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아이디어
DOGE 상장 D-3, 롱 과열vs기관 매집—도지코인, 이번엔 ‘$0.30 문턱’을 찢을 수 있을까?🚨 “DOGE 상장 D-3, 롱 과열vs기관 매집—도지코인, 이번엔 ‘$0.30 문턱’을 찢을 수 있을까?”
ETF가 ‘진짜 현물’은 아니지만, 돈의 방향은 분명해 보여. 상장사 트레저리 유입 + 파생시장 롱 쏠림 + 기술적 분기점이 한 지점에서 만났거든.
결론? 단기 흔들림은 세다. 근데 그 흔들림이 ‘다음 레그 업’의 연료가 될 수 있다는 게 내 베이스라인이야.
(이어서 계속👇)
1️⃣ 📈 가격 & 변동성 팩트 — 오늘 DOGE $0.28103(≈ 390), 일중 고점 $0.292579 / 저점 $0.273144, 7D +22% / 1M +10% / YTD +150% / 시총 $41.56B; 이 변동성 자체가 “뉴스-주도 랠리”의 전형적인 초입 패턴이라 본다.
2️⃣ 🧭 레벨 맵 — 단기 핵심은 $0.30 돌파/안착이야. 위로는 $0.32~0.34에 유동성 포켓(청산 밀집 구간)이 있고, 아래로는 $0.25가 가장 먼저 테스트될 베이스(박스 하단). 내 타임프레임은 D1→H4 순서로 본다.
3️⃣ 🧪 포지션 심리 — 선물 시장 롱/숏 비율: 바이낸스 ~2.9, OKX ~2.8 = 군중이 한쪽으로 기운 상태. 이벤트 직전엔 롱 강제청산(롱스퀴즈)→딥 매수 시나리오까지 염두에 둔다. 그래서 나는 돌파 추종은 소량, 되돌림 매수는 분할로 나눠 잡는다.
4️⃣ 🧨 ETF 촉매(9/18 미국) — REX-Osprey DOGE는 ’40 Act + 케이맨 자회사(간접·파생) 구조라 비트코인 ‘현물 ETF’만큼의 현물흡수력은 약할 수 있어. 그럼에도 거래 첫 주 유입금은 프라이스 액션에 직접 영향을 준다; 키는 괴리/스프레드와 거래대금 체크.
5️⃣ 🏢 기관·상장사 수요 — Bit Origin, 4,054만 DOGE를 평균 $0.2466에 매집했고, CleanCore는 5억+ DOGE 보유에서 30일 내 10억 DOGE 목표를 밝히며 $175,000,420 PIPE를 붙였지. 트레저리 스택이 가격의 ‘바닥 탄성’을 키우는 중.
6️⃣ 🧩 보완 촉매 — Grayscale Dogecoin Trust(S-1 전환) 가 뒤에서 압력을 준다. 승인 타임라인은 별개지만, “기관 접근성 확대” 내러티브가 DOGE 데뷔→후속 상품 대기라는 스토리라인을 만들어.
7️⃣ 🏺 차트 구조(주봉) — 컵-앤-핸들 시그널이 유효해 보인다. 핸들 상단을 $0.30~0.31로 보되, 주봉 종가 기준 2주 연속 안착이 나오면 $0.36 → $0.42 → $0.50 순차 타깃이 개연적. 반대로 이탈 시 $0.25 → $0.23 방어전.
8️⃣ 🧯 리스크 관리 수치화 — 이벤트 전후 ATR(일간) 기준 1.2~1.6배 변동을 가정, 손절/트레일링은 -4%~-7% 박스에서 자동화. 파생은 펀딩이 양(+) 0.02%/8h를 넘기면 레버 축소, 현물은 현/선 괴리가 0.8%↑면 신규 추종 보류.
9️⃣ 🧳 전략 요약(내 방식) — a) 돌파형: $0.30 확정 안착(1H 2회 클로즈) 후 모멘텀 30% 진입, 실패 시 즉시 철수. b) 되돌림형: $0.25±1.5% 구간 분할 40% 현물. c) 추가 탄약: $0.23~0.24에 남은 30%. 전부 시간분산(T+3) 로 체킹.
🔟 🥇 “지금 살 최고의 코인?” 내 답 — 단기 이벤트 드리븐은 DOGE, 중기 리스크-조정수익은 BTC/ETH, 고위험 하이베타는 DOGE+XRP(동일 계열 ETF 기대) 믹스. 프리세일·소형 밈(MAXI 등)은 극소 비중(<2%) 으로만 실험. 포트폴리오 총 리스크 한도는 자본의 1.5R 내로 고정.
도지코인 반등 임박? 10월 막차 좋은 자리나왔네도지코인 반등 임박? 10월 막차 좋은 자리나왔네
DOGE LONG+1040%⬆️
DOGE SHORT+106%⬆️
😇도지 현물 분석 포함
도지코인은 눌림을 줬다 상승한다면 러프하게 37일 룰을 대입하면 10월 중순에 1,150원 까지 갈 수 있습니다.
이유중에 보시면 비트코인을 반감기 +512일차 그리고 과거 사이클 기준으로 본다면 약 37 - 50일과 겹칩니다.
업비트 기준 +44% 상승
0.3달러 까지 결국 갔죠?? 왜 0.3달러라 말씀드린건 해당자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의미있는 지지와 저항을 받았던 구간입니다.
이제는 우리가 봐야하는구간은 0.254달러 까지 내려주기를 기도하기를 해당구간 주지 않고 상승하면 0.32달러에서 그 이상 상승이 어렵습니다.
업비트 기준 356원 기준으로 보시면됩니다.
알트들은 눌림없이 상승하면, 상승폭은 제한적입니다 통상적으로 모든 코인들이 그렇습니다.
단, 만약 돌파시나리오 본다면, 도지는 돌파하려면 0.32달러 위로 일봉기준으로 안착해준다면 충분히 상승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돌파 추격매수는 유효합니다 그전까지는 눌림 매수
XRP 두 자릿수·세 자릿수? 숫자로 까보니 ‘가능 구간’이 보인다 – BTC 20만·RWA 토큰화·유동성 로테이션🚨 “XRP 두 자릿수·세 자릿수? 숫자로 까보니 ‘가능 구간’이 보인다 – BTC 20만·RWA 토큰화·유동성 로테이션 3박자”
비트코인이 20만 달러에 근접하면, 알트는 ‘따라가느냐’가 아니라 ‘얼마를 더 레버리지로 먹느냐’의 싸움이야.
XRP는 유통량, 실사용 내러티브, 규제 리스크 축소 3요인이 동시에 움직일 때 탄력이 제일 커.
이어서 계속👇
1️⃣ 📈 “BTC 20만 vs XRP 20달러”를 수학으로 보자: XRP 유통량 대략 596억 개 기준, 20달러면 시총 약 1.19조 달러(= 596억×$20)로 전체 크립토 파이가 지금보다 훨씬 커져야 해. 같은 시나리오에서 BTC 20만 달러는 유통 1,992만 개로 약 4.0조 달러 시총이라, 결론은 ‘마켓 전체 유동성 확대’ 없이는 동시충족이 어렵다는 것.
2️⃣ 💥 “세 자릿수(≥$100) XRP”의 상한 체크: 동일 유통량 가정 시 시총 약 5.96조 달러로 단일 자산이 현 시총 전체를 압도하는 덩치야. 이 구간은 초과격(파라볼릭) 유동성 + 규제 명확화 + 대형 채택(결제/브리지/토큰화)이 한 번에 맞물릴 때만 열려. 즉, ‘비트코인 100만 달러’ 같은 최상단 사이클과 세트로 생각하는 게 안전해.
3️⃣ 🧲 도미넌스와 로테이션의 타이밍: 최근 사이클은 BTC 도미넌스가 56~58%대처럼 높을 때 알트가 숨 고르기를 하고, 이후 ‘현금→BTC→메이저 알트→미드캡’ 순으로 돈이 돌았어. 관건은 현물 ETF 자금의 2차 파급이 알트로 번지는 순간이고, 그때 시총 대비 유동성 민감도가 큰 XRP 같은 대형 알트가 탄력을 받지.
4️⃣ 🏦 규제 리스크 축소가 프리미엄: SEC 소송 장기 이슈가 사실상 일단락되면서 ‘세컨더리 유통 리스크’가 낮아졌고, 기관 접근성은 이전 대비 확연히 개선됐어. 이건 가격을 바로 당기는 촉매는 아니지만,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를 줄여 주기 때문에 사이클 상단에서 ‘얼마까지 허용할 것인가’를 밀어 올려.
5️⃣ 🧰 온체인 유틸리티의 구조적 포인트: XRPL은 태생부터 IOU형 토큰과 내장 DEX가 있어 RWA 토큰화·브릿지 결제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핵심은 TPS나 수수료보다 ‘실사용 트래픽(거래 건수·체결액)과 주문서 깊이’가 실제로 늘기 시작하느냐야. 숫자가 따라오면 내러티브가 아니라 펀더멘털 레벨업으로 재평가가 붙는다.
6️⃣ 🏗️ RWA(실물자산 토큰화) 메가트렌드의 현실판: 미국 뉴저지 버겐카운티가 37만 건, 평가액 약 2,400억 달러의 부동산 등기 기록을 온체인으로 올리기 시작한 건 “정부 레벨도 디지털 원장으로 간다”는 신호야. 지금 실결제는 USDC 같은 스테이블이 주류지만, 유통·브릿지·FX 구간에서 ‘비스테이블 유동층’ 수요가 생기면 XRP 같은 브릿지 코인의 틈이 열린다.
7️⃣ 🔄 “결제-토큰화-유동성” 삼각형의 레버리지: 토큰화된 부동산·채권·금융상품이 늘수록, 체결 레일과 브릿지 체인은 네트워크 효과를 가져. 여기서 XRP가 점유율을 확보하려면 두 가지 숫자가 필요해: 월간 활성지갑(MAU) 급증과 체결액(체인 내 결제 총액) 추세적 증가. 이 두 숫자가 꺾이지 않고 2~3분기 누적되면 리프라이싱이 온다.
8️⃣ 🧮 밸류에이션 체크포인트(내 기준표):
베이스: BTC 12만~15만 달러 / 총시총 5~6조 달러 구간 → XRP 합리적 밴드 $3.5~$7.5(유동성·뉴스 민감)
불장 중반: BTC 15만~20만 / 총시총 7~9조 → XRP $8~$15(대형 파트너십/유동성 확장 동반 시 $20 터치)
파라볼릭: BTC 30만+ / 총시총 12조+ → XRP $20 안착 시도, 실사용 데이터 동행이면 $30대도 열림
초과격 상단: BTC 100만 / 총시총 25조+ → XRP 세 자릿수 ‘가능성 구간’ 진입 (현실성은 채택 데이터가 좌우)
9️⃣ 🧭 트레이딩 전술(내 로직): 뉴스보다 오더북·파생 데이터가 먼저야. 현물-무기한 베이시스 스프레드, 펀딩레이트 과열, 김프/역프, CVD(누적 체결량 델타), 그리고 도미넌스 추이를 한 묶음으로 본다. 베이시스가 양(+)이고 도미넌스가 꺾이기 시작하며 XRP 현물 거래대금이 2~3일 연속 시총대비 과잉 증가하면, 난 단계적 매수·손절 6~8%·이익실현 분할로 간다.
🔟 🧠 결론(내 뷰): “두 자릿수 XRP”는 불장 중반에도 조건부로 열릴 수 있고, “세 자릿수”는 ‘마켓 사이즈·규제·채택’ 3박자가 합격점을 받아야만 가능한 상단 밴드야. 그래서 난 구호보다 숫자를 본다—도미넌스 하향, 현물 유입 가속, XRPL 실사용 지표 상승. 이 세 숫자가 동시에 신호를 낼 때, 드라마는 통계로 바뀐다.
션타임 아카데미 - EURUSD(유로) 추세 분석구독자 여러분 모두 반갑습니다.
개인적 의견 공유는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부스터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키 포인트
-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며, 최근 불거지고 있는 프랑스 정치 리스크와 재정 문제를 꼽음. 하지만, 향후 등급 정망은 '안정적'이라 평가함.
- 러시아와 벨라루스 군은 이달 16일까지 러시아, 벨라루스, 발트해, 바렌츠해에서 훈련을 가질 계획이며, NATO는 러시아의 위협에 유럽 동부 전선 경계 강화에 나섬.
- 프랑스와 스페인,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경제성장률과 디스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하며, 비둘기파적 기조를 보여줌.
- 오는 16일부터 열리는 FOMC 회의에서 연준은 25bp 금리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에서는 '점도표'에서 연내 2회 인하 전망이 연내 3회로 늘어날지를 주목하고 있음.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 9월 16일: 미국 8월 소매판매, 캐나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
+ 9월 17일: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지수,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결정, FOMC 결과 발표
+ 9월 18일: 영란은행 금리결정
+ 9월 19일: 일본중앙은행 금리결정
EURUSD 차트분석
뚜렷한 방향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최근 2주 가량 1.16000~1.18000 구간 사이에서 횡보 중입니다. 이번 횡보구간에서 고점 저항을 돌파하여 1.20000 라인까지의 상승을 이어가느냐, 혹은 고점 돌파에 실패하여 1.15000 라인까지 재차 후퇴하느냐가 이번 주 주요 관건이 되겠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추세 흐름에 따라 상방이 우세해 보입니다.
ETF·기업매집·온체인… 비트코인 13만 달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거대한 전환점이다🚨 “ETF·기업매집·온체인… 비트코인 13만 달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거대한 전환점이다”
비트코인 시장 지금? 단순한 가격 상승이 아니라, 돈의 방향 자체가 바뀌는 타이밍임. ETF 자금, 기업 매집, 고래들의 행동이 전부 한 곳으로 수렴하고 있어. 숫자만 보면 단순히 올라가는 것 같지만, 그 안에 숨어있는 흐름은 훨씬 더 거대해. (이어서 계속👇)
1️⃣ 📈 지금 비트코인 가격은 약 11만 7,800달러~11만 8,400달러 구간이 핵심 분기점인데, 이 구간을 돌파하면 단순히 “상승”이 아니라 13만 달러를 향한 레일로드가 열린다는 거야.
2️⃣ 🏦 블랙록 IBIT ETF 하나만 봐도 이미 누적 자금 유입이 200억 달러를 넘겼고, 하루 평균 순유입액이 8억~12억 달러 수준임. 이 정도면 신규 발행되는 비트코인 공급(하루 450개, 약 5천만 달러 규모)을 10배 이상 압도하고 있어.
3️⃣ 🐋 고래 지갑 추적하면 지난 2주 동안 24,000 BTC 이상이 거래소에서 빠져나갔어. 지금 시총으로 환산하면 약 280억 달러, 이건 시장을 한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자석 같은 효과를 만들어내지.
4️⃣ 📊 온체인 데이터 보면, 장기보유자(LTH)들이 전체 유통량의 70% 이상을 잠궈두고 있음. 이 말은 지금 유통되는 물량의 3분의 1만 실질적으로 거래되는 시장에 풀려 있다는 것. 유동성이 말라가면 가격은 작은 자극에도 급등하는 구조야.
5️⃣ 🏢 기업 매집 흐름이 심상치 않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이미 25만 BTC를 넘겼고, 중견 상장사들도 “비트코인을 대차대조표에 편입”하는 시나리오가 본격화 중임. 이건 단순 투자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 재무 전략의 변환점이라는 거지.
6️⃣ 🔥 심리 구간도 흥미로운데, 12만 달러 돌파는 개인 투자자들한테 “이건 끝난 줄 알았는데 아직 시작”이라는 착시를 줘. 실제로 구글 트렌드 검색량 보면 ‘Bitcoin buy’ 키워드가 지난달 대비 140% 급등했음.
7️⃣ 📉 반대로 숏 포지션 데이터는 연일 청산 중이야. 9월 들어서만 선물 시장에서 약 8억 달러 규모 숏이 강제 청산됐고, 레버리지 비율도 점점 롱 쪽으로 기울고 있음. 이건 상승 탄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증거야.
8️⃣ 🌍 매크로로 보면, 달러 인덱스(DXY)가 103 아래로 떨어지고, 미국 실질 금리가 내려가는 흐름임. 돈의 방향이 위험자산으로 이동하는 순간, 비트코인은 그 자금의 가장 직접적인 수혜처가 돼.
9️⃣ 🔮 내 개인적 전망으로는, 13만 달러 돌파 시점은 단순히 차트상의 숫자가 아니라, 글로벌 자산군에서 비트코인이 ‘주요 축’으로 인정받는 선언식이 될 거라 본다. 금·주식과 같은 레벨로 편입되는 거지.
🔟 🚀 정리하면, ETF 자금 유입(200억+), 공급 부족(10배), 고래 매집(280억 달러), 기업 재무전략 전환, 매크로 유동성—all in one. 이게 맞물리면 13만 달러는 숫자가 아니라 새로운 시작선이야.
👉 결론? 지금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기 대상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 질서에서 새로운 기둥이 되어가고 있다는 거. 이 흐름 놓치면 말 그대로 ‘시간 싸움’에서 뒤처지는 거지.
9월 15일 비트코인 초대형 상승 앞두고 여러분들은 BTC 있나요?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비트코인 현물로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정부 적자 규모가 민간 대출보다 크다. 금리 인상은 대출을 줄이지만 정부 이자비용을 더 크게 늘려 적자를 키우고 물가 압력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금리만으론 통화가치 방어가 어렵다.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비트코인 보유가 필수
위 구간으로 안착해야하는 자리는 115.4K - 120.4K 안에서 박스권을 형성하면서 흘러가면서 중심값 118K에서 움직여줘야 하며 만약 상승흐름을 이어가려면 116.76K 돌파 흐름이 나와야합니다.
여기서 만약 113.4K 부근 넥라인을 이탈하게되면 ABC 파동의 B파동은 116.5K로 볼 수 있습니다.
(해당자리에서는 지지나온다면 추가적으로 매수진입할 예정)
중요지지구간 녹색박스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해당구간에서는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알트코인들을 비중들을 모두 추가 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도 녹색박스 구간을 꼭 표시해두시길 바랍니다. 정말 중요한 시기가 될 겁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16.76K - 117K - 118k
단기저항 116,200⭐️⭐️⭐️ 돌파
단기지지1114.6K - 113.3K
113,222⭐️⭐️⭐️
주요지지 113.2K - 113.5K
⭐️⭐️⭐️ 트레이딩 포인트
FOMC 이후에 변동성을 주목해야한다
특히나 추세가 상방으로 보고 있고, 이번에는 변곡점에서 타점을 잡기보다도 저배율로 비중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매매하신게 이번상승장에 크게먹는 포인트🌺
PUMP 하루 200만달러 ‘실매수’로 반등 그러나 단기 눌림 온다 POC+0.5 되돌림만 노려라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PUMP LONG+656%⬆️
펌프는 펌핑이 나오기전부터 말씀드린 코인입니다.
초기 폭락때는 불신과 에어드롭에 대한 부담감으로 -66% 하락하였고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를 이어간건 에어드롭의 연기 다이내믹 수수료를 도입하면서 상승했습니다.
단, 여기서 조심해야하는건 200만달러의 바이백인데, 바이백은 자사 토큰을 매수하면서 매출까지도 유지 되면서 강한상승세가 나온겁니다.
여기서 거래가 특정 DEX에 집중되고 고래들의 매집현황이 부족하기 떄문에 이런 변곡점에 큰 하락이 나올 수 있으니 수익이신분들은 리스크관리가 필요
코인스쿨에서 예상하는 최대 상승치 까지 상승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눌림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습니다.
눌림자리로 보이는건 POC + 0.5 되돌림 자리입니다.
0.005621 / 0.005091 달러 (숏 스퀴징 발생시)
해당자리에서 지지가 나와주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자리 이탈시 이전 저점까지도 되돌림이 강할 수 있습니다.
09/15 추가 상승할 공간이 많이 남지 않은 달러-원 전일 동향: 외국인 대규모 순매수에도 여전히 하방 제약
전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수급에도 하방 제약적 흐름 이어가며 소폭 하락. 장초반 달러-원 환율은 CPI에 따른 달러화 약세에도 1,390원 높은 레벨에 개장. 이후 외국인들이 1조원 이상 대규모 순매수를 이어가자 한때 하락 압력 소화하며 1,387원 수준까지 하락. 다만 여전히 강한 달러 매수세가 하단을 지지하며 낙폭은 제한. 주간장 전일대비 2.5원 하락한 1,388.2원 마감.
글로벌 시장 동향: 美 소비자 심리 부진, 佛 신용등급 강등
(미국채 금리↑) 전일 미국채 금리는 유로지역 국채 매도와 연동되며 소폭 상승. 이날 프랑스의 신용등급 발표를 앞두고 강등 우려가 확산. 이에 유로존 10년물 금리가 프랑스(+6.6bp), 독일(+6.0bp), 영국(+6.5bp) 중심으로 상승하자 미국채 금리도 이와 연동. 미시간대에서 발표한 9월 소비자심리지수 잠정치는 55.4pt로 전월(58.2pt) 대비 하락. 소비심리의 부진은 중저소득층 응답자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용에 대한 전망도 청년층(18-34세)을 중심으로 악화. 고용 부진에 따른 인하 기대감은 올해 3차례로(79.8%) 재차 유지되자 금리는 상승폭을 축소. 한편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전월과 동일한 4.8%로 유지, 채권시장에 반영된 기대인플레이션(BEI) 또한 8월 고점대비 하락세가 유지. 여전히 채권시장은 인플레보다 고용둔화에 더욱 무게를 두는 모습.
(달러↑) 달러화는 소비자심리 악화에 약세 압력 받았으나 유로화 영향에 보합권 상승. (유로↓) 유로화는 지정학과 재정 리스크에 약보합.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군사 연합 훈련 또한 유로존 국방비 지출 증가 위협에 따른 재정 리스크로 소화. (위안↓) 위안화는 중국 외환당국이 위안화 절상 고시 폭을 상당 부분 축소하자 약세. 최근 증시 랠리에 따른 위안화의 빠른 강세에 대해 속도조절 신호를 전달.
금일 전망: 추가 상승할 공간이 제한, 달러-원 소폭 하락
금일 달러-원 환율은 상단 경계감 영향에 1,390원 수준으로 소폭 하락할 전망(야간장 1,395.4원 종가 대비). 지난 금요일 달러화는 하단이 지지되는 흐름이 반복됐으나, 이는 약달러 자체 압력이 아닌 유로화 약세에 따른 반작용. 다만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과 같은 기존 악재의 재발 효과 보다는, 당장 FOMC를 앞둔 약달러 압력이 더욱 우위를 보일 전망. 게다가 글로벌 외환시장과 괴리된 채로 달러-원 환율 상승을 주도했던 대규모 달러 매수 또한 1,395-1,400원이라는 단기적 상단 경계감에 주춤할 여지. 지난주 외국인들의 국내 주식시장 유입 금액 또한 일부는 커스터디에 예치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상승 보다는 하락 안정에 무게.
다만 위안화 약세 압력과 수출업체의 소극적인 네고 물량 출회는 여전히 상방 압력. 중국 당국이 지난주 속도조절 차원에서 위안화 약세를 용인하는 신호를 전달. 이에 달러-원 환율도 연동될 경우 추가 상승 압력 불가피.
금일 예상 레인지 1,388-1,396원.
-NH선물 위재현 연구원 제공
REX-Osprey XRP ETF… 진짜 현물? 아니면 또 다른 트릭? 숫자 보면 답 나온다“REX-Osprey XRP ETF… 진짜 현물? 아니면 또 다른 트릭? 숫자 보면 답 나온다”
요즘 시장 뜨겁지? XRP ETF가 나온다는데, 이게 진짜 현물인지 아닌지 논란이 장난 아냐.
SEC 승인 없이 현물 ETF가 가능하다? 🤔 투자자 입장에선 꿈같은 얘기인데, 파고들면 얘기가 달라져.
(이어서 계속👇)
1️⃣ 💥 1940년 투자회사법 기반이라니까… 보통 현물 ETF는 1933년법 루트로 가는데, 이건 1940년법이라서 자동 승인 트릭을 쓴 거야. SEC가 75일 동안 이의 제기 안 하면 바로 통과. 겉보기엔 현물 같지만, 사실상 구조가 완전 달라.
2️⃣ 📊 자회사 구조도 핵심이야. ‘REX-Osprey XRP (Cayman) Subsidiary’라는 케이맨 자회사를 만들어서 XRP 현물을 담을 수 있는데, 최대 25%까지만 허용돼. 100% 현물 ETF랑은 전혀 다른 그림이란 거지.
3️⃣ 🔄 나머지 75%? 그건 파생상품(선물·스왑)이나 다른 암호화폐 ETP까지 섞어 쓸 수 있어. 즉, 네가 산 ETF가 꼭 ‘XRP 현물 1:1’로 가는 게 아니라는 뜻. 추적 오차도 커질 수밖에 없어.
4️⃣ 📉 선물 ETF랑 뭐가 다르냐고? 솔직히 비슷해. 다만 XRP 자회사 비중만큼은 실제 현물을 일부 들고 갈 수 있다는 점이 차별점이지. 그래서 “부분 현물 ETF”라고 불러도 되는데, 이게 진짜 순수 현물 ETF냐? 절대 아니야.
5️⃣ ⏰ 출시 일정도 꼬여 있어. 원래는 9월 12일(금)이라 했는데,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말론 다음 주 9월 18일(수)로 미뤄졌어. 투자자들은 벌써부터 “진짜 나오는 거 맞냐?” 긴가민가 중.
6️⃣ 💸 티커도 확정 아냐. ‘XRPC’라는 얘기가 돌긴 하지만, 아직 거래소·발행사 최종 공시 안 나왔어. DTCC 등록이 있다고 다 된 건 절대 아님. DTCC는 그냥 기술적 준비 단계야.
7️⃣ 🔍 커뮤니티에서는 “최대 80% 현물 들어간다”는 말도 돌았는데, 그건 인플루언서 추정이지 공식 문서엔 없어. 공식 SEC 서류엔 딱 “자회사 25% 한도”라고만 박혀 있어.
8️⃣ 🧮 투자자가 체감할 리스크는 뭐냐? 첫째, 파생상품 롤오버 비용. 둘째, 현금 창·환 구조라서 스프레드 커질 수 있음. 셋째, XRP 가격과 펀드 순자산가치(NAV) 괴리. 이게 진짜 문제야.
9️⃣ 🔮 시장 영향? 그래도 제도권 자금이 XRP에 들어온다는 신호라는 건 부정 못 해. 비트코인 현물 ETF처럼 대규모 자금 유입까진 아니더라도, 심리적 임팩트는 확실히 있어.
🔟 🚀 미래 시나리오? 10월 중순에 Grayscale, Bitwise, 21Shares 등 9개 현물 ETF 신청서 심사 마감이야. 여기서 진짜 1933년법 기반 현물 ETF가 최소 1개 승인되면, XRP ETF는 지금보다 훨씬 강한 제도권 길을 걷게 될 거야.
1️⃣1️⃣ 📈 그래서 내 결론은? “REX-Osprey XRP ETF는 진짜 현물이 아니라 현물 섞은 혼합형 ETF다.” 투자할 땐 ‘현물 ETF’라는 이름에만 혹하지 말고, 구조와 숫자 세부사항을 꼭 봐야 돼.
👉 정리하면, 이 ETF는 현물 느낌은 살짝 내지만, 구조는 절반의 진실. 투자자한테 중요한 건 “내 돈이 진짜 XRP에 얼마나 닿아 있냐”는 거고, 이건 아직 25% 한도에 불과하다는 거야.
BTCUSDT Perp Binance 25년 09월13일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과 트럼프 집안의 크립토 바람몰이가 계속되는것이
코인시장의 상승세를 이끌고있는것으로 보임
여전히 비트코인의 코인시장 지배력은 부동의 1위이나
올해 초 이후의 하락장과 상승장이후 이더리움을 앞세운 알트코인의 상승세가
돋보인 현재까지의 상황이라 생각함
애초에 예상한대로 건강한 조정이후 상승을 이어간다면 수년 이후에도 큰 하락없이
안정적인 우상승의 건실한 자산시장으로서 인정 받을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데......
만약 이번에 또 다른 신고점의 상승세가 나오게 된다면.......
결국 버블을 쌓아가는것으로 밖에 볼수없을꺼 같다......
그 원죄는 트럼프집안및 그들을 위시한 자들에게 있겠으나.......
피해는 죄없는 일반인들이 지게되겠지......
하락이후 반등이 마무리 되었는지 확실치 않음
시나리오상 118K이상의 상승이 나와도 그다음 하락 기대값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것이다.
허나 116K를 자꾸 위협하는 모습이 나온다면 85K수준에서 마무리하는 시나리오는
완성 가능성이 희미한것으로 판단
시간상으로 추가 상승이 없을것으로 예상하고 숏포지션 진입중이고
반등 고점을 0.5K이상 갱신하면 이번 하락시나리오를 바탕으로한 거래는 전면 재검토할 계획
현재 단기추세 기대값은 10K이하이고 최소 2주에서 4주정도의 기간 소요 예상
비트코인 상승 관점 "불장이 가능한 조건.."오늘은 저번 관점에서 바뀐것이 있어서 바로 알려드려고 왔다.
그러면 바로 시작하겠다.
상승 근거1.앨리어트 파동이다 요번에는 앨리어트 파동을 조금 전문적으로 보았다.
전에는 이 전체를 wxy라고 보았는데 이 과점도 그대로 나두고 또 다른 관점은
전에 abc라고 보던곳을 임펄스라고 보고 그후를 다이고널 그리고 abc에서
b파를 다이고널 c파wxy로 보면서 이제 abc로 떨어질것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 바로 롱을 잡기에는 좋지 않은 자리이다.
그러므로 초록색 추세선을 이탈하면 꽤 많이 하락할것을 예상해본다.
상승근거2. 심리이다. 이번엔 심리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현재 개미의 심리는 매수 심리 일것이다 이 이유는 간단하다.
지금 많은 유튜버들이 관점을 올리는 데 그중 대부분이 상승 관점이며
댓글만 보아도 알수 있고 rsi가 과매수 상태에 들어왔기 떄문이다.
지금까지 개미가 매수한 구간은 고점이고 저점에서 횡보를 하며 개미를 털었으며
지금은 많이 올리고 추세가 바뀐것 처럼 보여서 개미가 매수하기 좋은구간이다.
그러므로 세력은 이를 인지하고 올리더라도 한번더 내리고 올릴것같다.
상승근거3. 지표 분석이다. 내가 만든 매매법으로 차트를 보면 현재 조금만 아래로 내리면
하락이 지표로선 확정이 된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이것이 실행되려면 adx가 올라가야한다는것이다.
그러므로 만약하락을 하면서 adx가 올라간다면 추세선이 뚤리고하락할것 같다.
그러면 이제 우리는 그하락의 추세가 돌파되면 롱을 잡으면 되는것이다.
상승근거4.도미넌스이다. 현재 도미넌스는 추세선을 하락돌파했고 저점까지는 내려갈것을 예상하고있기에 도미넌스와 비트코인의 반비례관계 떄문에 올라갈것 같다.
상승 근거5.지지와 저항이다.일단 채널부터 봐보겠다.
채널현재 가장 상단 구간에 있어서 다른관점으로 인해서 하락한다고 하고
내려간다면 지금으로선 많이 내려가면 내가 원래 보던곳에서 반등할것 같고
별로 안내려가면 마들라인에서 올라갈수 있을것 같다.
이렇게 상승이유를 알아 보았고 타점은 하락 추세선을 이탈할때또는
초록색 라인에 올떄이다. 익절은 114,000쯤이다.
다들 익절바란다.
[STX그린로지스] 유동성장세에 단기변동성을 먹어보자 손익비 좋은 타점 공유안녕하세요 트레이딩쇼(트쇼) 입니다.
이번 트레이딩쇼 컨셉은 금리인하로 유동성이 공급, 단기변동성이 심한 해당 주식에서 짧은 기간에 큰 수익을 거둔다.
해당 아이디어는 실패 확률도 있지만 손익비가 굉장히 좋은 구간입니다. 아래글을 잘 참고하시고
주가움직임에 대응과 손절이 확실해야 하는 아이디어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터"와 "팔로우"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당 주식은 기본적분석 보다는 기술적분석에 비중이 좀 더 큰 아이디어입니다.
1. 사업구조 및 경쟁력
STX그린로지스는 2023년 설립된 신생 물류회사로, 친환경 선박을 활용한 해상 물류와 북극·홍해 항로 개척 등 특화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ESG 대응 친환경 선박 보유, 정부의 북극항로 육성 정책 수혜
2. 실적의 함정
상장 이후로 매년 매출, 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요소도 가지고 있다.
★ GOOD
- 급격한 성장: 설립 초기 대비 매출·이익 모두 2배 이상 확대
- 수익성 개선: 규모의 경제 효과와 노후 선박 교체로 마진율 상승
- 재무 안정화: 자본 확충 후 부채비율 관리 중
☆ BAD
- 일회성 이익 37억원: 2024년 순이익 256억원 중 15%가 비정상 항목
- 영업현금흐름 부족: FCF 78억원 vs 법정이익 256억원의 거대한 괴리
- EBIT 28% 감소: 실제 영업력 악화 진행 중
3. 가치평가
표면적 저평가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고평가 상태일 수 있다.(조심)
4. 안정성
단기적으로 보면 괜찮다 바로 망할 회사는 아님(단기투자)
**부채비율 68.4%**로 중형 물류업체 평균(60~120%) 내 안정적
**유동비율 120%**로 단기 채무 대응력 우수
5. 리스크
- 전환사채 발행 2024년 10월 80억원규모, 전환가 15085원 (주식수 증가 53만주)
- 전환가가 멀리 있어 리스크는 크지 않지만 반대로 올라오면 던져야한다.
- 부채가 시총을 압도하는 ※ 위험구조 ※
==================================================================================
1. 하락패턴의 종료
위 차트를 보시면 ABCDE 디쎈딩 트라이앵글이 완성되고 단기 반등이 있을 수 있다.
M자형 트리플 바텀 패턴이 완성되고 단기 반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명확한 패턴의 종료 시나리오와 실패 시 완벽한 손절라인이 될 수 있다.
2. 거래량 분석
- OBV지표를 보시면 꾸준히 증가하지만 가격은 하락하면서 상승 다이버전스를 시사하고 있다.
- 흔히들 얘기하는 매집봉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바닥권에서 터지는 거래량은 항상 옳다.
- 단기 1개월간 기관, 외국인의 매수이후에 나간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3. 갭 매꾸기 & 손익비
- 최근 고점에서 갭을 띄우며 강한 하락을 했다. 갭의 간격이 꽤 큰 편이다. 이걸 매우러 가지 않을까?
- 2차 TP까지 1:7의 좋은 손익비를 가졌다.
- 손절가까지 하락폭은 5~7% 설정
4. 타점 분석
1시간 봉차트 입니다.
- 현재 어쌘딩 트라이앵글 패턴 일 수도 있다.(상승지속패턴)
- 수렴형태의 패턴 일 수도 있다. 밑으로 질질 흐르지만 않으면 바닥 횡보는 옳다.
- 단기 하락추세 이탈
- 기다리기 싫을 경우 상단 돌파매매를 해도 무방하다
- 해당 종목은 변동성이 강합니다. 미리 조건 거래를 설정해두어 부재 시 대비
==================================================================================
본 아이디어는 장기 트레이딩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1. 단기 횡보구간에서 본인 성향에 맞게 매수 횡보가 아래로 강하게 깨지면 조기 손절 필요
2. 첫 조정이 ABC패턴으로 올 수 있는 자리에서 리스크 관리(차트에 표시)
3. 1차 TP는 최근 급락 후 나올 수 있는 최소 반등 자리 도달 시 적정 수량 익절
4. 더 오르지 못하고 하락 시 본절 종료
5. 2차 TP까지 홀딩하며 본인 성향에 맞게 트레이딩 스탑 설정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디 성공적인 매매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조정 속 반등인가 새로운 상승의 시작인가비트코인이 124k에서 107k까지 하락한 뒤, 하락폭의 절반(0.5)을 되돌리는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이번 124k-107k 하락이 A-B-C 조정으로 마무리되며 107k가 진짜 바닥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앞서 이어져온 조정과 상승 파동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을 때 개인적으로는 아직 비트코인이 조정 국면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상승 추세가 완전히 꺾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리하게 숏에 진입할 자리는 아니라고 보지만, 저는 보유하던 매수 포지션은 모두 정리한 상태입니다.
제가 여전히 비트코인이 조정 구간에 있다고 보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CME 갭 채움 (116,860 - 113,790)
8월 23일 주말 하락으로 인해 CME 차트에 갭이 발생했으며, 현재 해당 구간은 모두 메워진 상태입니다.
갭을 메웠다고 해서 반드시 하락이 뒤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 비트코인은 CME 갭을 채운 뒤 큰 변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참고할만한 요소라 생각합니다.
⸻
2. 이전 파동 진행 형태
124k-107k 구간의 하락은 5개의 파동이 교차하며 진행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5-3-5 구조의 지그재그형 A-B-C 조정일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구간은 3파동으로 구성된 B파 상승이 진행 중이라고 가정합니다.
B파라면 A-B, B-C 길이가 현재 1:1을 이루고 있습니다. 물론 C파가 더 길어질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겠지만, 진행 중인 상승이 점차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기에 이후 추가 하락이 전개된다면, 직전 저점인 107k를 하회하는 움직임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3. 알트 장세
현재 시장은 비트코인 약세, 알트코인 강세 구도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8%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비트코인이 조정 장세에 있을 때 알트장이 열리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 알트 장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지만, 도미넌스 상승이 단순히 비트코인 유입 때문이라기보다는
비트 하락 → 알트 하락 → 알트 전체 시총(TOTAL3) 자금 유출
이라는 흐름으로 인해 나타날 가능성도 충분히 염두해야 한다고 봅니다.
⸻
짧은 분석이지만, 시장을 보실 때 하나의 관점으로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BTCUSD 9월 11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CPI)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잠시후 9시30분에 CPI 지표발표가 있구요.
나스닥 움직임에 맞춰서 전략을 진행했습니다.
*빨간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롱포지션 전략
상단에 1번구간 터치 상승파동 확인후에 (자율숏)
1. 113,727불 롱포지션 진입구간 / 하늘색 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14,764.3불 롱포지션 1차타겟 -> Top 2차 -> Good 3차타겟
내일 일봉캔들이 생성되는 오전9시 이전에
상단에 Top구간 터치시 숏포지션 스위칭하셔도 좋으며
표시해드린 1번구간이 롱포지션 스위칭자리로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상단에 1번 보라색손가락 터치없이
바로 내려올경우 2번구간에서 최종 롱대기이며
손절가는 하늘색지지선 이탈시부터
횡보가능성까지 전략을 진행했습니다.
하늘색지지선 이탈부터는 Bottom ->3번까지 열려있으니
롱포지션 입장에서 주의하셔야되구요.
여기까지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 및 활용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글로벌 M2로 보는비트코인 2개월 뒤 비트코인은 강하게 상승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2개월 경고등 글로벌 M2·역DXY가 가리키는 Q4 시나리오 (정점인가, 대조정인가)
지금부터 두 달이 관건
글로벌 M2는 6개월 급증 뒤 최근 1개월 하락 전환
역(反) DXY도 약세로 돌면서 막판 가속 → 급조정 시그널이 겹친다
패턴 가설 :
① 9월 완화(25bp) → 182k 돌파 스파이크 → 10월 급조정
② 9월 동결/매파 → 재하락 후 10~11월 재돌파
🔎 왜 ‘두 달’이냐
글로벌 M2 90일 선행 가정 : 합산 M2의 추세 전환점 → 약 3개월 후 풍부해진(혹은 축소된) 유동성이 크립토 가격에 반영되는 경향. 최근 6개월 상승 + 1개월 하락이면, 9~10월 구간에 막판 가속 + 급락이 동시 출현하기 쉬운 구조야
(선행 상관이 80~90% 수준으로 보고됨—완벽하진 않지만 방향성 컨플루언스로 유효)
역DXY 확인: DXY는 유로(약 57.6%),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으로 구성된 달러 강도 지수. 달러 약세(역DXY 상승) 국면이 크립토 랠리를 동반하는 일이 잦아 다만 상관은 구간 의존적이라 맹신 금지
DXY 구성은 ICE 산출(유로 비중이 가장 큼)
달러가 강세 전환하면 리스크자산에 역풍이 붙는다
🧭 시나리오
A. 9월 25bp 인하·중립 톤(확률 高)
경로: 기대감 선반영 → 182,631 상향 이탈 스파이크 → 197,705 부근 오버슈트 → 10월 초~중순 20~30% 조정
논리: 선행 M2의 단기 하향 굽힘이 90일 후 가격 조정으로 반영. 상승-급락의 ‘U자 반전’ 위험
리스크: 달러 반등(DXY) 시 조정폭 심화. 조정 폭 자체는 강세장 내 표준(20~30%) 범주
B. 9월 동결·매파 톤(확률 中)
경로: 182,631 재돌파 실패 → 171,153~169,701 지지 재확인 → 10~11월 완화 신호 따라 재상승
논리: 유동성 기대가 시간상 지연. 선행 M2가 재상승으로 돌아서면 연말 고점 경신 시나리오 열림
C. 50bp 서프라이즈 인하(확률 低)
경로: 단기 과열/갭상승 뒤 훨씬 가파른 되돌림(유동성 쇼크성 변동)
논리: ‘빅컷=경제 둔화 신호’로 해석될 경우 달러/채권 변동성↑ → 크립토도 변동성↑
지지(파란 박스): 171,153 / 169,701
→ 일봉 종가 연속 이탈 시 조정 시나리오 강화
분기점(오렌지 트리거): 182,631
→ 상향 돌파·안착 시 197,705 테스트 확률↑
상단권(레인지 탑): 197,705
→ 뉴스/완화 기대 오버슈트 구간. 이후 되돌림 경계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
안녕하세요
전반적으로 조정장이 시작된 분위기네요
원래 8월은 조정이 잦기도 하고, 국장은 다른 종류의(?) 악재도 있다보니 좀 더 체감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이럴 때 시장을 떠나기보다, 농사를 잘 지어두는 것이 좀 더 좋다고 생각되네요
저는 아직 국장에 먹을 수 있는 종목 많이 남았다고 보는 편입니다
리가켐 123000을 진입가로 생각하지만 좀 더 위아래로 넉넉하게.
표시한 VWMA영역과 파란색 구간에서 반응 나오는 것을 확인 후 진입하면 나쁘지 않은 결과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알테오젠도 비슷한 시기에 타점 나올 것으로 생각하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알트가 폭등이 나왔는데 포모오면 안되는 이유비트코인은 이미 114K 부근에서 소량만 남기고 알트코인들도 몇 개 빼고는 확정손익을 챙겨 두었습니다.
물론, 한파동 쏘더라도 후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두파동 세파동 쏘면,, 말이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요? 하하;;😞
단, 코인스쿨에서 이렇게 수익본 리스트를 업로드 하는걸 부러워 하시거나 아니면 불편해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이전에 신고가 달성했을때 고점 점찍을때
포모오지마시라고 그렇게 말씀드렸죠? 눌림은 온다고 왔습니다 그리고 상승했습니다.
조정이 나오더라도 계속 손익비 좋은 자리를 찾을려고 노력했고 그에 대한 수익은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무리한 홀딩으로 큰 수익을 챙기는건 좋습니다. 투자는 수익을 챙길 수 있을때 챙기는게 정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