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 이더리움 차트시황
이더리움 역시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반등조차 없이 원웨이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이평선의 배열 역시 지난번 포스팅에 언급한대로 점점 역배열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또한 2,821 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이평선이 완전한 역배열 상태로 만들어질 확률이 아주 높아집니다.
이더리움 2,821
위 구간은 차트상으로 아주 예쁜 지지, 반등 예상 구간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바라보는 자리이기 때문에 과연 세력들이 그렇게 쉽게 반등을 줄지가 의문입니다.
모두가 입 벌리며 기다리는 자리는 주지 않거나 더 깊게 그냥 뚫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트레이딩을 한다면 지지선 아래에 반드시 스탑로스를 설정하여야 하고, 지지선 뚫고 내려가면 다음 지지선까지 기대하며 숏을 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Goldman
[BTC] 비트코인 차트시황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반등조차 없이 원웨이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이평선의 배열 역시 지난번 포스팅에 언급한대로 점점 역배열로 바뀌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만약 88,752 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이평선은 완전히 역배열 상태로 재배치 될 확률이 아주 높아집니다.
위 구간은 차트상으로 아주 예쁜 지지, 반등 예상 구간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바라보는 자리이기 때문에 과연 세력들이 그렇게 쉽게 반등을 줄지가 의문입니다.
모두가 입 벌리며 기다리는 자리는 주지 않거나 더 깊게 그냥 뚫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트레이딩을 한다면 지지선 아래에 반드시 스탑로스를 설정하여야 하고, 지지선 뚫고 내려가면 다음 지지선까지 기대하며 숏을 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ETH] 이더리움 차트시황
1D
지난번 포스팅 이후 이더리움이 장기 이평선을 상방 돌파 하지 못하고 저항에 밀려 내려왔습니다.
차트상으로는 역시 좋은 모습은 아닙니다. 빨리 장기 이평선 위로 올려줘야 강한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계속 빌빌대면 이미 내려와 있는 단기 이평선처럼 중기 이평선들도 슬슬 내려오면서 이평선의 배열이 역배열 상태로 재배치 되게 되고 그렇게 된다면 시즌 종료에 가까워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시일내로 장기 이평선 위로 캔들이 안착 해줘야합니다.
현재는 큰 추세 발산을 위한 이평선들의 이격을 좁혀주는 중으로 보이며 추세가 위로 터질지 아래로 터질지는 불확실한 구간입니다. 당장 위로 떡상할거라는 생각도 당연히 들지 않고 있습니다.
4H
최소한 바로 위에 있는 3,693 저항구간 위로 캔들이 올라타 줘야 어느정도 상승을 볼 수 있고, 올라탄다 해도 그 위에도 강력한 메이저 저항인 4,069 구간이 있습니다.
4k 위로 올라가기 전까지는 절대 방심은 금물이며 항상 의심하고 의심해야 합니다. 지금은 수익을 줄 때 야금야금 먹튀 느낌으로 챙겨야 할 때 입니다.
매매권유가 아닌 개인관점 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ETH] 이더리움 차트시황
1D
불안불안 하던 이더리움이 미국의 셧다운 합의가 통과됨과 동시에 반등을 시작하여 주요 저항구간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날봉상 이평선도 다시 200EMA 장기 이평선 위로 올라와 주는 모습입니다.
캔들이 다시 장기 이평선들 밑으로 빠지지 않고 버텨주면서 주요 매물대인 3,693 구간을 상방 돌파 해 준다면 어쩌면 연말 랠리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H
4시간 프레임에서 보이는 상승 추세선을 잘 지켜주는지 모니터링 하시길 바랍니다. 아직은 다시 상승추세로 돌아섰다 확정 지을 수는 없으니 지지/저항선 위,아래에 스탑로스를 반드시 설정하여 소중한 시드를 지키는 식의 보수적인 플레이를 할 때입니다.
깔짝 깔짝 잔손절로 시드가 갈린다면 레버리지를 낮추고, 승률에 너무 연연해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9번 이겨도 1번 패배에 풀시드가 삭제되는곳이 코인판 입니다. 특히 선물은 말할 것도 없구요.
잘 잃어야 잘 번다는 트레이딩 판의 격언을 잊지 마세요.
매매권유가 아닌 개인관점 입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ETH] 1H 이더리움 차트시황 1H
마지막 지지선인 3,056 말씀드렸는데 1달러 더 내려간
3,055를 찍고 반등중이네요.
여기가 마지노선입니다.
이 밑으로 내려가면 사실상 시즌종료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캔들은 이미 날봉상 장기이평선 밑으로 한참 내려왔고, 여기서 빠르게 위로 말아올려주지 못한다면 차트가 옆자기 하면서 이평선들은 하나씩 역배열 상태로 재배치 되게 됩니다.
만약 더 깨고 내려간다면 반등 나올만한 지지구간은
2,826
2,684
정도이고 이 구간은 피보나치 되돌림 0.618 구간입니다.
이곳마저 무너진다면 그 아래는 2,318 까지 열리게 되기 때문에 거리가 조금 있습니다.
현재 시장 상황은 극심한 공포 단계에 있고 이럴때는 현물을 조금씩 모아두면 나중에 FOMO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지지선을 하방돌파 하는지, 저항선을 상방돌파 하는지 잘 확인하면서 기계처럼 손절라인 잡고 트레이딩 합시다.
이렇게 급격하게 움직이는 장에서는 메인 프레임을 찾아야 합니다.
1시간봉 이상의 캔들로 보면 장대 캔들로 그냥 돌파해 버리기 때문에 포지션을 잡기도 쉽지 않습니다.
15분봉 정도의 낮은 타임프레임, 또는 더 낮은 프레임을 보면서 지지선을 잘 지키고 있는지 돌파했는지 눈여겨 보시면 메인 프레임을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
[ETH] 4H 이더리움 차트시황 4H
주말동안 3,822 지지선 위에서 잘 지켜주면서 3,905 저항선을 여러차례 돌파 시도했으나 결국 못뚫고 다시 제자리로 회귀해버렸군요.
캔들이 200ema 위로 올라타기 전에는 줄먹이 답인듯 합니다.
아무튼 닿는족족 튕겨주던 구간에 다시 방문했지만 그 어떤 지지/ 저항선도 여러번 두드리면 깨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이제 그만 두드리고 올라가 줘야 합니다.
지금은 3,963 아래에 스탑로스 걸고 롱 치거나, 만약 뚫고 내려오면 짧은 손절 후 3,963 위에 스탑로스 걸고 숏치면 되는, 손절라인이 짧고 명확한 구간입니다.
만약 깨지게 된다면 반등 나올만한 지지구간은?
3,536
3,362
3k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ETH] 4H 이더리움 차트시황경제지표 발표 후 파월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인해 하락하며 생긴 하락 추세선을 돌파 하며 하락추세는 멎은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에 반등이 나온 3,693 지지선 근처 구간은 이전에서 세번의 반등을 보여준 유의미한 구간입니다. 사실 Triple Bottom 후에 상승할거라 생각했는데 한번 더 내려왔다가 튕겨주네요.
이번에 하락 추세선과 동시에 돌파한 3,822 지지선만 잘 지켜준다면 다시 공수교대 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바로 위에 자잘한 저항선들이 있지만 여전히 주요 저항구간은 4,069 이며 200 EMA도 같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200EMA의 중요성은 다들 잘 알고 계실테니 캔들이 그 위로 올라타서 지지받는 모습을 보기 전까지는 항상 수익을 줄 때 냉큼 챙겨먹을 수 있는, 줄먹 마인드로 항상 의심하고 수익 챙기시길 바랍니다.
[ETH] 이더리움 차트 시황 4H
어제 CPI 발표가 있었음에도 별다른 움직임 없이 변동성이 미미합니다.
새롭게 단기적인 고점과 저점들을 이어 추세선을 그어보니 삼각수렴도 보이네요.
새롭게 그려진 상승추세선과 하락추세선, 그리고 박스의 상단, 하단 지지, 저항선으로 지지와 저항이 명확해 졌으니 삼각수렴 하단선 + 박스 하단선을 하방 돌파하든, 삼각수렴 상단선 + 박스 상단선을 상방 돌파하든 해당 방향으로 추세가 이어질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세워두고 유연하게 차트를 봅시다.
Fractal 관점에서도 과거에 Triple bottom 이후 상승이 나왔던 모습들을 확인할 수 있고, 큰 하락은 언제나 좋은 매수의 기회였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메인 시나리오를 상승으로 두고, 만약 4,069를 상방돌파하여 상승이 나왔을때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위에 저항선이 어디 있지?, 어디서 분할익절을 해야하지?
이렇게 미리미리 작도를 통해 예상경로를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반대로 만약 박스 하단을 하방돌파하여 3,693 지지선이 깨진다면? 트럼프 관세빔 캔들 꼬리 끝까지도 갈 수 있겠다. 거기까지 한 7% 정도 되는데 짧게 숏한번 쳐볼까?
이런식으로 서브 시나리오를 세워 서브 시나리오의 가능성을 열어둡시다.
관점은 언제나 틀릴 수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대응입니다.
이런식으로 미리 앞으로 그려질 예상 경로들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유연하게 차트를 본다면 본인의 관점과 차트가 반대로 갔을때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관점과 다르게 갔을때 당황한다는 것은 보유 포지션의 평단이 좋지 않아 물려있기 때문입니다.
지지, 저항구간 잘 보고 캔들이 근처에 올때까지 기다렸다가 포지션을 잡을수 있도록 기다리는법 부터 배웁시다.
[ETH] 1H이더리움이 또 메이저 저항선인 4,069를 돌파한 척하고 다시 내려왔네요.
롱충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품게한 뒤 빅엿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박스 안에서 나름 정직하게 핑퐁 중인데, 하필 상승 추세선을 하방돌파 해서 어질어질 하네요.
박스권 하단이라 롱치고 싶은데 추세선을 깨서 숏도 치고 싶은상황이 자주 나오는데, 이렇게 양방향이 다 보이는 곳에서는 굳이 트레이딩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자리는 도박입니다.
포지션이 없어서 손이 떨리시는 분들께서는 추세선, 지지선에 스탑로스 반드시 설정 하고 트레이딩 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오래 흔드는 만큼 추세가 터질때는 크게 터질거라 믿습니다.
그게 어디든 잘 올라타면 달달한 수익의 맛을 볼 수 있겠죠 ㅎㅎ
구경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ETH] 4H 이더리움 차트시황 1H
이더리움이 결국 메이저 저항선인 4,069를 지키기 못하고 내려오면서 상승추세선들을 다 뚫고 스크류바 같은 장대음봉을 뽑아냈습니다.
하락하며 생긴 봉우리들의 고점들을 이어서 하락 추세선을 그려주도록 합시다.
아래쪽에는 3,822 지지선이 버텨주고 있지만 간당간당 한 모습입니다.
4시간 프레임에서 보이는 트럼프 관세빔 캔들의 저점과 그 다음 저점을 이어 상승 추세선을 그어보면 현재구간에서 힘겹게 버티고 있는 모습도 관찰됩니다.
베어 플래그 패턴도 보이는데 하락이 여기서 더 진행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니 섣불리 숏 진입보다는 지지선 깨지거나 추세선 깨지는지 모니터링 하시다가 그에 맞게 대응하여 방향을 잡으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롱충이는 롱잎을 먹고 살아야 합니다.
추세선 깨지기 전까지는 롱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ETH] 1H 이더리움 차트시황이더리움이 결국 1번 하락 추세선을 상방돌파하며 마지막 메이저 저항선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두개의 저점을 이어 상승추세선을 그어두고 모니터링 하던 중 추세선에 닿지 않고 새로운 저점을 만들며 상승의 각이 가속화 되는 모습이 관찰되어 가속 추세선을 그었습니다.
이렇게 차트에 선을 계속 긋고 지우고 해주면서 추세선 각도의 기울기를 통해 추세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추세가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숏 포지션 진입보다는 상승 추세선 근처에서 추세선 아래에 스탑로스 설정 후 롱포지션을 잡는쪽으로 트레이딩 하시면 좋은 결과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4,069 메이저 저항선 상방돌파시 다음 1차 목표는 4,225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