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2개월봉 과거 패턴을 참조한 저점 형성 후 시장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투자하기 위한 기준 공유나스닥 2개월봉입니다.
2014년 부터 2022년 사이의 트랜드에서는
2개월봉의 EMA 20 밑까지 가격이 하락 한 후
다음 큰 조정이 오기 까지 6개 봉 즉 365일 1년
이상의 기간이 지나야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대 길게는 850일 정도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구요. 시장이 저점을 만든 후 오른다고
365일 전에 중장기 투자를 위해서 시작한 투자 물량을
손절 및 매도한다면 최소 1년동안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부분을 놓치는 결과를 초례 할 수 있습니다.
고점을 형성하고 내리는 도중에 물량을 줄이고
다시 밑에서 늘려나가는 전략은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하면 좋지만 저점을 만들고 올라가는 기간에 과거
하락장에서 비중을 줄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로
매도를 할 시에 굉장히 비효율적인 투자 행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중장기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2014년 부터의 평균적인
나스닥의 시장 데이터상
저점 이후에 최소로 홀딩해야하는
효율적인 기간 및 가격대
2023년-7월
15900 포인트 저점 대비 약 +44%
시장이 하락을 크게하면 장기 투자에 대한 회의가 생기고 단기 투자가 더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막상 그런 생각으로 시장이 바닥을 만들고 오를 때 단기투자를 하다보면 365일간의 최소 44프로 X3배 투자로는 120%의 1년 수익률을 이겨야하는 트레이딩을 해야 후회가 안남는데 과연 1년안에 단기트레이딩으로 120%의 수익률을 내가 정말 만들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을 때 할 수있다고 판단되면 OKAY / 하지만 사실 그런 수익률을 만든적도 없고 하기 어렵다고 판단이 된다면 시장의 바닥에서부터는 최소 1년을 홀딩투자를 해야 그나마 후회없는 투자성과가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상승장의 꼭대기 부근에서는 "장기투자" 자들의 투자법이 인기가 많고 하락장의 바닥 부근에서는 "단기투자" 자들의 투자법이 인기가 많아 지는 법이지요. 또 그런 컨텐츠에 눈이 더 쏠리고 관심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편향된 특정 시기에서의 투자 방법 변경은 좋은 투자 결과보다 오히려 비효율적인 투자 결과를 야기하는 확률이 높습니다. 가장 안좋은 결과는 하락장의 바닥 구간에서 역주식 BEAR ETF/ETN 을 매수해서 홀딩 투자를 하거나 헷지한다고 하면서 안하던 인버스 투자를 시작하는 겁니다. 인버스 투자를 안하면 시장이 오를 때 적어도 손실을 보게 되는 부분은 없지만 하락장때는 안하던 인버스 투자를 뒤늦게 시작한다면 1년동안 최소 44프로의 상승 분에 대한 인버스 투자를 하고 특히 -X3배 레버리지를 투자하면 -120% 즉 거의 0의 가까운 수익률에 대한 리스크를 가지고 가는 투자를 하는 겁니다. 부디 각자 투자 성향과 시장 상황을 모두 고려하셔서 가장 효율적인 투자 방법을 선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 장성국 - dreambigi - 꿈이큰아이 올림 )
투자에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Nasdaq
[Joescrypto] 나스닥과 비트코인, 중요한 기점에 있다
안녕하세요, Joescrypto 입니다.
이번 분석글에서는 나스닥과 비트코인이 현재 처한 상황을 같이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될 시점에서 좀 중요하게 봐야 할 체크보인트들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주 그나마 중요한 이슈가 있었던 목요일이 지났습니다. 나스닥과 비트코인 또한 그래도 변동성이 꽤(?) 생기면서 상승한 모습이구요.
하락 추세 자체는 돌파한 모습을 보이지만 이제 수평 저항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거의 3주-1개월 가까운 하락횡보 기간 동안 그나마 일봉 상 모양을 좋게 만든 영향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러시아의 종전 고려(실제로는 어떤지 알 수 없지만), 셀시우스의 부채 상환 등 외적 호재들도 나왔지만, 개인적으론 그런 이슈보다는 더 이상 나올 악재가 점점 한정적이고 떨어지고 있다는 심리가 반영된게 영향이 더 큰 것 같습니다.
금리 인상, 이미 누구나 다 알고 그러려니 하고 있습니다.
인플레, 누구나 이제 물가 상승을 체감하고 있고, 기관들에서 인플레를 방어하기 위해 정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전쟁, 갑자기 러시아에서 좀 더 강한 무기를 쏜다거나, 전쟁이 확산된다면 안좋았겠지만 다행히 좋은 소식이 나왔습니다.
더 나올 악재가 있을까 고민해보면 환율이 꽤나 많이 올라왔다는 점인데요. 악재 심화 시 환율이 더 치솟을 수 있으나, 국내 환율의 경우 국내 증시는 모르겠지만 비트코인 시장에서는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글 이후 이어져서 다른 차트가 나옵니다!)
IXIC (NASDAQ) - 6월 29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IXIC (Nasdaq) 1M 차트)
11167.51-11490.19 구간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의 경계 구간입니다.
(1W 차트)
전체적인 지지 구간은 11167.51-12131.13 구간입니다.
하지만, 11167.51-11490.19 구간과 11805.0-12131.13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1167.51-11490.19 구간 부근에서 횡보하게 된다면, 바닥 구간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1805.0-12131.13 구간에서 지지 받게 된다면, 중장기 관점에서 상승 추세를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
1W 차트에서 말씀드렸던 11167.51-11490.19 구간 부근은 최대 10492.50-11490.19 구간을 말합니다.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아래로 흔들기가 나와야 합니다.
이 흔들기는 변동성의 기간이 짧아지고 일정한 횡보구간 안에서 움직임이 나옴으로서 바닥을 형성하게 됩니다.
다만, 10492.50 이상에서 움직임이 나와야 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T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차트를 바라볼 때, 반감기/사이클 그리고 거시경제 상황을 모두 염두에 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제가 하우스룰을 어겨 아이디어가 블라인드 처리돼서, 아이디어를 다시 올리게 됐습니다.
-----------------------------------------------------------------------------------------------------------
현재 제가 가장 고민하고 있으면서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과연 '비트코인 가격에 반감기/사이클적인 측면이 영향을 더 많이 줄지, 아니면 금리와 나스닥 등의 거시경제적 상황이 영향을 더 많이 줄지'입니다.
반감기/사이클이라는 측면, 그리고 거시경제적 측면이 각각 어떻게 비트코인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먼저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2009년에 처음으로 채굴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첫 반감기가 발생한 이후, 약 4년 주기의 반감기마다 정직한 상승을 이어왔습니다.
다만, 채굴 난도가 각 주기마다 1/2로 감소해옴에 따라(예를 들어서 120개→60개→30개→...) 가격 상승폭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어왔습니다. 이 사실은 비트코인 로그차트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러했던 비트코인의 반감기와 사이클은, 비트코인만의 특이한 구조 및 생태계로 인해 BTC 채굴업자들과 대형 시장 참여자, 그리고 소액 투자자들의 이해관계가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그러나, 지난 2021년 11월부터 나스닥이 16.000에서 약 34% 정도의 하락을 했고 그에 따라 비트코인도 69.000에서 74%가량 하락을 했습니다. 커플링이 된 셈입니다.
따라서, 탈중앙화를 외쳤던 비트코인조차도 금리와 나스닥, 다우존스 등의 거시경제 상황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르면, 현재 나스닥은 10.980 매물대 부근에서 데드캣 상승을 보여줬지만 다시 12.030 매물대의 저항을 받고 있으며, 이 매물대를 캔들이 뚫어주지 못한다면 10.980 지지대 리테스트나 10.680 매물대/주봉 200일선 지지 확인을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입니다. 만약 나스닥이 주봉 200일선 등의 지지를 확인하러 간다면, 비트코인도 17.600 지지대 확인이나 추가 저점 갱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감기/사이클, 그리고 거시경제적인 상황이 각각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은 위와 같습니다. 현재 가장 어려운 점은, 바로 비트코인이 지난 14여 년동안 2008년~2009년 금융위기같은 거시경제의 대폭락을 겪어본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하락률로만 비교해보면,
1)2008년~2009년 금융위기 당시 나스닥은 고점 대비 53.32% 하락했습니다.
2)비트코인이 2009년에 처음 생겨난 이후, 나스닥은 2008년 금융위기에 맞먹는 큰 위기 없이 줄곧 우상향해왔습니다. 다만 중간중간에 큰 조정은 있었는데,
2-1)2018년 10월~12월에 나스닥은 고점 대비 24.25% 하락했습니다.
2-2)2020년 2월에, 나스닥은 코로나 이슈로 인해 고점 대비 31.88% 하락했습니다.
2-3)2021년 11월부터 현재까지, 나스닥은 고점 대비 33.89% 하락했고 현재 약반등하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의 큰 두 조정은 그 조정 기간이 비교적 짧았고 하락폭 또한 지금보단 덜했지만, 작년 11월부터의 조정은 기간도 비교적 길고(현재 8개월+), 하락폭 또한 가장 깊습니다(현재 -33.89%-).
비트코인 역사상 이렇게 길고 깊은 거시경제 조정 상황을 맞닥뜨린 적이 없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BTC의 사이클/반감기를 무시한 채로 엘리엇 파동이나 여타 도구들을 사용해 크립토 시장의 대침체와 대폭락 등을 언급하는 실정입니다.
저도, 비트코인이 접한 적이 없는 금리 인상과 원자재 대란 등의 위기가 현재까지의 가격 하락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비트코인 및 크립토의 특성을 도외시한 채로 장기 침체 및 폭락을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시장에서도, 주식만의 특징인 유상증자와 물적분할, 배당금 등의 요소가 분명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크립토 시장에서도, 에어드랍이나 반감기/사이클 등 암호화폐만의 특징이 분명히 시장 가격에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거시경제가 무너지고 있다고 해서 크립토만의 특징을 아예 분석에서 배제하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것 아닐까요.
이래서 시장을 바라본다는 것이 정말로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가격에 영향을 주는 절대적인 요인이 없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역대 반감기 및 사이클만으로 계산해 보면, 2020년 반감기를 골자로 하는 이번 비트코인 사이클의 끝점이자 저점, 그리고 다음 사이클의 시작점은 올해 7~8월경에 나옵니다. 반감기 날짜와 사이클 주기를 정확하게 계산한 결과 그렇습니다. 직관적으로 예상해도 다음 저점은 2022년 후반기~2023년 1분기 사이에 나옵니다. 저점이 나온다고 해서 곧바로 큰 상승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지만.
그러나 비트코인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는 나스닥이 비트코인의 탄생 이후 현재처럼 길고 깊은 조정을 보여준 적이 없으므로 저 또한 매수에 신중할 예정입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주봉의 200일선 돌파 이후 비트코인 매수가 합리적으로 보인다고 한 말도 일맥상통합니다. 저는 세계경제 상황도, 반감기와 사이클도, 그 어느 것도 맹신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에는 단순한 요소 이외에도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주봉의 200일선 재돌파 또는 저항 여부가 향후 주봉 몇 개로 판가름날 것이고, 반감기 계산상 저점 출현 시기인 7~8월 그리고 2022년 하반기가 다가오고 있는 만큼 향후 몇 주간은 시장 흐름에 크게 주목해야 되는 것이 아닐까요. 몇 년에 한 번씩 오는 타이밍이기 때문입니다.
저도 미래는 모르지만, 이전의 분석과 다가오는 시장 상황에 따라 대응할 뿐이고, 정해진 미래는 없는 만큼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시장을 비관적으로만 보지는 말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어쨌든 중요한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나스닥 및 S&P 500 지수뿐만 아니라 반감기/사이클 등도 반드시 고려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크립토 시장의 파이 자체가 커짐에 따라 반감기의 영향력도 점차 옅어질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만, 분명 '점차' 옅어질 뿐이지 큰 타임프레임 내에서는 갑자기 반감기와 사이클을 완전 무시하는 움직임이 나오기는 어렵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IXIC(나스닥 종합지수) 주봉 관점.고점 형성후 상승에 대한 고점에 대한 조정을 하고 있는 나스닥에 대해서 저번 분석에서는 20주 120주 데드크로스에 대해서 다루었다.
서브프라임때 하락 파동을 보면 20-120주 데드크로스 시그널때 강한 반등을 한 부분은 과거차트를 보면 아주 간단하게 알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나스닥 하락할때 보면 1.4만~1.2만사이에 하락 쐐기 형태(보라색 하방 쐐기)의 모습을 보이면 내려오다가 상방이탈후 피보나치상으로 약 61.8% 자리까지 반등 해주고 역사적 7주 연속 음봉을 보여주었다.
현재(노랑색 하방쐐기)는 좀더 사이즈가 크다. 하지만 바닦점을 N파동 영역으로 잡는 1.113 자리를 정확히 터치하고 반등하고 있다는점등 반등의 힘이 상당히 강하다. 반약 반등을 한다면 직전 하방 쐐기를 이탈해서 한다면 어디 까지 갈수 있을까? 직전 하방 쐐기 처럼 618 자리 까지 반등할것인가? 아니면 382 자리 까지 갈것인가?
과거데드크로스 시점들 보면 618자리 까지 갈수도 있다. 하지만 역사적 7주 연속 음봉 영역을 어디 까지 밀어 올릴수 있을지 상당히 궁금하다. 당연히 618 자리 까지 반등한다면 헤드엔숄더 패턴의 무효화로 생각하는 트레이더도 있을수 있다.
고점에서 물린 사람들에겐 마지막 탈출 기회일수도 있고. 아님 다시 대세상승으로 가는 파동일수도 있다.
아니면 쐐기 패턴을 하방이탈할 가능성도 무시할수 없다.
여하튼 앞으로 2~3주 정도 재미나지 않을까 싶다.
나스닥을 보면서 7월 장세를 기대해봅니다.7개월여간의 하락 또는 폭락을 보여주었던
나스닥이 최근 바닥권에 다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런 비슷한 행보는 2018년 12월에도 있었죠
이렇게만 보면 나스닥의 월봉 모습은
최근의 몇개월간의 하락은
조정장세로 봐도 그럴듯하게 보입니다.
큰 상승장 중의 조정으로 16000을 뚫는
큰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적어도 설거지라 불리는 쌍봉 형태는 만들지는...
어쨌든 몇개월 뒤를 예측하는건
매우 어려운 일인거 같습니다.
허나 큰 흐름속에 지금은 어디쯤이 될지
유추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과거 흐름대로 반등하는 7월을 양봉모습을
보여준다면
주식이나 코인에서도 상승반전 흐름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예측을 해봅니다.
아직6월이 끝나지 않아 어떻게 종가가
마무리 될지는 모르겠으나
7월에는 좋은 흐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모두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하락이 끝날 때까지 업데이트하는 일지6월 13일 월요일에는 큰 하락이 나왔습니다.
나스닥 -4.5%, 비트코인 -15% 정도 하락하였고 나스닥은 올해 들어서 두번째로 큰 낙폭인 듯 합니다.
하지만 아직 하락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점을 예측하기에는 차트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이 피드를 만들고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를 할 계획입니다.
1. 나스닥
일봉 차트에서 장기 예측을 하기 위해 1000EMA 를 넣어보았습니다.
현재 상황은 1000EMA 을 갭으로 돌파한 상황입니다. RSI 와 Stochastic 지표는 아직도 아래쪽에 자리가 많습니다.
가격이 1000EMA 아래로 내려간 때는 2008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즉, 나스닥의 현재 상황은 좋지 못합니다.
2. 비트코인
주봉, 200EMA 는 이미 돌파하였고 300EMA 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선 또한 돌파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평선은 보조지표일 뿐이기 때문에 가격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간은 아닙니다. 따라서 나스닥의 상황과 비트코인 차트를 함께 생각해봤을 때, 300EMA 가 위치한 21K 역시 돌파할 듯 합니다.
과거 아이디어에서 지지선으로 17K, 10K 를 언급하였습니다. 특히 10K 는 패닉셀이 발생하여도 지지할 수 있는 강한 지지선입니다.
하락이 멈추고 차트 패턴을 만들기 시작하면 다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20220617 코인베이스 4h 매수타점 및 매도구간에 대하여..코인베이스는 2021년 4월에 상장한 후
비트코인 약세와 더불어 계속 빠지고 있습니다.
저는 비트코인보다 코인베이스를 추천하는 이유는
1. 코인거래소 최초로 나스닥에 상장
2. 코인베이스의 80% 수익은 거래수수료에서 발생
= 수입구조가 있음
3.가격적 메리트
단기관점
"쌍바닥, 단기 녹색 지지선을 지켜주는지
지지확인 필요 밑 매수 들어가볼 만한 타점."
추가하락시
30후반 가격대까지 생각해야함.
(매수구간)
1차 매수 구간 도달.
2차 매수구간 33~38
(매도구간)
채널 중반 1차 익절라인 90달러 부근
강한 저항 구간 210~220달러 도달 전에 2차 수익실현
2022.06.12. BTC 1D 관점2022.06.12. BTC 1D 관점
ETH 이슈로 인한 과매도 구간이라 여겨집니다.
차트를 그리다보니 22K, 25K으로의 하락보다,
35K, 40K까지의 상승이 더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현재 코인, 국내 주식은 보유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해외 주식 중 로빈후드(HOOD)만 8~9달러에서 집중 매집 중입니다.
약 1000주 정도 모았으며, 앞으로 3000주 정도 더 모을 계획입니다.
비트코인을 매집하시는 개인 투자자분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꾸준히 살피고, 분할 매수, 분할 매도의 영역밖에 없는 것 같아요.
코인이든 주식이든 22년 하반기에 한 번의 찬스가 더 있지 않을까 희망을 가져 봅니다.
(근거: 미국 중간 선거 이슈로 인해 11월까지 민주당은 과감한 정책을 펼치기 어려울 듯.
또는 친월가 정책 펼칠 듯.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여당은 대부분 중간 선거에서 패배했다.
게다가 최근 빅쇼트 마이클 버리는 모기지에 대해 코멘트하며 여전히 숏을 대세로 보는 듯 하다.)
그러나 예측한 바가 아닌, 전혀 다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면,
2017년 7월 처음 비트코인을 구입했을 때부터 2021년 나름의 수익 실현까지를 떠올리며
잘 버티고 잘 이겨내야겠습니다. 어느 투자 영역이든 투자자분들 모두 힘내세요.
반등장 시작, 하지만 시원하지 못한 상승
당초 S&P500 지수가 반등 자리에 왔다는 것은 이 전 아이디어에서 언급하였습니다.
전저점을 깨는 공포를 주고서 매수가 들어와 피보나치 비율을 지켰습니다. 역시 세계 일류급 차트는 다르네요.
각종 지표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관측되므로 자연스럽게 반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이 편안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위에 저항이 너무 많고 넘어야 할 중요 추세선들이 있습니다.
2008년의 차트를 보면 중요한 하락 추세선을 넘지 못하고 크게 하락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 차트를 확대해서 다시 그려보면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과도 비슷하게 맞아 떨어집니다.
지난 2008년과 비슷하게 이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2008년에 나스닥은 위와 같이 움직였습니다.
2022년도 비슷하게 움직일 확률이 높습니다. 7월까지 반등하고 긴 하락장에 들어갈 듯 합니다.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지만,
40K 직전까지는 반등을 하는 것이 현재로선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그리고 20K 를 꺤다면 10K 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NASDAQ] 하방으로 한 번 남은 시점으로 보입니다.안녕하세요.
좋은 주말입니다.
짧게 글 쓰겠습니다.
오늘의 차트는 나스닥 월봉 차트입니다.
근래 들어 나스닥은 비트코인과 비슷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봉차트상 5월달의 캔들이 몸통이 짧고 아랫꼬리가 긴 음봉캔들이 생성되었습니다. 비트코인과 비슷하게 6월 월봉캔들의 경우 최소한 5월 월봉캔들의 아래꼬리만큼 다시 하락하여 5월 월봉캔들의 저점 부근 혹은 그 이상의 하락까지도 충분히 염두해야하는 상황이라 봅니다.
매수 도전 영역 구간은 월봉 볼밴 하단부터 하단 지지를 깨고 아래로 하락할 때 비중을 추가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이 부분은 가격대가 도달할 때 쯤 다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은 매도포지션이 유리한 자리라 판단됩니다.
지금 취해야할 스탠스는 매도 위주로 거래를 진행하거나, 아니면 하락하는 동안 저평가되어있는 기술주들을 발굴하는 것입니다.
코인과 더불어 매수도전구간이 곧 다가오고 있다는 관점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