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더 올라갈까요?비트코인이 108K 고점을 갱신하고 현재 97K까지 내려왔습니다.
이 시점에서 더 올라갈지 더 내려갈지 의견이 갈리는데, 저는 무조건 상승 할거라고 봅니다.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오면서 108K에서 내려오긴 했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rsi가 다시 과매도권으로 내려오면서 어느정도 반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지선인 93K를 뚫고 내려간다면 그때는 추가 하락 할 가능성이 보이므로 그때는 한강 가던지 할거 같네요.
저는 97K에 매수를 걸어뒀고 알트코인 또한 같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해서 도지,시바,솔라나 현물로 어느 정도 매수했습니다.
BINANCE:BTCUSD.P
UPBIT:DOGEKRW
UPBIT:SHIBKRW
UPBIT:SOLKRW
하모닉 패턴
PONKEUSDT 지지라인PONKEUSDT 지지라인 분석
🟢 0.2786 ~ 0.2858
1.Fibonacci 1.618, 0.886 및 확장 1:1 구간
이 구간은 Fibonacci 1.618과 0.886 되돌림, 그리고 확장 1:1 수준이 중첩된 주요 기술적 지지 영역입니다.
기술적 분석에서 이러한 중첩은 강력한 반등 가능성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2.과거 지지 매물대와 중첩
해당 구간은 과거 시장에서 지지 매물대로 작용했던 자리와 겹칩니다.
이는 매수 심리가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 반등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입니다.
[피치포크 분석] USD [킹]달러! 출정나간 USDT는 언제 업비트로 돌아와야 할까?…………………………………………………………………………………………………………………………………
⚡시작⚡
.
.
☘ 안녕하세요 국내 유일 피치포크 트레이더 Patan_TIGER 입니다.
피치포크(Pitchfork) 및 간 이론(Gann)을 통해 직관적이고 쉽게 매매합니다.
.
.
……………………………………………………………………………………………………………………………
⚡ 달러의 상승은 어디까지 갈까?
- 국가의 환율은 정책, 시류 등 다양한 '거시적'요소를 판단해야 하지만
피치포크 트레이더인 만큼 '피치포크 ' 작도를 통해서만 분석해보겠습니다.
✔먼저 큰 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USD-원화 차트 는
ㄱ. 15년 동안 지속한
ㄴ. 1800원 고점 부터 형성 된 큰
두 가지 큰 줄기가 있습니다.
현재 2024년 ㄱ을 상방 이탈 + ㄴ을 이탈 후 지지+반등
✔ 작도를 통해 상승 고점부를 찾아봅니다.
-피치포크 상 하락 피치포크(노란선)을 명확히 이탈
=하락의 완전한 종결
-이후 노란점선과 레드점선 속에서 '가속화'가 나올 수 있는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 -USD-원화의 고점부 TP는 1580-1620으로 도출됩니다.
……………………………………………………………………………………………………………………………
지금 까지 피치포크에 근거한 USD-원화의 고점부를 체크해보았습니다.
환율은 거시경제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다보니 차트, 미시경제적 요소를
등한시 할 수 있지만, 그래도 현재의 '흐름', '추이'를 알고자 하는데
차트분석은 꼭 필요합니다:)
Patan_Tiger는 '누구나 쉽게 배우고, 누구나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피치포크' 를 통해
'쉬운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연재 중입니다.
🎇
Patan_TIGER의 트레이딩뷰 글 전문의 글 과 사진 모두 개인창작물로써
Patan_TIGE에게 저작권이 있으며 무단 스크럽 및 무단도용을 일체 금합니다.
2024.12.15 이더리움(ETH) 차트분석단기적으로 저항구간은 4065~4106이며 지지구간은 3752.9~3834입니다.
3521이 이탈되면 추세가 바뀌는 국면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저 구간이 벗어난다면 하방유리 차트가 될 가능성이 높으니 주시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3752매물대를 지지해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 부근이 3.821이 로그차트 분홍색 대추세 부근입니다.
만약 지지하지 못 한다면 3521~3565의 박스권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염두해둬야 할 거 같습니다.
저라면 단기적으로 거래량 실린 장대음봉이 나오지 않는 한, 저기서 받아볼 거 같습니다.
하지만 거래량 실린 장대음봉이 출현한다면 거래량 식을 때까지 그리고 파란색 매물대 부근에서 지지라인을 형성할 때까지 기다릴 거 같습니다.
요약:단기 숏 -> 중기 롱
파추끝의 12월 17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지금은 롱 추세!! 엔딩다이아고날 그릴시 숏버튼 꺼냄비트코인은 90부터 나온 파동이 새로운 상승파동에 시작인지
마지막 파동인지에 따라 큰 차이가 납니다
우선 90부터 나온 파동이 상승파동이라면 66000부터 104000까지 나온 상승폭보다
더 큰 상승이 가능하고
마지막 파동이라면 최대 30%조정이 가능합니다
지금 비트는 롱 추세이기 때문에 숏을 보는건 역추세 매매이지만
차트그림과 같이 엔딩다이아고날을 그려준다면 손익비상 숏 도전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숏 도전시 엔딩 상단 추세선을 찌를순 있지만 올라타지만 않으면 내려올거라 생각되고
상단 추세선으로 올라타면 숏 은 짧게 손절치고 내려간다면 큰 조정이 나올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롱추세고 이대로 쭉쭉 올라갈수도 있기 때문에 숏은 위험.. 하지만 엔딩을
그려준다면 손절짧게 숏 도전가능!!
ETH 매수 포지션 7K
1) b 값 $2141 돌파 이후 BAMM reaction 이 진행 중이며, ATH $4868 로 부터 시작한 장기 하락 추세선을 회복하는데 성공했습니다.
d 값 $4700 도달 시, BAMM reaction 종료의 최소 조건을 충족합니다
2) d 값 $4700 에 근접하며, 더 큰 범위에서 새로운 BAMM reaction 이 시작됩니다.
해당 패턴에 의하여 목표가를 D 값 $5950 으로 상향할 수 있습니다.
3) 최종적으로 price discovery 가능성을 점검합니다.
all-time 피보나치 되돌림 1.618 레벨인 $733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BAMM (4700) > BAMM (5950) > price discovery (7330)
본 글은 주봉 단위의 분석이며, 단기 등락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로직으로 나타나지만.
긴 호흡의 실제 거래를 버틸 수 있는 인원은 소수일 것으로 바라봅니다.
현재 알트코인은 신체로 따지면 위치는 어디 쯤 일까??? 현재 알트 시점이 명확하지 않으면 중장기 프레임으로 끌고 간다는 것은
' 트레이딩 or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투기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는 것으로 간주한다.'
비록, 정답이 아닐지 모르지만, 거기에 맞는 대응과 리스크관리를 통해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고
맞아도 덜 아프게 맞는 법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장에서 살아남아야 합니다.
"예측보다는 대응을 하는 매매가 좋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매도에 시점은 어디 부분이 될 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간단하게 주봉상 컵 핸들 패턴이 보여서 작도를 한번 해봤습니다.
주봉 타임 프레임 상 컵 핸들 부분을 넘겨주고, 21년도 고점 부분에 저항을 받는 모습 입니다.
"불장인가요?" 에 대답에 저는
"아니요" 라고, 말 하고 싶습니다.
알트 불장 아직 오지도 않았다는 것은 제 관점 중 일 부분 입니다.
역사상 고점을 높 못 긴 불장은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최고점 갱신후, 새로운 알트 불장이 올거라 보고 있습니다.
한블럭 한블럭 차차 우상향하는 차트입니다.
기본적으로 차트는 수축과 발산 지속성에 이 3가지 관계랑 유사합니다.
보통 '순환' 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x의 대한 가로축에 시간적 힘의 균형
y의 대한 세로축에 대한 가격적 힘의 균형(을) 이해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거에 앞서 모든 차트 분석은 전제를 깔고 가기 때문에 답은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현재 차트를 봤을때
아직 컵핸들 패턴이라 봤을때 665B 까지는 충분히 올라올 것이라 보고 있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논리가 탄생하는 구간까지 올려 줄수 이론이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멧갈프의 법칙 이론이 있다.
네트워크가 커지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수가 늘어 갈수록 제품의 가치가 높아지는 현상을 네트워크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효과를 수식으로 정확하게 정리한 쓰리콤(3Com)의 창업자 밥 멧칼프(Bob Metcalfe)는 네트워크의 총가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node) 수의 함수로 확실하게 정리했는데, 이를 ‘멧칼프(Met-calfe) 법칙’이라고 부른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입자 수를 n이라고 하면 개별가입자의 가치는 n-1이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의 가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입자 수와 각자가 네트워크로부터 얻는 가치의 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네트워크 전체의 가치는 n(n-1)인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의 가치는 가입자 수가 늘어날 때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간단하게,
하나의 네트워크의 유동성 또는 효용성을 그 네트워크 사용자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제곱 퍼센트로 비례하여 가치가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만큼 그만큼 범위가 차트를 레귤러로 봤을때, 산 모양 처럼 만들어 지는 것이다.
우선 오늘은 여기까지 적고 나머지 내용 내일 중으로 올리도록 할께요. !
파추끝의 12월 12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찐 상승? 헷징 숏 전략비트코인은 어제 장대 양봉이 잘 나와줬습니다
어제 남긴대로 최소한 되돌림 반등 618에서 반익절하고 101000중반에서 한번더 익절 후
30% 롱 물량만 남아있습니다
지금 비트코인은 빨간선 고점을 넘겨주면 어제 관점대로 엔딩 이거나 큰 상승이거나
빨간선 고점을 못넘고 차트 그림처럼 내려온다면 최소는 차트그림처럼 수렴관점..
최대는 86~88까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숏을 생각하는 이유는 94부터 올라온 파동이 상승파동으로 보이고
그러면 90부터 파동을 보면 335abc의 마지막 파동일 가능성도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제 장대 양봉도 있고 쫄리기 떄문에 헷징 숏으로 대응할 생각입니다
그래서101900고점을 재차 넘을 시 30분 하다가 컨펌되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고
101900을 넘길시 저는 헷징 숏을 104000고점 손절잡고 들어갈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