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을 누르는 오더블럭(들), XBTUSD-19/03/09 1. 조정없는 상승은 없습니다.
2. 비트파이넨스의 숏물량이 늘고 있어 롱익절 및 숏헌팅을 위해 상방으로 한차례 말아 올리는 움직임을 전망합니다.
3. 1H 시간대에서 3895라는 스윙하이 기준선 위에 안착하고 연달아 3910선까지 돌파를 하는 것이 당면과제입니다.
4. 현재는 대부분 시간대에서 상단에 오더블럭의 저항이 예상되고 피보나치 관점에서도 되돌림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에 들어섰습니다.
5. 이로 인해 여전히 숏이 예상되는 구간이지만, 1D OB의 EQ인 3950선을 상회하는 4K선까지 스윙하이를 시도할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6. 단타관점으로 접근하신다면 스탑로스없는 모한 배팅 및 시장가 배팅은 절대 금합니다.
7. 보수적 관점에서는 최소한 초록색 OB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접근을 하는 것을 권하며, 공격적으로 숏진입을 희망하신다면 3915선부터 분할 진입하면서 평단을 관리하되 4070선에서는 손절을 권합니다.
8. 모쪼록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Nexgen
던질까~ 말까~ 던질까~ 말까~ DXY-19/03/07 (하모닉, 오더블럭 관점분석)1. 2019년 3월 7일 저녁 11시 DXY 시황입니다.
2. XABCD 패턴을 만들고 하락이 나온뒤 새로운 하모닉 패턴을 만들고 있습니다.
3. 현재 시나리오는 두가지입니다.
- XABCD의 가틀리,배트, 크랩 등의 패턴
- AB-CD의 패턴
4. 기존 하모닉 패턴을 만든뒤 하락이 이어지다가 705 반등이 나왔습니다.
- 이로 인해 기존의 하모닉 공식에서 조금 벗어나 시나리오가 두가지 모두 유효한 상황입니다.
5. XABCD 패턴에서 추정 C점 한계 구간은 97.19부터 B점인 97.37입니다.
- 이구간을 상방 돌파하게 되면 무효가 되고 AB-CD 패턴으로 전환이 됩니다.
- 만약 해당구간에서 하락이 나온다면 추정 D구간은 95.09~96.50로 이후 강한 상승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AB-CD 패턴의 경우 추정 D점은 97.79~98.32입니다.
- 해당구간에 도달하면 숏관점으로 접근이 가능한데, 이 경우 TP1과 TP2의 갭이 크기 때문에 변동성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7. 순수하게 오더블럭 관점에서 본다면 1D 및 4H의 저항을 뚫은 상황입니다.
- 특히 4H 오더블럭을 밟고 올라선뒤 1H의 경우 스윙하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상승폭이 컸기 때문에 조정및 횡보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숏대응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
8. 기본적으로는 오더블럭 지지테스트를 확인후 방향성을 정할 것입니다.
- 미국 개장전 강한 움직임으로 개장후에는 횡보 및 약조정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 경우 골드의 경우 반등을, 나스닥의 경우 조정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9. 오늘도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다시 3840, XBTUSD-19/03/061. 주봉마감이후 음봉이 이어지다 양봉으로 마감되었습니다.
2. OB 관점에서는 상방의 거대한 OB와, 하방의 좁은 OB사이를 횡보하는 구간입니다.
3. 일목균형관점에서는 음운의 지지테스트가 나온 자리입니다.
4. 채널 관점에서는 여전히 답을 주지 않고 횡보를 하는 모양입니다.
5. 이평선관점에서는 장대양봉 한방으로 저항이 되는 9,20,50 이평을 모두 뚫고 올라갔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이평의 지지를 계속 리테스트 할 구간이기 때문에 조금더 내려 앉아 3773 수준까지는 일단 내려 앉을 것으로 보입니다.
6. 4H 기준에서는 후원채널에서는 마스터캔들 관점에서 EQ-하단 사이를 노리고 숏 포지션이 더 유리하다고 분석해드렸습니다.
- 이후 음봉이 연달아 나오면서 짧게 대응 가능하셨습니다.
7. 4H 일목관점에서는 음운의 상방 돌파를 기대하게 하는 자리입니다.
- 다만 스윙하이 기준선 3895를 완전히 상방 이탈하기 전에는 상승의 폭은 제한적입니다.
8. 1H 기준으로는 하방의 오더블럭에서 이탈을 한 형태인데, 장대봉이 터지는 과정에서 숏꼬시기가 있었습니다.
- 3780선에 있는 하단 오더블럭 지지 테스트때 탈출을 하셔야 합니다.
9. 1H 기준으로 이평선의 정배열이 완성이 되면 다시 단기 상승 추세를 이어갈 여지가 있습니다.
- 200이평의 지지테스트를 한차례 내려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10. 1D 관점에서는 평범하게 횡보를 이어가지만, 짧게 단타로 진입가능한 구간이 많습니다.
- 금일은 밤 9시까지는 롱관점을 유지하지만 이후에는 새벽 1시봉 마감후 추가 대응진행하겠습니다.
3월 첫주 주봉마감전, 언제까지 비명횡보할거니? XBTUSD-19/03/041. 주봉마감을 앞두고 주말내 횡보를 하고 있으나, 몸통으로는 양봉 도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 거래량이 붙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부분을 찾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2. "1D 채널" 차트를 먼저 설명드리자면 단기적으로 생성되었던 파란 상승채널은 결국 횡보로 이탈하는 형국입니다.
- 다만 저점이든 고점이든 갱신하지 않고 작도한 것처럼 수렴이 거의 절반정도 온 상황에서 수렴의 중간에 멈춰서서 추세를 이야기 하기는 어렵습니다.
- 차트에 표기는 했습니다만,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이대로 거래량이 마르게 된다면 빨간채널로 복귀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그렇다 하더라도 보라색 채널의 하단선을 지지 받는다면 저점을 올리는 과정으로 보게 됩니다.
3. 일목 균형 관점에서는 지속적으로 기준선(BL)의 지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하방으로 쏟을듯 쏟지 않고 있는데 음운의 지지 테스트가 나올 자리입니다.
- 만약 하방 음운을 지지를 밟고 올라선다면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만, 전환선(CL)이 저항이 되어 추가 상승을 저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이평선 관점에서는 20이평 테스트가 계속 이어지면서 9이평에 눌립니다.
- 두드릴만큼 두드렸는데도 밟고 올라서지 못하는 거래량..
- 3월초 거래량은 2월말 거래량의 절반수준입니다.
5. 4H 기준에서는 저희가 분석하는 관점인 MC(마스터캔들)이라는 측면에서는 위든 아래든 150불이 터져도 이상할게 없습니다.
- 하지만. 4H 기준에서는 횡보를 하면서 OB를 계속 갱신하면서 상단 OB의 저항을 더 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OB를 뚫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숏포지션이 조금 더 유리합니다.
- 작도한바대로 EQ-하단 이 사이를 노리고 소액 투입을 하는 정도로 대응이 가능합니다.
6. 3월 1일 자정에 위아래 급등락을 한 이후, 24시간이 경과된뒤 같은 무빙이 이어질 것으로 봤습니다.
- 결국 유사한 스윙하이 시도후 스윙로우 시도가 이어어진뒤 저점을 뚫으려 하였으나, 결국 다시 말아올린 상황입니다.
- 1H 기준으론 구름대를 양운이든 음운이든 죄다 횡보로 돌파하면서 큰 추세를 만들지 않고 있습니다.
- 물론 박스권이기 때문에 단타, 스캘핑으로 대응하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장임은 틀림없습니다.
- 박스권 단타에서 참고하실 것은 최근 교육한 스윙하이/스윙로우입니다.
- 최근 교육한 내용중 스윙하이의 실패 반동으로 단기적으로 음봉이 만들어지고, 반대로 스윙로우 시도후 실패하면 단기간에 양봉이 만들어진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 이점 참고해서 매매전략 설정이 가능합니다.
북미협상결렬, 그럼 중미협상은? DXY 운명의 한달이 시작된다. (하모닉,OB관점분석)◎ 달러인덱스 시황
1. 2019년 3월 1일 달러인덱스 시황입니다.
2. 달러인덱스는 가틀리 패턴을 완성하고 D점에서 하락한뒤 EP1인 382 수준 94.47불에 안착하고 횡보한뒤 EP2인 618 수준 95.92 선을 치고 약 반등이 나왔습니다.
3. 현재는 버터플라이패턴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4. 오늘 개장까지의 관건은 현재 위치한 4H 오더블럭을 돌파하느냐 마느냐 입니다.
- 저는 4H OB 돌파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추가 하락후 786 자리인 95.63 선에서 반등이 올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기술적 분석외에, 뉴스를 주목한다면 중미간 무역협상이 진척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XBTUSD -2월 월봉 마감분석 (Order Block 관점에서)◎ 비트맥스 월봉 마감 분석
1. 2월 월봉은 지난 6개월간의 하락세를 끊는 양봉 마감이었습니다.
2. 이 양봉마감이 가진 의미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3. 이 양봉이 전환 캔들이 될 수 있을것인가 하는 점이 고민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 몸통만 놓고 본다면 상승점유형 캔들로 반등의 신호탄이 될 수는 있습니다.
- 하지만 꼬리까지 함께 생각하면 아래꼬리보다 긴 위꼬리...
- 추가 하락의 여지를 남기고 있습니다.
- 월초반은 숏관점을 유지하겠습니다.
4. 2Weeks OB, 1Week OB는 아무리 봐도 지지를 해주는 OB가 생기지 않고 있습니다.
- 이것은 두가지 의미를 담습니다.
1) 월봉 및 주봉단위까지는 아직 하락추세가 끝나지 않았다.
2) 월봉 및 주봉단위에서 만들어진 OB로 인해 반등이 와도 큰 반등을 기대하기 힘들다
5. 기어이 3일봉단위까지 한번 더 살피면 그래도 3565선에서 지지를 하는 OB가 하나 있습니다.
- 해당 구간까지는 일단 언제든 하방으로 내려꽂을 여지가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둬야 합니다.
- OB 매매를 하는 스윙트레이더인 저로서는 하방에서 롱 진입을 노리는 전략으로 가고자 합니다.
6. 주봉 관점에서 하방에 지지하는 OB가 생성된다면 반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여전히 발판이 없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숏관점에서 짧게 단타를 진입하고자 합니다.
[NEXGEN] XBTUSD 1월 마감 브리핑 - 2019-02-011. 2019년 2월 1일 월봉 및 주봉 분석입니다.
- 몇달째 음봉을 이어가는 와중에 경기 침체 및 계절적 요인이 겹쳐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2. 지난 2018년 8월 이후 6개월째 음봉이 생성되었습니다.
- 18년 7월의 양봉은 오더블럭 생성원리에 따라 OB입니다.
- 해당 OB를 이탈한 이래 지난 11월엔 OB 브레이크아웃으로 장대 음봉이 생성되었고 이후에는 다소 낙폭이 진전된 상황입니다.
- 하지만 캔들관점에서는 추세 반전 캔들이 생성되지 않아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 거래량 관점에서는 지난 10월이후 매도세가 강합니다.
- 지난 1월 거래량은 2017년 상승장이 나온이래 최저 거래량입니다.
3. 월봉 이평선은 이제 겨우 20이평이 만들어졌습니다.
- 비트맥스의 경우 거래소 운영기간이 짧아 9이평과 20이평만 유효합니다.
- 짧은 이평으로 단기적인 분석은 큰 의미는 없으나, 현시점에서는 이평의 저항이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주봉 관점에서는 큰 오더블럭을 하방돌파한 이후 특별한 지지대 없이 횡보하는 형국입니다.
- 음봉이후 도지캔들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추세를 아직 뒤집지는 못하는 상황으로 봐야합니다.
- 또, 거래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도 주요 과제입니다.
- 18년 10월 넷째주 거래량은 상승세가 이어진 2017년 10월 이래 최저 거래량입니다.
- 변동성이 줄어든 이유는 외적으로는 시장의 침체에 따른 거래량 감소가 있고 계절적으로 연말 연초에는 통상적으로 거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회복되는데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5. 주봉 이평 관점에서는 생성된 모든 이평선이 우하향을 하고 있습니다.
- 역배열과 우하향은 단기적으로 하락추세를 암시합니다.
- 작년 9월 이래 9이평 저항을 제대로 돌파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9이평 돌파가 큰 과제입니다.
- 현 시점에서는 시가와 9이평간 440불 가량 갭이 존재합니다.
- 이 갭을 줄이기 위해 횡보가 이어지거나, 단기 반등이 필요합니다.
- 상승세를 만들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을 상승시키는 형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6. 월봉이건 주봉이건 추세를 전환하는 캔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 2~3월까지 추가 조정을 염두에 둬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변동폭이 위아래로 200불 이상이 되는 횡보구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 데일리 브리핑에서 일목균형 관점에서 2월 6일이후를 변곡을 기대하는 날짜로 언급했는데 현 상황에서 추가 하락이 이어진다면 상승 반등은 조금더 나중의 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7. 추세 전환캔들이 보인다면 단기 반등을 노리고 매수를 받을만한 구간으로 생각합니다.
- 하지만 월봉과 주봉, 일봉 그 어디에서도 추세전환 캔들에서 아직 추세전환캔들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 현물 매수보다는 4H 이하 시간대를 기준으로 소액으로 단타 진입을 하면서 비트갯수를 늘이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311. 2019년 1월 31일 종합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2. 어제 상승점유형 캔들로 마감하는 것을 기대한다고 브리핑했는데 실제로
상승점유형 캔들을 만들었지만, 현재까지는 상승을 이어가는 모양이 약해보입니다.
- 차트상 1번 캔들이 EQ를 뚫는 형태였습니다만,
2번 양봉이 나오면서 매수세가 살아있음을 보여줬습니다.
- 2번 양봉은 정석적으로 본다면 상승점유형 캔들이기 때문에
상승세를 기대하게 하지만, 현재까지는 위꼬리 캔들이 만들어지면서
상승추세가 이어지지 않게 될 여지를 만들었습니다.
- 만약 내일 오전 9시 일봉을 이대로 마감한다면 2번은 OB가 될 것입니다.
3. 일목 관점에서 CL 라인까지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 구름과의 이격도, 후행스펜의 위치를 고려하면 단기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만 여전히 어제의 전제조건이 유지됩니다.
- 전환선(CL)돌파, 후행스펜의 음운 진입 및 돌파가 해당 조건입니다.
4. 이평 관점에서 9이평에 다시 눌리고 있습니다.
- 어제는 9이평 터치도 못하고 말았는데, 오늘은 힘차게 오르더니
결국 9이평에 눌렸습니다.
- 여전히 9이평에 눌리는 점을 본다면 상승세를 기대하기 어려운건
사실입니다
5. 볼린저 밴드는 아직 큰 움직임이 없습니다.
- 기본적인 추세는 우하향중입니다.
- 다만 수렴후 발산이 이어지는 과정일지, 아니면 횡보를 하면서 중심선을
돌파하는 형태로 이어질지는 다소 관찰이 필요합니다.
6. 일봉기준 상승다이버전스와 하락다이버전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 SMI는 여전히 우하향하면서 과매도존을 연장하고 있으며
다른 지표 역시 우하향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7. 긴꼬리 음봉이 출현한 이래 전환캔들이 처음 만들어졌지만 현재까지는 하락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 다만 피보나치 관점에서는 검정 피보나치 618 구간까지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8. 종합결론
- 단기적으로 반등을 기대하는 요소는 많지만 추세가 전환된다고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 큰 흐름에서는 전저점인 3150대를 테스트를 할 여지가 크다고 봅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301. 2019년 1월 30일 종합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2. 최근 약 2주간 우하향을 하면서 하락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3. OB 관점
- OB관점에서는 EQ(3407)를 넘나드는 상황으로 EQ아래에서 봉마감이 이어지면
OB의 지지는 이제 무너지고 저항으로 전환될 여지가 있습니다.
- 1D OB의 EQ 지지테스트는 5~6회 가량 지속될 수 있습니다.
4. 일목균형관점
- 전환선(CL) 저항을 넘지못하는 상황입니다.
- 2월 6일 이후부터는 구름대가 얇아 상방 돌파를 시도하기 딱 좋습니다.
- 돌파의 조건으로는 현재 가격에서 약 300불 이상 반등이 필요합니다.
- 지난 일주일 가량 저항을 받아온 전환선(CL)을 돌파해야합니다.
- 그리고, 후행스펜도 구름을 돌파해야 완벽한 상향추세가 나옵니다.
5. 이평선 관점
- 9이평 저항을 넘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쌍바닥을 테스트하러 가는 형태로 볼 수도 있어 단기 반등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6. 볼린저밴드 관점
- 오늘의 양봉이 만들어지는 상황은 어제의 음봉이 밴드를 이탈한이후 생긴 일종의 데드캣입니다.
- 기본적으로 추세는 우하향중이나, 밴드 이탈후 급격한 반등이 없는 경우에는 횡보후 추가 이탈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7. 다이버전스 및 보조지표
- 일봉기준 상승다이버전스가 연장되고 있습니다.
- 하지만, SMI 기준으로 본다면 추가 조정의 가능성이 있어보이나 결과적으로는 상승다이버를 연장시킬것입니다.
8. 캔들 분석
- 긴 위꼬리 캔들에 이어서 저점을 낮추는 음봉이 이어져 하락추세가 가속화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 오늘 만들어지는 이 양봉이 추세전환을 이끌려면 어제 음봉의 과반이상의 몸통을 점하고
봉마감이 이뤄져야 합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과 피보나치 확장의관점이 조금 다른 모습입니다.
- 검정색의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는 786을 공략한 상황으로 반등을 기대하게 합니다.
- 하지만, 피보나치 확장관점에서는 과거에 1.414까지 하락이 이어졌던 점을 감안하면
31745 선까지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9. 종합결론
- 상승을 기대하는 요소는 많으나, 상승요소가 반영된다면 이미 V자 반등이 나왔어야 합니다.
- L자형으로 횡보후 J자형으로 급격한 상승을 기대해봅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241. OB 리테도 없었고 짧은 도지로 봉이 마감되었습니다.
- 저희 후원방에서 계속 말씀을 드리기 때문에 도지 대응방식은 더이상 말씀드리지 않아도 잘 아실겁니다.
- 도지를 계속 만들어가다가 150불 내외의 양봉, 음봉이 만들어지는 구간횡보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여러 지표역시 어제와 다른 점은 없습니다.
- 일목 기준으로 기준선(BL) 테스트는 고사하고 전환선(CL)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 이평선 관점에서도 9이평 저항에 계속 막혀 있는 상황
- BB는 밴드에서 벗어나 중심선으로 이동하지만, 밴드는 여전히 우하향을
그리는 상황입니다.
- 여전히 일봉관점에서는 유효한 다이버전스가 없습니다.
- 다른 보조지표를 계속 살피지만, 저점을 낮추는 과정에서 지표가 크게
떨궈지지 않은 점을 보면 매수세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어제 캔들 패턴을 봤을때는 단기 반등을 기대하지만
양봉이 짧아 상승세는 약하다는 언급을 했습니다.
- 이후 도지가 나왔고 오늘은 방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후원방 브리핑에서는 짧은 시간대를 보면 단기적으로는 하방리테스트를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3. 종합결론
- 전반적으로 주요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만,
3513이라는 종가이상에서 계속 봉마감이 이루어지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반등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봅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231. 일봉 OB의 EQ(3407) 지지테스트가 있었습니다.
- 어제 브리핑에서 기대했던 반등이 나오긴 했지만, 상승폭이 적습니다.
- 캔들 생성관점에서는 후원방 교육에서 짚어드린대로 추세전환형 캔들 묶음이 관찰됩니다.
2. 여러 지표들은 살피면 아직까지는 OB 리테스트를 하면서 단기 횡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 일목 기준으로는 전환선(CL) 저항이 확인되었는데 기준선(BL)테스트가 필요합니다.
- 이평선 관점에서는 9이평 저항 리테스트가 있었지만,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기에 당분간 하락세는 유지될것으로 보입니다.
- BB는 큰 변동 사항 없습니다.
3. 다이버와 보조지표
- 일봉 관점에서는 큰 다이버전스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 SMI, CCI 모두 과매도 권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 가격 상승을 동반한 상태에서 벗어났다면 상승세를 기대하지만 횡보를 하면서 과매도권을 벗어나 추가 상승세를 예단하기에는 조금 어렵다고 봅니다.
4. 캔들분석
- 어제의 양봉은 저점을 낮추는 양봉이었으나 긴 아래꼬리를 만들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 저희 교육채널에서는 이런 캔들을 어떻게 봐야할지에 대해서 교육을 하였습니다.
- 거래량이 크게 늘어난다면 반등의 신호로 볼 수 있겠지만 현재 거래량 기준으로는 큰 의미를 두긴 어려울듯 합니다.
- 여전히 3479선을 하락돌파하고 봉마감이 이뤄지지 않는 한 단기 반등 가능성은 열려있습니다.
5. 종합결론
- 큰 추세는 여전히 횡보를 유지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 또 구간횡보가 이어지기 때문에 양방 매매를 시도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 저점을 낮추는 시도가 이어지는 중이기 때문에 단기 반등에서 짧게 익절하는 방법을 권합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22안녕하세요. 넥스젠입니다.
1. 하단 OB의 지지를 받는 와중에 고가와 시가 갭이 100불에 달하는 도지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현재 OB의 지지테스트후 약 반등을 기대합니다.
2. 여러 지표를 살펴도 현재상황에서 큰 상승세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 일목 관점에서는 완만하게 횡보중인 전환선 테스트가 기대되나,
후행 스팬이 캔들 아래에서 계속 눌려 있어 현 시점에는 전환선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 이평선 관점에서는 9이평 및 20이평 테스트가 기대되지만,
저항을 뚫어도 50이평 저항이 있어 큰 상승세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볼린저밴드에서는 큰 변동사항 없습니다.
- 횡보중인 상황이라 일봉 기준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다이버는 없습니다.
다만 4H 이하 짧은 시간대에서는 상승다이버가 생긴뒤 반등이 나왔습니다.
- 보조지표만 보면 반등이 기대되는 구간이지만 상승 추세로 전환 되었다고 보기에는 이릅니다.
- 캔들관점에서는 어제와 그제 고점을 올린뒤, 저점을 낮춰버린뒤라 특별한 추세는 없습니다.
- 여전히 3479선이 지켜진다면 단기 반등 가능성이 열려있습니다.
3. 종합결론
- 스윙관점에서는 3K, 4K 사이에서 횡보가 이어지면서 OB의 저항을 계속 받고 있습니다.
- 단타 관점에서 본다면 단기 반등이 기대되지만, 하락세가 끝났다고 보기에는 어렵고 여러 저항이 겹치는 구간이 많습니다.
- 이런 경우 스윙으로 매매하기 보다는 짧게 짧게 단타로 구간만 먹고 빠지는 것이 좋습니다.
- 롱 포지션을 오래 쥐고 가기 보다는 약익절 구간이 시작될 때부터 분할 익절 및 익절로스를 끌어올리셔야 합니다.
[NEXGEN] XBTUSD 데일리 브리핑 1D - 2019-01-21안녕하세요. 넥스젠의 2theMoon 입니다.
앞으로 일봉 마감인 9시 이후 오전중 일봉 분석 브리핑이 진행됩니다.
1. OB 및 추세선
- 상단의 OB는 EQ 저항을 받고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어진뒤 힘없이 내려 앉은채 하단의 OB 지지테스트가 나왔습니다.
- 과거 주요 하락추세선에 인접하고 있으나, 선형차트와 달리 로그차트에서는 의미있는 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캔들 생성이 조금더 진행된 뒤에 분석을 이어갈까 합니다.
2. 각종 지표
- 일목관점에서는 여전히 횡보의 모양새로 전환선도 제대로 돌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평선 관점에서는 20이평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고 여전히 눌리는 모습입니다.
- 볼린저밴드는 수렴을 만들지 못하고 중심선에서 내려앉은 상황으로 발산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3. 다이버 및 지표
- 장대양봉과 음봉이 생성되면 다이버전스가 뒤따르는데, 가격이 생각보다 덜 빠지고, 지표도 덜 움직여서
일봉기준으로는 유효한 다이버전스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몇몇 지표를 보면 반등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아직 하락 추세가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4. 캔들 분석
- 저희 텔레그램 후원방에서 브리핑을 이어오면서 상방쐐기를 만들고 있다고 언급해왔습니다.
- 라인차트 기준으로 작도한 것으로 캔들 차트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 상방 쐐기 완성후 하락이 나왔는데, 단순히 낙폭만 본다면 스윙로우를 실패한 형태로 볼 수 있어
단기 반등의 여지가 열려있습니다.
5. 종합결론
- 단기적으로는 반등이 기대되는 구간입다만 상승추세를 확신할 근거가 약합니다.
- 추세 반전 캔들 혹은 이평선 지지가 확인 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피보나치 되돌림 수준에서 진입 전략을 짜는 정도가 유효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19년 1월 첫주 비트코인 브리핑Market Cap: $131,698,983,337
24h Vol: $16,718,407,899
BTC Dominance: 51.0%
코인마켓캡 정보입니다.
어제와 비교할 때 크게 변한 건 거래량입니다. 거래량이 약 2조 원 올랐습니다. 전체시총과 비트코인 점유율은 그대로입니다 횡보가 끝나고 새로운 방향으로 가기 위한 준비라고 보입니다.
다음은 차트입니다.
2018년 1월 6일 첫 주말. 차트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고점과 저점이 같이 수렴하는 삼각 수렴이 진행 중입니다. Ascending Triangle 패턴으로 볼 수 있고 또는 Symmetrical Triangle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주말 전부터 지지 확인을 위해 지지선을 가게 될 경우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해석했었습니다. 하지만 너무 급격하게 다시 지지를 확인하러 오는 것이 보이게 되어 매도세 우세로 보이는 움직임과 차트에 보이시는 것 같이 오늘까지 총 4번의 지지를 받았고 현재 5번째로 향해서 가고 있습니다. 5번의 지지선 쪽 움직임은 이탈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경우에는 하락 이탈 할 가능성이 있는 지지)
Ascending triangle로 볼 때 지지받는 구간에서 손절라인 정말 짧게 잡고 진행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목푯값은 4100입니다.
Symmetrical triangle로 본다면 목푯값은 약 $3970입니다.
보조지표의 상황을 보시면 현재 지지선이 RSI에서는 현재 4번~5번정도, MACD에서는 4번정도 지지가 되면서 강하다는걸 보여주고 있습니다.
ADX and DI는 점점 추세가 약해지면서 횡보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충분히 걸어볼만한 위치이지만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매매진행된 종목들 날카롭게 보고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