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LMUSD 스텔라루멘 매매시그널에 대해서XLMUSD 스텔라루멘 매매시그널에 대해서
X L M U S D 차트의 경우
1. 0.786% 의 피보나치 비율 지지레벨영역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율값을 지켜줄시 AB=CD 패턴의 보정비율인 1.272% 보정비율을
상승목표값으로 설정해볼수있습니다.
2. 단기 하락추세선과 수평지지선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락하는 파동에 쐐기형 수렴형태를 진행하고있습니다.
단기 하락추세선을 상승돌파시 추가상승의 가능성에 대해서 열어두게 됩니다.
3. 보조지표의 시그널은 다이버전스의 흐름을 이어가고있습니다.
반전가능성에 주목해봐야합니다.
4. 캔들 매매 시그널에 주목해보시기 바랍니다.
Hetc
SNTUSD / SNTBTC 스테이터스 네이트워크 토큰 매매시그널에 대해서SNTUSD / SNTBTC (스테이터스 네이트워크 토큰) 매매시그널에 대해서
S N T B T C 차트의 경우
1. 0.786%의 되돌림 레벨에 근접하고있습니다.
이는 강력한 지지레벨에 속합니다.
2. 보조지표의 시그널은 다이버전스의 흐름을 이어가고있습니다.
반전가능성에 주목해봐야합니다.
3. 수렴패턴을 진행하고있습니다.
수렴패턴의 추세하단선에서 반등파동의 가능성을 열어두게됩니다.
4. 캔들에 의해 형성되는 매매 시그널에 주목할필요가 있습니다.
----------------------------------------------------
S N T U S D 차트의 경우
1. 동일선상의 저점에 위치해있습니다.
전일의 저점을 이탈하지 않고 바닥을 다져주고 재차 상승파동이 진행되는지 지켜볼필요가있습니다.
2. 단기 하락추세선과 수평지지선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보조지표의 시그널은 다이버전스의 흐름을 이어가고있습니다.
반전가능성에 주목해봐야합니다.
Bitcoin/비트코인 역헤드엔숄더 패턴의 지지 및 저항 Inverse Head and ShouldersBitcoin/비트코인 역헤드엔숄더 패턴의 지지 및 저항 Inverse Head and Shoulders
BITFINEX:BTCUSD BITSTAMP:BTCUSD POLONIEX:BTCUSDT COINBASE:BTCUSD
현재 많은 트레이더들이 일봉차트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야기 하고있는 진행중인 저항추세선과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그리고 형성될수있는 역헤드엔숄더 반전 패턴 이 있습니다.
-------------------------------------------------------------
현재 2018-02-28
비트코인(비트스템프거래소) 일봉 차트기준으로
반등파동에 성공하여 전일의 하락추세선에 도달하였습니다.
하락추세선과 넥라인을 강하게 상승 돌파할것인가?
아니면 재차 하락추세선과 넥라인의 저항점에서 강하게 조정을 받을것인가?
상승하는 파동이 하락추세선과 넥라인을 강하게 상승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저항받고 하락하여 직전의 저점(0.382%비율) 을 재차 이탈하게된다면
다음 지지레벨에서 매수포지션을 찾아야합니다.
이는 fib(피보나치) 0.618%의 다음값을 볼수있으며
넥라인과 하락추세선을 강하게 상승돌파한다면
추가 상승에 대한 파동이 진행될수있으며
이는 되돌림 파동이 발생한다면 재차 좋은 매수기회가 발생하게 됩니다.
넥라인을 상승돌파와 되돌림 파동발생이후에는
저항레벨 영역(Resistance level) 14415.30~14813.74 가격까지
상승목표값을 설정해볼수있으며 또는 역헤드엔숄더 패턴의 최소상승폭까지도 계산해볼수있습니다.
-------------------------------------------------------------
역헤드엔숄더 패턴의 완성은 Neck line (넥라인)을 상승돌파후
되돌림 파동이 발생할때 그 다음파동의 목표값을 찾을수있습니다.
* 넥라인을 강하게 상승 돌파하기 전까지
역헤드엔숄더 패턴은 오른쪽 어깨의 진행형으로 해석하게 되며
넥라인은 저항선에 의미를 둡니다.
오른쪽 어깨에서 반등상승이 실패하여
넥라인을 돌파하지 못하고 직전의 머리를 하락돌파하면 패턴은
무효화로 해석하게됩니다.
-------------------------------------------------------------
Bitcoin/비트코인 역헤드엔숄더 가능성에 대해서 Inverse Head and Shoulders Bitcoin/비트코인 역헤드엔숄더 가능성에 대해서 Inverse Head and Shoulders Pattern
BITFINEX:BTCUSD POLONIEX:BTCUSDT BITSTAMP:BTCUSD
전일 분석에 이어 추가 분석글을 진행합니다.
현재 많은 트레이더들이 일봉차트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야기 하고있는
진행중인 저항추세선과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그리고 형성될수있는 역헤드엔숄더 반전 패턴 이 있습니다.
역헤드엔숄더 패턴의 완성은
Neck line (넥라인)을 상승돌파한 이후 되돌림 파동이 발생할때
그 다음파동의 목표값을 찾을수있습니다.
* 넥라인을 강하게 상승 돌파하기 전까지
역헤드엔숄더 패턴은 오른쪽 어깨의 진행형으로 해석하게 되며
넥라인은 저항선에 의미를 둡니다.
오른쪽 어깨에서 반등상승이 실패하여 넥라인을 돌파하지 못하고
직전의 머리를 재차 하락돌파하면 패턴은 무효화로 해석하게 됩니다.
오른쪽 어깨가 진행될수있는 노랑색영역 피보나치 fib 되돌림 영역 0.382%~0.618% 입니다.
*오른쪽 어깨가 진행되는 구간에서는 좀더 작은 타임프레임에서 매매에 대한 시그널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매매 시그널은 캔들 , 보조지표 , 추세선 , 패턴등 다양한 관점에 속합니다.)
여기서 우측 어깨의 가능성이 진행될수있는
매매에 대한 시그널은 0.382~0.618%의 비율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할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입과 청산 그리고 즉각적인 가격대응이 자주 발생하는 구간에 속합니다.
-----------------------------------------------------------------------------------------------------------
역헤드엔 숄더 패턴은 넥라인을 상승 돌파해야 그 의미를 부여합니다.
그전까지는 언제나 진행 가능성에 주목한다는것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이는 패턴이 완성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가격이 흘러갈수도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포지션을 진입하던 손절의 기준점을 잡고 대응하는것이 중요합니다.
-----------------------------------------------------------------------------------------------------------
BTCUSD/ Bitcoin / 비트코인 Head and Shoulders 헤드엔숄더패턴에 따른 지지 및 저항Head and Shoulders Chart Pattern
헤드엔숄더 차트패턴
BITFINEX:BTCUSD POLONIEX:BTCUSDT XCOIN:BTCKRW
1.
헤드엔숄더 패턴의 우측어깨가 완성과 넥라인의 하향돌파
이후 되돌림(Pulbeck) 파동이 발생하는지 지켜볼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넥라인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하는 파동이 진행형이라면 목표가 값을 참조 할 필요가 있습니다)
되돌림파동이후에는 헤드엔숄더 패턴의 최소하락폭만큼
추가 조정파동이 발생할수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게 됩니다.
* 헤드엔숄더 패턴의 완성은
넥라인을 하락 돌파한 이후 되돌림 파동이 발생할때 그 의미를 둡니다.
2.
패턴 매매를 지향하는 경우 주목해볼수있는 가격대는
8056.2~8299.8 Supprot level 구간입니다.
아래와 같은 전략을 진행해볼수있습니다.
Bullish Support level PRZ
(매수 잠재적 반전영역)
Entry (진입가) : 8056.2~8299.8
SL (손절가) : 6957.5
TP#1 (1차 청산가) : 9637.6
TP#2 (2차 청산가) : 10458.8
3.
헤드엔숄더 패턴의 최소하락폭 도달값은
단기 반등포지션이 발생할수있는 가격대입니다.
Target 8931.8 (목표가)
이는 Support level #2 9240.3~9391.5
(지지레벨)과 근접구간입니다.
오차범위 상승의 가능성도 발생할수있는 구간으로 해석
4.
조정파동에 단기적 관점의 지지레벨구간을 찾는다면
Supprot level 9577.0~9668.8
지지매물대 가격을 참조해볼수있습니다.
BTCUSD /Bitcoin / 비트코인 지지레벨 및 저항레벨조정파동 진행시 순차적으로
주목해볼수있는 지지레벨 가격대 입니다.
Support level #1 (지지레벨) 10103.2
Support level #2 (지지레벨) 9243.1~9386.0
Support level #3 (지지레벨) 8092.9~8285.2
---------------------------------------------------
Down Trend line (하락추세선) 근접
선형눈금과 로그눈금에 따른 추세선 차이점
(로그눈금의 하락추세선 경우 12000.0 ~ 12300.0이상까지 열어두고있으며
이는 엘리어트 5파동관점에 해당하는 가격대)
(선형눈금의 하락추세선 경우 패턴의 0.886%와 전체 되돌림 0.382% 비율값과 근접)
파동관점에서 4파동의 조정파동 영역이
0.236%~0.382% 비율 사이값을 기준으로 마무리 되었다고 가정한다면
5파동의 예상 목표값은 12058.4~12548.0 가격대로 측정 해볼수있습니다.
(패턴의 저항값을 기준으로 5파동의 값이 미달될것인가? 가격을 채워줄것인가? 관점에서 볼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