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trading
<2020-01-30> 골드의 방향성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의 분석은 골드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2019년도 5월의 상승추세가 지속해서 이어진다고 보고 분석하겠습니다.
최근 상승 후 반등이 나왔던 1536구간은 앞의 2019년도 고점 근처에서 2차례 저항받았던 구간입니다.
현재 저항받고 있는 1588은 올해 들어서 일봉 상 두 차례의 저항이 나온 것으로 확인됩니다.
따라서 매수의 관점으로서는 1588의 상방 돌파 후 진입에서 목표가 1610 근처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의 캔들 패턴입니다.
파랑박스 구간에서는 분명 다른 하나의 단기 지지선이 보입니다만 지지가 되었던 기간이 너무 짧은 관계로 무시하겠습니다.
따라서 매도의 관점은 노랑박스가 포함된 상승 추세선의 이탈입니다.
상승 추세선의 이탈 시에는 녹색박스들이 포함된 수평선들을 목표가로 설정 후 매도포지션을 취하겠습니다.
만약 1차 목표가에서 수평선보다 녹색박스가 포함하고 있는 지지선이 먼저 닿을 경우에도 1차 목표가의 달성으로 판단하겠습니다.
앞에 제가 금의 상승은 1900 근처까지도 올라갈 수 있는 그림이라고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여러 흔들기 파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이는 단기적 관점들에 따라 매매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성투하세요.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0-01-21> 어디로 갈지 모르겠는 골드안녕하세요. 골목대장입니다.
오늘 분석은 금의 방향성에 대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우선 저의 금 매매는 이러했습니다.
저는 녹색박스인 2020-01-14 캔들의 좋은 형성으로 인해서 매수 포지션을 취했습니다.
1차 목표가는 1562 근처였는데 2020-01-18 금요일 장 마감과 주말을 고려해서 주황색박스에서 포지션 정리를 취했습니다.
2020-01-20 결국 목표가 달성되었으며 저는 1월 9일부터 진행되어온 저항을 돌파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을 예측했으나 매매는 따로 하지 않았습니다.
원칙대로라면 저의 최종 목표가는 1580 근처였으나 목표가 달성에 실패했습니다.
매도의 관점으로서는 2019-12-21부터 진행되어온 상승 추세선이었는데 이탈하며 목표가까지 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의 그림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현재 1535의 지지대는 강력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탈 시에는 1483까지 열려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유는 왼쪽 파랑박스를 보시는 바와 같이 딱히 매물대라는 구간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2번째 이유입니다.
1535의 저항을 기점으로 2019년도에 3차례나 원웨이 하락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번에도 마땅한 지지 매물 구간을 형성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또다시 나올 수 있는 그림입니다.
현재는 매도 관점으로만 보고 있습니다.
1535의 이탈을 기점으로 매도관점으로 접해서 목표가는 노랑박스까지 끌고 가는 것이 최종 목표가 되겠습니다.
만약 이번에도 이탈하지 못하며 반등이 나온다면 다른 전략으로 새롭게 진행할 예정입니다.
시장의 난이도가 조금 어렵다고 느끼지만 보이는 자리에서 진입하고 수익 내는 것은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투자에 이유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늘 안전투자하세요.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9.11.24 골드 매매일지 오늘은 골드.
잘 하지 않는 오버나잇을 하였습니다.
(매도 자리의 손익비도 좋고,
평단가도 양호해 리스크 감수할만하다고 판단)
<매매 프로세스>
1. 상위 분봉의 박스 상단부임으로 매도 우위.
2. 하위 분봉에서 상위 분봉의 박스 상단부 호가 저항을 받는 것으로 판단.
3. 무너지면서 눌림 시 매도 진입 계획.
4. 매도 진입.
5. 목표 익절가는 상위 분봉의 직전 저점.
가감 없이 말씀드립니다.
특별한 매매 비법/ 비기는 없습니다.
유의미한 지지, 저항 자리만 잘 체크하고
그 부근에서 ' 어떻게 대응해야겠다'라는 시나리오만 잘 세워도
될 것입니다.
누누이 말씀드리지만
기법 <<<<<<<<<<<<<<<<<<<<<<< 리스크 관리, 자금 관리입니다.
매매를 바다 수영에 대입해서 말해보자면
기법은
단지
숨 쉬고, 기본 영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바다 수영을 하려면 그런 영법만으로는 불가능하겠지요.
기법은 기본이고, 리스크 관리든, 기본적 분석이든, 매매 횟수의 최소화든
다른 것들의 뒷받침이 있어야 나아갈 수 있습니다.
제발 기법 찾아 삼만리 하지 마시고,
기본에 집중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블로그 댓글에 기법 교육에 큰 비용을 지불하신 분이 계셔
참 마음이 아픕니다.)
감사합니다.
[번] 골드 / 주기 운동 (연속 알고리즘)이 차트는 테스트 목적입니다.
이란에서 계량 수학 트레이딩 세미나에 참석했었던 2015년 뒤로 수치 연속 (Numerical Continuation, Continuation Algo) 에 대한 자료를 모았습니다.
수치 연속 단계에서는 이른바 패러메트릭 패밀리 (parametric family) 를 분석할 수 있을 따름입니다.
이러한 패밀리 군에 들어갈 만한 종목은 금 (Gold) 과 달러 (Dollar) 입니다.
2015년부터 이들 자료를 공부해 왔지만 싱귤러 포인트 (Singular Point) 를 찾아내지는 못했습니다.
이란에 있는 이 분야 스승님은 정밀 타게팅된 싱귤러 포인트를 찾아서 현 단계에서 장기 움직임을 미리 알아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이 액션 / 리액션 (작용 / 반작용, Action / Reaction) 에 기초하므로 이에 따른 주기 운동 (Periodic Motion) 을 찾고자 합니다.
작년에는 달러 액션 - 골드 (Gold) 리액션이 있었습니다.
가장 최근의 싱귤러 포인트를 제대로 계산해 냈다면 지금은 골드 (Gold) 액션 - 달러 (Dollar) 리액션 단계에 있습니다.
마지막 달러 주기 PLC 는 레귤러 포인트 (Regular Point) 에서 OD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이 미분방정식 상태에서 골드 (Gold) 액션 - 달러 (Dollar) 리액션에 따른 주기 운동을 보게 될 것입니다.
다음 골드 (Gold) 와 달러 (Dollar) 차트를 보면 내가 계산한 주기 운동의 시작점들이 나옵니다.
골드 (Gold) 와 달러 (Dollar) 는 패러메트릭 패밀리에 들어 있고, 달러 액션 - 골드 리액션에서 골드 액션 - 달러 리액션으로 바뀌고 있는 중인데, 이것이 뜻하는 바는
달러가 하나 더 오름 (확실치는 않지만 싱귤러 포인트 레벨까지 오를 수도 있음)
골드는 하나 더 내림 (확실치는 않지만 싱귤러 포인트 레벨까지 내릴 수도 있음)
다시 말해, 달러는 지금 작년 골드 (리액션) 의 거울에 비친 모습이 되고 있습니다.
골드 액션 - 달러 리액션이라는 말이죠.
그리고 나서는 달러가 드롭하고 나면 골드는 어둑 강력한 업.
위키 디피아에 수치 연속에 대해 나와 있습니다
en.wikipedia.org
한던 더 말씀 드리지만, 이것은 테스트 목적입니다. 나는 인트라데이 트레이더이고 달러 리지스턴스 / 골드 서포트 사이에서 트랜시션 및 디퍼런스 (Transitions and Differences) 에 기반한 트레이딩을 합니다. 내 분야가 아닌 아닌 롱텀을 마스터해 무기로 만들어 보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굿 럭.
PV 1430 이라는 것을 잊지 맙시다. 오랜 팔로어들은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