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캔들이 망치형 캔들로 마감되는지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GO 1M 차트)
HA-Low 지표 지점인 6.49 이하로 하락하면서 저점을 갱신 중 입니다.
HA-Low 지표 지점을 터치하였다는 것은 저점 구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HA-Low 지표 지점에서 하락하게 되면,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높지만, 바닥 구간을 형성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1M 차트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해석해야 하므로 앞으로 긴 기간 동안 바닥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1W 차트)
HA-Low 지표에서 하락하면서 계단식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1.37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D 차트)
1M, 1W 차트를 보았을 때는 거래를 시작할 시점이 전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1D 차트에서도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의 캔들을 보았을 때 추세의 전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보입니다.
이에 따라서, 위아래로 흔들어대는 움직임을 보이거나 현재 가격대에서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기본적으로 HA-High 지표 부근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가격 위치에서 위아래로 흔들어 된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될 것이고 생성된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고 1.08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단기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지표와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재 HA-High 지표 지점인 1.7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만, 심리적인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1.25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Hammercandle
[캔들강의 #1] 캔들의 기초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기본 교육자료의 첫 번째 주제는 캔들입니다.
캔들 교육 자료를 총 5부작으로 제작 후 차례로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목 차 >
#1 캔들의 기초
I. 캔들스틱의 형성 원리 (몸통과 꼬리에 대한 이해)
II. 캔들스틱의 중요성 (Feat. 매물대)
III. 단일 캔들스틱의 종류
#2 캔들 심화강의(1) 상승세 전환 패턴
I. Bullish Engulfing (상승 장악형)
II. Morning star (샛별형)
III. Three White Soldiers (적삼병)
IV. Bullish Harami (상승 잉태형)
V. Bullish Counter-attack Line (상승 반격형)
#3 캔들 심화강의(2) 하락세 전환 패턴
I. Bearish Engulfing (하락 장악형)
II. Evening Star (석별형)
III. Three Black Crows (흑삼병)
IV. Bearish Harami (하락 잉태형)
V. Bearish Counter-attack Line (하락 반격형)
#4 캔들 심화강의(3) 지속 패턴
I. Rising / Falling Three Methods (상승/하락 삼법형)
II. Bullish / Bearish Seperating Lines (상승/하락 갈림길형)
III. Fooling Three Soldiers (바보적삼병)
IV. Upside Gap Tasuki (상승 타스키 갭형)
#5 캔들 심화강의(4) 도지
I. 도지캔들의 기초
II. Dragonfly Doji & Gravestone Doji
III. Bullish / Bearish Tri-star (상승/하락 세 십자형)
IV. Bullish / Bearish Harami Cross (상승/하락 십자잉태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캔들 교육 첫 번째 시간은 캔들의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이미 잘 알고 계신 분들은 가볍게 읽고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캔들은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반드시 숙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또한 차트가 숲이라면 캔들은 숲을 이루는 나무라고 보시면 됩니다. 캔들을 볼 때는 항상 차트전체의 "지지·저항·되돌림" 등의 흐름과 캔들을 만드는 힘, 즉 "거래량" 을 반드시 함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누구나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I. 캔들스틱의 형성 원리 (몸통과 꼬리에 대한 이해)
캔들의 역사는 놀랍게도 약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혼마 무네히사'라는 일본의 한 상인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으며, 이는 현재 모든 금융 지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캔들은 일정 프레임의 단위시간에 대한 시장의 흐름 을 한 눈에 보여줍니다. 일정 프레임의 시간 동안의 (1일, 1주, 1달이 될 수도 있고, 1분봉, 5분봉 등 분단위, 심지어 틱단위까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한 프레임의 시작 가격인 시가, 종료 가격인 종가는 캔들의 몸통을 구성하게 됩니다. 또한 한 프레임 동안 가장 높았던 가격인 고가, 가장 낮았던 가격인 저가는 각각 위 · 아래 꼬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경우를 ' 양봉 ', 시가가 종가보다 높은 경우를 ' 음봉 '이라 칭합니다. 단순히 양봉과 음봉을 구분하는 것을 넘어서서 이를 통해 '매도세'와 '매수세'의 우위 도 점쳐볼 수 있습니다. 양봉은 설정된 시간 프레임 동안 매도보다 매수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음봉은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꼬리의 의미도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캔들은 하락하던 도중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위꼬리가 달린 캔들은 상승 중에 반발 매도세로 인한 저항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1. "양봉" = "시가 < 종가" = "매수세의 우위"
2. "음봉" = "시가 > 종가" = "매도세의 우위"
3. "윗꼬리" = "상승 중 반발 매도세"
4. "아랫꼬리" = "하락 중 반발 매수세"
단일 캔들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몸통과 꼬리는 생각보다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 프레임 내에서 시장이 어떻게 움직였을 지 상상하면서 읽어보시면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 캔들스틱의 중요성 (Feat. 매물대, 추세선, 그리고 변동성과 청산)
John J. Murphy는 유명한 저서인 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에서
"Market price acts as a leading indicator of the fundamentals."
라고 언급하였으며, 기술적 분석은 "가격"에 대한 연구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일정 시간 프레임 동안의 "가격"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캔들에 대한 연구는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이라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캔들의 중요성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매물대 파악을 통한 지지 · 저항 Level 설정 ( a.k.a. 수평 지지 · 저항선)
• 매물대의 사전적 정의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된 물량 자체를 말하며, 통상적으로는 매수물량과 매도물량이 많아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났던 가격대를 말합니다.
• 매물대는 가격이 하락할 때 하락을 막는 지지선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가격이 상승할 때 상승을 막는 저항선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위 사례는 캔들의 꼬리를 활용하여 매물대를 파악하는 예시입니다. 상승 혹은 하락 흐름에 발생하는 조정 과정에서 꼬리를 통해 이전 매물대의 지지를 받는지, 혹은 이전 매물대의 저항을 극복하지 못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추세선 (Trendsline) 형성을 통한 지지 · 저항 Level 설정
• 추세선이란 말 그대로 가격의 변화 추세와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선입니다.
• 캔들의 전고점들을 이은 선을 하락추세선이라 합니다.
• 캔들의 전저점들을 이은 선을 상승추세선이라 합니다.
위 사례는 캔들스틱 중 특히 긴 꼬리가 형성된 지점을 이어 추세선을 형성하는 간단한 예입니다. 추세선을 깨뜨리지 않는 선에서는 추세선이 지지 Level 로, 추세선이 한 번 깨진 후에는 저항 Level로 작용함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알아볼 내용은 (특히 크립토 마켓에서) 캔들의 꼬리가 가지는 의미입니다. 캔들의 원론과 해석의 시초는 주식시장이었습니다. 하지만 크립토 마켓의 경우 변동성이 훨씬 크고 선물시장이 주도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고전적인 해석이 모두 맞지 않을 때가 많아졌습니다. 크립토 마켓에서 긴 아래꼬리가 달린 경우를 예로 들어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래 차트 참고)
1. 강한 급락으로 인해 발생한 호가 공백
- 보통의 호가 예약 주문의 경우 현재가의 10% 이내 범위에서 예약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강한 급락이 발생할 경우 순간적으로 받쳐주는 호가의 공백 이 발생하게 되어 추가 급락이 더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럴 때 호가가 채워지며 강한 매도 · 매수세 없이도 꼬리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2. 레버리지 청산을 위한 조정
- 변동성이 크고 레버리지를 이용한 옵션 거래가 주를 이루는 크립토 마켓의 경우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쌓이는 순간이 발생하며, 이럴 때 빠른 가격 조정으로 연쇄 청산을 유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강한 매도, 매수세 없이도 꼬리들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3. 구별 방법
- 구별 방법으로 특별히 정립된 바는 없으나, 발생 원리 상 두 가지 정도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1) 더 작은 시간 프레임으로 나누어 급락을 확인한다.
: 아래 차트를 확인해본다면, 일봉의 아래 꼬리가 불과 25분 만에 만들어졌으며, 25분 동안 -32%의 급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추세선, 이전 매물대, 전저점을 크게 이탈하지 않는 가격 조정인지 확인한다.
이번 장에서는 단일 캔들의 중요성, 즉 단일 캔들에 나타나는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단일 캔들의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 후 이번 강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I. 단일 캔들스틱의 종류
1. Marubozu 캔들 (꼬리가 없는 캔들, a.k.a. 장대양봉 or 장대음봉)
- 양쪽으로 꼬리가 없는 캔들의 형태입니다.
- 강력한 매수, 매도세 를 뜻합니다.
- 마루보주 캔들이 출현할 시 해당 방향으로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 이 매우 높습니다.
< 예 시>
1) White Marubozu (장대양봉)
2) Black Marubozu (장대음봉)
*Comment: 추후 다룰 내용이지만 Black marubozu 이전에 출현한 캔들은 Gravestone doji 캔들로 추세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위 예는 Gravestone doji 로 추세의 전환을 알린 후 Black Marubozu로 추세를 지속함을 알리는 전형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네요.
**Comment: Marubozu에 꼬리가 달리는 경우를 Opening, Closing Marubozu로 따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 마켓의 특성 상 꼬리가 없는 Marubozu 캔들이 매우 드물기에 따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망치형 / 교수형 캔들 (Hammer, Hanging man)
- 망치형과 교수형 캔들의 모양은 같습니다. ( 아랫꼬리가 윗꼬리에 비해 매우 긴 캔들 )
- 양봉/음봉에 관계없이 해석은 동일합니다.
- 아주 강력한 추세 전환 Signal 입니다.
- 저점에서 발생 시 망치형이라고 하며 상승전환, 고점에서 발생 시 교수형이라고 하며 하락전환의 Signal.
- 교수형 캔들은 음봉이 보다 더 신뢰도 높은 Signal입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교수형 캔들의 해석 = '주가 상승 중 만난 과도한 매도세를 멱살잡고 끌어올렸으나 힘이 약해진 상태. 주가가 앞으로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다.'
**Comment : 망치형 캔들의 해석 = '하락하는 주가를 멱살잡고 끌어올리는데 성공한 상태.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 역망치형 / 유성형 캔들 (Inverted hammer, Shooting star)
- 역망치형과 유성형 캔들의 모양은 같습니다. ( 윗꼬리가 아랫꼬리에 비해 매우 긴 캔들 )
- 양봉/음봉 여부보다는 발생 위치가 중요 합니다.
- 추세 전환 Signal이지만 강한 Signal은 아닙니다. (추가 확인 과정 필요, 다음 캔들의 Gap을 확인하자. )
- 저점에서 발생 시 역망치형이라고 하며 상승전환, 고점에서 발생 시 유성형이라고 하며 하락전환의 Signal.
- 유성형 캔들은 교수형 캔들과 더불어 악재의 양대산맥 이라 불립니다.
< 실제 사례 >
*Comment : 망치형, 교수형 캔들에 비해 약한 Signal이므로 보수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연속출현, 다음 캔들의 형태 및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ment : 역망치형 캔들의 경우 추세의 완전한 전환이 아닌 단기적인 바닥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4. Spinning top & Doji
- 시가와 종가가 거의 비슷한 캔들 입니다.
- 매수세와 매도세가 비교적 팽팽하게 대립하였음 을 나타냅니다.
- 추세전환의 가능성이 높은 캔들 입니다.
*Comment : 도지캔들은 양이 방대하여 5부에서 따로 다룰 예정입니다.
1부 기본캔들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주 2부도 잘 준비해서 찾아뵙겠습니다.
[레드애플] "반전의 신호?? " 비트코인 분석 _ 18.08.15이전 브리핑에서 언급 드렸던 깃발 패턴은 패턴으로 인식되지 않은 모습입니다. 20EMA까지 올라가며 패턴 무효화를 말씀드렸고 20EMA 돌파시 매수 시점 잡아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현재는 20EMA 근처까지 상승한 모습입니다.
금일 브리핑은 상승관점과 하락관점 그리고 도움이 될 만한 정보 에 대해 간단히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A. 상승 관점
바닥권에서 중요한 반전 신호로 작용할 수 있는 망치형 캔들이 나타났습니다. 여기에 더불어 하향 추세선을 돌파하여 상승한다면 반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다만, 추세선을 1번으로 볼 것인지 2번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진입 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4H차트 20EMA에 걸쳐 있는 점을 볼 때 1번 추세선을 기준으로 추세선 돌파를 결정하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더 안전해 보입니다.
이 후, 계속 상승하게 된다면 많은 트레이더들이 인식하고 있는 삼각패턴입니다. 패턴의 윗변을 돌파하며 대세 상승장을 이끌 수 있습니다.
B. 하락 관점
지겹도록 벗어나질 못하는 4시간 차트상의 20EMA 돌파가 실패 할 경우입니다. 이 경우, 재차 지지 받았던 하단 추세선까지 하락도 가능합니다. 지지 받기만 한다면 해당 추세선은 앞으로 콘크리트처럼 작용할 중요한 추세선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추세선이 붕괴 된다면
그림과 같이 그 아래 하단 추세선을 모두 깨고 주봉상 ABCD패턴이 가능합니다.해당 지점은 $4200 ~ $4300 지점으로써 $5300 ~ $5400 뚫릴경우 가능성 있는 지점입니다. 정말 저렇게 된다면 9월 1~2째주 경이 될 것 같습니다.
C. 기타
a. CCI
이전 브리핑에 CCI 상승 다이버젼스가 발생했으나 다른 지표는 긍정적 신호가 보이지 않아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했으나 단기 상승하였습니다. 요새 CCI 다이버젼스가 잘 들어맞는 편인것 같습니다.
CCI는 현재 가격과 이평선과의 간격을 토대로 그 방향성과 탄력성을 측정하는 지표라고 보면 됩니다. 지표중에서 제가 이평선을 많이 신경쓴다는 점에서 저와 잘 맞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비트코인이 20EMA지표와 멀어지면 다시 가까워지고 멀어지면 다시 가까워지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최근 과매도권에서의 CCI 상승 다이버젼스는 높은 신뢰도를 부여할만해 보입니다.
하지만 역시 지표는 지표일 뿐 보조일 뿐입니다. 명심하시기 바라며 매매의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b. 추세전환확인
금일 브리핑 제목이 "반전의 신호"인 만큼 추세전환을 확인하는 방법 한가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다우이론과 비슷하지만 다우이론은 파동 사이클을 이용한다면 이 방법은 추세선을 이용하여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
1. 추세선 돌파 -> 2. 추세선 돌파 이전 저점을 낮추지 않음 -> 3. 1과 2사이의 고점을 돌파 -> "추세 전환 확인"
위 기법에 따르면 $8506.07을 돌파하면 추세전환이라고 볼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 다우이론을 더 많이 아실듯하여 추세선을 이용한 추세전환확인 방법 소개해 드렸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 대응
캔들의 반전 신호는 나왔지만 위에 저항이 많기 때문에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만 1번 빨간 추세선 돌파 뒤 되돌림에 진입할만합니다. 저 또한 돌파 된다면 되돌림 시점을 한번 노려볼 생각입니다. 돌파 뒤 진입하더라도 다시 20EMA아래로 하락하거나 한다면 손절을 추천드립니다.
그 외에는 일단 관망이 나아보입니다.
금일은 광복절이고 하여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드리고자 했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도움 되셧다면 +추천 +팔로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