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닉 패턴
4.6 현재 금 가격 추세 분석4.6 현재 금 가격 추세 분석
추세 판단:
K라인이 볼린저 밴드 중간선을 돌파하고 단기적으로 하락세가 우세합니다. 볼린저 밴드가 하락세로 시작되고 하락파가 계속됩니다.
주요 신호:
3000 마크: 그 이하로 떨어지면 아래쪽 공간이 열립니다(목표 2980~2950). 안정화되면 기술적으로 반등할 수도 있다(목표 3030~3050).
3030~3050 영역 : K라인이 이 영역에서 변동을 보이면 2차 바닥 형성으로 볼 수 있다. 3055에 굳건히 서 있다면 3070으로 반등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전략
1. 짧은 주문 (선호)
진입: 3050-3055에서 라이트 포지션을 취해 숏을 시도하고, 3065-3068로 반등하면 포지션을 늘립니다(3072 위에서 스톱로스).
목표 : 3030→3015→3000(단계 감소)
2. 긴 주문 (주의)
진입: 3005-3010 구역이 안정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손절매 2997).
목표 : 3030→3045 (빠르게 들어가고 빠르게 나옴).
3. 휴식 후 후속 조치
하단 포지션이 3000을 돌파하면 숏을 추격(손절매 3010), 목표 2980→2950.
상단 포지션이 3070을 돌파했습니다. 3055까지 떨어져서 안정되는지 기다려 본 다음, 단기 매수(목표 3080)를 고려하세요.
위험 경고
시장 정리는 계속됩니다. 최근 변동성이 극심하므로, 급등락을 쫓는 것은 피하고, 주요 위치가 확인될 때까지 기다리세요.
데이터 및 이벤트: 연준의 정책 기대와 지정학적 상황에 주의하세요. 갑자기 긍정적인 소식이 나오면 반등세가 가속화될 수도 있다.
파추끝의 4월 3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79 vs 앞자리6!!!!비트코인은 지금자리는 대응영역입니다..
이해가 필요하고 영상보는게 좋긴한데.. 최대한 글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단기적으로 885부터 나온 조정이 아직 abc인지 임펄스인지는 아직 알수 없는상태
만약 차트 그림처럼 안그리고 먼저 반등이 나온다면 반등 후 재차 하방가는 관점으로
79000대 가는 하방일거라 생각하고
만약 차트 그림처럼 임펄스 모양새를 그리면 둘중하나 입니다
첫번째는. 76부터 시작된 파동이 리딩abc c가 살짝 미달로 나온거라 우측 스타트면
임펄스 완성 후 2파 반등 후 앞자리 6까지 내려가는 관점
두번쨰는. 왼쪽부터 스타트고.. 885부터 임펄스 모양새를 그리면 335abc이후 상승하는 그림
매매전략은 885부터 시작된 파동이 임펄스 모양을 안그리고 먼저 반등이 나오면 반등 후
재차 abc내려가는 관점으로 반등의 숏 관점
885부터 시작된 파동이 임펄스 모양새를 그리면 공통구간 롱 치고 반등에 반익절하고
618까지 반등하면 헤징 숏 전략
EOSUSDT 저항라인 #EOSUSDT 저항라인
🔴 0.9358 ~ 0.9631
1. 뱃 패턴 PRZ
뱃 패턴의 PRZ로, 반전 가능성이 있는 저항 구간입니다.
2. 과거 지지/저항 매물대 겹침
과거 지지와 저항이 반복되었던 매물대가 형성된 영역으로, 저항 반응이 나올 수 있는 자리입니다.
테더도미넌스(USDT.D) 3월29일 분석 안내.테더도미넌스(USDT.D) 안내드리겠습니다.
지난번 안내에서 5.7% 구간은 주봉 기준 하락 추세의 주요 저항 구간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과 4.7% 구간에서의
등락이 있을 것이라 말씀드렸습니다.
1-2주내로 6% 구간을 돌파하게 된다 면 지난 눌림에 버텼던 투자자들의 패닉셀과
하락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지난번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더블바텀의 모습과
인버스 차트로 뱃 패턴의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월봉 기준 MACD 골든크로스가 발생되기 전이라 말씀드렸고
만일 6%를 돌파한다면 6.7 - 7.8% 구간이 중기 스윙트레이더가 진입하기 적절한 구간이 되겠습니다.
물론 아직 5.7% - 6%의 신뢰도가 있는 저항을 돌파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너진 것은 아니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바라봐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5.7 - 6%의 저항 실패, 돌파 여부를 잘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보유자산의 1/150 혹은 1/100 비중으로 안전하게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CRYPTOCAP:USDT.D
파추끝의 3월 26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매수자리 2곳과 대응전략비트코인은 바닥횡보를 오래해서 상승가거나 패턴을 그리고 가거나로 생각하고 있는상태
76부터 올라온 파동이 리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리빙 모양새를 그려주면 정배대로 내려올 가능성이 높은데
내려올시 노란 박스 구간에서 롱각이 나오는체크.. 롱각이 나온다면 3가지 경우의수
1번 추세선 리테스트 후 재차 하방
2번 고점을 살짝 넘고 하락가는 그림.. 이때 4시간봉 하락다이버젼스 컨펌되는지 체크
3번 리딩 임펄스로 크게 올라가는경우
-----------------------------------------------------------------------------------
정배대로 안내려오고 리딩 상단 추세선 위로 올라오는경우..
상단 추세선을 찌를순 있는데 위로 올라타면 분출롱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상단 추세선 올라타면 분출롱 생각해서 진입가능하고 이때 추세선 안으로 재진입시
손절짧게 대응
MSTR 장기적인 매수입장에서의 희망코인 트레이딩을 하시고, 여러가지 정보를 찾으시는 분들은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라는 이름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MSTR)의 공동 창립자이자 회장으로, 비트코인 투자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원래 기업용 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회사를 운영했지만, 현재는 비트코인 보유 전략을 핵심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했습니다.마이클 세일러는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이라고 주장하며, 기업 자산으로 대규모 BTC 매집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MSTR은 기업 중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가가 BTC 가격과 강하게 연동됩니다.
따라서, MSTR 차트 분석은 비트코인 시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MSTR은 장기간 이어온 트렌드 라인 상단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되돌림 비율을 피보나치 되돌림 툴로 측정했을 때 약 0.707%정도가 됩니다.
현재 자리를 자세히 보았을 때, 위와 같은 무빙처럼 명확한 구조변화와 매물대 돌파를 보여준 뒤 리테스트를 보여줬을 때 강한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MSTR의 반등이 강하게 나왔을 경우,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로 인해 나올 수 있는 AB=CD Pattern 중 0.707% 되돌림 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AB=CD Pattern의 PRZ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AB=CD 상호 비율
C-Retracement
0.382
0.5
0.618
0.707
0.786
0.886
B-C Projection
0.24 or 2.618
2
1.618
1.41
1.27
1.13
위 상호 비율을 통해 이번 패턴이 완성되었을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상승은 1.41%정도 되며, 이를 가격으로 따졌을 때 대략 670$정도가 됩니다.
.
.
.
.
.
이번 MSTR 분석은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입니다.
보다 편향적인 관점임을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추끝의 3월 25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비트코인 마지막 하락 후 상승비트코인은 88찍고 지금 눌림이 나오고 있습니다..
88이 고점일지 고점을 한번더 넘길지는 헷갈리지만.. 88에서 내려오든 고점을 한번더
넘기든 내려올거라 생각합니다
내려오는 모양이 가파르게 내려온다면 엔딩이거나 최악은 앞자리 6까지 볼수 있다고 생각은
하는데.. 차트 그림대로 조정이 abc로 내려온다면 76이 무조건 깨진다고 생각은 안할거 같습니다
76이 깨기전 79~80초반에서 파동이 끝나는 모양이 나오면 차트 그림과 같이 76저점을 안깨고
바닥확인하고 반등이 나올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abc로 내려오는데 79~80초반에서 파동이
끝나는 모양새를 안그리면 엔딩 가능성이 있긴합니다
나스닥의 진실 - 너의 포지션은 언젠간 죽게되어있다.CME_MINI:NQH2025
안녕하세요 트레이딩뷰 가족 여러분,
저번 글에 이어 이번에는 ICT의 관점으로 나스닥 선물에 대해 논해보겠습니다.
한국에서 ICT의 매매전략은 상당히 생소한 편입니다.
제가 찾아본 한국어 자료도 일부 있지만, 아무래도 영어를 기반으로 한 개념이다보니 한국으로의 도입이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ICT는 이런 생각으로 매매에 임하는구나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마 오늘 우리는 조금 불편한 진실에 마주할 수도 있습니다.
1. 선물 시장은 제로섬 게임이다. 내가 돈을 벌면 남은 잃는다.
-> 내가 잃어야 그들(세력)이 돈을 번다.
-> 그렇다면, 그들은 나(내 포지션)를 죽이기 위해 돈을 쓴다.
2. 사람들의 손절가는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
-> 고점 조금 위에, 저점 조금 아래에서 손절을 걸어둔다.
-> 그곳만 터트리면 개미는 죽는다.
이 두 가지 주장에 대해서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저 두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시장을 바라보는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두 가지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작은 소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시장은 개미들의 손절을 터트리고 의도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납득이 되시나요 ?
위에서 말한 것이 바로 "Liquidity"입니다. 한국어로는 유동성이라고 합니다.
흔히 국장에서는 LP(Liquidity Provider)로 이 단어를 들어보신 분이 계실겁니다.
더 쉽게 설명하자면 Liquidity, 즉 유동성은 개미들의 손절 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그 개미들의 주문을 죽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Liquidity Sweep"이라고 합니다. 흔히들 휩쏘라고 알고계시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나스닥 차트에 불균형과 주요 유동성을 몇 개 체크해 놓았습니다.
시장이 뷸균형을 맞추려고 한다. 시장이 개미들을 죽이려고 한다.
그 말인 즉, 제가 표시해 놓은 영역들은 일종의 자석처럼 행동한다는 것입니다.
차트의 자석들은 가격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 불균형의 범위가 클수록, 더 큰 시간 프레임에서 만들어질 수록 더 강한 자석이 됩니다.
또한, 유동성이란 어렵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지, 저항이란 개념을 먼저 배웁니다. 사람들은 저점을 깨지 않을 것이야. 생각을 하고 포지션을 잡습니다.
당연히 손절 주문은 내가 생각한 지지점 바로 아래에 있겠죠.
세력들은 이 심리를 역이용 합니다. 우리가 합의했다시피.
이 유동성 또한 가격을 잡아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아직 25년의 2월입니다. 제가 생각하기론 상승이든 하락이든 아직 그렇다 할만한 Liquidity Sweep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매수나 매도에 진입하는 것에 조금 더 신중을 기하고 기다릴 때입니다.
제가 표시 해 놓은 영역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지켜보며 3월 4월을 기다리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역사적으로 미장은 2 3 4월에 수익률이 좋지 못합니다. 왜 그럴까요?
연초에 아직 개미들의 포지션이 충분히 쌓이지 않아서라고 생각합니다. 3 4월 쯤에 이 개미를 죽이는 Liquidity Sweep이 일어나니 당연히 매수 심리가 강한 개미들의 수익률이 좋지 못할 수 밖에요.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질문해 주시면 친절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또 뵙겠습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저는 개인적으로는 숏 위주로 매매하고 있습니다. 롱 좀 죽이고 올라갈 것 같네요.
*다음에는 제 나스닥 데이트레이딩 전략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스닥 괜찮은 걸까요?: 3월~4월의 나스닥, Manipulation 단계와 그 의미안녕하세요. TradingView 가족 여러분.
저는 1분기 트레이딩을 마치며 여러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여러분들에게 정말로 큰 그림을 보는 것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가지고 왔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꼭 댓글과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2025년 1분기를 마무리하며, CME_MINI:NQ1! 의 향후 전망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축적 - 조정 - 전달 (Accumulation - Manipulation - Distribution)의 가격 전달 과정
이 과정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거래 패턴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축적(Accumulation): 스마트 머니(기관 투자자 등)가 주식을 매수하며 매집하는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는 거래량이 증가하지만, 가격 하락폭이 제한적입니다.
조정(Manipulation): 축적 후, 가격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일반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전달(Distribution): 조정 후, 스마트 머니가 보유 주식을 일반 투자자들에게 매도하며 이익을 실현하는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는 가격이 상승하거나 횡보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합니다.
2. 나스닥의 월별 수익률과 OLHC란?
나스닥 지수의 월별 수익률을 분석하면, 특정 월에 주가의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OLHC(Open, Low, High, Close) 가격 패턴은 가격의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O (Open): 해당 기간의 시가
L (Low): 해당 기간의 최저가
H (High): 해당 기간의 최고가
C (Close): 해당 기간의 종가
특히, 'L' 값은 해당 기간의 최저가를 의미하며, 이는 시장의 매도 압력이 가장 강했던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최저가는 종종 'Manipulation' 단계와 일치하며, 스마트 머니가 일반 투자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가격을 조정하는 구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현재 차트에서 볼 수 있는 나스닥의 양상입니다.
올해 나스닥이 상승한다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3월에서 4월 사이에 나타나는 최저가는 'Manipulation' 단계와 일치하며, 이는 시장의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전 제 분석 글은 나스닥의 하락을 정확히 예측했습니다.
현재 나스닥이 조정 단계에 놓였다고 판단하여 저는 매수 전략을 자주 세우고 있습니다.
올해 나스닥의 목표가는 Manipulation 단계에서 보여준 하락의 두 배 정도인 가격대를 우선적으로 목표하고 있습니다.
FOMC 이후 BTCUSDT의 움직임을 체크해봅시다. 지난 번 비트코인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뷰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해당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렸었던 반등 가능성의 성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Bullish Crab Pattern
2. Sell Side Liquidity Sweep
3. Trend line Support
그리고 다행히 위 조건들을 모두 성립했고, 76.5k에서 좋은 반등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어느정도 편향적일지는 모르겠으나, 개인적인 비트 관점은 SSL sweep 이후 BSL까지의 도달을 메인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봉상 명확한 유동성 제거가 이뤄진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1시간 캔들에서 명확한 구조 변경(추세 변경)이 나왔는지 체크해보겠습니다.
1시간 차트 상 비트는 3월 14일에 미약하지만 CHOCH(구조 변경)이 나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그 이후에 해당 파동의 저점 아래에서 캔들이 생성되지 않는 모습들을 통해 sweep 이후 구조변경에 신뢰도를 더 갖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어제 FOMC 발표 무빙에서 상단 매물대를 HH캔들을 생성함과 동시에 Break하는 모습을 통해 상승에 여력이 더 올라갔다는 판단을 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근거는 Bearish Bat Pattern의 B point를 명확하게 돌파해주면서 BAMM리액션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 패턴을 통해 단기적으로 최대 상승 구간을 0.886%구간인 92800$까지 기대할 수 있으며, 해당 구간에서의 조정은 패턴이 완성된 이후에 살펴봐도 늦지 않음을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이번 비트 상승을 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SL Sweep
2. Bullish Crab Pattern
3. MTF CHOCH
4. Bearish Bat Pattern Bamm Reaction
개인적인 사정으로 바쁜일들이 많아, 지난 번 아이디어를 업데이트 한 이후에 시간이 꽤나 지났습니다.
몇 번 더 업로드 해보고 주기적인 스케줄을 잡아 아이디어를 작성해보는 것도 고려해볼 예정입니다.
팔로우와 부스트는 큰 힘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땡큐.
파추끝의 3월 17일 비트코인 차트분석 / 다시오지 않을 마지막 매수자리비트코인은 마지막 조정을 기다린다고 생각합니다
2가지 관점으로 보고 있는데요
첫번째는 109부터 이어온 abc에 엔딩 그림입니다
두번째는 109부터 이어온 wxy에 y가 수렴관점입니다..
첫번째 관점은 비트코인이 87~88까지 반등후 87~88에서 숏 각이 나와서
조정이 나온다면 엔딩 마지막 파동인 e파동을 찍으러 간다고 생각하고
두번째 관점인 수렴관점으로 나올려면 87~88에서 한번 눌린 후 한번더 반등해서
90~91까지 찍고 조정이 나올거라 생각합니다
내려오는 모양을 보고 1번인지 2번인지 판단하는게 좋고.. 그게 어렵다면 87-88에서
눌리는지 90~91에서 눌리는지 보고 판단하시면 좋을거 같고..
만약 지금자리에서 85도 못넘고 하방으로 이어진다면 두번째 관점은 나가리고
엔딩관점만 남아 있는겁니다
첫번째 관점이든 두번째 관점이든 마지막 롱 자리를 줄거라 생각하고 이때 못잡으면
다신 오지 않을 자리일수도 있으니 참고하셔서 매매잘하시길 바랍니다
나스닥 단기적 상승 움직임 예상안녕하세요 트레이딩뷰 가족 여러분들
저번에 올린 첫 글이 생각보다 많은 관심을 받게되어
이어서 글을 올리게 됩니다.
저번에 FVG를 기준으로 3월 중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해보았는대요
예상대로 움직였습니다.
지금 단기적으로는
지난주의 NWOG(New week opening gap)을 되돌아갈 것 같습니다.
일단 그런 다음의 움직임을 봐야할 것 같습니다.
NWOG는 한 주가 시작되면서 만들어진 갭을 말합니다.
이건 약 5주동안 유효한 상태로 지속된다고 ICT는 설명합니다.
한 번 되돌아 오는지 지켜봅시다. 저는 롱 위주로 매매하고 있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제 이전 글을 참고하세요.
비트코인 아직은 숏이다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저는 작년부터 비트코인의 숏 관점을 꾸준히 보았습니다. 지금까지처럼의 큰 하락은 아니어도 어느정도의 큰 하락을 예상했었습니다. 결과는 운좋게 들어맞았습니다.
안좋은 소식이지만 전 아직은 하락이 남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은 잠시 피보나치 0.316 부근에서 반등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이 반등은 피보나치를 제외한 어떤 저항선도 없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반등을 맞고 다시 상승을 준다? 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 지지 기반이 약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직 상승을 줄 때 강한 거래량을 동반하며 상승하고 있지 못합니다. 아직 다시 하락한 폭 또한 적게 하락했습니다.
고점에서 78k까지의 하락은 28퍼센트의 하락입니다. 하지만 다시 피보나치 0.5인 95k까지 올라주었습니다. 98k에서 지금까지의 하락폭은 대략 20퍼센트 정도입니다.
하지만 바로 아래 66k부근 엘리엇 3파동의 피보나치 0.5비율인 부분까지 하락을 해주면 29퍼센트 정도 됩니다.지금의 하락을 abc하락이라고 생각해 볼 때, 20퍼센트보다는 29퍼센트 하락을 하고 지지선 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강하게 올라주는 게 더 가능성 높은 상승이라고 생각합니다.
rsi 비율도 있습니다. 지금 rsi가 충분히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조금 rsi가 내려와서 주봉상으로 상승 다이버전스와 같은 확실한 시그널을 만들고 올라오는 게 더 시나리오가 좋아보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66k부근을 하락의 마지막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단 비트코인이 확실한 궤도에 오르기 전까지는 시드머니 분할 진입을 추천드립니다.
아직 더 하락이 남았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