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아이디어
금이 흔들릴 때, 비트코인은 깨어난다 — 글로벌 통화 전환기의 진짜 승자🚀 “금이 흔들릴 때, 비트코인은 깨어난다 — 글로벌 통화 전환기의 진짜 승자”
1️⃣ 📉 뉴욕증시 급락, 비트코인만 웃다 — 미 정부가 중국에 대한 SW 수출 통제 확대를 검토하면서 기술·반도체 중심의 나스닥이 -0.93% 급락했어요. 하지만 자산 회피 심리 속에서도 비트코인은 11만 달러선을 지키며 ‘디지털 금’으로서의 내성을 입증했습니다.
2️⃣ 💻 대중 규제 충격 — 노트북·제트엔진 등 미국 SW로 만든 제품까지 포함될 수 있다는 보복성 조치 소식은 글로벌 공급망을 긴장시켰고,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2.36% 급락했어요. 기술주는 흔들렸지만, 탈달러 헤지로 비트코인 매수세가 다시 붙었습니다.
3️⃣ 📊 M7 혼조 속 비트코인 ETF 유입 지속 — 테슬라·엔비디아 약세, MSFT·메타 강보합의 혼조장에서도 BTC 현물 ETF에는 꾸준히 자금이 유입 중이에요. 기관들이 ‘리스크 회피’ 대신 ‘대체 가치저장’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는 흐름입니다.
4️⃣ ⚙️ 실적 시즌 온도차 — 넷플릭스 -10%, 테슬라 시간외 -4% 등 실망 실적에 시장이 차갑지만, S&P500 기업의 86%가 이익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어요. 실적의 질은 유지되고, 잉여 유동성은 점차 디지털 자산 쪽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5️⃣ 🛢️ 매크로 전환점 — 러시아 제재로 WTI +2.20%, 금값은 이틀째 급락했어요. 전통 안전자산이 흔들리자 “금에서 비트코인으로의 회전(Gold→BTC Rotation)”이 현실화되는 분위기예요.
6️⃣ 💬 CZ의 전망 — “비트코인은 결국 금을 추월한다.” 현재 금 시총은 30.3조 달러, BTC가 이를 넘어서면 1BTC = 152만 달러에 도달하게 돼요. 이 경우 전체 암호화폐 시총은 50조 달러대, XRP는 단순 계산상 34달러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나왔습니다.
7️⃣ 💴 일본의 부양책, 엔 약세 촉발 —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경기부양책 발표로 완화 전환 기대가 커졌고, 엔화는 급락세를 보였어요. 아서 헤이즈는 이를 “비트코인 100만 달러의 서막”으로 해석했죠. 일본의 유동성이 BTC 시장에 파급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8️⃣ 🏦 제프 파크의 통찰: ‘비트코인은 버블이 아닌 핀(Pin)’ — 그는 “비트코인은 거품이 아니라, 법정화폐 버블을 터뜨리는 바늘”이라며 ETF 도입 이후 하락 폭이 줄고 기관 바닥 매수가 강화된 구조적 변화를 강조했습니다.
9️⃣ 💡 현물 ETF ‘인카인드 기여’ 허용 — 2025년 7월부터 보유 BTC를 비과세로 ETF로 전환 가능해지며, 고액 보유자의 진입이 촉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BTC의 하방경직성을 강화하고, 실질적 유통량 감소로 공급 쇼크를 유발할 수 있어요.
🔟 🚀 결론: ‘디지털 금’의 시간 — 금이 흔들리고, 엔화가 약세로 기우는 시점에 비트코인은 글로벌 자산 구조의 ‘핵심 축’으로 부상 중입니다. 10월 말 BOJ 회의와 ETF 유입 추세가 겹치는 이번 분기, “BTC는 버블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기축의 시작” 으로 읽힙니다.
주워 볼 만한 자리에 온 컴캐스트 (CMCSA)
1년봉 기준 채널 작도 기준점
과거에 지지 해줬던 채널(흰색)
그리고 현재(빨간색) 채널 부근에 거의 다 왔고 아래로는 240선이 있으므로 강력한 지지 구간이 되지 않을까 싶음
(채널을 보는 사람 + 이평을 보는 사람들이 진입해 매수세가 들어올 확률이 높다고 생각함)
-전략-
현재 ~ 240선 까지 분할 매수
240선 이탈 마감시 손절 but 올라타면 재매수
주봉상 일목에 닿을 때 분할 익절(확정 수익 확보)
나머진 하프채널(주황색)에서 정리 or 월봉 일목 닿을 때 or 무한 홀딩 (본인 스타일에 맞게 알아서)
주워 볼 만한 자리 액센츄어(ACN)
월봉 기준 작도 기준점
-근거-
과거에 지지 역할을 해 줬던 채널
주봉상 장기이평에 닿을 때 마다 거래량이 실리며 지지했을 때 반등이 나옴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or 누군가가 매집했다)
그리고 현재 위치 = 아래로 채널 하단이 존재하며 캔들이 장기이평(480선,보라색)에 위치해 있고, 이전 반등했을 때 와 같이 거래량이 실려있음.
-전략-
장기이평~채널 하단에서 분할 매수
이탈 마감시 손절. 거래량이 실린 구간이기 때문에 지지해주지 못 한다면 강한 저항 구간(실망 매물)으로 변해 하락으로 이어 질 수 있으니. 손절 후 채널을 다시 올라 탔을 때 재진입은 신중하게 고려해봐야 할 듯.
왼쪽 흰색 표시 부분 보면 240이평(하늘색)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여 줬으니, 240이평 or 매물대 부근에서 정리.
나머진 채널 상단 or 최고점 or 무한 홀딩 등등 본인 스타일에 맞게.
다만
장기 상승 추세가 꺾였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 채널을 돌파하지 못 한다면 고통 받는 무빙을 경험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냥 한번 정리하고 돌파 후 눌릴 때 재진입 하는 게 심적으로 편할 수 있음
2025. 10. 22. BTCUSDT, BINANCE, 1H어제 21일 담은 롱 포지션에서 111k를 뚫었을 때 더 간다고 보고 잠들었는데 자다가 깨서 보니 큰 하락을 보여주고 있어서 익절을 했다.
이후 108k 부근에서 2/3 롱을 들어가고 손절 라인을 107k 정도로 두었는데 스탑 헌팅에 당해서 손절이 나왔다.
다시 롱 포지션에 들어간 상태이다.
106~107k 박스권이 잘 지지해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지금 107~108k 박스권에서 횡보한다고 생각하는 중이다.
시간봉에서 RSI가 높아지고 가격대는 같은 히든 다이버를 보여주고 있고 스탑 헌팅 이후에 망치형 봉을 보여주면서 다시 상승한 것으로 보아 일단 상승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0. 롱 진입(유지중)
1. 손절가만 잘 조절한 뒤 관망에 가까운 롱(확실한 방향성이 나오진 않았기 때문에 작게 롱 들어가기)
2. 오늘 새벽과 같은 무빙이나 아까 있었던 스탑 헌팅을 보여주고 있어서 배율 낮게 손절가는 여유를 두고 손익비 계산해서 들어가면 좋을 것 같다.
금 가격 업데이트 신호!안녕하세요 여러분!
금이 장기 상승 채널을 이탈한 후 반등하고 있습니다. 현재 4,050 부근의 강력한 지지선을 테스트하고 있는데, 이 지지선은 채널 하단과 거래량 프로필의 유동성이 높은 구간과 일치합니다. 이는 곧 매수 압력이 다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현재 미국 국채 금리는 하락하고 있으며, USD는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은 PMI 데이터와 연준의 발표를 기다리고 있으며, 만약 이 지표가 부진할 경우 금에 대한 헤지 매수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시나리오:
4,050 구간이 유지된다면 XAUUSD는 4,381까지 반등할 수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는 저항선이 나타나고 공급 구간이 채워지지 않았습니다.
SUI 수이 안정성 + 탈중앙 + 확장성 모두다 씹어먹는 코인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SUI 수이
(현물 분석 포함)
수이는 사용자 + 개발자 모두가 쉽게 쓰는 웹3 인터넷을 만들겠다는 팀의 야망이 매우 큽니다 결국에는 속도와 수수료 그리고 사용성을 동시에 잡겠다는 철학입니다.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만족시켜주지 못한 안정성 + 탈중앙 + 확장성 셋 다 만족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주요저항 3.4
주요지지 2.25
트레이딩 관점
2.25달러 (3600원) 이탈없이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면 충분히 1차목표로 2.4달러 5천원까지 잡을 수 있습니다.
하락추세선을 돌파 못하고 있지만 반등압력은 충분히 쌓이고 있다고 판단 +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보고 있습니다.
물론 리스크 관리차 2달러 이탈하면 하방압력은 강할 수 있으니 대응에 참고해주세요
좋은 자리에 온만큼 현물기준으로는 모아가는것도 손익비 좋은자리라 판단
학습에 도움이 될만한..차트에서의 대칭성과 규칙성을 바탕으로
진입 시기에 대한 판단에 도움과 위험성 인지
또는 스탑로스에 대한 경각심 고취
그리고 심리와 수학적 근거를 결합한 예측 가능한 움직임등
종합적인 부분이 내재 되어 있습니다.
거기에 부수적으로 꼬리기법의 보조지표까지 더해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거란 생각 입니다.
그동안 업로드 된 진행 상황들을 들여다봐도 어느 정도는 학습 자료로써의 손색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나머지는 사실상 반복적인 행위이며
약간의 상황에 따라 변수가 되는 개인적인 감각과 판단이 가미 된다 할 수 있겠습니다.
10월 22일 이더리움 분석 이제 이더리움 반등합니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이더리움 대알약 시나리오
전일 시나리오와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단, 이번에는 위아래로 모두 털어준다는 뜻은 이제야 움직임이 나올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죠?
3750 - 3900달러 자리들은 동일하게 매수 하는 라인들입니다.
4060돌파는 나왔지만, 트럼프의 악재로 되돌림이 강하게 나왔습니다.
결국에는 이더리움은 핵심이 돌파 후 안착 그렇지 않으면 되돌림이 크게 강하게 옵니다.
아직은 그렇게 큰 관점이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지겨울수도있습니다, 단 너무 공격적으로 매매할 필요 없습니다.
단기저항 4060
주요저항 4180- 4200 ⭐️⭐️⭐️
더블 바텀 패턴으로 해당자리를 넥라인으로 만들어주는지 체크
주요지지 3750 - 3900⭐️⭐️
이탈하게 되면 3750 아랫꼬리 포함으로 내려갈 수 있으니 철저하게 체크
🔍🔍🔍 ETH 포지션 공유
LONG 3,725 5만달러
SHORT 4,060 1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MSFT) 10월 분석 안내.NASDAQ:MSFT
문의하신 마이크로소프트(MSFT)입니다.
코인 시장이 썩 좋지 않기에 미장, 국장 종목들을 많이 문의하시는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500불 아래로 이탈되지 않는다면 상단 540 - 600 - 660 구간의 타겟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수익을 잘 내어봐야 현재가로부터 20~30% 수준이기 때문에 5~10% 수준 수익권을 주더라도 부분 익절로 꼭 익절 대응을 권장드리며 개인적으로는 현재의 레인지 횡보하는 시간을 가질 순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의 위치에서 적극적인 매수 진입보다는 추후 440불 수준 자리를 준다면 진입을 권장하고 반등 수익 후 향후 400불~370불 자리를 기다리는 것을 권장 드리고 싶습니다.
이미 저점(370-400)에 보유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위의 540 - 600 - 660 자리를 준다거나 어느 날 많이 올랐다 싶으면 지속적으로 부분 익절 분할 익절을 하며 비중을 줄여나가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Evernorth의 10억 달러 실탄과 고래 매집 — XRP, 공급 쇼크 앞둔 마지막 숨 고르기🚀 “Evernorth의 10억 달러 실탄과 고래 매집 — XRP, 공급 쇼크 앞둔 마지막 숨 고르기”
1️⃣ 2.50달러 돌파 후 조정 구간 진입 — 어제(21일, 美 시각) XRP는 장중 2.53달러(고점) 까지 상승했다가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며 2.44달러(저점) 부근으로 조정됐어요. 하루 변동폭은 약 5.3% , 거래량은 약 38억 달러(전일 대비 +42%) 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최근 7일 평균 가격 범위는 2.19~2.56달러 , 주간 상승률은 +11.4% 예요.
2️⃣ Evernorth의 10억 달러 자금 조달 계획 — 리플이 지분을 보유한 Evernorth Holdings 는 SPAC(Armada Acquisition Corp. II, NASDAQ: AACI) 과 합병해 10억~12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 중 최대 70% 가 공개시장에서 XRP 직접 매입 과 트레저리 구축 에 쓰일 계획이에요. 이는 최대 4억3,500만 XRP(전체 유통량의 약 0.75%) 를 사들일 수 있는 규모입니다.
3️⃣ 투자 심리의 지지대 역할 — Evernorth의 실제 매입이 시작되기 전인데도, “곧 10억 달러가 시장에 들어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가격을 받쳐주고 있어요. 투자자 심리지수(Sentiment Index)는 전일 68포인트(전주 54) 로 상승해 ‘탐욕 구간(Greed Zone)’ 으로 진입했습니다.
4️⃣ 고래들의 매집 움직임 —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Santiment 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약 3천만 XRP(7,400만 달러) 가 10만~1,000만 XRP를 보유한 고래 지갑으로 이동했습니다. 이 구간의 지갑 수는 전주 대비 4.8% 증가 , 평균 보유량도 12% 확대 됐어요. 과거 이 지표 상승 후 7일 내 평균 +8~10% 가격 반등 이 자주 관찰되었습니다.
5️⃣ 리플 회장 크리스 라슨의 물량 이동 논란 — 라슨은 개인 지갑에서 5천만 XRP(약 1억2천만 달러) 를 외부 주소로 이체했어요. 시장에서는 매도설이 돌았지만, 리플 측은 “Evernorth 투자 목적으로 이동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라슨의 전체 XRP 보유량은 약 23억 XRP , 이번 이동은 그 중 0.2% 수준 이에요.
6️⃣ ETF 기대감의 재점화 — 최근 시장에서는 XRP 현물 ETF 7종 승인설 이 재부각되고 있습니다. 오스프리( Osprey ), 프리렉스( Freelex ), GSR 등 기관이 XRP ETF 포트폴리오를 준비 중 이며, 실제 보유 규모는 약 2,800만 XRP 로 집계돼요.
7️⃣ 기술적 구간 분석 — 단기 저항선은 2.50달러 , 돌파 시 다음 목표는 2.70~3.00달러 구간 입니다. 반면 지지선은 2.40달러 이며, 이탈 시 2.20달러 재테스트 가능성이 커집니다. 기술적 상대강도지수(RSI)는 61.3 , 단기 과매수 구간에 근접한 상태예요.
8️⃣ 규제 리스크 완화 — 2025년 8월 미국 SEC가 리플과의 소송을 마무리하면서, 리플은 1억2,500만 달러의 합의금 을 내고 공식적으로 ‘비증권(Non-security)’ 지위를 인정받았어요. 이후 기관 자금 유입이 늘어 기관 점유율이 전체 거래의 19% → 27% 로 상승했습니다.
9️⃣ 유통량 감소로 공급 압박 예상 — 디파이(DeFi) 기반 래핑 자산인 FXRP 시스템에 이미 5,600만 달러 규모의 XRP 가 예치되어 유통에서 제외됐어요. 플레어(Flare)와 아셀라(Axellar) 프로젝트가 2026년 중반까지 총 80억 XRP(전체의 13%) 를 잠글 계획이어서, 장기적으로 공급 쇼크(supply shock)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지금 XRP의 강세는 Evernorth의 10억 달러 매입 계획 , 고래들의 3천만 XRP 매집 , ETF 승인 기대감 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어요. 반면 라슨의 5천만 XRP 이동 과 단기 차익 실현 매도세 가 단기 변동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핵심 관전 포인트는 2.40~2.50달러 지지 유지 여부 , 이를 지켜낸다면 연내 3달러 돌파 시나리오 도 열려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