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6>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이번 분석은 나스닥입니다.
나스닥은 현재 두 개의 저항선이 존재합니다.
금요일 장 마감 직전에 하나의 저항선에서 저항받은 모습을 확인하였으며 오늘 오전 장이 시작하자마자 하락으로 인해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따라서 매수의 관점은 적어도 둘 중 하나의 저항선이 상방 돌파가 될 때로 보고 있습니다.
반대로 매도의 관점입니다.
신규 진입할 자리는 사실 보이지 않지만 나스닥이 6900대 초반을 다시 한 번 이탈하게 된다면 약 1년간 지켜주었던 자리가 이탈하게 됩니다.
이 이탈로 인해 나스닥은 최대 5k까지 열려있으며 가는 중간에 하나의 강한 수평 매물대 또한 존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NASDAQ 100 E-MINI FUTURES
<2020-03-01>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이번 분석은 나스닥입니다.
우선 8128 근처에서 4시간 봉 꼬리로 3차례나 지지 테스트한 후 반등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 강한 지지구간은 8128 근처로 볼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선이 2월 21일부터 진행되어왔다고 판단을 했을 때 아직은 저항선 상방 돌파를 하지 못했습니다.
2차례 저항받았던 구간이기에 파랑박스에 추세저항선에 닿는 곳에서 저항이 나올 가능성도 열어둬야 합니다.
프레임의 구간으로 보았을 때에 현재 나스닥은 가운데에 있는 프레임에 속해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하락추세저항선과 동시에 프레임의 겹치는 구간을 돌파해주느냐 마느냐에 따라 단순 조정인지 아니면 하락 파동의 시작인지가 정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겹치는 구간은 8700이 조금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따라서 8690위로 종가마감을 일봉 혹은 4시간 봉으로 하면 이번 하락을 단순 조정으로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의 매매에서는 최대 목표가를 다음 프레임의 상단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다만 나스닥은 지난 월요일 갭하락을 했기 때문에 여태껏 갭을 매웠던 나스닥이 이번이라고 메우지 못할 것은 없습니다.
그러면 다시 한 번 나스닥은 9k 위로 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반대로 하락하면 추세저항을 맞거나 다음 프레임을 넘지 못해서 저항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저항의 최대 목표가는 프레임 하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0-02-17>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이번 분석은 나스닥입니다.
우선 나스닥은 4시간 봉 기준으로 두 개의 메이저 상승 추세선이 존재합니다.
상승의 기울기는 가파르며 오랫동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조정이 쉽게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12월 초에 음봉이 한 번 등장한 적 있습니다.
그떄의 음봉 지점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확장형 상승채널을 완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패턴 속에서도 패턴의 지지선 근처에서의 움직임이 아니라 패턴의 저항선에서 계속 상승하는 것으로 봐서는 여전히 상승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큰 의미는 없습니다만 피보나치 비율로 확인해보았습니다.
단기 확장 저항 비율은 138.2% 구간인 9737입니다.
현재 일봉의 20선 위치입니다.
9318 근처입니다.
이 구간은 2월 5일과 2월 10일 두 차례 지지가 나왔던 구간입니다.
다만 추세의 조정 혹은 전환 시점은 1월의 고점과 종가마감 구간인 9244로 보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계속해서 신고점을 경신하고 있기에 어디까지 상승 할 것인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0-02-11>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몸이 좋지 않아 활동을 못했습니다.
이번 분석은 나스닥입니다.
일봉상으로 본 나스닥은 지난 2018년도 12월의 저점에서 약 65% 상승했습니다.
지수 종목이 65%의 상승이라 조금 당황스럽기도 합니다.
2019년도 9~10월부터 계속해서 매주 신고가를 갱신하는 중이라 섣불리 매도 포지션을 취하기에는 두려움이 앞섭니다.
기울기가 가장 완만한 지지선입니다.
저항 받는 구간을 확인한다는 가정 하에 저항선을 그려두었습니다.
곧 저항받는 구간 중 하나이지만 크게 의미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나스닥의 지속되는 상승세는 너무 강하다고 판단됩니다.
2차 지지선 입니다.
나름 여러차례 지지를 받았던 구간입니다.
따라서 생각보다 강한 지지선이라고 판단합니다.
3차 지지선입니다.
기울기가 가장 가파른 것 중 하나입니다.
저는 이 지지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상승추세선의 이탈과 동시에 노랑색 박스에 포함되어있는 수평선의 이탈을 하게됩니다.
그럴 경우 캔들이 녹색 박스 구간에 진입하게 되며 1차 목표가는 녹색박스 구간의 하단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목표가는 주황색 박스가 포함된 수평선입니다.
대략 570틱이 계산됩니다.
1계약 기준 목표가 달성 시 수익입니다.
나스닥의 기울기를 보면 알겠지만 계속해서 상승 후 상승입니다.
안전매매 하세요.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0-02-02>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의 분석은 나스닥으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의 금요일 저녁 나스닥 매매였습니다.
빨강 선들로 인해 상승 확장형이 나왔었습니다.
저는 이로 인해 패턴 속에서는 매매하면 안된다고 판단했으며 패턴의 이탈되는 방향으로 매매를 진행하려 했습니다.
캔들은 결국 패턴의 하단을 이탈하게 되었으며 제가 노랑박스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했으나 목표가가 달성되기 전 녹색박스에서 반등이 나오는 것을 보고 본청 하였습니다.
아쉽지만 1차 목표가도 결국 달성되었으며 2차 목표가에 거의 근접했었습니다.
현재로써 상방의 가능성은 하락 추세저항선의 상승돌파로 판단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 전까지는 범위 내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크겠으나 매수 포지션을 취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피보나치 비율 23.6입니다.
저점을 만들고 나서는 아직 상방 돌파를 보여주지 못한 채 있습니다.
23.6 지점에서 다시 한 번 저항을 받으면 8965의 저점 이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2시간 봉의 확인입니다.
2019년 12월 3일부터 이어져 온 상승추세는 2번의 지지 후 이탈되었습니다.
현재 2시간 봉에서 나오고 있는 양봉 같은 경우 상승 추세선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저항받을 경우 retest로 간주하고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현재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본 자리입니다.
노랑박스의 8892 이탈 시에는 최대 8680까지 열려있는 자리입니다.
반등하기 위해선 나스닥이 8892의 가격을 잘 지켜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지지 실패 시에는 약 2.5%의 포지션이 열려있습니다.
바이러스로 인해 증시들이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뉴스들은 변동성이 매우 크니 안전매매하시기 바랍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0-01-31>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은 나스닥의 방향성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젯밤 나스닥의 하락은 2019년도 12월 3일부터 진행되어온 상승 추세선의 지지구간까지의 리테스트로 나왔습니다.
지지 구간 이탈되지 않고 반등하였으며 다시 한 번 나스닥의 가격을 9200위로 올려주었는데요.
이 구간부터는 나스닥이 과여 9200 위에서 마감할지 아니면 상승추세의 이탈로 인해 조정이 시작될지를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 나스닥은 상승 확장형 패턴을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 보이는 구간에서의 추세 이탈로 인한 매매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이 구간에서의 상승추세나 하락추세 둘 다 기울기가 매우 가파르므로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던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또한 현재 제가 표시한 파랑박스 구간 같은 경우에는 매물대가 존재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지지 시에는 충분히 다시 한 번 상승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현재로써는 되돌림의 그림이 나오려면 9184의 상방 돌파가 중요합니다.
9184를 상방 돌파할 경우 다시 한 번 9200대의 가격을 볼 수 있으며 최대 신고점 갱신까지도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매도 관점에서는 패턴의 이탈도 중요하겠으나 지지선의 이탈이 가장 큰 신호가 될 것입니다.
목표가는 수평선들로 설정하고 매매를 하면 될 것 같으며 그 전에 차트의 패턴 안에서는 따로 매매할 구간이 안 보입니다.
우한 사태로 인해 나스닥의 추세전환을 예측했으나 기업실적으로 인해 다시 한 번 상승을 하였고 충분히 추가 상승 또한 가능하다고 봅니다.
현재 구간은 제게 있어서 따로 매매할 구간으로는 보이지 않으니 단기 매매 브리핑은 없을 예정입니다.
성투 하세요.
<2020-01-27> 나스닥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은 나스닥의 분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아침 연휴가 끝나자마자 갭 하락이 시작되면서 장이 열렸습니다.
갭은 약 0.67%이며 갭을 채우지 않고 하락 시작되었습니다.
뉴스 기준으로는 아무래도 우한 사태 때문에 이렇다고 말들이 많습니다.
저는 우선 그러한 분석들은 배제한 채 기술적 분석으로만 보고 설명하겠습니다.
저의 시나리오는 이러하였습니다.
9115가 이탈될 경우 하락의 시작으로 보았습니다.
이유는 아무래도 1월 17일부터 진행되어온 지지구간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탈 시의 하락으로 보는 것은 당연한 전략이라 생각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 중 하나는 갭이 생성이 되는 바람에 좋은 구간에서의 포지션 진입이 어려웠습니다.
현재의 구간입니다.
12월 3일부터 진행되어온 추세선은 자세히 보면 이탈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아쉬운 점 중 하나는 추세 이탈 후에 반등이 나오는 캔들 형성 때문에 홀딩을 하거나 신규 진입에 조금 어려움을 주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확인해야 하는 캔들은 아무래도 1월 10일 10시경에 나온 저점입니다.
지금의 저점과 비슷한 구간에 있습니다.
이 말은 이 구간이 이탈되지 않으면 반등의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으니 확실한 신규매도를 위한 자리는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현재 구간인 8950의 이탈 여부에 따라서 추가 하락이 진행될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8950의 이탈이 진행될 경우 볼 수 있는 지지구간입니다.
신규 매도 포지션을 고려하는 분들께서는 저점 지지이탈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의 스윙 목표가들입니다.
사실 8840 정도가 이탈될 경우 캔들은 결국 매물대에 진입하게 될 것이며 매물대의 하단까지는 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구간이 현재로써는 1차로 8685로 보고 있습니다.
갭은 언제나 채운다는 공식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저는 이 언제나 가 지금은 아니라고 판단되며 매수 관점은 아직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매수관점을 갖게 되면 브리핑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늘 안전투자하시고 코로나바이러스 조심하세요.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0-01-21> 나스닥의 방향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은 나스닥 분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제가 이탈되는 방향으로서의 나스닥 목표가를 수평선으로 표시한 적이 있습니다.
현재로써는 1차 목표가를 달성했습니다.
이후에 나스닥의 방향성이 과연 이게 조정이냐 아니면 하락의 시작이냐에 따라 달려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의 저항이 있던 곳이며 현재는 하락 후 바닥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포지션이 없는 지금으로써는 수평 매물대의 이탈로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이탈 시에는 일차적으로 노랑박스의 매물대를 해소할 것으로 보이며 그마저도 해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의 힘이 강할 경우 녹색 박스 구간까지 해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대로 나스닥의 매수 같은 경우 현재 굉장히 과열되어있습니다.
또한 1월에 기업들의 실적 발표들이 있기 떄문에 많은 변동을 만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노랑 박스 돌파 구간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공격적 매수의 위치로 생각되며 보수적 매매의 위치는 아무래도 신고점 갱신일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랜만에 조정이 온 나스닥입니다.
이 정도를 가지고 조정이라고 이야기하는 저도 참 우습습니다.
언제 내려올지 모르겠으나 언젠가는 하락이 올 거라 생각됩니다.
늘 안전투자하세요.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날 줄 모르는 나스닥의 상승, 하락 혹은 조정 언제쯤으로?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은 몇 달째 계속 상승만 하는 나스닥을 알아보겠습니다.
19년도 하반기부터는 정말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2020년도부터는 나스닥이 조금은 조정이라도 나오지 않겠냔 생각을 했는데 아직은 이른가 봅니다.
여전히 상승세는 약해질 생각이 없네요.
하지만 상승이 있으면 조정이 있는 법.
그 시기를 언제쯤으로 보며 어디까지 내려갈 것인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상승 추세선으로 보았을 때 나스닥의 추세 이탈은 지금의 가격이 유지될 경우 약 1달은 남았다고 보입니다.
그 전에 조정이 온다면 아무래도 8680 부근의 지지 구간 또한 이탈해야 하락추세로 전환 될 거라고 봅니다.
이유는 보시다 알다시피 3차례 지켜주는 구간이 되었으며 여태껏 지속적인 상승세의 시장이었기 때문에 매도 포지션을 취할 때는 조금 더 보수적인 방식으로 매매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1차 목표가는 어디가 될까요?
아무래도 한번은 저항을 받았던 8445 부근이 될 것 같습니다.
12월 2일 12월 3일 두 차례의 하락이 있었으며 저는 이 구간이 어느 정도 지지구간을 만들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8680이 이탈될 경우 약 240불 정도가 열려있다고 판단하면 됩니다.
저는 만약 8445에서 지켜주는 그림이 나오지 않을 경우 나스닥은 하락세에 가속이 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고점에서는 반등지점을 7925로 보고 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피보나치가 증명해주고 있으며 7월, 9월, 10월에 나온 저항이 어느 정도 지지대를 만들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다시 한 번 상승을 해서 신고점을 돌파할 경우 어디까지 열려 있느냐 물으신다면 일단은 피보나치상 9175까지 열어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가정일 뿐입니다.
다만 시장의 상승세는 약해질 생각을 하지 않으니 가능성을 어느 정도 열어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해외선물 트레이더입니다.
하지만 해외선물을 매매 한다고 해서 리스크가 높은 매매를 늘 취하지는 않습니다.
투자의 손실을 줄이는 것은 어떻게 하면 내 원금은 지킬 수 있는가입니다.
이상 골목대장이었습니다.
[KSLAYER] 19.11.7. NQ1! / NASDAQ 대응 전략안녕하세요 KSLAYER입니다.
19.11.7. NQ1! / NASDAQ 대응 전략입니다.
1. 나스닥은 연일 신고점을 갱신하고 있는 상황이며, 장기 저항추세선을 돌파 후에 금일 돌파한 초록박스 구간을 지지 후 재차 상승중입니다.
2. 현재 노란색상승평행채널을 그리고 있으며 해당 채널 중심선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3. 중심선 돌파 시 채널 상단까지 열릴 수 있으며, 장기 숏 스윙 관점에서 매도 가능 영역은 8435.5~8473.75입니다.
4. 매매전략으로는 숏은 상승채널 하방이탈 전까지는 지양하시는게 좋으며, 중신선 돌파 시 돌파 롱 접근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지수종목 NASDAQ (NO1!) 스윙 공매도 전략장기적인 상승추세에서 꾸준히 고점과 저점을 높혀주고 있었던 지수종목 나스닥에서 장기 추세에서 처음으로 고점을 낮추는 HL 파동이 출현하였습니다.
7200선 까지 하락하였을때 출현하였던 매도 볼륨은 이전 상승세의 대한 추세를 변곡시킬 만한 매도거래량이 출현하였었기 때문에
위 HL 파동과 더불어, 거래량에서 부터의 매도시그널을 신뢰로 하락분 되돌림 구간에서의 공매도 진입 전략을 세웠습니다.
주봉 차트 smi, rsi , macd 지표에서도 하락의 대한 시그널이 출현하고 있으며 월봉또한 rsi의 상태가 좋지는 않습니다.(캔들포함)
장기적인 추세로 하락의 대한 전환시점이라고 판단되며, 위 공매도 전략의 타겟 전부 청산시 반등숏만 노려도 수익을 좋게 볼수있는 장이 올것이라 생각됩니다.
2019년 9월 22일 나스닥 분석주황색 Bearish Cypher의 PRZ (D, 1.618 Bc projection)을 테스트 후 하락준비 중으로 보입니다.
큰그림으로 초록색 Bullish Shark의 PRZ부근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여지며, Bullish Shark의 우측날개에는 파란색의 Bullish Crab이 보입니다.
파란색 Bullish Crab안에 빨간색 Bearish Gartely가 나오며 주황색 Bearish Cypher의 추세반전에 신뢰도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일봉상 하락다이버전스도 생성되어 있어 하락에 신뢰도를 높여줍니다.
주봉으로는 Bearish Cypher with RSI BAMM의 형태가 나와있어 추세반전에 신뢰도를 높여주네요.
하락시 있는 BAMM(Bat action magnet move) 초과하락 시 해당 패턴의 PRZ까지의 하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락에 주의하세요.
좋아요와 팔로우는 아이디어 업데이트에 힘이됩니다.
[NillBit] NQ1! 관점공유CME_MINI:NQ1!
안녕하세요 NillBit 입니다.
전업트레이더를 목표로 열심히 차트공부를 하고 있는 차린이 입니다.
저는 해외선물 차트분석시 최소 2시간~ 1일 봉을 기준으로 분석을 하며 빠른 대응이 필요할땐 15분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 저의 첫 관점 공유를 시작 합니다.
저는 상승 또는 하락 하나만 예측하는 것이 아닌 중요구간에서의 차트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방식으로 매매를 하고 있습니다.
시간프레임 : 2H
현재 나스닥의 경우 지난 23일 큰 하락으로 인하여 박스권의 모습을 띄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큰 시간대의 박스권의 경우 추세가 다시 박스권 상단으로 향하는 상승세가 될지,
반등 후 박스권 저점을 이탈하여 한차례 더 큰 하락을 보여줄지 움직임을 각별히 신경쓰면서 매매에 진입해야한다.
또 한가지 염두 해야 할 점은 큰 하락이나 상승이후 횡보가 나올 수 있는 확률이 높으므로 작은 시간대에 박스권을 주의 하며 매매해야 한다.
시간프레임 : 15M
매수(Long)
(공격적 매매) 현재 차트상 주황색 하락추세선을 돌파시 진입
(보수적 매매) 현재 차트상 주황색 하락추세선을 돌파 후 리테스트 시 지지여부 확인 후에 진입
타겟은 추세선 상단 흰색 박스로 표시된 저항구간
매도(Short)
(공격적 매매) 현재 차트상 하단의 노란색 추세선을 이탈시 진입
(보수적 매매) 현재 차트상 상단의 노란색 추세선을 이탈 후 리테스트 시 저항여부 확인 후에 진입
타겟은 추세선 하단 파란색 박스로 표시된 지지구간
미국주가도 금리가 문제라는 스티븐 무어 / NQ1! / 나스닥지수선물 / 2019-06-121. 대표적인 보수성향 경제학자 스티븐무어는 간밤 CNBC 방송에서 낮은 인플레이션률이 문제임을 지적하며 경기 호황을 위해서는 금리인하를 주장했습니다.
- 낮은 인플레이션률은 기업에 돌아가는 수익도 줄어드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고금리에 따른 투자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시장에서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시그널이 나오는 배경을 살펴야 하는데, 불황에 대한 경계가 깊게 깔려있다는게 경제뉴스의 분석입니다.
- 따라서 선제적 조치로 금리인하를 요구하는 것인데, 연준이 곧이곧대로 금리를 인하한 역사는 없으니, 오늘만 사는 하루살이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당장 입에 풀칠을 해야하니 일단 펀더멘탈 관점에선 이렇게 돌아가는걸 확인하고 짧게 짧게 치킨값, 피자값을 벌어봐야겠죠?
2. 일봉기준으로는 오더블럭을 때리고 가라앉은 형상입니다. 오더블럭을 뚫고 오르기 전까지는 상승세를 보기는 좀 힘들지 않을까 하며, 어제의 캔들 양상만 본다면 음봉 마감후 저점을 낮추는 형상이 이어질 것으로 봅니다.
- 일봉관점에서 숏포지션 전략을 짜기도 애매한게, 오더블럭하단에서 진입해도 스탑라인이 다소 타이트해 2~3일간 스윙매매보다는 1시간봉 이하에서 짧게 짧게 들고가는 스윙매매전략을 만들까 합니다.
- 차트에 작도한 바와 같이 현재 오더블럭의 EQ라인에서 진입후 하방의 작은 OB까지 내려가는 것을 젼략 1로 하겠습니다.
- 스탑라인이 뚫리면 전략 2로 전환해서 대응할 예정입니다.
3. 이제 단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 오더블럭 사이에 끼어서 평범하게 양방다 치고 싶습니다.
- 롱의 경우 2계약 진입시 1계약은 짧게 추세포로 들고 가시면서 금일 고점까지 일단 들고 가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 숏의 경우 진입타이밍은 롱이 익절나는 구간이 어디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만약 오더블럭을 깨고 고점을 갱신한다면 무효입니다.
- 따라서 숏은 롱이 어디까지 가느냐를 확인후 진입 부탁드립니다.
기준선만 많이 만드는게, 곧 큰 변동을 만들 모양입니다. 나스닥 / 2019-05-201. 일봉 기준으로는 위아래 기준선을 깨지 못하고 횡보하는 양상으로 고점 갱신후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중입니다.
2. 이 과정에서 단기 반등이 나왔으나, 변곡을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두군데 구간을 돌파해야합니다.
3. 첫번째 구간은 7640선으로 스윙하이의 기준선이자 OB 돌파구간입니다.
4. 다음 구간은 7760 구간으로 피보나치 되돌림의 786 구간이자 피보나치 확장에서 TP1으로 삼을 수 있는 구간입니다.
5. 캔들만 본다면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남아있어 숏 우위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합니다.
점유형 캔들이 나왔으니 OB 지지 테스트 한번 해보자. NQ1! NQM2019 /2019-05-021. 1D 관점
- 고점 갱신후 7879.50권에서 일봉 생성 양상은 조정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 어제 캔들은 하락 점유형으로 만들어진 뒤이기대문에 오늘 짧은 도지로 캔들이 마감된다면 내일은 하방의 OB지지를 확인하는 음봉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 1H 관점
- 1D와는 다르게 단기 파동으로는 숏을 기대하는 하락 파동이 시작되었는데 다음 하락 파동에서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 제가 사용하는 N-WAVE규칙에 따라 추가 상승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이 구간은 추세 매매 자제 구간이 됩니다.
3. 3~15M 관점
- 저녁 8시 현재 저녁 7시에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결국 스윙하이 실패형태로 구간 조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이에 현재 NTI-A가 롱포지션 진입이 유효하다는 신호를 보이고 있지만 N-WAVE에 따라 한차례 상승후에는 오히려 숏이 유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진입예정인 매매전략
- 금일 고가인 7782.5를 EP, 일봉 OB 7685 선을 TP, 1H OB 7825.5를 SL로 하는 단타 매매가 가능합니다.
- 손절 37틱, 익절 104틱으로 손익비는 약 1:2.8 입니다.
5. 오늘도 성투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DC_ [나스닥] 2019.5.3. 나스닥 앞으로 추세는... 메이저레벨에서
안녕하세요. DC_ 입니다.
Do not Come in_except any rule
투자에서 자신만의 규칙은 정말 중요하다고 합니다.
멋진 성공도 아쉬운 실패도 모두 개인에게 있습니다.
게시하는 모든 아이디어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함께 공부해가며 의견을 나누는 공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팔로우||좋아요| 는 큰 힘이됩니다.
CASE 1
지난 2018년 9월과 10월에 메이저 저항레벨인 7700레벨
그 저항을 2019년 4월 중에 상승돌파 했습니다. 그리고 그 레벨을 리테스트하고,
강한 상승흐름을 이어갈지 지켜보는 관점입니다.
매수진입시 근거를 가지고 집입하시기 바랍니다.
CASE
시장은 앞에서 설명드렸던 레벨까지 내려왔는데요
강한 매도세로 지지레벨을 하방으로 이탈 했을 경우 하락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을 열어둘 수 도 있습니다.
|팔로우||좋아요| 는 큰 힘이됩니다.
DC_ [나스닥] 2019.4.30. 나스닥 NQ1!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DC_ 입니다.
Do not Come in_except any rule
투자에서 자신만의 규칙은 정말 중요하다고 합니다.
멋진 성공도 아쉬운 실패도 모두 개인에게 있습니다.
게시하는 모든 아이디어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함께 공부해가며 의견을 나누는 공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팔로우||좋아요| 는 큰 힘이됩니다.
2019.4.30. 나스닥은 새로운 상승흐름을 이어가 준비를 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엘리엇파동 관점으로 현재 (2)가 0.236 까지 되돌림이 완성됬고, (3)를 진행중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때, 3가지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 3파동으로 강한 상승돌파로 전저점을 깨고
1.618 위치까지 상승돌 팔 할 수 있음
2. 3파동이지만 강한 상승시점이 되지않아 횡보를
이어가다 전저점을 깨지않고, 더블바텀을 형성한 이후
강하게 상승추세를 이어갈 수 있음
3. 3파동이 아니라, 전저점을 하방으로 이탈하므로
엘리엇 파동이 전면 무효화 되면서 새로운 저점으로 하락하며
이럴경우 하락추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고,
새로운 하락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고
이를 유심히 지켜볼 수 있음
감사합니다.
|팔로우||좋아요| 는 큰 힘이됩니다.
골목대장의 나스닥 시선골목대장 입니다.
이번에는 나스닥 무기한물에 관련 분석을 해보고자 합니다.
나스닥은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2018년도 10월 1일의 고점을 2019년 4월 23일에 돌파했습니다. 이 날의 상승세는 차트상 상승의 관점을 나타내는 지표가 여럿 겹쳐서 충분히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간이었습니다.
4월 25일에는 고점 생성 뒤에 그 근처에서 저항을 받으며 하락했지만, 3월 22일부터 이어진 저항선이 다시 상방돌파되며 지지선으로 변경되었고, 4월 26일에는 해당 지지선을 리테스팅하는 모습까지 보여주었습니다.
2018년도 12월 26일의 저점으로부터 이어온 상승추세에서 지속적인 반등이 나오고 있고, 이번에도 여기서 반등이 나오며, 나스닥인 이 추세선을 하방돌파하지 않는 이상 지속해서 상승의 관점을 보여줄 것입니다.
또한, 1월 19일부터 이어져 온 메이저 저항선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저항이 나오고 있으며, 이번에도 이 구간의 저항을 예상한다면 최소 7950 이상에서 저항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트의 패턴 상 이 저항이 상방/하방 이탈되기 전 까지는 계속해서 이러한 패턴이 지속될 것이므로, 이 안에서 안전한 트레이딩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