영체계를 만드는 기득권으로 올라가고 있다.
원래 금융 시스템을 부수려던 플레이어가
결국 새로운 규칙을 만드는 플레이어가 되는 과정 —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건 바로 그 역사적 순간이다.
11월 14일 비트코인 분석 OG 고래들이 시장을 박살낸다고? 사실 그건아니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OG ( Original Gangster ) 고래들이 시장을 박살냈다고 생각하시나요??
요즘 SNS 에서 거래소로 휴면 주소 이동 급증 이슈 + 온체인데이터로 봐도 바이낸스로 비트코인 보유량이 늘어난 건 사실입니다
6 - 7만 달러에 보유한 고래들이 AI 섹터로 발바꿈 하고 있습니다
( 대략 +50% 수익 )
비트코인 700만개 오래된 주소에서 Taproot 지원 주소로 옮기는 건 보안 업그레이드 목적이지, 매도하려는 게 아닙니다
또한, 거래소 기관 커스터디로 옮겨서 디파이 담보로 예치 또는 기업 재무자산으로 편입하려는 것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단순히 고래가 이동했네 물론 매도는 일부 나올 수 있지만 OG 고래들이 매도 증거로는 매우 약합니다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CRYPTOCAP:BTC 1시간봉
보유하고 있던 롱포지션은 SL 진입가 터치하면서 종료 되었고 105K 잡은 숏 포지션은 전량 정리
이제는 슬슬 매수 할 시기라고 보고 있습니다
98K 까지 도달한 상태이다 보니 하방 스윕이 한번쯤은 더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 아랫꼬리 포함해서 97400 자리까지 이탈하면 94.5K 까지는 염두에 두고있음 )
그래서 차트의 흐름을 만들어가는 과정들을 지켜보셔야합니다
큰 방향을 맞추는 싸움보다는 정해진 자리에서만 싸우면 됩니다
주요 저항 지지라인⁉️⁉️
단기저항 100.7K
단기저항 102K ⭐️
(해당구간으로 올라와야 하는데 쉽지않아보임)
메인저항 106.5K - 107.5K ⭐️⭐️⭐️
주요지지 98.1K ⭐️
메인지지 94.3K - 95.6K ⭐️⭐️⭐️
이후 깨지는 흐름이 나온다면 결국 큰하방 88K까지도 봐야합니다
🔍🔍🔍 보유포지션
LONG 순환매 진행중
SHORT 105,061 전량 종료
과거 패턴과 유사한 움직임에 따른 2026년 초 숏 배팅 기회 전망 비트코인 차트 분석 과거 패턴에 근거하여
2020년 12월 14일 부터 2022년 9월 5일까지에 차트 움직임과 근래 2024년 10월 28일 부터 하여서 지금까지에 차트 움직임이 비슷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동일하게 움직을 주지 않는 것이 어찌보면 더 맞다고 생각하지만
만약에 유사하게 차트가 움직인다면
내년에 초에 숏 배팅을 강하게 해 볼수 있는 기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상승과 하락이 있겠지만
결국에는 과거와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11/14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급락했습니다.
사상 최장기 셧다운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 경고’가 이어지면서 기술주 전반에 매도세가 확산됐습니다. 핵심 경제지표 공백 속에서 금리 인하 전망이 약해진 데다, AI 대형주의 고평가 논란까지 겹치며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 내부에서는 고성장 기술주에서 방어주·가치주로의 순환매 흐름이 한층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105K를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해 98K까지 떨어졌다가, 현재 100K 부근까지 회복한 상태입니다. 98K 부근에서 지지선을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104K~105K 구간에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구간을 돌파하고 107.4K 위로 안착한다면 상승 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하락 관점에서는 다음 지지선을 95K 부근으로 보고 있으며, 추가 하락이 이어질 경우 86K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11월 13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마지막 지지구간에서 무너지면 강하게 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1월 13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12시간 MACD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며
이에따라 하방의 압력이 강해지는 구간으로 바뀌어 있는 자리들은
반복적으로 설명 드리고 있는 내용 입니다.
또한 주봉차트까지의 일목균형표상 양운의 넓이가 좁아지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음운으로 바귄다면 굉장히 위험한 자리가 될 수 있는 점은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저번주 주봉차트 지지선 및 3주봉차트 중앙선을 터치 하면서 이번 주말까지는
버틸 수 있는 힘이 아직은 남아 있는 자리도 설명을 드렸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주요내용 살펴 보겠습니다.
100,308 구간의 쌍바닥의 지지구간에서의 움직임을 살펴 보셔야 합니다.
1. 현재 비트코인은 12시간 MACD 데드크로스 각인 전이기 때문에 각인이 완료 될 때까지의
움직임은 아직까지 좋은 상태는 아닙니다.
12시간 MACD 눌림구간이 유지가 된다라는 것은 그만큼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움직임에 대해 집중 해보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2. 비트코인의 일목균형표상 단시간 캔들과의 구멍이 나있는 자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구멍을 메워 준 후 의 움직임도 중요 합니다.
3. 아직까지 비트코인은 볼린저밴드 8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한 후 지지선까지는
터치 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지지라인이 하방으로 열려 있는 구간에서 이 구간을
터치 한 후 반등여부에 따라 움직임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종합####
비트코인이 쌍바닥 구간인 100,308 자리를 터치 한 후 움직임이 가장 중요한 자리 입니다.
이 구간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상단에 각 시간대 일목균형표상 구멍을 메워주는
103,413 자리까지는 상승 할 수 있는 힘은 있는 자리이나 이 후 움직임이 가장 중요하며
버지면서 각 시간대 음운을 양운으로 바꿔 준다면 다시한번 도약할 수 있는 움직임도
가능성이 있는 자리 입니다. 상단에 저항선표시 체크 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12시간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이 존재하고 있는 중 이며
눌림구간이 예상이 되는 자리들 입니다.
하단에 6시간 및 8시간 볼린저밴드 지지선이 하방으로 열려있고 지지선을 터치 하더라도
하단의 지지라인까지 빠질 수 있는 움직임을 최대 바텀구간인 98,188 자리의
캔들의 전저점으로 체크 해놨습니다.
이번 주 까지는 3주봉차트 중앙선을 터치 한 비트코인이 버틸 수 있는 힘은
주는 자리이지만 이번 주가 지나도 현재 자리에서 횡보 또는 눌림이 지속 된다면
다음 주 부터는 눌림자리가 가속화가 될 수 있는 자리들이니 체크 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11/14 위험회피 vs 국민연금 환헤지 전일 동향: 셧다운 해제 위험선호 회복에 1,460원 후반대 유지
전일 달러-원 환율은 위험선호 회복에 1,460원 후반대로 소폭 하락. 장 초반 환율은 미국 기술주 부진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에 1,469원 수준에서 개장. 오전 중 외국인들의 매도세 이어지며 환율은 한때 1,475원 부근까지 상승. 다만 미국의 셧다운 해제 소식에 위험회피 심리가 회복. 또한 1,475원 수준에서 당국 미세조정 경계감까지 가세하며 환율은 다시 반락. 주간장 전일대비 1.2원 하락한 1,468.9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인하 기대감 후퇴, 中 실물경기로 이동하는 돈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연준 위원들의 매파 발언을 소화하며 상승. 이날 경제지표는 여전히 부재한 가운데, 대체로 연준 위원들은 매파적으로 발언. 우선 올해 12월 투표권이 있는 알베르토 무살렘 지역 연은 총재는 "AI 확대로 인한 고용시장 충격에 회의적이며, 실업률이 4.5%까지 상승하더라도 여전히 고용시장은 완전고용에 머무를 것"이라고 언급. 또한 통화정책이 다시 중립 수준으로 돌아온 만큼, 12월 추가 인하에 대해 신중한 스탠스를 표명. 뿐만 아니라 올해 투표권이 없는 클리브랜드/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들도 고용 둔화에 대한 우려보다, 오히려 물가에 대해 다시 걱정해야 한다는 입장. 위원들의 발언 이후 선물시장에 반영된 12월 인하 확률은 50.7%, 동결 확률은 49.3%로 팽팽하게 대치. 여기에 더해 30년물 입찰 결과도 부진하자 금리는 장기물 중심 상승.
(달러↓) 달러화는 미국채 금리 상승에도 셧다운 해제 소식과 향후 경제지표 발표 불확실성 영향에 하락. 한편 단기자금시장은 정부 자금 집행 전 TGA 잔고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자 다시 불안정한 모습. (위안↑) 위안화는 잔여 유동성이 소비와 투자로 이동하자 강세. 중국 기업과 가계의 예금(저축성 화폐,M2-M1)이 지난 10월에도 크게 감소. 이는 기업 활동, 소비, 금융자산 등 실물경기로 이동.
금일 전망: 외국인 증시 매도 vs 국민연금 환헤지 조건 발동
금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증시 수급을 주시하며 1,470원 초반대에서 등락할 전망. 어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은 셧다운 해제 기대감에 막판 매수세로 전환. 다만 간밤 미국 증시에서 여전히 기술주에 대한 벨류에이션 부담을 보여준 만큼, 오늘 장중에는 다시 매도세로 전환할 가능성 높아. 셧다운 해제는 분명 위험선호에 긍정적 소식이나,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를 모두 상쇄. 게다가 미국 단기자금시장을 보면 실제 정부의 자금집행이(TGA 하락) 이루어지기 전까지 시장은 여전히 위험자산에 대한 매도 압력이 이어질 가능성 존재. 따라서 오늘도 환율은 여전히 상방 압력에 노출.
다만 국민연금의 전술적 환헤지가 발동될 경우 환율이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 존재. 국민연금 환헤지가 발동되는 조건은 어제를 마지막으로 이미 충족(장기평균 분포를 벗어난 극단값의 5거래일 이상 지속). 따라서 실제 헤지 물량이 출회될 경우 장 초반 단기적인 하방 변동성으로 작용할 전망.
금일 예상 레인지 1,462-1,475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BTC 꼬리 채우기 하락 -> 상승 시나리오매물대 부근에서 어려운 무빙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직전 아이디어 생각해보면 다시 한번 추가적인 꼬리채우기 시나리오를 생각해봤습니다.
정리해보면 큰 흐름에선 계속 말씀드려왔던 98 위에서 시즌 2 (깨지면 시즌종료)
시즌 2가 이미 출발했는지 아직인지 현재 매물대에서 계속 심리전 진행 중
현재 하단구간인데 매물대 또 다시 들어올리면 꼬리 추가로 채울 확률보다 바로 출발할 가능성 다시 UP
현재 매물대가 영원히 지속될 수 없는점을 생각하면 이번 하단에서 꼬리 채우러 갈 턴
언제 이 구간에서 멀어 질 수 있을지 확신 할 수 없지만
조만간 이라고 생각합니다.
엘리엇 파동 분석 – XAUUSD | 2025년 11월 13일
🔸 1. 모멘텀 (Momentum)
D1 타임프레임
• D1 모멘텀은 여전히 과매수 구간에 있으며, 매수 힘이 약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하락 전환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4 타임프레임
• H4 모멘텀도 과매수 구간에 있고 수축되기 시작했습니다 → 곧 하락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H1 타임프레임
• H1 모멘텀은 과매도 구간에 있어, 단기 반등 후 다시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 파동 구조
D1 구조
• 전일과 비교해 큰 변화는 없으며, 가격은 여전히 X파의 완성 구간을 향하고 있습니다.
H4 구조
• 가격은 X파 내부에 있으며, 현재 W파의 0.618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보라색)에 도달했습니다.
• 이 구간은 D1 및 H4 모멘텀과 일치하여 강한 반전 가능성을 형성합니다.
• X파의 고점을 확인하기 위해 H4 음봉 마감을 기다립니다.
• 참고: 현재 H4 캔들은 강하게 압축되어 있어, 반전 전 마지막 상승이 한 번 더 나올 수 있습니다.
H1 구조
• 빨간색 5파 내부에서 작은 검정색 5파 구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RSI는 검정색 3파 고점에서 하락 다이버전스를 보여주며, 5파 고점 형성의 초기 신호를 나타냅니다.
• 검정색 5파(빨간색 5파 및 X파의 완성)는 다음 가격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o 4223 (1–3파의 0.382 피보)
o 4248 (1–3파의 0.618 피보)
X파 고점을 지지하는 근거:
• 3파와 5파 사이 RSI 다이버전스
• H1 모멘텀이 과매수 진입 후 반전
→ 이는 X파가 해당 구간에서 완료될 가능성을 강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3. 트레이딩 플랜
트레이더 성향에 따라 3가지 진입 옵션이 있습니다:
✅ 1. 셀 리밋(Sell Limit): 4223 – 4225
• SL: 4233
• TP1: 4181
• TP2: 4145
• TP3: 4046
✅ 2. 셀 리밋(Sell Limit): 4248 – 4250
• SL: 4260
• TP1: 4181
• TP2: 4145
• TP3: 4046
✅ 3. 셀 스탑(Sell Stop): 4181
• 캔들이 4181 아래로 마감될 때만 진입 (검정색 4파 저점).
• 이는 구조가 깨진 후 진입하는 방식으로, 더 안전한 진입법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요약
• X파는 최종 목표 구간에 접근하고 있으며, 여러 신호가 고점 형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H1은 반전 전 4223–4248까지 추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이 두 구간은 모멘텀 및 RSI 다이버전스가 겹치는 강력한 매도 구간입니다.
• 3가지 진입 방식(리밋 2개 + 브레이크아웃)은 리스크 선호도에 따른 유연한 선택을 제공합니다.
[ETH] 이더리움 차트시황
1D
지난번 포스팅 이후 이더리움이 장기 이평선을 상방 돌파 하지 못하고 저항에 밀려 내려왔습니다.
차트상으로는 역시 좋은 모습은 아닙니다. 빨리 장기 이평선 위로 올려줘야 강한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계속 빌빌대면 이미 내려와 있는 단기 이평선처럼 중기 이평선들도 슬슬 내려오면서 이평선의 배열이 역배열 상태로 재배치 되게 되고 그렇게 된다면 시즌 종료에 가까워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시일내로 장기 이평선 위로 캔들이 안착 해줘야합니다.
현재는 큰 추세 발산을 위한 이평선들의 이격을 좁혀주는 중으로 보이며 추세가 위로 터질지 아래로 터질지는 불확실한 구간입니다. 당장 위로 떡상할거라는 생각도 당연히 들지 않고 있습니다.
4H
최소한 바로 위에 있는 3,693 저항구간 위로 캔들이 올라타 줘야 어느정도 상승을 볼 수 있고, 올라탄다 해도 그 위에도 강력한 메이저 저항인 4,069 구간이 있습니다.
4k 위로 올라가기 전까지는 절대 방심은 금물이며 항상 의심하고 의심해야 합니다. 지금은 수익을 줄 때 야금야금 먹튀 느낌으로 챙겨야 할 때 입니다.
매매권유가 아닌 개인관점 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11월 13일 이더리움 분석 기관들만 매수하고 있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가격만 보려고 하지마세요 데이터를 보시면 상승으로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리테일 보유량은 줄었지만 기관과 고래들은 대량의 순매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셧다운 종료와 함께 TGA 방출 시중에 유동성이 풀리면서 비트코인보다도 이더리움에 순 유입이 늘어날 확률이 높음
또한 이더리움, 12월3일 ‘푸사카’ 업그레이드… 블롭 처리량·L1 성능 강화
즉, 이더리움의 광대역 전환이라고 부르는 대대적인 변화입니다
단기적으로 부채를 조달 하기 위한 비용을 위해 단기 하락은 나올 수 있다 라고 보고 있음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1시간 프레임
이전 관점 기준으로 더블 탑을 만들면서 하락할 것이라는 관점은 그대로 하락이 나왔습니다
지금은 완전 베어라고 보기도 애매하고 강한 불장이라고 보기도 애매한 상태입니다
->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면 단기 3660까지 상승기대 가능 1시간 4시간 프레임 기준 아래서 마감하면 하락이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보고 리스크관리 하겠습니다
단기적으로는 ABC 조정파동은 끝났다 라고 보고 있고, 스윙관점으로는 C파 수준의 B파종료후 반등이라고 보고 있는게 맞습니다
그전에 보라색 매물대은 꼭 뚫어줘야합니다 해당구간에서 막히면 3280달러 까지 하락할 수 있으니 체크
아직까지는 추세가 하락추세이고 지지하는 구간들은 살아있다라고 이해하시는게 더 편합니다
단기저항 3672 / 3920 / 4060
메인저항 3672 ⭐️⭐️⭐️
(단기 여기서 막히면 3500지지 체크)
주요지지 3340-3400⭐️⭐️
해당자리 이탈시
단기지지 3180 - 3220
2900 - 2950 아랫꼬리 포함
🔍 ETH 포지션 공유
LONG 3,407 5만달러
SHORT 3500달러 터치로 포지션 수익마감
11/13 오후 비트코인 시황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04K 부근에서 저항 테스트를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104K를 돌파하고 105K 위로 안착한다면, 110.5K 구간에서 돌파 테스트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10.5k 돌파하며 하락추세선을 돌파한다면 상승 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면 하락 관점에서는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고점을 낮추며 횡보 중이기 때문에, 98.5K 부근에서 1차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 하락이 이어질 경우 95K 부근에서 2차 지지선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구간마저 붕괴된다면 86K까지 하락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