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2021.02.16 XAUUSD 골드는 아직 포지션을 가지고 가지 않음. 매매연구 #40/100 물론 골드는 20년 8월 ALL TIME HIGH 를 찍고
반등을하는 중이라고 생각을 한다.
현재도 강한 지지권에 영향을 받아 횡보하고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피보나치로 보나 PA의 모습으로 보나 위로 올라갈 수 있는 확률이 상당히 높다만,
현재는 거래를 하기 상당히 애매한 구간이라고 생각된다.
확실한 브레이크도 없고, 애매한 리테스트만 가득한 차트이기 때문에 조금 더 가격의 움직임을 지켜보려 한다.
욕심내지 않을 것.
확실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손을 대고, 혹시 제대로 풀리지 않더라도 그것으로 하여금 배울 것.
2021.02.08 XAUUSD 골드 매매연구 #30/10029번에서 말했던 1일 1BIAS 를 적용해 거래를 분석해보자면,
가격이 계속 내려가는 것을 일단 전제하에 시나리오를 구축,
옵션을 나열하고 (1)브레이크 리테스트....... 부터 (#) 트리플탑/신고점.....
이렇게하여 한 방향의 움직임의 시나리오만 구축을하고
움직임이 나의 분석과 비슷하게 움직임에 따라 파도에 올라타는 파도잡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일단 오늘은 장오픈이기도 하고 거래를 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연습삼아 매매연구 #29-30 을 가지고
컨셉을 더 깊게 연구하기로 한다.
2021.02.04 XAUUSD 골드 매매 연구 #26/100골드는 현재 지지권 구간에 있으며, 가격이 전지지권을 뚫고 꼬리지점 부분을 리테스트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직까지는 인걸핑을 통한 상방의 모습을 4시간 차트에서 보여주고 있지만,
확실하게 뚫리는 구간 + 리테스트가 겹쳐진다면 늦게 진입을 하더라도 깔끔하게 100핍 이상 매도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매수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파란색 지지권 / 현저항권 구간이 완벽하게 브레이크 되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웃기게도 현재 위치는 아직까지 지지구간이기 때문에 반등을 할 수 있는 상황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
그렇기에 일단 중립.
중립일 때 오히려 로스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기 때문에 섣부르게 거래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완벽한 셋업이 나올 때 까지 기다리자.
(완벽은 없지만) 거의 완벽한 셋업은 찾을 수 있겠지.
은 선물/20210130/매수추천필자는 선물에 대한 좋은 기억이없다.
23살 처음으로 손댄 비트코인 선물에 돈을 워낙 많이 잃어서 선물의 선자만 들어도 으,,, 거린다ㅋㅋ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선물 했던 시절만큼은 차트를 줫나게 본 것 같다. 하나 얻어간게있다면 차트 보는 안목과 호가창의 움직임정도?? 나중에 주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됬긴했다.
요즘 주식시장의 열풍에 관심이 다소 없었던 수천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의 원자재!!! 은에 대하여 글을 써보려한다.
은은 보다 싶이 코로나이후 강한 상승 트렌드에 올라있다. 현금의 유동성이 워낙 커서 그런지 엊그제부터 오늘까지 약 6~7퍼가량의 상승이 나왔다. 뭐 GME사건과 주식시장의 불가피한 조정으로 상승했다하지만 이번 상승도 꽤 쌧다. (서양개미들대단해!!!)
아마 은에대한 개미의 매수도 매수지만 증거금 상향으로 빠져나갔던 기관의 현금뭉텅이들이 다시 들어온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하고 싶은 말은 지금 당장 롱포지션을 잡으라는 말은 아니다. 솔직히 떨어질 확률이 더 크다. 아니나 다를까 오늘의 고점도 정확히 삼각수렴의 한부분이 되었다. 단기적으로 들어온 개미들만 어리둥절 피해를 보는 상황ㅋㅋ
하지만 필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상방에 대한 상승여력이 남아 있을 뿐더러, 언제 강한 움직임이 나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미리 자리를 선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으로 보인다. 추천 매수가격은 24불 후반대, 25불 초반대 1차매수 후 지지확인 후 추가매수가 답인지라.. 하지만 코로나 시절 삼각수렴처럼 하방이탈시에는 반드시 손절이 필요하다.
물론 은으로 엄청난 상승을 기대하기엔 무리가 있다. 주식의 상승 퍼센테이지가 더 커보일테지만 어느정도 자산배분이 필요한 시점이 다가오고있다. 하지만 유동성이 넘치는 시장에서 은은 기대이상의 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지도...?
제일 바보같은 짓은 단기적인 상승, 하락 움직임을 기대하는 것이다. 코인과 원자재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인내심있는 꾸준한 사람이 오래가더라.
1월 29일 나스닥 US100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요즘 나스닥이 많이 어려운데요.
열심히 준비해왔는데 ,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팔로우" 를 하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 코멘트 확인이 가능합니다.
30분 차트 뉴트럴 전략입니다.
최대한 집중해서 전략을 만들었는데요.
화살표 롱 / 하늘색 숏 전략사이에서
극 횡보장이 나올수도있으니 참고해주시구요.
현재 위치에서 초록색 지지선 중심으로
*빨간색 화살표 이동경로시 롱 포지션 전략
*하늘색 화살표 숏포지션 이동경로시
숏 -> 롱포지션 전략입니다.
파동에따라서 가운데 보라색구간 13080.6 포인트에서 승부가 나오겠네요.
움직임 지켜보시다가 ,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좋은 주말보내세요.
감사합니다.
2021.01.27 XAUUSD 매매연구 확실하게 뚫리지 않았지만 진입함.
30분 차트의 강한 하락세를 보고 진입을 하려고
마음을 먹었고, 가격이 30분봉 클로즈 이후
밑으로 내려가는 것에 impulsive entry 시전.
가격이 뚫려야 내려갈 것이라는 것을 전제하에
거래를 하겠다 했는데 FOMO에 사로잡혀 거래를 진행함.
하락 채널에서 움직이는 가격이기 때문에 하방으로 한번 내리 꽂을 확률은 충분히 있지만,
진입 시점에 대한 확실성이 없은 때 거래했다는 것은 확실한 마이너스 요소.
거래를 믿고 끝까지 가는 연습 또한 필요하기에 홀딩.
1월 20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
정신이 몽롱해질 시간입니다.
괜히 비트코인 롱포지션 진입자리 잡는다고
분석글이 늦어졌네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팔로우" 를 누르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 코멘트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난 18일에 작성된 30분 차트입니다.
롱포지션 전략이었구요.
하늘색 화살표 롱포지션 진입구간 12801.2포인트에서부터
빨간색 저항선 돌파까지
최대 260 포인트정도 상승했습니다.
횡보하다가 강한 반등이 나와주었는데요.
수익나신분들 모두 축하드립니다.
30분차트 롱포지션 전략입니다.
초록색 지지선 / 빨간색 저항선 수렴구간에 주목해주세요.
빨간색 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 매매전략은 실패입니다.
*초록색 패러렐라인 이동경로에서
화살표 이동구간 롱 -> 숏 스위칭전략
파란색 저항선 돌파시 (최고점구간)
강한조정이 나올수있으니 주의해주시구요.
하늘색 저항선은 오늘의 최종 타겟이됩니다.
추세보시고 숏포지션 운영하셔도 좋을거같구요.
*빨간색 패러렐라인 이동경로시
하늘색 손가락 이동경로 숏 -> 롱 스위칭전략입니다.
1시간 MACD 데드크로스가 대기중이기때문에
우하향으로 계속 조정이 나올수있으니
최종 롱대기하셔도 좋을거같구요.
빨간색 지지선 이탈시 , 손절이후 매매전략은 실패하게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진행할게요.
고생많으셨습니다.
GOLD : 어떻게 평균가를 지배할것인가?미국의 무제한 양적완화로 인해 안전자산의 수요가 늘어 끝없는 금의 랠리가 이어지는데,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프라이스에 의존할 필요 없음.
대응영역에 도달시 취해야할 방식 고려.
Empty for simple.
2021 금 전망 Gold미국 씨티은행은 2021 금값을 $2,500 로 전망했습니다.
Gold to $2,500: Two ETF analysts break down Citi’s bullish call for 2021
cnbc의 기사 2020/11/24/
—
김영익 교수는 요즘 방송에 나와서
“ 금 가격을 결정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 보니까 첫 번째가 달러 가치. 그 다음 글로벌 유동성, 글로벌 인플레이션. 달러 가치는 계속 하락하니까 금값 상승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 보면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돈을 풀고 있지 않습니까. 미국이 풀고, 일본이 풀고. 독일 사람들은 인플레이션 트라우마에 갇힌 사람들이에요. 1923년에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겪었기 때문에. 돈 풀기를 그렇게 싫어하는 사람들인데 유럽중앙은행이 최근에 더 적극적으로 돈을 풀고 있거든요. 돈이 많아지니까 금값이 오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돈을 푸는 게 언젠가는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제가 앞서 말씀드렸지만 그 때는 인플레 문제가 부분적으로 나올 거거든요. 금은 인플레 헷지 수단이에요. 달러 가치 하락, 유동성 풍부, 나중에 인플레 문제. 이렇게 되면 금값이 계속 오를 수밖에 없다는 거죠. 최근에 금값이 온스당 2050달러까지 오르다가 또 조정을 보이고 있는데요. 저는 이런 조정 시기에 금 비중도 꾸준히 늘려가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요.
—
저는 위 전망이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인데요. 근데 요즘 달러값이 떨어지는데도 금이 떨어지죠. 그 이유는 현재는 위험자산인 비트코인과 주식으로 유동성이 움직여서 그렇다고 봅니다. 그래서 아직 금은 더 조정받을 것이라고 보고, 한국기준 현재 금99.99k 당 64,460원이 60,000원 정도 까지 떨어지고 미국은 온스당 1차 1,724 2차 1,670 3차 1,570 달러 정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봅니다.
.
시기는 맞출 수 없지만 2021년 2월 정도에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기대감과 함께 그것들을 선반영해 주식 고점을 만들고, 주식 익절 자금이 금으로 이동해서 컵앤핸들로 오르지 않을까 전망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