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신고갱신?! 아니면 이대로 조정?!#비트코인 #빙본 #1시간봉 #관점공유 #크랙
- 고점매물대 상단과 단기상승파동 확장의 0.618비율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고 눌림이 출현하고있는 모습입니다.
- 눌림중 상승 곡선을 하방이탈 해주며 고점매물대 중요라인 밑으로 하락하였지만 고점매물대 하단(55585)의 지지를 받으며 중요라인 위로 올라와준 모습입니다.
- 중요라인 위로 올라와준채로 유지해준다면 12시~1시 이후로 직전고점을 돌파하려는 상승시도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직전 고점 돌파시 단기상승파동의 확장 100% 구간인 59576 부근까지의 상승이 가능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중요라인 위로 안착해주지 못하고 다시한번 하락추세가 진행된다면 54086 부근 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여지고있습니다.
- 생성된 단기상승채널의 하방이탈이 이루어 진다면 50840부근까지의 하락 추세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지지 예상 구간
- 56108~55815~55585 (중요!! 고점 매물대 D.POC와 POC 그리고 매물대 하단)
- 54987 (중요! 횡보매물대 중심부)
- 53230 (중요! 횡보매물대 하단부와 상승추세선)
- 50842 (중요!!! 변곡라인이므로 하방이탈시 하락추세 진행 가속화 가능성 다분)
- 저항 예상 구간
- 57069~57210 (중요! 고점 매물대 상단과 상승파동 확장 61.8%)
- 58328 (신고점 갱신구간)
- 59576 (상승파동 확장 61.8%)
- 61274 (중요! 대상승파동 확장 61.8%)
Masterpattern
나스닥 상승추세지속?! 아니면 유턴하고 와이드닝패턴?!#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관점공유 #크랙
- 전일 브리핑에 언급 드린것과 같이 12831.50~12899.50 사이구간에서의 저항이 출현하며 와이드닝패턴의 가능성을 띄우며 조정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박스권 상단이었던 12714.50 부근의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수렴상단추세선까지의 추가 하락이 가능해 보입니다.
- 다만 수렴상단추세선에서 반등이 출현해주어도 박스권 내부로 회귀하게 되는것이기 때문에 수렴상단추세선에서 리테스트 매수 접근을 하실 분들께선 12714.50을 다시 돌파해주는지 확인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 수렴상단 반등 이후 박스권 상단인 12714.50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와이드닝 패턴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면 중장기적인 추세는 하락추세로 변곡확정이 될 가능성이 보입니다.
- 지지 예상 구간
- 12714.50 (중요!! 지지 해주지 못할 경우 수렴 상단까지의 하락 가능성 및 하락 추세 변곡 가능성)
- 주황색 수렴 상단 (중요!! 지지해주지 못할 경우 하락 추세 변곡 가능성 다분)
- 12512 (중요!!! 조정 이후 반등 발판으로 보기에 가장 중요한 지지라인)
- 저항 예상 구간
- 12787.25 (단기, 하락중 양봉도지캔들)
- 12831.50 ~ 12854.50
- 12899.50 ~ 12908.25 (중요!! 돌파시 중기 상승추세 진행 가능성)
뭐? 나스닥이 400포인트짜리 박스권 이라구?!#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관점공유 #크랙
- 어제 생성된 12715.50~12309.25 4시간봉 종가 매물대안에서 계속하여 큰 박스권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전일 하락이후 금일 상승을 시도하고있는 모습이며 단기적으론 상승추세처럼 보이지만 큰 모습에선 아직까진 하락추세가 진행중이라고 볼수있습니다.
- 계속하여 고점을 갱신해주지 못하여 저점을 같이 낮추는 모습이었지만 금일 새벽 저점을 지켜주며 반등을 해주고 있는 모습으로써 수렴의 모습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 예상되는 단기적인 저항구간은 12477.75~12512로 보여집니다. 해당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2030~12015부근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 위 저항을 돌파해주며 상승해준다면 박스권 상단인 12714.50의 돌파가 중요합니다. 전고점인 12715.75를 갱신해준다면 추가 상승에 가능성을 볼수도 있지만 돌파 이후 상승세를 이어주지 못하고 하락추세로 전환된다면 12714.50~12309.25의 박스권움직임의 연장으로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 만일 상승추세가 지속된다면 12831.50~12899.50사이의 저항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해당 구간은 피보나치 확장과 중기상승채널(초록색)의 중심선이 겹치는 위치로 저항을 받고 추세가 하락추세로 변곡된다면 큰 와이드닝 패턴의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금일 주요 경제지표
- 21:00 -> 미 에너지청 단기에너지전망 (오일/나스닥 영향 예상)
- 지지 예상 구간
- 12309.25 ~ 12281.75 (중요!! LL의 신규생성시 12030~12015까지의 하락가능성 높아짐)
- 12030~12015 (중요!! 지지해주지 못할경우 11500부근까지의 장기적인 하락추세 가능성 높아짐)
- 저항 예상 구간
- 12477.75 / 12491.75 (피보나치 확장 저항)
- 12512 (중요!! 매물대 중단, 변곡라인 1H 봉마감 위치 중요)
- 12621.50 (피보나치 확장 저항)
- 12715.75 (중요!! 돌파시 1H 봉마감 확인 필수)
- 12831.50~12899.50 (중요!!! 저항시 변곡된다면 큰 와이드닝 패턴의 가능성 높아짐)
비트코인 조정추세 끝?! 아니면 아직 조정 더 남았냐?!#비트코인 #빙본 #1시간봉 #관점공유 #크랙
- 추세지속형 다이아몬드 패턴의 확정 이후 강한 매수세를 보여주며 상승을 이어가고있는 비트코인입니다.
- 패턴의 목표가인 54029.61와 4H 단기매물대인 57987.15~53230.82의 중심값인 54086.51이 겹치면서 54086.38이라는 고점을 만들고 주춤 하는 모습입니다.
- 단기 하락채널(하얀색)을 상방돌파 한 이후 아직 리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은것으로 확인되며 리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최대 52261~52143.38까지의 눌림 가능성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 하지만 눌림이 53230.82에서 지지를 해준다면 단기적으론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볼수있으며 54987 / 56108~55815.36까지의 상승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 56108.48~55815.36구간은 전고 매물대의 POC , D.POC 라인 사이에 중상승파동의 100%확장구간, 소상승파동의 141.4%확장구간이 겹치는 구간으로 강한 저항을 기대해볼수 있는 구간으로 보여집니다.
- 큰 추세는 상승추세가 진행되고있기떄문에 단기적인 매도 대응보다는 눌림시 단중기적인 매수접근이 좋아보이는 상황입니다.
- 지지 예상 구간
- 53230 (4H 단기매물대 하단)
- 52261~52143 (중요!! 2/18~2/20 매물대 상단과 중확장파동의 확장 0.618, 소확장파동의 상승 0.618이 겹치는 구간)
- 51694~50842 (중요!! 2/18~2/20 매물대의 중단,하단과 4H 변곡라인)
- 저항 예상 구간
- 54029~54086 (4H단기매물대 중단과 다이아몬드패턴의 목표가)
- 54987~55585 (4H단기매물대 상단과 고점매물대 하단)
- 55815~56108 (중요!! 고점매물대 POC, D.POC / 중상승파동 확장 1 / 소상승파동 확장 1.618)
최근 우리를 환장하게 했던 이 녀석. 드디어 해결법을 찾아버렸습니다. [와이드닝/브로드닝 패턴]#브로드닝 #와이드닝 #확장형 #Broadening #Widening #토미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
오늘은 최근에 코인, 선물, 주식, 외환 등 종목과 시장을 불문하고 어느 타임프레임에서도 매번 보이는 세력의 단골 패턴 와이드닝 혹은 브로드닝 패턴에 관련해서 제대로 준비했습니다. 해당 기법은 저희가 최근에 수 많은 연구와 백테스팅을 통해 개발한 최신 방법론입니다. 저희만 알고 있으려고 이거 풀지 말지 고민했는데 다 같이 잘 먹고 살면 좋은거니깐 그냥 공개하겠습니다.
이 확장형 삼각형 패턴은 몇 년 전만 해도 어쩌다가 한번씩 나오는 희귀한 패턴이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세력(마켓 메이커)들의 장난질과 스캠질이 심해지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금융 시장참여자들이 급증하면서 자주 출몰하는 패턴이 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런 형국의 가격흐름이 요즘 자주 나오는 펀더멘털/원천적인 이유를 아래에 몇 가지로 정리해봤습니다.
1. 온라인 정보 인프라 발달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의 비슷해진 시장 관점으로 취약성 집단화 현상 발생 (비슷한 진입/손절/익절 가격대)
2.주문/호가창으로 개미들 주문량 현황 단기간에 수월하게 파악하고 흔드는 퀀트로 잦아진 세력들의 스탑/돌파헌팅 (손절가 치고 밑에서 물량 다 받아서 올리기)
3.날이 갈수록 극단화 되고있는 세력들의 금융지능(AI, 딥러닝, 머신러닝) 및 학습 퀀트로 개미들의 투기성 심리 쉽게 유발 -> 특히 버블 시장에서 자주 출몰하는 FUD(Fear, Uncertainty, and Doubt)와 FOMO(Fear of Missing Out) 혹은 패닉바이/패닉셀 적극 활용
이로 인해 요즘 차트는 불트랩, 베어트랩, 휩소, V자 반등, 긴 꼬리캔들 그리고 와이드닝 패턴 같은 녀석들이 툭하면 나타나 개미들의 뇌동나사를 쉽게 풀어 버립니다. 제가 마스터패턴 자료들 한창 업로딩했을때도 자주 언급드렸었죠. 적을 이길 수 없으면 같은 편이 되라구요. 고래들을 이길 수 없으면 고래 패턴들을 연구해 그들의 등에 타고 캐리 받으면 됩니다.
그런데 그게 생각보다 쉽지가 않죠? 눈 뜨고 코 배어가는 느낌으로 알면서도 당하는 게 세력 패턴입니다. 우리 새우들이 괜히 어설프게 고래 등 타려다가 우리 등이 터질 수 있으니 이왕 탈 거 제대로 타야합니다.
이 와이드닝 / 브로드닝 형국이 언제든지 항상 나올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항상 대응할 수 있도록 때로는 세심하게 때로는 공격적이게 트레이딩 성향의 유틸리티 및 유동성 조절을 잘 하셔야합니다. 전 고/저점 리테스트 진입은 항상 짧은 손절가 설정을 하시던가 거래량이 많을 때는 이왕이면 그냥 자제하시는 게 좋습니다. 일단 본 패턴을 정의부터 해봅시다. 이쪽 세계가 원래 주관적인 면이 있고 비교적 최근에 자주 보이는 녀식이기 때문에 제가 개인적인 경험과 뇌피셜을 바탕으로 정의해보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Widening(Broadening) 패턴은 "LL(Lower Low)와 HH(Higher High)가 연달아 나오는, 저점으로 이어진 추세선은 하락, 고점으로 이어진 추세선은 상승으로 두 추세선들이 Diverging(다이버징)하는 확장형 삼걱형"입니다
LL이 나오고 다음 스윙(파동)이 전 고점을 돌파해 HH를 만들 것 같으면, 혹은 HH가 나오고 다음 스윙(파동) 전 저점을 이탈해 LL를 말들 것 같으면 우린 해당 패턴 출현 여부를 어느정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HH/LL이 만들어지기 전 세개의 고/저점들로 피보나치 확장과 디스조인트 채널을 동시에 작도해 다음 파동의 고점을 타겟팅 해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작도법들은 위 차트 내에 기재해드렸습니다. 피보나치 확장(Fibonacci Extension) 1.414, 1.618, 1.818, 그리고 2 레벨들과 디스조인트 채널/삼각형(Disjoint Channel)이 겹치는 구간을 노리시면 됩니다.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21/3/8 현재 저녁 차트입니다. 바로 들어 맞아버리죠.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1시간봉 조금 더 큰 그림입니다. 몇일 전에 나온 브로드닝 패턴도 디스조인트 채널 상단과 1.618% 확장 레벨이 겹치는 구간에서 저항이 나왔습니다.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5분봉입니다. 작은 봉에서도 당연히 잘 먹힙니다.
아래 차트는 나스닥 무기한 물 1시간봉 지금 현재 차트입니다.
아래 차트는 국내주식 셀트리온 일봉입니다. 어제 제가 셀트리온 분석글 올렸을때도 보니깐 여기에도 딱 들어맞더라고요.
그러면 이제 세력들에게 그만 당하는 개미들이 됩시다!
그러면 이제까지 토미트레이딩팀의 토미였습니다.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무지막지하게 큰 힘이 된답니다=)
셀트리온 여기서 반등 못 나오면 더 떨어질수도..#셀트리온 #국내주식 #코스피 #토미 #일봉
- 셀트리온 일봉입니다. 제가 약 7주 정도 전에 셀트리온 전략을 올렸는데 제 1차 저항구간에서 24% 저항, 1차 지지구간에서 약 29% 반등이 나왔습니다.
- 30~40만원대에서 계속 위아래로 흔들면서 저점과 고점을 꾸준히 낮추고 있습니다. 이후 검정색 상승 채널 하단의 지지를 받고 1차 반등이 출현한 상황입니다.
- 지금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소가 바로 이 검정색 상승 채널 하단 하방 이탈 여부입니다. 다시 한번 채널 하단의 지지를 테스트하러 온다면 뚫리는 쪽으로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 하단을 잘 지켜주고 반등 나온다면 보내주고, 만약에 이탈이 나와서 추가하락이 나오는 흐름이 출현한다면 밑에서 매수 진입해볼만한 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EP: 251000 SL: 226500(-9.76%) TP1: 281500(+12.15%) TP2: 292000(+16.33%)
EP: 221000 SL: 200500(-9.28%) TP1: 247000(+11.76%) TP2: 292000(+16.33%)
EP: 185000 SL: 150500(-18.65%) TP1: 229500(+24.05%) TP2: 267500 (+44.59%)
셀트리온 많이 올랐네요#국내주식 #셀트리온 #일봉 #토미
- 셀트리온 일봉입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셀트리온 브리핑을 올려드린게 2020/09/12이네요 지난 브리핑에서 언급드린 2차 지지구간에서 약 75% 반등 출현했습니다.
- 최근에 오렌지 추세선 이탈 이후 해당 추세선 리테스트구간에서 저항을 한 차례 받았습니다. 그리고 저항선인 366000을 계속 못 뚫고 눌림을 받고 있습니다. 366000 상방돌파 성공하면 추가 상승 염두하셔도 좋습니다.
- 현재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285000~295000, 260000~270000, 그리고 202000~212000입니다. 두번째 지지구간에서 반등 못나옥 250000 뚫리면 추가하락 염두하셔야 됩니다.
- 고려중인 저항구간은 380000~390000, 407000~417000, 그리고 442000~452000입니다. 해당 저항구간 잘 참고하셔서 익절가 잘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기아차 K8 세단 이쁘게 잘 나왔네요~ #기아자동차 #국내주식 #코스피 #토미 #일봉
- 요즘에 애플과의 협상 건으로 말 많은 기아차 일봉 로그차트입니다. 그래서 결국 애플이랑 협상이 결렬됐다는 건가요?
- 뭐 어쨌든 이번에 신형 K8이 출시되면서 많은 국산차 애호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실내사진이 엊그제 공개됐는데 개인적으로 센터페시아는 BMW, 계기판+스크린은 벤츠를 약간 따라한 것 같은 느낌이 없지 않아 있지만 수입차한테 안 꿀리게 완전 럭셔리하게 잘 빠졌더라고요.
- 작년 3월 이후로 102000에 고점을 형성하고 이번에 처음으로 약 27% 정도의 큰 되돌림/조정파동이 나온 상황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평행 채널 돌파 이후 재차 채널 내로 재진입하는 흐름이 나왔네요.
- 로그 차트에 작도된 빨간색 곡선 상승 추세선에 주목해주세요. 선형 차트에서 주목할만한 상승 추세선을 로그차트에 작도한겁니다.
- 해당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저번주에 장을 마감하긴 했지만 83200원에서 지속적으로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 추세선 반등으로 인해 83200원을 돌파하는 움직임이 나온다면 단기적으로 87000~89000까지는 추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겠지만 빨간색 선형 추세선이 뚫리고 종가마감을 해준다면 추가 조정 시나리오에 더 무게를 두시는 게 좋겠습니다.
- 아래는 신규 매수 진입해볼만한 자리들입니다.
EP: 71500 SL: 68500(-4.20%), TP1: 75800(+6.01%), TP2: 78200(9.37%) (3/18까지 유효)
EP: 64400 SL: 60300(-6.37%), TP1: 69800(+8.39%), TP2: 73700(+14.44%)
EP: 53100 SL: 49300(-7.16%), TP1: 56900(+7.16%), TP2: 58900(+10.92%)
- 현재 일봉 RACD에서 제법 아래에서 골든크로스가 임박해보입니다. 이번주에 골든크로스가 출현한다면 상승 파동이 한번 더 나올 수 있으니 잘 모니터링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세상을 쥐락펴락하는 달러. 요놈이 스캠이니 모든 종목들이 난리지.#달러 #DXY #일봉 #주봉 #토미
- 요즘 세상의 모든 증시, 상품, 외환, 통화, 자산들을 쥐락펴락하는 달러입니다. 현재 흰색 단기 상승 채널과 1:1 피보나치 확장이 겹치는 구간(92 부근)의 저항을 테스트 중입니다.
- 저항이 어느정도 나올 수도 있는 구간이긴 하지만 해당 구간이 뚫리면 92.5 정도까지는 열어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요즘에 와이드닝 혹은 브로드닝 패턴 정말 많이 보입니다. 저점은 낮아지고, 고점은 높아지는 확장형 패턴이 종목과 타임프레임을 불문하고 차트에 매번 보이네요.
- 때문에 요즘에 트레이딩하실 때 전 고점/저점 뚫렸다고 해서 무조건 그 방향으로 포지션을 무리하게 진입하지 않는 게 좋아보입니다.
- 와이드닝 패턴 그리고 마스터 패턴 관점으로 전 고/저점에서 리테스트 지지/저항이 안나온다면 그 방향으로 더 세게 추세가 터질 수 있으니 짧은 손절도 필수입니다.
- 조금 더 큰 그림에서 파란색 장기 상승 추세선을 하방이탈하고 리테스트 저항을 확인하러 가는 모습입니다.
- 아래 트레이딩 셋업은 3/22 이전에 DXY가 추가 상승을 하는 움직임이 나온다면 추세선 리테스트 저항 구간에서 스윙 숏 포지션 진입해볼만한 자리입니다.
Short (3/22까지 유효)
EP: 92.800
SL: 93.340 (540틱)
TP1: 92.060 (740틱, RR: 1.37)
TP2: 91.670 (1130틱, RR: 2.09)
무포가 최고의 포지션인 이유 [관망의 중요성]#토미강의 #전략강의 #뇌동매매 #원칙매매 #무포의중요성 #관망
안녕하세요. 토미입니다 =)
제가 최근 개인레슨, 강연, 회원님들 트레이딩 코칭 해드리면서 예상외로 많은 분들이 갖고 계시는 안 좋은 매매 버릇을 지적해드리고자 자료와 글을 만들게 됐습니다. 특히 데일리 트레이더분들, 단타나 스캘핑을 주로 하시는 분들 꼭 숙지시길 바랍니다. 제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 중 어느정도 개인매매로 산전수전 겪어 보시고 살아남으신 고수분들은 어느정도 공감하실 겁니다. 바로 무포가 최고의 포지션이라는걸요. 여기서 제가 뜻하는 건 매매를 아예 안하고 계속 띵가띵가 노시라는 뜻이 아닙니다.
대부분 많은 분들이 차트분석의 위대함을 느낀 뒤 트레이딩 세계에 입문하고 실전에 써먹으면서 매매에 한창 빠지는 시기가 있습니다. 내가 정말로 열심히 공부한 걸로 실질적인 수익을 맛보면서 그 차익실현의 쾌락에 푹 빠져 하루 종일 모니터 앞에 있거나 스마트폰 붙들고 있는 분들 많으십니다. 정말 매매라는게 엄청난 매력이 있죠? 본인이 분석한 차트가 딱 들어맞으면서 지갑이 빵빵해질 때. 크 이때의 크 쾌감은 해본 사람만 알 겁니다. 하지만 이거 하나는 꼭 명심 하셔야 합니다. 저희는 돈을 벌려고 매매를 하는거지 재미 있으려고 매매를 하는게 아닙니다. 물론 돈을 벌면 재미가 있겠지만, 이 두 요소의 우선순위가 바뀌신 분들이 간혹 계십니다. 간혹이 아니라 요즘 꽤 많이 계십니다. 지금 손 내려놓고 눈 감으시고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단 한시라도 포지션 진입이 되어있지 않으면 불안하신 분들.
빅롱/빅숏에 일희일비하시는, 놓치면 배 아파하시는 분들.
매매가 본업에 지장을 주는 분들. (매매, 본업 둘 다 안되죠?)
손절/익절하고 매번 빨리 털었다고 후회하시는 분들.
주변으로부터 매매중독 소리 한달에 다섯번 이상 들으신 분들.
매매 때문에 본인의 생활습관(청소, 샤워, 수면시간대 등)이 자주 바뀌시는 분들.
요즘에 실적 괜찮으셨나요? 괜찮으신 분들도 당연히 계시겠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들은 잘 들으세요. 어느 순간 피폐해진, 페인이 된 거울속에 비친 여러분의 모습을 보시고 한번 외치세요. “정신 차려!!!” 라고요. 머리에 떡이 진 기름과 피부에 발라져 있는 기름기… 아마 뇌동나사에 칠해진 기름이 흘러내린 게 아닌가 생각해보세요.
물론 개인마다, 트레이딩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무리한 진입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자주 보시는 분들은 잠깐 마우스 내려놓으시고 걸려있는 주문 다 취소하시고 한번 명상하면서 자아성찰 해보시길 바랍니다. 손실 난 거 얼른 복구하고 싶은 마음 가득한 거 잘 이해합니다. 그런데 더 큰 손실이 나기 전에 제 말 믿고 한번만 시간적 여유를 갖으시고 머리 좀 식혀보세요.
제 예전 글인데, 무조건 매매 횟수가 많다고 누적 수익이 올라가는 건 절대 아닙니다. 본인의 매매성향과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 무리하게 많이 진입을 하면 수수료도 많이 나갈 뿐더러 체력과 집중력 고갈로 인해 뇌동나사가 금방 풀리게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본인이 하루에 몇 시간 혹은 몇 번 진입을 할지, 얼마를 벌면/잃으면 그만둘지 대충이라도 정해 놓으시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본인은 하루에 +100만원/-50만원 정도의 손익과 하루에 4~5번 진입이 위의 그래프의 피크 좌표라면, 그에 맞게 일간 손익비와 진입횟수를 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개인의 매매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다 상이할겁니다.
예전 글에 이런 말씀을 드린 적 있습니다. 매매에 중독된 사람 치고 매매 잘하는 사람 못 봤다고요. 제가 개인적으로 인정하는 실력파 트레이더들 보면 차트 보는거라던지 트레이딩 세업 설계하는 거 우리와 별로 다를 바 없습니다. 그들에게 극한 우월감을 느꼈던 게 뭐였나면 그들은 No Trading Zone을 선정하는 안목이 정말 탁월합니다. 진짜 관망을 기가 막히게 잘합니다. 단순히 특정 트레이딩 셋업 진입할지 말지 정하는 것 뿐인데, 덜 확실한 자리 몇 번 덜 들어가고 무포지션 유지하는 것 뿐인데 그 작고 미묘한 차이에서 어마어마한 기량, 내공, 그리고 성과 차이가 납니다.
저희처럼 차트를 기반으로 투자를 하는 트레이더들은, 각자의 특정한 기술적 기준을 가지고 투자 여부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트레이더는 추세선, 피보나치, 매물대, 채널, 이평선, 볼린저밴드, 일목구름, RSI, 스토캐스틱, 엘리엇파동이론 등 총 10개의 이론과 기법들을 기준으로 진입을 할지 말지 결정합니다. 10개중 다수의 기준들이 시그널을 준다면 진입을 하는거고, 10개중 다수의 기준들이 시그널을 주지 않는다면 진입을 하지 않습니다. 한편 B라는 트레이더는 이평선과 RSI만 고려하는 트레이더라고 칩시다. 2개중 하나만 시그널을 준다면 바로 진입을 해버립니다. 두 트레이더 중 누가 이길까요? 당연히 A트레이더가 상대적으로 B트레이더보다 더 많은 변수들을 고려했기 때문에 진입률(횟수)은 적더라도 더 확실한 자리들을 잘 도출할 수 있겠죠?
이렇게 우리는 차트에서 Confluent Zone, 즉 여러 기술적 요소들이 동시에, 비교적 같은 가격대 혹은 시간대에 유의미한 신호를 주거나 Overlap되는 구간을 찾아 Price Action이 나올 구간들을 도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요즘에 진입횟수가 높은데 성과가 잘 나오지 않는다면 진입횟수를 더 줄이시고 원래는 60% 확실한 자리에 들어가셨다면 80% 확실한 자리에 들어가세요. 본인에게 그리고 요즘 장에 잘 맞는 지표들과 기법들을 더 연구해보시고 진입 기준치를 늘리셔야 합니다.
번외로 뇌동나사가 풀리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1. 스탑헌팅 (손절가 세력들 새끼손가락으로 딱 건드리고 올라가는) 당할 때
2. 돌파헌팅 (추격/돌파 진입했는데 페이크/휩소인) 당할 때
2. 진입가 완전 근접하게 반등/저항 나와서 버스 놓칠 때
3. 익절했는데 더 올라갈 때 (홀딩 더 하면 더 수익 볼 수 있었을 때)
4. 익절가 거의 다왔는데 아쉽게 내려서 손절날 때
5. 연속 손절 콤보 크리 뜰 때 (원칙 잘 지키면서 손절 잘했는데 계속 손절하게 될 때)
6. 일간 목표 수익 달성했는데 (더 욕심) 계속 매매 진행할 때
7. 일간 허용 손실 도달했는데 (바로 복구하려고) 매매 계속 할 때,
8. 하루 종일 기다려도 자리가 안올 때
뇌동나사가 풀리면 우리는 원래 정말 확실한 자리만 들어갔을 때와 달리 덜 확실한 자리도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이 뇌동나사가 풀렸다고 느껴졌을 때 최대한 빨리 차트 끄시고 매매 중단하세요. 머리를 조금 식히시던지 그날은 매매 쉬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샤워, 산책, 게임, 수면, 영화시청 등 뇌가 차트 잠시동안이라도 차트 생각 생각을 안하게 해야 나사가 다시 조여지더라고요.
여러분들도 뇌동나사 관리하는 좋은 팁 있으면 댓글에 공유해주세요~
이만 마치겠습니다. 토미트레이딩팀의 토미였습니다 =)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에게 정말 큰 힘이 된답니다!
여러분은 코인시장에 언제 들어오셨나요? [재미로 보는 비트코인 연대기]#재미로보는 #비트코인 #연대기 #토미
안녕하세요. 토미입니다.
올해 비트코인 불장에 새로 코인 입문하신 분들이 생각보다 너무 많더라고요.
물론 저도 크립토 및 블록체인 기술이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믿는 사람으로써 우상향할거라는 걸 믿고 있는 사람이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 입니다.
17년도에 일명 ‘박상기의 난’때의 그 공포를 겪어 보셨던 분들은 아실겁니다. 밑으로 한번 꽂기 시작하면 빠꾸 없이 원웨이로 내려버리는 그 무빙을..
조정은 언젠간 오긴 할 겁니다. 그게 지금이 됐든 아니면 7~8만불까지 간 다음에 됐든.. 언제 올지는 신 혹은 일론 머스크 아니면 모릅니다.
이렇게 장이 과열될수록 항상 보수적이게, 원칙 잘 지키면서 매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꼭 손절가, 익절가 손익비 맞게 잘 설정해 두시고 잘 지키세요!
특히 이번 불장 때 새로 들어오신 코인 뉴비분들 항상 명심하세요.
빠꾸 없이 올라온 파동은 빠꾸 없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이번주에 방향이 크게 나올 수도 있으니 조심하세요!#삼성전자 #코스피 #국내주식 #일봉 #토미
- 현재 오렌지 상승 채널 하단 지지 테스트 중입니다. 해당 채널과 단기 바닥인 81,000원 밑으로 뚫리면, 디센딩 트라이앵글 하방이탈 비슷한 형국 나올 수 있으니 잘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 일봉 지표상으로는 지난 몇 주 동안 횡보기간을 거치면서 과열이 많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때문에 추세선 뚫린다고 무조건 빅숏이 나오는 시나리오보다는 어느정도 되돌림을 주고 다시 상승 흐름이 나오는 시나리오에 개인적으로 더 가중을 두고 있습니다.
- 신규 매수 진입자리 찾고 계시는 분들이 주목해볼만한 지지구간들입니다.
EP: 78300~79300 SL: 77000 TP: 81000, 82200 (3/10까지 유효)
EP: 73400~74400 SL: 72600 TP: 76600, 78900 (3/12까지 유효)
EP: 68100~69300 SL: 67100 TP: 71300, 71300 (4/12까지 유효)
EP(Entry Price): 진입가
SL(Stop Loss): 손절가
TP(Target Price/Take Profit): 익절/청산가
비트코인 매수 매도 전략#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현재 제 하락관점 엘리엇 파동 카운팅과 고려중인 주요 추세선, 채널, 매물대, 피보나치 레베들입니다.
자리가 올지 모르겠지만 큰 변동성이 주말에 나온다면 고려해볼만한 트레이딩 셋업입니다.
- Short
EP: 51400 SL: 51920 TP: 50760, 50160 (3/1 새벽 01:00까지 유효)
EP: 52950 SL: 53780 TP: 52110, 51520 (3/3 오후 13:00까지 유효)
- Long
EP: 43800 SL: 43020 TP: 44660, 45410 (2/28 오후 16:00까지 유효)
EP: 41900 SL: 40840 TP: 43140, 43640 (3/2 오후 17:00까지 유효)
EP: 39750 SL: 38360 TP: 41860, 43460
비트코인 37K가냐?! 찐반가냐?!#비트코인 #빙본 #4시간봉 #관점공유 #크랙
- 전일 새벽 반등세를 이어주지 못하여 다시한번 큰폭의 하락이 출현하였습니다.
- 단기하락파동의 확장 100%구간과 중기하락파동의 확장 61.8% 구간에서의 반등이 작용해주어 반등추세를 잘 이어준다면 다시한번 고점 갱신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저항은 47333 / 48788 / 50920으로 보여지며 50920위로 안착하기 전까지는 하락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저항을 돌파해줄 경우 고점 갱신에 대한 가능성을 볼수있습니다.
- 저항을 돌파하지못할 경우 44k~43k의 지지확인을 추가적으로 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만일 44k~43k의 지지가 하방이탈된다면 전고 매물대인 40854~37923 구간 까지 하락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 지지 예상 구간
43776(단기) / 40854 / 39389 / 37923(중요!)
- 저항 예상 구간
47333(단기) / 48788 / 50920(중요!) / 54086 / 56554
[엘파강의] Diagonal 파동에 대한 모든 것#엘리엇파동이론강의 #토미강의 #Diagonal #Wave #종결쐐기형 #다이아고널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오늘은 엘리엇 파동 이론 중 다이아고널(Diagonal) 파동 구조에 대한 강의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저도 이번 자료 준비하면서 알았는데 한글로는 ‘종결 쐐기형’이라고 한답니다. 종결쐐기..! 무슨 게임 캐릭터 궁 스킬 이름 같네요. 그냥 편하게 이 글에서는 다이아고널 파동이라고 통칭하겠습니다.
통상적인 충격파동(Impulsive Wave) 구조는 5-3-5-3-5 지그재그 구조로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세가지 룰을 가지고 있습니다.
1) 2파는 1파의 저점보다 내려갈 수 없다.
2) 1, 3, 5파 중 3파는 가장 짧을 수 없다.
3) 1파의 고점과 4파의 저점은 겹칠 수 없다.
하지만 제가 예전 엘리엇 파동 강의에서도 몇 번 언급드린적도 있고 제가 분석한 종목들 자세히보시면 가끔 Leading 혹은 Ending Diagonal Wave라고 써 놓고 평소 랑은 조금 다르게 충격파동 구조를 카운팅한걸 본 적 있으실 겁니다. 저 위의 1번과 2번 룰은 절대로 어겨서는 안되지만 3번은 몇번의 예외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이 다이아고널 파동입니다.
네. 좀 어이가 없죠. 여태 기껏 1파와 4파는 겹칠 수 없다고 배워놨더니만 무슨 치트키도 아니고 이제와서 예외가 있다고?ㅋ 어쩌겠습니까.. 엘리엇 아저씨한테 따지셔야죠.. 귀걸이 코걸이 이론이라고 말씀 드렸잖아요. 엘리엇 아저씨가 만든 이론이 쉬운 게 아닙니다.
Diagonal 파동은 1파와 4파가 겹치는 걸 허용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충격 파동 구조와 큰 차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5-3-5-3-5 뿐만 아니라 3-3-3-3-3 지그재그 소파동 구조로도 형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3-3-3-3-3이 뭐냐면 쉽게 말해 일반적인 충격파동 구조처럼 2파와 4파만 ABC 소파동 구조로 되어있는 게 아니라 1~5파가 모두 ABC 소파동 구조로 형성이 되어있다는 소리입니다 (Triangular Correction Wave ABCDE랑 흡사). 그리고 통상적인 충격파동 구조처럼 3파는 가장 짧을 수 없고 2파는 1파 밑으로 내려갈 수 없습니다.
또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하나의 다이아고날 파동 구조 사이클 내에서 형성된 추세선입니다. 보통 저희 엘파 트레이더들은 하나의 파동 사이클을 하나의 채널 혹은 삼각형으로 작도하는 걸 좋아합니다. 왜냐면 정통 이론상 하나의 파동 사이클은 하나의 채널 내에서 형성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Channeling Wave Theory). 항상 그렇다는 건 아니고요. 우리들은 파동들이 형성될 때 주요 채널, 쐐기, 그리고 삼각수렴 패턴들을 지켜주는지 아니면 이탈이 나오는지, 이탈이 나오면 충격 파동의 어느 비율까지 되돌림을 주는지 등을 반영해 다양한 시나리오들의 유력성에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다이아고날 파동에서 마지막으로 중요한 법칙은 1파와 3파의 고점들로 형성된 추세선을 5파가 돌파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통상적인 다이아고날 파동은 1파와 3파로 작도한, 그리고 2파와 4파로 작도한 두 추세선이 쐐기형태로 형성이 됩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브로드닝 훅은 와이드닝 (Broadening / Widening)이 많이 나오는 장인만큼 Expanding Diagonal(익스팬딩 혹은 확장 다이아고날) 파동 구조도 자주 보입니다. 확장 다이아고널 파동 구조는 두 추세선이 Converging하는(모이는) 형상이 아니라 Diverging하는(벌어지는) 형상으로 보통 세부 파동 구조 내에서 1파보다 5파가 더 길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이아고널 파동은 크게 Leading과 Ending으로 나뉩니다. Leading 다이아고날 파동은 충격 1파와 조정 A파에서, Ending 다이아고날 파동은 충격 5파와 조정 C파에서 나옵니다. 이 말인 즉 슨 3파에서는 다이아고널 파동이 나올 수 없습니다. 1파 이후 3파로 의심했던 파동이 다이아고널 그조로 나왔다면 다르게 카운팅을 하시거나 아니면 3파가 아닌 Ending Diagonal C파로 의심을 해보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파동 사이클 내에서 다이아고널 파동구조가 2번 이상 나올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하나의 충격 파동 사이클 내에 1파와 5파 둘 다 다이아고널 파동이 될 수 가 없고, 하나의 조정 파동 사이클 내에 A파와 C파 둘다 다이고널 파동이 될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WXY에서 W에 하나 Y에 하나는 가능).
이렇게 길고 거창하게 썼지만.. 사실 엘리엇 파동 이론을 애초에 안 쓰시는 분들이라면 절대 몰라도 되는 세부 이론입니다. 제가 항상 회원님들, 수강생들, 제 커뮤니티에서 엘리엇 파동을 배우고 싶어하시는 분들에게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엘리엇 이론을 처음부터 안 배우시고 다른 기법/이론들을 배우신 분들이라면 그냥 엘리엇 파동 이론 안 배우는 걸 추천드린다고요. 괜히 어설프게 배웠다가 기존에 본인이 잘 구축한 조합의 기법들이 망가질 수가 있습니다. 물론 끝까지 제대로 통달하시면 아예 모르는 것보다는 좋긴 하겠지만 하루 아침에 배울 수 있는 기법도 아니며 실전에 적용시킬 때까지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만약 엘리엇 이론을 이미 배우셨거나 조금이나마 본인의 기술적분석 및 트레이딩 전략에 반영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왕 활용하실 거 제대로 배우고 숙지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이상 토미 트레이딩 팀의 토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에게 정말 정말 큰 힘이 된답니다 =)
어떤 차트적 요소들을 조정의 조짐으로 볼 수 있을까? #토미 #비트코인 #원화차트 #BTCKRW #빗썸
- 비트코인 주봉 원화 차트입니다. 계속 달러 차트로만 보다가 오랜만에 원화로 보니 적응이 안 돼네요. 비트코인 17년도에 비트코인 2천만원 시대라고 좋아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거의 7000만원까지 갔었다니.. 진짜 오지게도 올려놨네요.
- 간만에 큰그림에서 비트코인이 차트적으로는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브리핑드리고자 조금 더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해보았습니다. 일단 해당 분석은 장기적인 관점이라 고려하는 가격 범위가 넓으니 로그 스케일 차트로 기술적분석을 진행해봤습니다.
- 과연 우리는 비트코인의 어떤 시그널들과 조짐들을 바탕으로 상승 추세에서 하락 추세로 바뀌는 변곡점을 미리 잡을 수 있을까요? 사실 차트 상으로는 많은 기술적 지표와 이론들이 조정의 조짐을 예전부터 시그널링 해주고 있었어요. 근데 다들 잘 알잖아요ㅋ 요즘엔 차트 지표 몇 개 가지고 함부로 빅쇼트 왈가왈부하면 안된다는거..
- 그래서 요즘 같은 장은 함부로 타점 혹은 엣지에서 진입하려고 리스크를 거는 것 보다는 조정 시그널들이 더 많은 조짐을 보여주면, 평단은 조금 손해 보더라도 확인매매를 하시는 게 좋습니다.
- 제가 그나마 주봉 상 변곡 시그널이라고 개인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요소들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첫번째로는 저 저번주에 상방돌파 성공한 이 빨간색 장기 상승 평행채널의 상단 밑으로 다시 캔들이 내려오고 주봉마감을 했을 때 어느정도 의심을 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 두번째로는 주봉 RSI 클라우드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 다이버전스 형성하고 과매수 구간과 파란색 상승채널 하단을 동시에 이탈 시도 중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약 73 정도 되어보이는 이 레벨을 이탈하고 주봉 마감을 한다면 조정 시나리오에 더 가중을 두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세번째로는 주봉 MACD 히스토그램이 줄어들기 시작할 때 의미부여를 하셔도 좋습니다. 현재 MACD의 오실레이터, 시그널라인, 그리고 히스토그램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많은 시장참여자들이 주봉 MACD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단 이번 주봉이 어떻게 되는지가 제일 먼저 지켜볼 요소인 것 같습니다. 현 주봉의 저점이나 고점이 갱신된다던지, 양봉으로 전환이 되거나 장대음봉으로 종가 마감을 한다던지 잘 모니터링 하셔야겠습니다.
- 현재 고려중인 지지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4,500~4,800만원 (리스크 어느정도 있음)
3,800~4,100만원
2,350~2,550만원
위 구간들까지 자리가 온다면 매수 받아볼만 하다는거지 저 가격대까지 하락할거라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 자리가 올지 안 올지는 신이 아닌 이상 알 수가 없습니다. 자리 안 오면 그냥 쿨하게 보내주고 다른 종목들 보시는 게 정신건강에도 좋고 뇌동나사도 잘 안 풀립니다.
PRE코로나 버전 차트 교과서는 버리세요. POST코로나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셔야됩니다.(시메트릭 트라이앵글편)#시메트릭트라이앵글 #삼각수렴 #횡보패턴 #토미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트레이딩팀의 토미입니다 =)
오늘은 여러분들을 위해 실용적인 자료를 준비해봤습니다. 벌써 우리 인류가 코로나한테 괴롭힘을 당한지 한 5분기(1.25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판데믹 이후로 시장은 좀처럼 우리 차트쟁이들을 내버려두지 않았습니다. 세력들의 갖은 장난질과 그 기괴함/빈번함은 종목을 불문하고 과해지고 있을 뿐더러 우리들의 예상을 빗나가는 형상들을 자주 보여줬습니다.
특히 이번에 글로벌 금융세계의 30년 사이클 음모론이 돌기 시작하면서 세력들이 많이들 교체가 되었네 마네 등 무성한 소문들과 딥러닝/AI에 접목된 세력들의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가면서 개미들의 취약한 민 낯을 나날이 들어내고 있습니다. 오래 매매하신 분들, 특히 마진이나 선물 상품 트레이딩하시는 분들은 더욱 공감하실 겁니다. 요즘은 예전보다 훨씬 세력들의 무빙, 패턴, ㅈㄹ같음은 더 심해졌습니다.
적절함과 적당함이 많이 사라져버린 요즘 차트. 난무하는 세력들의 스탑/추격 헌팅, 휩소, V자 반등, 만리장성 캔들꼬리 등 정통적인 기술적 분석 이론과 기법들로만 가지고는 상대적으로 생존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적을 이길 수 없으면 적과 한패가 되라”라는 야비하면서도 어떻게 보면 현실적인 말이 있습니다. 어차피 아무리 해도 고래들을 이길 수 없으면 고래 등에 타서 캐리 받는 법을 터득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항상 세력의 입장에서, 다수의 개미들이 구글과 유튜브에서 보고 어설프게 배운 정통 차트 분석법으로 뻔하디 뻔한 자리에 대기 타고 있으면 자본이라는 무기로 어떻게 털어버릴 지, 끝없이 연구하고 대응하셔야 합니다. 네. 말은 참 쉽죠?
제가 위에 나열해 놓은 패턴들은 현존하는 모든 수렴 및 횡보 경우의 수입니다. 보편적이고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수렴 이탈이 나온 방향으로 포지션을 진입하면 됩니다. 밑으로 뚫리면 숏, 위로 뚫리면 롱! 근데 이건 최근에 제 유튜브에 출연하신 저희 이모도 잘 아시는 기법입니다. 요즘에 이거 잘 안되죠? 수렴/횡보 막바지에 방향 나오는 척해주면서 위아래 털고 내려가던가, 카드 긁듯이 개미들 손절가 싹 긁어버리고 캔들 꼬리 영수증 남겨두고 올려버립니다.
미칠 노릇이죠. 그래서 요즘은 뻔히 보이는, 너무 obvious한 자리라던지 너무 기본/정통적인 기법 및 이론들만 가지고 찾는 자리는 믿고 거르셔야합니다. 물론 그 자리가 다 틀렸다는 건 아니지만, 요즘처럼 흐름을 쉽게 좀 잡을 수 없는 장에는 불확실성(Uncertainty)이 조금만이라도 붙으면 과감하게 자제하는 게 맞습니다. 또한 이런 장일수록 손절의 중요성도 더욱 느끼실 겁니다. 요즘엔 손절 타임 까딱 놓치면 바로 깡통 소리가 들리죠. 잔소리 이제 그만하겠습니다.
위의 수렴/횡보 패턴들 중 오늘은 Symmetrical Triangle(시메트릭 삼각수렴)에 대해 준비해봤습니다. 시메트리컬 트라이앵글이란 저점은 올라가고 고점은 내려가는, 수렴의 중심 레벨이 비교적 중앙에 있는 수렴 형태입니다. 모든 수렴횡보는 언젠가 꼭 이탈 방향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수렴 중 거래량과 변동성이 점점 감소하면서 이탈 방향(위/아래)이 나올 때 큰 거래량이 실린 캔들이 나오곤 합니다. 시메트릭 삼각형이 보일 때 어떤 기법들로 진입/손절/익절가를 도출을 하는지 제가 한땀한땀 열심히 그려봤습니다. 차트에 선과 글자들이 아닌 캔들로 그림을 그려보고 싶네요 =(
기술적 분석을 통해 우리는 진행중인 추세와 Price Action구간(지지/저항이 나오는 가격대)을 확률적으로 찾습니다. 지지/저항 구간은 제가 자주 강조 드렸듯이 ‘Confluent Zone’을 찾는 겁니다. 컨플루언트 구간이란 여러 주요 기술적 요소들이 겹치는 구간입니다. 예를 들어서 추세선만 지나가는 구간보다는 추세선 외에 피보나치 레벨, 이평선, 전 매물대, 채널 하단, 일목구름, 볼린저밴드 하단 등 더 많은 요소들이 Overlap되는 구간에게 더 높은 신빙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과 지표들이 겹치는 구간들을 Confluent Zone이라고 합니다.
장 난이도와 변동성이 높아질수록 우리는 더 확실하고 신뢰성이 높은 자리에 배팅을 해야합니다. 원래는 3개의 요소만 겹쳐도 유의미한 구간으로 간주하셨다면 이제는 10개의 요소들이 겹치는 구간이 아니면 과감하게 포기하고 다른 자리 찾는 걸 연습하셔야 합니다. 제가 위에 정리한 기법들은 크게 매물대, 피보나치 확장, 그리고 평행 채널 이론입니다. 요즘 시장에 그나마 잘 맞는 기법의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작도를 하다 보시면 이렇게 주요 구간들이 겹치는 자리들이 보이실 겁니다. 본 구간들에서 기대해볼 수 있는 Price Action의 성향을 활용하여 진입, 손절, 그리고 청산가 정할 때 참고하시면 됩니다. 물론 요놈들만 고려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원래 여러분들이 기존에 고려하시던 요소들 외에 더 추가하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특히 요즘에는 예상했던 지지/저항이 나오지 않고 역으로 뚫린다면, 그 뚫린 방향으로 추세가 크게 나오는 경향이 더 커졌습니다. 어떻게 보면 기술적분석 관점으로 요즘 마스터 패턴 이론, 더블 SR Flip, 와이드닝/브로드닝 패턴의 활용성과 의존성이 높아지는 원천적인 이유이기도 하겠네요. 실력이 되시는 분들은 손절 짧게 잡으시고 롱/숏 포지션 스위칭 즉각으로 대응 잘만 하시면 큰 파동 제대로 먹을 만한 자리도 꽤 보입니다.
조만간 다른 패턴/수렴 편들도 업데이트 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내 평단가가 항상 저항선인 이유 [SR FLIP에 대한 모든 것]#SRFLIP #토미강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
오늘은 현존하는 많은 기법과 이론들에 기본 적용이 되고 있는 SR FLIP의 개념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 매매하다가 이런 적 있으신가요? 매수 물려서 존버했는데 본인의 평단가에서 계속 저항을 받을 때. ‘왜 하필 내가 들어간 구간이 저항구간이지?’ 평단 조금 더 오르면 약익절하려고 했는데 계속 진입가/평단가를 넘지 못하고 결국에 떨어져서서 좌절했던 경우… 그리고 드는 생각, ‘아까 그냥 본절까지 올라왔을 때 그냥 욕심부리지 말고 털 걸…’ 아마 다들 한번 이상 경험해보셨을겁니다. 물론 심리적으로 이런 특정 상황이 여러분에 더 기억에 남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기술적 분석 관점으로 해석해보면 다 이유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진입하기 전 여러가지 요소 및 기준들을 바탕으로 매수가를 정했을 겁니다. 하지만 여러분 말고도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동일한 가격대를 지지구간으로 보고 매수를 대기하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해당 구간에서 반등이 나와서 수익 실현을 하면 다행이지만, 차트는 당연히 우리가 원하는 대로 항상 흘러가질 않습니다. 우리가 항상 손절을 잘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만약에 세력들이 본 구간에서 반등 안나오게 눌러버리면, 현명한 트레이더들이라면 매수가 밑에서 잘 손절을 했을테고, 덜 현명하거나 장기 포지션으로 진입한 트레이더들은 손절 안하고 홀딩을 하고 있겠죠. 따라서 반등이 안 나오고 뚫린 이 매수구간은 많은 사람들의 진입, 손절, 익절, 평단 가격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이 구간은 더 이상 지지가 아닌 저항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SR(Support Resistance) Flip이란 말그대로 지지와 저항이 바뀌는(Flip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지선이 뚫리면 저항선, 저항선이 뚫리면 지지선이 되는 개념이죠. 엘리엇 파동 이론에서 1파와 4파가 겹칠 수 없는 법칙도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꼭 평행 지지/저항선 말고, 추세선, 매물대, 이평선, 채널, 일목구름 등 여러 기법과 지표들에게도 이 SR FLIP 개념은 적용됩니다. 여기까지는 웬만큼 차트 보시는 분들이라면 이미 다 알고 계실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변동성이 높고 휩소가 툭하면 나오는 장에는 더더욱 말이죠. 바로 FLIP이 된 구간에서 기다리고 있었던 저지/저항이 안 나오고 뚫려버리면 그 구간은 다시 FLIP이 한번 더 된다는 겁니다(Double Flip). 쉽게 말해 저항선이 뚫려서 지지선이 되었는데, 예상과 달리 지지선에서 지지가 나오지 않고 이탈을 해버리면 그 지지선은 다시 저항선이 됩니다(저항선 -> 지지선 -> 저항선).
아까 서론에서 말씀드렸듯이 만인이 보고 있는, 누가봐도 확실한 진입자리에서 지지/저항이 안나오면 이런 Double Flip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요즘처럼 Widening/Broadening 패턴, V자 반등, 휩소, 스탑로스 및 돌파진입 헌팅, 그리고 긴 캔들꼬리와 같은 형국들이 자주 출몰하는 장과 종목일수록 FLIP이 두 번 이상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마스터 패턴에서 휩소로 한번 흔들어 주고(C-zone에서 1차 리테스트 실패) 이후에 C-zone에서 2차 리테스트 저항/지지가 나오는 개념입니다.
만약에 어떠한 이유로 본인이 정해 놓은 구간에서 손절을 못하고 물렸을 때, 제 경험상 그냥 욕심 버리시고 본절/평단가/진입가 구간에서 나오시는 게 낫습니다. 손익비 생각한답시고 계속 들고 한참 위에서 익절하실 분들은 그렇게 하셔도 좋습니다. 그런데 손익비를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셨을거면 상황이 이렇게 되기 한참전에 잘 손절 하셨어야죠. 이미 손절 못하고 물린 것 자체가 원칙매매가 아닌 뇌동매매를 해서 벌어진 상황이고 이제 와서 손익비 생각하면 늦었습니다. 평단 근처에서 나오신 다음에 평단 돌파 컨펌되면 재진입을 하시던, 평단 근처에서 반대 포지션을 타시던, 저항 받고 내려오면 밑에서 다시 타시던, 아니면 그냥 아예 다른 자리를 찾는 게 평균적으로 더 현명한 전략입니다.
제가 요즘 저희 회원님들에게 누누이 강조를 드리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개미들이 똑똑해지고 차트를 잘 보게 되어도 이 금융시장에서 개미 생존율인 5%는 불편한 진실이자 불변의 법칙이라고요. 만약에 개미 10명 중 8~9명이 Yes라고 하면 No라고 외치는 1~2명 소수들의 통찰력과 안목에 더 주목을 하셔야됩니다. 때문에 예전과 다르게 요즘엔 만인이 보는 자리는 믿고 거르시는 게 낫습니다. 아무리 본인의 관점과 여태 공부해왔던 기법들이 그 자리가 맞다고 해도 다수의 사람들이 같은 자리를 주시하고 있다면 신뢰성과 가중을 빼는 게 좋습니다. 물론 그 자리가 맞는 자리일수도 있지만 불확실성이 조금이라도 붙는다면 저는 가차 없이 Filtering out하고 다른 자리 찾는 편입니다. 정 미련을 못 버리시겠다면 차라리 어떻게 되는지 보고 기다렸다가 해당 자리에서 Price Action이 어떻게 나오는지 보고 확인매매로 대응을 하는게 평단은 조금 손해보더라도 리스크를 확 줄일 수 있는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시장에서 생존하시려면 95%와는 다른 내공과 안목이 있어야 그나마 그 5% 안에 들 확률이 높겠죠?
이상 토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너무나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 RSI클라우드 채널 하단 리테스트 저항 조심하셔요~#토미 #비트코인 #XBTUSD #4시간봉 #중기분석
-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최근 $49,876(비트멕스 기준)에 역사상 최고점을 기록하고 전 매물대들 언제 존재했냐는 듯이 조정없이 내리꽂았네요. 조금 더 큰 그림에서는 요즘 유행하는 고점은 높아지고 저점은 낮아지는 와이드닝/브로드닝 패턴이 또 나왔습니다.
- 4시간봉 RSI Cloud 보시면 노란색 채널 이탈하고 현재 채널 하단 저항 테스트 중인 걸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노란색 채널 저항 받고 떨어지는 시나리오에 더 가중을 두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44 뚫리고 종가마감 시 하락세가 더 동반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고려하고 있는 매력적인 매수구간은 $44,800~$45,600(18일 새벽 5시까지 유효), $41,200~$42,000, $38,000~$38,900, 그리고 $34,000~$34,900입니다.
- 숏 진입해볼만한 매력적인 저항구간은 $49,000~$49,600(17일 새벽 5시까지 유효), $50,300~$51,000(18일 새벽 9시까지 유효), $51,800~$52,500, 그리고 $54,500~$55,500입니다.
- 제 상승관점 엘리엇 파동 카운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매도/Short Selling이 우리나라에서 없어지면 벌어질 일#기초강의 #숏에대한모든것 #공매도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제 글은 정치색과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이번주말은 대한민국의 트레이더(말이 거창하지 그냥 동학개미)로서 수치스럽고 창피하면서도 저희 나라의 금융 문화가 선진국에 비해서 많이 뒤떨어졌다는 생각이 든 날인 것 같습니다. 공매도를 영원히 금지하자는 국민청원이 20만명을 어제 돌파했고 이제 원칙적으로 청와대가 공식 의견을 표명해야 합니다. 판데믹 여파로 작년 3월부터 6개월 동안 일시적으로 금지된 공매도는 총 7.5개월 금지 기간이 연장돼 올해 5월 2일에 재개될 예정입니다.
일단 공매도(Short or Short Selling)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통상적이고 보편적인 금융 상품은 쌀 때 사고 비쌀 때 팔아 차익 실현을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파생상품들이 많아져서 가격이 오를 때, 내릴 때 혹은 변동성이 클 때, 적을 때에 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들이 많아졌습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들을 빌려서 판 뒤 실제로 주가가 내리면 이를 싼 가격에 다시 사들여 해당 상품을 갚는 투자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상품의 가치/주가/증시의 상승이 아닌 하락에 무게를 두고 진입 평단보다 오르면 손실, 내리면 수익이 나는 상품입니다. 영화 빅쇼트 혹은 국가부도의날에서 경제 과열/버블 혹은 위기를 미리 예측해 숏을 쳐 부자가 되는 내용인데 여기서 주인공들이 치는 숏이 바로 공매도입니다.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경제로 어쩔 수 없이 바지 졸라매고 금리인하 및 양적완화로 유동성 올리고 인플레이션 시키고… 때문에 지금 당장의 섣부른 금리 인상과 증시에 부정적인 효과를 부를 수 있는 이슈들은 단기적으로 경제에 큰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주변 지인들, 회원님들, 친구들 (특히 자영업자분들) 먹고 살기 힘들어하고 뉴스에선 세계 전염병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수많은 사상자들과 서민 사회경제가 붕괴되고 있는 사례들이 계속 쏟아지는데 코스피/나스닥은 정말 멈출 줄 모르고 지들이 무슨 용인 마냥 승천하고 있습니다. 현실세계에서 체감하는 차트와 모니터속 차트의 괴리감이 너무나도 컸기에 역대 다이버전스(Divergence)시그널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근 몇 달간 허구한날 빅쇼트 노래를 부르면서 몇 번 과도한 욕심으로 인해 점차 소심해지는 제 자신을 보면서… 이러다가 막상 빅쇼트가 와도 못 먹는거 아닌지 수만가지의 지표들과 이론들로 눈 뻘개질때까지 제대로 된 조정장의 조짐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영화 빅쇼트가 조명하는 과거 미국 서브모기지(Sub-Mortgage Crisis) 사태를 예측하고 공매도 혹은 CDS(Credit Default Swap, 신용부도스왑) 포지션을 진입한 트레이더들이 주인공 말고도 분명 많이 있었을 겁니다. 그때도 아마 숏 포지션 진입한 여럿 트레이더 및 펀드사들이 버티지 못하고 손절을 했거나 강제청산을 당했을 겁니다. 그 중에 타이밍을 잘 잡고 좋은 트레이딩 및 운용 전략을 새운 트레이더들에게 스포트 라이트가 비춰지는 거죠. 그런데 정말 시대가 변할수록 무서운 게 모두가 이 상황이 버블이라는걸 인지하면서도 버블이 지금 터질지, 아니면 몇배 더 커진 다음에 터질지 우리 개미들은 알 도리가 만무합니다. 경제 버블은 자본주의 특성 상 회피할 수 없는 사이클 현상입니다. 과거 버블 모델들, 케이스 스터디, 관련 연구들을 보면 알겠지만 붕괴되는 버블이 크면 클수록 그로 인한 개미들의 희생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뜨겁게 과열된 이 거품이 언젠가 터지긴할텐데 도대체 그게 언제일지.. 추세가 머리나 어깨인 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니깐 그때가 무릎이었고.. 이렇게 요즘 버블들은 그나마 예전보다는 똑똑해진 개인 시장참여자들에게 FUD(Fear, Uncertainty, and Doubt)와 FOMO(Fear of missing out)같은 투기심을 훨씬 잘 불러 일으킵니다. 요즘 진짜 운전수(세력/기관)들 개미 뇌동나사 ‘툭’ 치면 바로 풀리게 차트 잘 그립니다. 정말 운전수가 아니라 차트 배경에 캔들이라는 물감으로 현대 미술을 창작하는 아티스트라고 할까봐요. 전 개인적으로 글로벌 거품이 터질 때도 무섭긴 하겠지만 그것보다 거품이 훨~씬 더 커진 다음에 터진다면 불러일으킬 막대한 피해가 더 무섭습니다.
차트, 트레이딩 세계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적절한 조정 없는 원웨이 파동은 안전하지 않다.” 물론 제가 약간의 각색을 했지만 기술적 분석 관점으로도 어느정도 되돌림을 지속적으로 주고 오르는 가격 흐름이 더 이상적이고 변동성이 덜한 조정을 줍니다. 하지만 요즘 차트들은 이런 ‘적당함과 적절함’이 없어졌습니다. 너무 극단적이고 투기적이면서도 동시에 저 차트에 당했을 개인투자자들 생각하면 안쓰럽습니다. 수많은 스탑헌팅과 V자 반등, 난무하는 스캠무빙에 찔리면 아플 것 같은 긴 캔들 꼬리들… 특히 코로나 이후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세력들(기관과 외국인들)에게만 차입공매도가 허락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은 불리한 위치에 있고 저도 이부분을 아니꼽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이게 공매도를 영원히 금지시킬 이유는 절대 될 수 없습니다. 그 불평등을 해소할 만한 기술적/정치적/경제적 장치 혹은 정책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리스크를 줄여줄 생각을 해야지 무작정 공매도 시장을 영구 폐지하자는 건 장기적인 관점에서 오히려 개인투자자들에게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어로는 공매수 공매도가 Long과 Short인데 우리나라는 용어부터 빌공자를 써서 뭔가 부정적이고 공허하고 음지일거같은.. 없는 주식을 속여서 파는 뉘앙스를 풍기게끔 이름을 지어서 그렇지 공매수 공매도는 예전 역사부터 존재했던 일반 거래의 한 형태입니다. 해외에선 개인 트레이더들이 롱과 숏을 치는 문화가 정말 당연하고 평상적입니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만 뭔가 공매도를 나쁜 취급하고 편견을 갖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 사례들이 금융산업에 공매도라는 시스템이 인플레이션 속도를 안정화시켜줄뿐더러 더 큰 악형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버블들을 막아주는 장치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바 있습니다. 해외 연구 논문에 따르면, 실제로 공매도 투자자들로 산업 정보들이 더 능동적으로 조사가 되기 때문에 기업감시기능이 활발하게 작동하는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시장이 기업 가치에 대해 더욱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끔 해줌으로써 금융산업의 정보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공매도의 가격과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매수의 가격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넘어서질 못합니다. 이 말인 즉슨, 공매도가 팔아서 가격을 낮춘다면 매수는 사서 가격이 오릅니다. 이 두가지는 방향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는 같은 펀더멘탈 목적으로 시장에서 이행되는 거래입니다. 공매도가 매도세라서 하락 모멘텀을 가져오기 때문에 금지해야 한다는 말은 일반적인 매도도 금지해야 한다는 논리가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매도가 박스피(박스권 코스피)의 주범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매도가 일시적으로는 급상하는 종목들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공매도가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명확한 ‘물증’은 아직 입증된 바 없습니다. 그동안 코스피가 3천을 못 넘었는데 공매도 금지 정책 때문에 3천을 찍었다라는 근거없는 주장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일반 매도도 금지하면 코스피가 5천, 6천 가나요? 절대 말도 안되는 말입니다.
주요국 중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는 국가는 한국과 인도네시아 밖에 없습니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공매도 금지의 장기화로 글로벌 자급 유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한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외딴섬’ 혹은 ‘은따’가 될까봐 우려하고 있습니다.
“The fear from short is one of the most unnecessary trading physiological FUD coming from the people viewing the market way up too close.”
“공매도에 대한 공포는 미시적인 관점만으로 시장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허위의 공포입니다.”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여러분들의 구독,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골드 매수 추세 유지? 단기 조정?#골드 #무기한물 #1시간봉 #관점분석 #크랙
- 1월 한달간 큰 횡보를 보여준뒤 2월초 큰 하락을 보여주었지만 반등세를 강하게 보이며 1월에 만들어준 매물대 내부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 현재 4H매물대중하단(1842.5) 부근 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 단기적인 지지라인은 4H오더블락중심값(1836.8)로 보여지고 있으며 해당구간 지지후 1842.5를 상방돌파 해준다면 다시한번 단중기적인 상승추세를 보여줄것으로 예상됩니다.
- 상승세가 강하지만 1월 횡보 매물대에 진입하였으므로 4H매물대하단(1827.6) 부근까지의 조정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방향성이 애매한 상황이므로 매매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저항 예상 : 1842.5(단기) / 1849.7~1851.8(단중기) / 1858.7~1859.8(중기) / 1863.6~1867.7(중장기)
지지 예상 : 1836.8(단기) / 1828.9~1827.6(중기) / 1814.4부근(중장기)
오일은 어쩌면 90불까지 풀롱일수도?!#오일 #무기한물 #1시간봉 #관점분석 #크랙
-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는 오일입니다.
- 오일은 큰 눌림이 오더라도 재차 반등해주며 고점갱신을 하는 모습입니다.
- 단기하락추세저항선(하얀색)을 상방돌파 해주며 다시한번 강하게 매수 추세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며 단기적인 저항 자리는 58.87~58.99정도로 보여집니다.
- 하지만 해당 저항대는 다른 추세선들과 겹치지 않으므로 돌파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피보나치 확장과 다른 추세선들이 겹치는 59.32~59.34근처에서의 저항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해당구간에서 저항이 나온다면 58.87~58.99 구간에서 지지를 해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1차적 청산 자리로 보여집니다.
- 단기 하락추세를 상방돌파 해주었기때문에 큰 조정없이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매도접근보단 눌림에서의 매수 접근이 좋아보입니다.
- 눌림이 온다면 이전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0.618(58.20)과 단기매물대(58.30~58.10)이 겹치는 구간에서의 매수 접근이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단기하락추세선(하얀색)의 하방이탈로 이어질수 있기때문에 58.30~58.10 반등 확인이후 매수 접근이 안전해 보입니다.
- 모든 저항구간들은 제대로된 저항 작용보단 돌파후 지지 역활로 변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매도 대응 보다는 눌림목 매수 접근이 안전해 보입니다.
***
저항 예상 : 58.99~58.87(단기) / 59.32~59.34(중기) / 59.99~60.11(중장기)
지지 예상 : 58.30~58.10(단기, 지지확인 필요)
그리고 어쩌면 90불까지 풀롱일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