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Down Analysis]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아주 오랜만에 인사드리는 것 같습니다.
이번 Top-Down Analysis에서는 비트코인의 상승 반전의 근거 및 이후 지속 가능성 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TCUSDT, W1 chart - 엘리어트 교정파의 완성, 새로운 동인파의 시작?
BTCUSDT, W1
1) 이전까지의 엘리어트 파동 관점의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주의 움직임에서 8월 중순의 전저점이자, C파의 종결점으로 이전까지 보았던 $25.1k Level이 돌파당하며, $24.9k Level까지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24.9k의 하락 포인트를 C파의 종결점 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역시 A파의 저점을 깨지는 못하며, 불규칙 플랫(Irregualr Flat)과 유동 플랫 (Running Flat)의 중간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유동 플랫의 경우에도 추가적인 하락 움직임이, 불규칙 플랫의 경우 최대 $21.7k 까지의 하락도 열려있을 수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한 점입니다.
이 때의 판단 기준은 $24.9k Level의 지지 여부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4.9k Level이 깨질 경우 새로 시작된 동인파의 1파 저점이 깨진 것으로 판단.
$24.9k Level이 무난하게 유지될 경우 새로 시작될 동인파에 대해 기대해 볼 수 있음.
하락 발생 시 가능한 Level입니다.
불규칙 플랫 : B파가 A파의 100~123.6%, C파는 B파의 100% 이상, A파의 161.8% 이하
연장형 플랫 : B파가 A파의 100~123.6%, C파는 B파의 100% 이상, A파의 161.8% 이상
유동 플랫의 경우에도 $24.8k 까지는 재차 하락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불규칙 플랫의 경우 최대 $21.7k 까지의 하락도 열려 있을 수 있습니다.
2) 2주 간의 움직임은 예상했던 상승이 나와주었습니다. 이에 $24.9k의 하락 포인트를 C파의 종결점 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현재의 상승을 새로운 동인파의 시작 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3) 현재 주봉 차트의 캔들패턴은 Bullish Engulfing Candle 이 나타났으며, 금주의 주봉이 $28k 이상에서 마감된다면 Three Outside Up (상승 장악 확인형) 패턴 역시 완성될 수 있습니다. 큰 틀에서의 상승세가 유지될 것 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4) 다만, 현재 국제 정세 상의 매크로 이슈 등이 모든 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 하여 비중을 유지한 보수적인 투자를 권장드립니다.
2. BTCUSDT, D3 chart - Re-accumulation 의 진행 & 상승 채널의 형성
BTCUSDT, D3
1) Wyckoff's Reacumulation의 Schematic을 잘 따라가고 있는 양상이며, 관건은 "$30~ FWB:31K 까지의 무난한 상승이 나타나주느냐" 에 달려 있다고 생각됩니다.
2) 현재의 상승은 상승 채널을 형성해주고 있으며, 금주의 가격 Level은 채널의 중단에 머물러 있습니다. 지금의 움직임 대로 채널 상단을 테스트 하는 상승이 나와줄 수도 있지만, 방향을 바꾸어 채널의 하단을 테스트하는 하락이 나올 수도 있는 시점 입니다. LTF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방향성을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BTCUSDT, D1 chart - 상승 추세선을 지켜주며 상승세 유지.
BTCUSDT, D1
1) 지난 위클리에서 Bullish RSI Divergence 를 언급드리며, 중기적 상승에 대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새로운 지표를 적용했을 때 Bullish CMF Divergence 까지 겹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미리 확인했더라면 보다 상승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차트에 적용된 새로운 지표의 경우 조만간 트레이딩뷰에 퍼블리시 예정입니다.)
2) 최근의 상승은 정석적인 비율의 AB=CD Pattern을 완성 시키며, 되돌림 역시 정석적인 비율로 일어났습니다. 추후 상승이 지속될 경우 Bullish Bat Pattern의 0.618 Level인 $29.4 k 까지의 상승 이 예상됩니다.
3) 약하락이 나타나 상승 추세선을 일시적으로 탈출 하는 Spring 등의 Liquidity Sweep 패턴이 나타날 가능성 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4) 현재 CMF 지표는 -0.03으로 "0" Level에 근접해 있으며, 거래량이 뒷받침된 양봉이 나타나준다면 "0" Level을 상향돌파 하며 좋은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4. BTC.D, USDT.D, Total3 - 상승하고 있는 BTC.D, Total3, 하락 중인 USDT.D
1) 각각 비트도미넌스, 테더도미넌스와 토탈3, 아더도미넌스의 차트입니다.
BTC.D, D1
USDT.D, D1
TOTAL3 / OTHERS.D, D1
2) 장기적으로 설명드렸던 지표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Total 3의 하락 ⇒ 알트 순환매의 종료 & 비트코인, 이더리움으로의 수급 증가
USDT.D의 하락 ⇒ 현재 상방추세선에 도달한 USDT.D가 SFP 이후 하락, 수급 증가가 일어남.
BTC.D의 상승 ⇒ 증가된 비트코인 수급으로 인한 비트코인 가격 & 도미넌스의 상승.
3) Total3의 경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한 시가 총액의 전체 합 을 뜻합니다. 이러한 Total3는 상승 채널을 형성하며 계속해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분간 알트 순환매의 지속 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OTHERS.D 역시 상승중이므로 알트 순환매의 지속은 당분간 유지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USDT.D (테더 도미넌스)는 상방 추세선 부근에서 Swing Failure Pattern 을 만들며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장기적으로는 Swing Low 를 만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며, 예상했던 하락세가 나타나주며 수급 증가 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마지막으로 BTC.D (비트 도미넌스) 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 도미넌스 역시 하락 삼각 패턴 이후 상방돌파가 일어나며 상승 움직임 을 만들어 주었으며, 원했던 상승이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6) 결과적으로 위에서 언급드린 시나리오는 장기적으로 볼 때는 유지할 수 있으며, 크립토 마켓으로의 수급 증가 역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현재 매크로적인 이슈가 어떻게 시장에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리하게 진입할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주요 지지/저항 Level을 정리하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5. 주요 지지 / 저항 Level 정리
Resistance
1) D1 AB=CD D Point $28580
2) D1 Bullish Bat 0.618 Level인 $29.4k
3) D3 Chart의 Re-accumulation 주요 Level인 $30k ~ 31k
4) W1 Chart 상의 주요 Level인 $31.3k, $31.8k, $32.4k
Support
1) D1 AB=CD Pattern의 C-D 되돌림 Level인 $27.6k, 27k
2) D1 AB=CD 의 C Level 인 $25.9k
3) D2 Chart의 Re-accumulation AR Support Level인 $25.8k
4) D1 Bullish Bat의 X Point인 $24.8k
5) D2 Chart 상의 Wyckoff 주요 Level인 $25.2k, $24.2k
현재 크립토 마켓은 알트 순환매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나, 여러 지표들의 움직임은 긍정적인 모습입니다.
또한 비트코인의 차트 구조 역시 지지 구조를 다진 후에 상승 전환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국제 정세 상의 불안 요소가 다수 존재하는 상태로, 이러한 매크로적 이슈가 어떻게 흘러갈지,
또한 자산 시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Harmonictraders
[KOSDAQ] 노근본 코스닥도 갑니까KRX:194480
KRX:041190
퍼블리쉬 이후 게임주들이 꿈틀꿈틀 반응을 보여줬고 데브시스터즈도 목표가 도달했습니다
우리기술투자도 비트 반등과함께 상승해줘서 몇 달 물렸던 포지션도 약 익절로 탈출하고
당장 장이 좋지 않아도 이후 좋은 흐름은 따라갈 수 있을 것 같아서 마음이 편안합니다.
코스닥 종목들은 시총 상위권 종목들도 비중이 낮아서 지수를 그렇게 신경써서 보진 않긴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 가능성으로 보자면 큰 상승도 가능은 할 것 같으면서도 차트 외적으로 리스크 요소들이
너무많아서 계속 지켜보면서 대응하려합니다.
AVAXUSDTPERP 트레이딩 전략아발란체 트레이딩 전략
4시간봉에서 스윙으로 가져갈거고
비트랑 같이 accumulation model 중에서 spring 없는 accumulation model로 보고 있고 하락추세선을 깨고 지지받았기 때문에
하방으로 쏟아서 spring을 만들 가능성은 지금은 좀 적지 않을까 생각 중 임.
Harmonic pattern 상 아직 b포인트도 지나지 않아서 그냥 추측의 영역이고 불완전한 모델이지만
Bearish Bat Pattern 만들 가능성이 있지않을까 보고있음(b포인트가 0.382언저리라 Bearish Alternative Bat 가능성도 있음)
Target Point @21.23
아님 말고
BTC HTF 전략_Wyckoff+Harmonic앞서 15분봉 단위의 ltf에서의 전략으로 봤는데
상대적으로 HTF인 시간봉 단위로 보면
HTF에서도 accumulation model로 보고 단 Spring은 없는 model이긴 하지만 거진 1년 간의 장기 하락추세선을 강하게 깼기 때문에
여기서 냅다 내리꽂는 휩쏘없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보고 Spring도 없을 것으로 생각함.
Harmonic pattern으로 보면 아직 B포인트로 설정한 부분을 넘지않았고 전체 패턴도 완성이 안되어서 불완전할 수 있지만
Bullish Bat Pattern으로 보고 왼쪽 Imbalance구간을 해소하고 위로 좀 더 가지 않을까 싶음
Target Price @22415
아님 말고
2022-08-26 Coff Coor (BTC) 비트코인 관점안녕하세요 코프쿠어입니다
수렴구간해석은 정말이지.. 아이고 의미없다~ 의 느낌입니다
왜냐하면 어디로 튈지에 대해서 아무리 분석을 돌려봐야 51.1:49.9정도의 결론이 도출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잭슨홀미팅 10스캠무빙 예상되어있음. 다들 조심
그럼에도 확률 높은 쪽으로 해석을 해보자면,
해당 사진을 보면, 이전에 크게크게 천천~히 올려온 상승웻지패턴이 깨지며 하방 이탈이 나온 형태인데, 현위치는 그에 비해 캔들로보나 파형으로보나 너무나도 작습니다. 따라서 지표를 함께 보면
적어도 해당 지표가 나오기 전까진 이전에 웻지에서 깨지고 내려온 추세의 지속으로 보는것이 좀더 깔끔한 해석으로 볼수 있습니다. 어제 새벽에도 지루한 수렴탓에 산책을 다녀왔는데, 날씨가 너무 시원~하니 가을같아 좋아서 센치한 노래 1시간 걷다가 호숫가에 앉아 차트를 봤는데 차트관점은 현재관점대로 보는것이 맞다라고 판단했습니다
또, 이렇게 수렴채널을 풀로 채울수도 있어보입니다.
아무튼 작은 수렴의 저점을 깬 이후에 무적권 롱 이게 아니라 4시간 다이버전스 및 스토확인을 할거고, 이쁘게 떨어지는 주요 구간은 20K 20.1K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뭐 짧게 20589정도도 가능함! (하방 지표만 빠르게 식어준다면)
암튼 이구간에서 반등한번 나오면 그때 다시 글쓰는것으로 하고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편이 될 내용에 대해서 스포를 하면, 최종 저점을 어디로 보고 있는지입니다. 저는 17K를 보지 않습니다. 아마 제가 5월즈음에 올린 글일겁니다. 연관 아이디어 링크에 달아둘게요 대응 잘하세요 좋아요좀 박아주세요 돈 안들잖아용 ㅎ 안녕!
2022-07-05 비트코인(BTC) 시황안녕하세요 콧프쿠어 입니다.
다른곳에는 이미 언급을 했지만 트레이딩뷰에서는 언급하지 않아서 최근 근황을 알릴게요!
그동안 팀재생에서 비트코인 시황과 팀활동을 하면서 많은 분들이 좋아해주셨고, 떠날때도 좋은 말씀들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랜 기간의 팀원 활동을 마무리 짓고, 이제 콧프쿠어를 필두로 새로 시작했습니다. Coff Coor Channel 및 Coff Coor Chatting 등의 소통창구가 있으니 관심 있으시면 들어오셔서 차트잡담 나눠요~
이제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일봉단위의 프레임에서, 그리고 주봉단위 프레임에서 이전부터 지겹도록 일관되게 외쳐왔던 시그널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스토캐스틱 중 533은 이미 반등을 시작한 모습이고, 이대로 올라가준다면 가운데 지표인 1066도 골든크로스가 나며 상승에 힘을 보탤것으로 보입니다.
주봉 스토 상황입니다. 방금 언급한대로 날봉에서 상승힘을 받게되면 주봉도 올라올 준비가 되어있는 모습입니다. 때마침 주봉 rsi도 과매도에 위치했기 때문에, 반등나올만한 근거는 충분해 보이네요.
그렇게 된다면
Bearish AB=CD Pattern과 Bearish Butterfly 패턴이 겹쳐 상단 네모박스 구간까지 노려볼만 하겠네요.
어디까지나 일봉과 주봉급의 사이즈로 분석을 한것이고, 하위프레임에서 나오는 조정조정은 짧은 시황으로 올려보려합니다.
18.5에 SL로 표기를 해둔것은 상식적으로는 올릴거라면 굳이 깨려하지 않고 쭉 올릴겁니다.
하지만 요즘 비트코인의 무빙이 많이 더럽다보니 깨놓고도 그제서야 올릴수가 있어서, 예를 들면 "올릴거였으면 여기 18.5 깨러가는게 아니라 지금 바로 쭉쭉 올랐겠지" 라고하며 숏을 잡은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무빙이 나올수도 있구요.
결론을 내리면, 아이디어를 업로드 할때마다 언급했던 Noise move (스캠무빙)가 최근들어 잦기 떄문에 조심해야겠지만, 결국엔 가는 방향대로 갑니다. 따라서 원론적으로 SL를 잡은것이고, 이 부근이 누군가에겐 본절가일수도 있겠네요
방향에 맞게 대응하시면 될거에요 감사합니다.
2022-04-27 비트코인(BTC) 분석안녕하세요 콧프쿠어입니다. 오늘은 평소보다 길게, 또 내용은 알차게해서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항상 분석이나 아이디어를 올리기전엔 많은 가능성을 테스트해보고 관점을 세우고 그에따라 매매하기 때문에 항상 많은 내용을 최대한 전달해드리려고 하지만, 가끔은 성의없어보이기도 할듯하여 하모린님의 수두루 빽빽한 성의 있는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아 저도 한번 오랜만에 성의있게 작성해보려 합니다 ㅎ.ㅎ
본격적으로 분석내용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1)
현구간에서 지지가 됐을때, 추가 하락없이 상승하는 관점입니다. 사진대로 5 이평이 20이평을 타고 지지를 받아올려 단기 저항선까지 도달할 단기상승 가능성입니다.
1-1)
지지가 되지 않는다면, 최소 1시간 프레임에서부터의 상승다이버전스등의 보조지표상 추세전환 신호를 받기 위한 저점을 낮추는 하락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1 과 1-1은 결국 샤크의 C지점이 될 가능성으로 보고 있습니다.
C지점의 값인 1.618 닿기전의 값을 고려하여 상승 반전 신호가 나올시 잡아볼만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부분은 차후 나올 방향성을 보고, 재차 업로드를 하던 추가 아이디어로 작성을 하던 해서 브리핑 하겠습니다.)
2)
지금의 자리는 큰 봉대의 흐름을 절대 무시할수 없는데요. 날,주,달봉들을 분명히 고려해야합니다.
주봉 1066은 이제 막 데크가 나려하고 있기 때문에, 완연한 상승을 보는데에 방해가 되는 요소입니다. 주봉이 아닌 날봉도 아직 애매한 구석이 분명히 존재했구요. < 이 점 때문에, 어제밤 하락은 예상이 가능했습니다. 이미 언급한 내용이기도 하구요.
어쨌든, 이런 부분만 좀 해소가 되어준다면
날.주봉등 3스토를 볼때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하락지표만 좀 해소가 되어준다면 그 후엔 하락보단 상승을 보는것이 더 매끈한 해석이라 생각합니다.
바로 위 주봉 1066 스토캐스틱 사진에서 데크가 나려 하는 부분에서 하락이 좀더 남았든, 횡보가 남아있든 예측을 해볼수 있겠지만, 이게 다 해소가 되고 골크가 날때까지 그래도 최대한 괜찮은 가격대에서 방어를 해주어야 할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상승이 얼마 안남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큰 하락전에 한번 더 상승이 있을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해당 장기 하락 관점에 대한 언급은 12월 말 ~ 1월 초에 업로드한 아이디어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시 아이디어는 엘리엇 파동 이론에 근거하여 작성한 글이며, 샤크의 형태로 봐둔 하모닉은 값도 무시했던거고 사실상 의미가 없습니다. 하단에 차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볼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3월3일에 업로드한 아이디어 인 중기적인 관점이었던 48K 가틀리 관점같은 경우에도, 거진 한달이상을 걸쳐 완성이 되었네요. (하단에 차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볼수 있습니다.)
롱을 받아볼만한 구간에 대해서는 ALT BAT과 각종 피보나치 비율, 그리고 채널등의 개념의 종합으로 잡아두어 해당 아이디어 본문 차트에 표기해두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라고,
항상 근거를 분명히 가지고 진입한 포지션은 최소 약손절, 최대 큰익절을 할수 있을거에요. 그러기 위해서는 홀딩이 필요할때도 있고, 더 들고 가볼까란 고민할 시간조차 없이 단숨에 방향이 터질수도 있을거구요.
다만, 본인이 차트를 분석할 때 할수있는 한 최대한으로 분석해보고, 그중에서 가지치기를하여 선택하고, 그런 일련의 과정들을 끝내고 포지션에 진입했다면 장담컨대 자신의 관점에 대한 믿음이 생길수밖에 없습니다.
그 믿음에 반하는 결과가 나올지언정, 그 또한 약손절과 더불어 크나큰 차트적 경험치를 얻게됩니다. 실제로 제가 한 방법이구요. 자신감이 밥맥여주냐? 맥여줍니다. 험난하지만 수익을 가져다주기 위한 시행착오일뿐입니다.
최선을 다해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했다면 경우의 수를 세워보고, 그중에서 가지치기하여 최종 관점을 만들어 실제 포지션에 진입을 해보세요.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앞으로도 보시는 분들에 대해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배우고 함께 수익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2021-12-24 비트코인 방향성 분석
안녕하세요. 지난 분석에 이어, 크리스마스 이브에도 분석을 이어 가겠습니다. 앞서 이전에 있었던 일을 짧게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방향성을 예측한대로 5-(40.8k)3-5 중 3파 abc 반등이 진행중입니다. 바로 앞전의 아이디어에서 짧은 관점으로 하모닉 패턴을 이용해 상승을 예측하였는데요, 파동상 그 지점에서 저점을 낮추지 않고 반등이 나왔어야만
상승 관점에 무리가 없었기 때문에 상승 반전을 예측하였고 가틀리 패턴은 기분좋게 찢길거라 예상했습니다.
---
오늘 분석입니다.
새벽에 50k를 드디어 시원하게 뚫어주었습니다. 사실 48k 지점이 맹점인데, 1:1과 각종 피보나치가 겹치는 자리였던터라, 자신의 관점을 믿고 리스크 관리(저배율-롱,비율조절)를 동반한 홀딩만 해주었다면 높은 수익을 안겨주었을 것입니다.
이제 그 이후의 행보가 관건이죠.
현 시점에서 볼수 있는 차트의 방향성을 분석 해봤을 때, 현재의 상승은 51.6 ~ 52.5의 저항을 맞고 잠시 멈췄다 갈것으로 보이지만 차후 55~56k지점까지의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하모닉패턴의 X지점을 2가지로 찍어볼 수 있는데, 그에 따른 네모박스의 TP의 차이입니다만 그 값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관점상 큰 의미는 없습니다.
연말 행복하게 마무리 하시고, 2022년 1월 1일
작은 봉부터 일,주,년봉이 바뀌는 날이죠? 조심할 필요가 있고, 535를 보고 있는 만큼 3파 반등까지 마무리가 된 이후, 관점대로 간다면 5파 하락이 있기 때문에 내년 초부터는 조심하여 매매하는것이 좋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
Shout out to Sir TAI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