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수렴 하단 리테스트안녕하세요 SigmaJ입니다.
저는 1 BTC 가 100,000 달러 가 되는 상상을 합니다.
현재까지의 미성숙한 시장이 발전하여 시장 자본을 모두 빨아들이는 상상입니다.
4차 산업혁명을 잠식할 블록체인의 미래에 대한 기대가 큰 것이죠.
절대로 한 순간에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누구도 모르는 사이에 아주 느리게, 천천히 미래는 다가올 것입니다.
현재 저는 시장의 침체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침체는 전혀 슬퍼할 일이 아닙니다.
저는 설렙니다.
이 침체가 끝날 때 과연 얼마나한 가격의 폭등이 일어날지.
그리고 세력에게 감사합니다.
자본이 없는 저에게 이러한 기회를 준다니 어찌나 좋은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분할매수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
관점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보입니다.
슬퍼하지 맙시다.
오히려 이런 시간이 공부하고 트레이딩 전략을 세울 기회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일봉 이동평균선과 보조지표>
5, 20, 60, 120 이평선은 모두 음수의 상황입니다.
Lower High를 만들기 위한 가격 회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 1시간봉을 통해 회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일 5일 이평선 가격은 7117 입니다.
삼각수렴 하단 가격은 7040 입니다.
이 구간이 1차 매도 가격이 되겠습니다.
RSI는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만,
직전 다이버전스에 의한 힘은 20 이평선을 뚫어내지 못하고 저항받았다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오히려 다음 다이버전스를 노려봐야 한다고 봅니다.
스토캐스틱이 급격하게 내려오고 있습니다.
MACD도 DC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Plumvis도 빨간색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Plumvis도 쌍바닥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현재 외바닥 상태입니다.
그래서 다음 다이버전스를 노려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봉 일목균형표>
각 선에 대해서는 크게 이야기할 부분이 없어보입니다.
이미 모든 선이 하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위로 가는 것보다 아래로 가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일목 5파동을 적용해서 반등 가격대를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대략 6300 - 6150 수준입니다.
이 구간에서 반등을 노리고 공격적 매수 진입을 한 번 도전해볼까 합니다.
스탑로스는 당연히 6000이 되겠죠.
반등매매이기 때문에 타이트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6000이 밀려나면, 시장은 꽤 커다란 타격을 입을 것입니다.
<4시간봉 일목균형표>
저는 보수적인 스윙 투자자이기 때문에
4시간봉에서 자리가 나오지 않으면 매수 비중을 크게 두지 않습니다.
앞으로 차트 볼 시간이 더 없어질 것이기도 하고,
제 성향성 이러한 스윙 투자가 더 제게 잘 맞아들어가더라구요.
매수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기준선 기울기가 상향되는 호전이 필요합니다.
<1시간봉 일목균형표>
단기로 가져갈 수 있는 구간 매매입니다.
1시간봉에서는 기준선 상향의 흐름이 등장했습니다.
6790 ~ 6750 사이에서 매수를 받고,
스탑로스는 6618 전저점으로 산정,
TP는 삼각수렴 하단 7040 과 5일 이평선 7117이 위치한 사각 박스가 되겠습니다.
매수 구간 안 오면 매수 안 하려구요
자고로 보상비율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밑에서 받지 왜 이제 받냐고요?
그게 제 매매원칙입니다.
바닥에 관심 없어요
<주봉 이동평균선>
이평선의 원리에 대해서 간단한 도식으로 표현해보았습니다.
그림에서는 주황색이 주봉 쌍바닥을 만든 뒤 5-20 GC를 만들어내는 그림이었습니다.
그런데 주봉에서 5 MA 쌍바닥을 만든 뒤에 20 MA를 정상적으로 GC하지 못하고 저항받는 그림을 보였습니다.
현재 20 MA는 기울기 하향 상태입니다.
이제는 20 MA 아래에서 5 MA 쌍봉 상태가 되었습니다.
5 MA 쌍봉 = 20 MA 1개의 힘입니다.
20 MA + 5 MA 쌍봉 = 60 MA에 도전할 수 있는 힘이라고 봅니다.
그럼 주가의 진행은 어디까지 갈 것이냐,
120 MA 수준까지 진행되리라고 봅니다.
현재 이 가격은 3834 수준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향될 것입니다.
<월봉 차트 비교 : BTC, GOLD, AMZN>
BTC 월봉입니다.
현재는 5 MA 외봉일까요? 쌍봉일까요?
20 MA를 한 번에 돌파할까요?
그렇지만 60 MA는 뚫리지 않겠죠.
GOLD 월봉입니다.
첫 박스에서는 20 MA 지지를 받고 올라갔구요,
두 번째 박스에서는 20 MA가 뚫려도 60 MA 수준에서는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시사하는 바가 있죠?
AMZN 월봉입니다.
2000년 당시 고점 대비 저점 -95% 달성했습니다.
현재는요?
그 고점대비 1600% 입니다.
가격흐름은 그 누구도 모릅니다.
그냥 흐름에 맞게
임운자재의 마음으로 대응하면 됩니다.
느긋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으로 자두맛라면이었습니다.
무빙 애버리지
[BTCUSD] 이동평균선과 비트코인안녕하십니까? Invest Crypto Academy EXCIA 입니다.
2018년 5월이 약 2/3 지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월봉차트의 이동평균선을 근거로 몇가지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우선 메인 차트는 BTC 월봉 로그스케일 차트로 적용된 지표는 이동평균선6일선
(MA6, 종가 - 파란색라인)과 이동평균선 12일선 (MA12, 종가 - 빨간색라인)입니다.
즉 현재의 위치에서 보면 현재의 종가를 포함한 6개 캔들의 종가의 평균(6개월)과 12개 캔들의 종가의 평균(1년)을 살펴 보고 이동평균선의 기울기를 통해 추세를 살표 보고자 하였습니다.
메인 차트의 이동평균선(종가기준)을 살펴 보면 월봉에서 반년간의 평균값(파란색 라인)을 주가가 하회한 움직임은 2014년도 8월이후 약 1년간 돌파 하지 못하였으며 현재는 지난 3월 이후 아직 회복하고 있지 못한 모습입니다.
또한 1년간의 이동평균값(종가, 빨간색라인은 마찬가지로 2014년 8월 강한 하락과 함께 하락장의 시작을 알리며 1년이 넘도록 회복하지 못하다, 2015년 10월 비로소 골든크로스를 만들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종가 기준 이동평균선(MA 6 -파란색라인)의 최근 기울기는 우하향을 하고 있으며 작년 상승장의 영향을 받고 있는 1년치의 이동평균선(MA 12 - 빨간색라인)과 만나 데드크로스를 형성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상향을 해야 한다는 당연한 논리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종가 기준의 이동평균선 만을 살펴 보면 기울기가 우상향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5월의 종가가 최소 작년 11월 종가를 상회해야만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작년 11월 종가는 9,907)
더불어 작년 하반기 급등장의 영향의 비중이 높은 MA12(빨간색) 라인과 이격을 줄이게 되는 것은 현재의 위치에서 몇달간 지속적인 급등을 하지 않는 이상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위 내용의 요약
- 이동평균선간의 데드크로스(반년치의 평균과 1년치의 평균이 역전되는 현상)가 오면 가격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림
- 종가 기준으로 6개월치의 평균값은 현재 9,830 선이며 5월 마무리가 9,900 선까지 올라야 내려가고 있는 이동평균선이 우상향으로 바뀌게 됨.
- 월봉에서의 이동평균선 (MA12, 종가 - 빨간선)은 1년치의 평균값으로 현재는 7, 480정도로 조정의 마지노선으로 볼 수 있음.
[KF] NEOUSD, 네오 장기적 관점 & 분석 & 브리핑. 안녕하세요 Kelley Finance 입니다.
오늘의 두번째 분석! 네오 NEOUSD입니다.
네오는 네오 홀더가 가스(GAS)를 받을수 있으며 중국의 이더리움이라는 호칭으로 많이 알고 계실껍니다.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가 완화 된다면 정말 중국 코인들이... 이목을 받겠죠!
네오는 4월 동안 많은 밑업을 했습니다.. 소통하고 네오를 알리는 4월이 되었죠.
호재얘기는 이쯤에서 하고 차트 분석 하겠습니다!
일봉 차트.
여느 알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추세전환의 시도는 3월 18일에 이루어 졌습니다. 하지만 이클과 마찬가지로 하락세를 이기지 못하고 재차 하락후 진정한 추세 전환은 4월 7일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4월 7일 일봉을 보시면 망치형입니다. 꼬리가 길지 않지만 추세 전환이 되었던 부분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추세적 관점.
선형차트 입니다. 장기 하락 추세를 뚫은것처럼 보입니다.
로그차트 입니다. 장기 하락추세선을 이탈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로그 차트를 이용하여 추세 이탈을 확인해야 합니다.
추세를 이탈 시도중인 네오는 장기 하락 추세에서 저항을 받고 있음을 보실수 있습니다.
보조지표 (RSI, EMA, 거래량, MACD).
RSI -
왼쪽: 1일봉, 중간: 6시간봉, 오른쪽: 1시간봉
일봉에서는 과매도 부근인 3월말과 4월 초를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6시간 봉에서는 4월 13일 기점 과매수후 조정 &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시간 봉에서는 과매수 부근에서 조정이 이뤄진것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EMA -
10일선: 보라색, 50일선: 남색, 100일선: 하늘색, 200일선: 연두색 입니다.
대부분의 선들이 10일선을 제외하고 교차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알트들이 골든 크로스를 진행하고 있는 부분으로보아 네오도 가격이 더 오를수 있는 자리라고 판단이 됩니다.
반대로 이 부분에서 데드 크로스가 된다고 하면 가격이 떨어지면서 로그차트에서 확인한 장기 하락 추세선을 뚫지 못하는 시나리오로 진행 될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거래량 -
거래량 교육 비디오에서 말씀드렸던 박스권이지만 거래량이 터지면서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ACD -
왼쪽: 12시간봉, 중간: 4시간봉, 오른쪽: 1시간봉
모두 빨간색 박스를 보시면 매수 시그널로 판단할수 있는 빠른길이(파란색선)와 느린길이(빨간색선)의 교차 지점입니다.
파란색선이 밑에서 빨간색선과 만나는 지점을 매수 시그널로 이해하실수 있습니다.
왼쪽: 1시간봉 오른쪽: 30분
빨간색 박스는 매도 시그널로 판단될수 있는 파란색선이 빨간색선을 위에서 밑으로 교차하는 시점입니다.
30분 봉에서 초록색 박스는 매수 시그널로 표현 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기 중기 장기 형식으로 매수 시그널을 볼수 있습니다.
진행방향.
ABCD 패턴을 생각해 볼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 합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을 이용하여 조정을 38.2%에서 받았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보정비율인 224%를 목표가로 지정해 볼수 있습니다.
이상 Kelley Finance 였습니다.
Lunyr 단기적 관점 : 삼각수렴 기대 2018-04-221. 삼각패턴 형성(진행 중) 기대
2. 이후 방향 결정 (상향 또는 하향)
3. 단기/중기/장기 이동평균선 정배열에 따른 상승국면 기대
4. MACD : 지속적인 회복흐름 예상
5. 대세 하락추세 저항선 돌파 전으로 주의 필요
1시간봉 스토케스틱으로 보는 비체인- 큰 파동을 봐야하지만 4시간봉 파동조차 너무 짧아서 아쉬워도 1시간을 봄
- 모든 스토케스틱은 낮아지는 파동으로 흐르는데..가격대는 높아짐
- 물론 비트코인을 따라가는게 맞는데... 이러한 파동은 비트코인이 무너지는 순간 급락이 나올 가능성이 있음
- 1시간봉으로는 들어갈 수 있는 매물대가 보이지 않음
- 비트코인이 횡보를 해도 숏가능성이 높으며 / 상승을 해도 횡보가능성이 더 높음 ( 어디까지나 작은파동관점에서 )
4월16일_비트코인_방향- 4시간봉이 240평선을 돌파이후 240평선에 지지를 받는 것을 확인하는 중입니다.(지지할 것이라 판단하고)
- 상승장에서 잦은 매매는 오히려 안좋고, 한국은 역프이니까 추세선 매도관점으로 바라볼 것입니다.
- BTC마켓을 이용한 알트매매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8시간봉
- 60평선을 강하게 돌파한 이후 120평선 저항을 받다가 현재는 120평선 지지선을 확인하는 단계
- 3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240평선까지 상승 / 2번째로, 60평선의 지지를 재확인한 후 상승(or20평선지지반등) / 마지막 현 가격대 횡보로 이평선 간격좁히기
- 240평선은 전 고점 가격대인 8900선이고, 60평선은 7200선 / 20평선은 7600선입니다.
- 1066스토캐스틱상 상승파동진행상 3개봉이나왔을 때 8400선에서 30~50% 비중을 줄이고 수익실현하는게 맞습니다.(하지만 욕심에 안했음)
- 533스토캐스틱에서는 3바닥 / 2봉 모두 고점을 올리면서 진행하는데.. 3봉에서는 어느정도 청산해야겠네요!
- 201212스톡은 6.4k에서부터 상승신호를 가르키네요.
- 1066스톡은 3봉이후 하락을 가르키고 있습니다. 60평선의 강한 돌파로 4봉까지 기대할 수 있도록...
예측 및 대응))
- 일봉상에서는 60/240평선이 8700선에서 존재해서 8700선에서 저항받을거라 예측되지만... 8900선까지 상승기원함
- 7900선으로 떨어진다면 손절 이후 7600 / 7200으로 분할매수 or 그냥 존버(어차피 역프라서 존버하는게 더 좋아보이긴함..)
2. 일봉
- 일봉은 상승파동이 너무 예쁘게 되어있음
- 20평선을 강하게 돌파 이후 기간조정 중으로 보임(60/240평선 뚫을라고!)
- 201212스톡은 6k/6.4k의 쌍바닥을 만들고 상승파동 만듬
- 1066스톡 쌍바닥이나 외바닥으로 생각할 수 있고 533스톡은 외바닥에서 강한 상승신호 파동그림으로 과열권들어감
- 우상향 기대할 수 있는 파동~ 하앍 하앍
3. 3일봉
- 3일봉은 이번에 한번...
- 3일봉에서는 20평선이 8700~8800정도로 보입니다! 5,10평선을 강하게 돌파했고! 현재는 10평선에 지지를 받으며 20평선에 도전중~
- 201212스톡 외바닥 이후 상승! 1066스톡 쌍바닥 이후 상승! 533스톡은 1066과 비슷
- 강의듣고 3일봉도 한번 봤음..;;
4. 주봉
- 드디어 주봉상 5평선을 넘었네요!
- 10평선이 8800선에 있군요!
- 533스톡으로는 쌍바닥이후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겠네요 1066스톡에서도 K는 고개들었고..201212스톡은 1년존버는 생각하지말라고 하네요
---
뻠핑알트 먹고 싶다 ㅠㅠ
역프라서 KRW로만 거래중(빗썸)
업비트로 비트전송해서 쓸까...말까... 수익실현하는데 답답한데...
과거패턴을 기준으로 보는 이오스 매매배아파서작성))
- 과거 이오스가 급등했을때의 패턴을 근거로 다음 매수 포지션을 잡으려고 합니다.
- 6350에 잡고 6850에 뛰어내렸다가 배아파서 다음 진입자리가 있는 살펴봤습니다.(흑우ㅠㅠ)
- 너무나 많이 올른탓에 진입자리는 잡고 싶고.. 타기는 무서워서 작성하는 글입니다.(마인드컨트롤ㅋ)
손가락빨고 있으려니 ...글이라도작성))
- 1시간봉 기준 재진입자리는 20평선자리에 도달할 경우 재진입 고려
- 과거급등했을때 캔들가져왔습니다.
- 스토캐스틱파동과 캔들파동이 모두 예상캔들처럼 가고 20평선가격대에도달시에 재진입을 고려합니다.
- 20평선의 가격대는 8200~8400자리 / 바로 위에서 말한것처럼 재진입을 "고려" / 상승파동이 남아있나 확인할것
+ 비트가 8000선을 회복한 뒤에 알트가 날뛸꺼라 예상했는데..
비트가 너무 밑에서 알트급등이 나와서 당황스럽고 게다가 역프까지 발생.....
비트매매를 주로 하는 나로선.... 배가 마이 아픔.....;;;;
+ 이더리움 계속 주시중(일봉차트가 너무 좋음)
4월3일_일봉으로보는_비트코인시황4월2일 차트가 양봉으로 마감되었습니다.
현상황))
- 5이평선을 뚫은상태고 4월3일 시가는 5이평선을 올라탄상태에서 시작합니다.
-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 각각의 저항선은 10평선인 7430 , 20평선의 7900과 이전 매물대였던 7750 / 8500 / 8900 선이 보입니다.
-! 의미있는 저항선은 이전 장대음봉의 중심값이자 심리적 자리, 10평선 저항자리 7500에서 강력하게 저항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예측 및 대응))
- 533스톡은 단기바닥 이후 상승 예측
- 1066스톡은 저점을 높인 쌍바닥으로 상승 예측
- 201212스톡도 저점을 높인 쌍바닥으로 상승 예측
- 4월5일,6일 장기스톡과 중기스톡이 바닥을 찍고, 위로 향할때 단기스톡 또한 위로향할때 강력한 상승에너지를 기대할 수 있고, 순식간에
20평선값인 7900~8000까지 한번에 올릴 가능성이 있음
- 파동 변할때 까지 홀딩할것
- 하방으로 빠지는 경우는 10평선값인 7400값을 도달하지 못하고 저항받고 장대음봉으로 빠지는 경우가 있음
- 이럴 경우 7k에서 청산 / 또 다시 지옥 곡소리 등장함..
전략))
- 7k 밑에서 매수한 비트와 알트는 그대로 홀딩할 것
- 현재 일봉상 롱관점으로 접근하기에 중장기적인 전략이 될것
+ 뭐죠?? 7k도 못뚫더니 일하고 와서 글 마저 쓰니까 엄청나게 상승했네..7350불..? 에잇 글 개니썻네
[AK] 디지털노트 XDNBTC 분석안녕하세요 AK입니다. 일과를 마치고 정신없이 하루가 지나 오늘 세번째 분석올립니다.
디지털노트의 분석은 차트중심적이고 기본적인 펀디멘탈 분석이 없다는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봉 차트.
일봉을 확대해서 본 상황입니다. 4월 3일 기점으로 양봉 캔들이 전 음봉캔들을 커버하고도 남는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추세 변환에 의미를 둘수 있습니다.
이전 상황을 볼때 움직임은 크게 없는 횡보장이였고 망치형태와 도지형태의 음봉과 양봉이 서로 싸우듯 진행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매도세와 매수세 모두 업치락 뒤치락 하며 눈치를 보고 있다고 판단할수 있습니다.
추세적 관점.
장기적인 상승 추세는 모두 눈녹듯 사라져버린 상황입니다. 현재 남아있는것은 장기적 하락추세 입니다. 그에 따라 전고점의 몸통에서부터 이어져온 장기적 하락추세의 채널과 함깨 진행되었으며 3월 18일 이후로 그 하락추세 채널에서 벗어나 현재 장기적 하락추세에 맞닿아 있습니다.
보조지표 (RSI, EMA, 거래량).
RSI - 일봉상 RSI는 현재 43.59로 적정한 수치에 머물고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3월 18일 기점으로 상승이라고 말할수 있는 그림이 그려진것을 볼수 있습니다.
EMA - 이동평균선의 방향은 볼린저벤드와 같이 볼때 비비고 있는 상황. 이런상황을 대부분 세력의 움직임의 시작이라고 판단하는경우가 높습니다.
거래량 - 거래량은 꾸준히 저조했다고 말씀드릴수 있지만 4월 3일 기점으로 매수세가 강하게 붙은것을 볼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여느 알트와 마찬가지로 0.236~0 퍼센트 사이를 지나고 있습니다.
진행방향.
타 알트코인들과 마찬가지로 비트코인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장기적인 하락추세라고 판단되는 하락추세선을 이탈할시기가 길지 않은점과 3월 18일 기점으로 (RSI 보조지표 참고) 단기적 상승 추세가 만들어졌다고 판단되며 이것이 장기적인 상승으로 바뀌게 될 가능성에대해서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세력의 매집의 흔적이 보였고 움직임의 시초가 되는 부분도 확인하였습니다.
시기적으로 높은 시총을 가지고 있지 않는 코인으로 세력들의 놀음에 이용될수 있으며 폭발적인 거래량을 통해 펌핑이 이뤄질수 있습니다.
BTCUSD 비트코인 하락 흐름에서의 이동평균선의 저항 역할 / 단기관점 상승 시나리오 예상(1)이전 아이디어에서 코멘트로 이미지 남겨드렸던, 1월 초에서부터 시작된 하락 흐름과
비슷한 패턴 진행에 대해서 이미지 남겨드린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시간봉이 아닌 일봉 기준으로, 지지난달의 하락 흐름 속에서 20일 이동평균/지수이동평균선의
저항선 역할에 대해 별거 없지만 조금이나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차트로 올려봅니다.
내용 밖으로는, 1월부터 오늘날까지 암호화폐에 관한 논의와 국제적인 규제 방안이 논의된다는. 세세한 내용 없이
꾸준히 그저 악재로써 입에 오르내렸던 G20 정상회담의 일정이 곧 진행됨에 따라
이에 오히려 막상 별 내용 없을 것이며, 그 동안의 과대낙을 매꾸는 점차 악재 해소의 분위기로 다가오며 그 직전까지의 조정흐름을 말끔히 지우려는 듯
KST 기준으로 이른 아침 시간에 1000달러 내외의 다소 큰 변동폭의 조정과 급속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투자하는 입장으로서는 향후 회담이 모두 끝나고 자세한 내용이 나오기까지, 차트와 이슈 둘 다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비트코인 일봉 분석현재 확인해야 하는 것.
7.9k에서 지지를 받는지.
단기하락추세선 돌파.
(2017년 3월 추세선은 이미 이탈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3월 추세선 부근에는 더블탑 넥라인을 돌파하지 못하며 생긴 큰 저항 매물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부근을 돌파하면서 장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이버전스 상으로는
4월에는 상승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큰 반등이 없이 하락 할 시에는
7.2k , 5.4k , 4~4.5k 에서 반등을 생각합니다.
차트는 예측하는 것보다는
틀리면 바로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다시 다른 분석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색의 이동평균선은
각각의 상승트렌드를 타기 시작한 시점을 날짜 계산하여 그려넣은 것입니다.
정확한 지지 저항라인은 알기 어렵지만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반등이 오는 경우가 많았으니 참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하락쪽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번] 장마감시 골드 랠리 - 계속될까요?수요일 트레이딩하면서 Gold 가 2주 저가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니까 행정부 택스 플랜이 발표된 당일 마감까지는 Gold 는 트레이딩 세션 마감때까지 고가 랠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아래 하이킨-아쉬 차트를 보면 Gold 가 21 이동 평균 저항을 만나, 오늘 트레이딩은 강한 빨간 색 하이킨-아시 캔들로 마감했습니다. 이제 과연 그 스파이크가 비정상적인
것이었는지 아닌지를 물어볼 때입니다. haDelta 인디케이터는 여전히 레드입니다. 나는 여전히 베어리쉬이며 쇼트 포지션을 홀딩중입니다.
어제밤 얘기했듯이, 1245 - 1265 의 강한 트레이딩 레인지가 있습니다. 초록색 네모로 그 영역 아웃라인을 그려 놓았습니다. 그리고 차트에 (차트 아래 쪽에 전체적으로 다 볼 수 있도록) 2 개의 볼륨 프로화일을 넣었습니다. 2016년초부터 오늘까지의 롱텀 볼륨 프로화일입니다. 재미있는 건 포인트 오브 콘트롤 (POC) 이 그 트레이딩 레인지 한가운데 smack 이라는 겁니다. 또한 지금 시점의 연간 랠리의 23% 피보나치 되돌림과 일치하기도 합니다.
쇼트텀 볼륨 프로화일에서 POC 는 38% 되돌림과 거의 같은 레벨에 있습니다. 앞으로 가격이 떨어진다면 이게 관심영역이 될 것입니다.
이 글을 읽고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버튼 눌러 주시고, 다른 분들과 함께 셰어하고 리트윗도 하세요!
면책: 이 글은 단지 교육용이며 모든 트레이딩은 본인 스스로의 리스크로 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