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2월 6일 - 골드] 골드빠에 대한 생각안녕하세요 로또띠라우
우리는 몇 년 동안 주식, 코인에 많은 투자를 했었죠
그리고 작년 폭락에 대비하여 헷지 즉 위험을 피하는 수단에 많이 투자했을 것입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현재 금차트(달봉)입니다.
차트적으로는 라이징 웻지 형태가 눈에 보이는데요
주봉으로 봐도 고점을 계속적으로 낮추고 저점도 낮추는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금의 상승추세가 꺾이고 있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이는 헷지에 충실하지 못하고 있다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큰 프레임(시간)으로 보면 금의 가치는 상승하는게 맞습니다.
공급(금의 개수)는 한정적이며 수요는 계속적으로 늘어나니까요
전 세계에 금의 개수가 얼마나 될까요?
저도 정확히 모릅니다 하지만 한정적인 금맥에서 금을 캐는 것은 모두 알고있습니다.
공급보다는 수요에 가격영향이 많이 받는것을 생각해 볼 수있겠는데요
단기적인으로는 수요가 많이 줄어들것이라고 예상되고
그에 따라서 가격의 하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딸라 이야기를 잠깐 해보자며는
딸라인덱스 차트에서 10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강세 이하면 약세를 이야기하는데
현재는 100의 근처죠
우리가 배따시게 주식, 코인 등등을 했을시기에는
오랫동안 100이하에 머물고 있드랬죠
딸라인덱스차트도 눈여겨 봐봅시다
이제는 돈이 어디로 흘러갈까요?
윌리엄 오닐의 컵앤핸들패턴 금에서 완벽하게 나타났습니다. 향후 4500불 전망금 장기 차트에서 강세 지속형 패턴인 컵엔 핸들 패턴이 나와, 소개해 드리고자 가져왔습니다.
<컵앤핸들 패턴 소개>
컵앤 핸들 패턴에 대해서 먼저 설명 드리면 차트 모양이 컵의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 패턴은 1988년 윌리엄 오닐의 저서에서 처음 소개된 패턴입니다. 윌리엄 오닐은
CAN SLIM 이라는 투자 기준을 직접 만들어 5,000 달러의 투자 원금을 1년 만에 20만 달러로 키워
서른 살의 나이에 뉴욕 증권거래소의 최연소 회원이 되었는데요 다양한 저서를 썼고, 그중 컵앤 핸들이란 패턴을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였습니다.
여러 가지 기술적 패턴 중에서도 컵앤 핸들 차트 패턴은 신뢰도가 높은축에 속하며,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흐름에서 나올때 확률이 올라가게 되는데요
금 차트를 보시면 2000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첫번째 상승 그리고 하락 이후에 2013년도부터 2019년도까지의 횡보 및 매집 국면이 발생되었고,
2019년도부터 2020년도까지의 상승기로 컵의 모양이 완성 되었으며 (컵의 몸통) 현재까지 약 2년간의 하락 채널로의 컵의 손잡이 부분 까지 완성되었습니다
금 차트에서 20년에 걸쳐 형성된 이유로 신뢰도가 높다고도 볼수 있겠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금 차트에서 2100불 위치가 확실하게 돌파 나온다면 4500불 지점까지의 상승이 나올거라 예상 되는데요
금의 경우에는 변동성이 크지는 않고, 시계열이 긴 안전 자산임으로 상승 시계열을 충분히 잡으셔야 하며 상승 기간에서도 월간의 기간 조정도 발생되는 과거의 흐름이 있으므로,
5년에서 최대 8년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금도 좋지만 조금더 높은 수익률을 원하신다면 은 투자도 적합하겠는데요
금이 대세 상승시기에서는 금과은의 비율 금은비가 1:30 지점까지 좁혀지기도 합니다. 현재는 1:80 위치로 약 2.5배 높은 상승세가 나올것으로 보여지네요 ~
세계는 처음 보는 국면에 진입한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무분별한 양적완화는 물가 상승을 초래했고, 금리인상의 결과로 부실부채가 무너지며 이상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전자산인 금과 은에 포트폴리오를 분산시켜
자산 방어에 나설시기가 아닐까 생각이 들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따봉은 제 아이디어에 큰 힘이 됩니다 ~ ^^
SILVER 단기 전망 - 레인지 내로 복귀, 현재 저항구간 돌파시 $28 재도전 가능안녕하세요, 1PERCENT입니다.
지난 아이디어로 한국에 거주하고 원화를 벌면 골드와 실버로 원화가치 하락에 대한 헷지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구독자분들께 선 공개했던 실버 단기전망 공유드립니다.
현재 실버는 2년째 $21 ~ $28 사이 레인지에 갇혀있습니다.
2주 전 시장과 함께 '급락'했으나 빨간색 장기 지지구간에서 좋은 반등을 보이며 다시 레인지내로 복귀했습니다.
첫번째 시나리오 :
$22 부근 저항구간 돌파시 레인지 중앙 ($26), 이후 상단 ($28.5)까지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두번째 시나리오 :
다시 레인지를 하단으로 돌파 할 경우 빨간색 $19 - $21 장기 지지구간에서 계속 매집할 기회를 주게됩니다.
세번째 시나리오 :
3. 빨간색 지지구간을 잃는다면 초록색 $13.5 - $16 지지구간까지 하락할 수 있으며, 평균 1온스당 실버의 채광비용이 $11 - $13이기에,
무지성 투자를 시작해도 될 만큼 20년도 3월 폭락장 이후 최고의 기회가 될 것 입니다.
실버의 2022년 수익률은 -1%로 저조하나, 미국 대표 증시인 S&P500에 비교하면 +11.5% 아웃퍼폼하고 있습니다.
Silver vs S&P500 / 일봉
물론 1월 초 영상으로도 공유했던 오일 & 가스 섹터 (+75% YTD)에 비하면 매우 저조하지만, '안전자산'의 역할은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XOP - 오일 & 가스 시추 및 생산 기업 ETF / 일봉
개별 기업으로는 두배 이상 상승한 기업도 많음
아래 차트에서 보시듯 장기적으로 실버는 S&P500대비 하락하던 패턴을 깨고 반등을 보일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SILVER vs S&P500 장기 / 월봉
2020년대 말 까지 골드, 실버, 우라늄, 오일, 가스 및 기타 원자재들의 아웃퍼폼 베팅합니다.
감사합니다.
1PERCENT
[해외선물] 골드 SHORT 노려볼만한 자리⭐ 서 론 ⭐
안녕하세요 차트왕도 입니다.
오랜만이죠. 여러가지 사업도 하고 바쁜 탓에 글 쓰는 걸 미루게 됬었습니다.
오늘은 해외선물 종목 중에 골드가 SHORT 들어갈 만한 메리트가 있는 자리라 생각되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본 론 ⭐
🔍 아이디어
• ONLY 차트 분석을 통한 매매
🔴 일봉
• 저항선에 닿여있는 자리
• RSI 하락 다이버전스
• 엘리어트 ABC 파동 완성
🔵 4시간
• 저항선에 닿여있는 자리
• RSI 하락 다이버전스
• 쌍봉 확인
🟠 15분
• 하락장악형 + 거래량 多
• RSI 하락 다이버전스
🟢 앞으로의 대응
• 1812 를 손절잡고, 1차 목표가 1765 에서 절반 익절 후 1736에서 올 익절
⭐ 결 론 ⭐
엘리어트 파동과 저항선 캔들패턴 등 기본적인 분석을 통한 매매
--------------------------------------------------------------------------------------------------------------------------------------------------------------------------------------------------------------------------------------------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차트 분석 요청하고 싶으신 종목이 있으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순차적으로 요청에 따른 분석 해드리겠습니다.
(사정상 모든 분들을 해줄 순 없다는 점 유의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주식
#골드
#금
#GOLD
#미국지수
#미국주식
#국내주식
#국내지수
#XAUUSD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NASDAQ
#SPX
※ 본 게시글에 나타난 모든 의견은 자료 작성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본 게시글은 투자를 유도하거나 권장할 목적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올려진 게시글입니다.
※ 당사는 본 게시글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 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본 게시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GOLD , 금 , XAU] 금이 안전자산 , 인플레이션 헷징이라고? 당분간 금의 시대는 끝났다.금 스윙 매도포지션 계획입니다 최고점인 2000은 당분간 회복하는게 힘들어 보입니다.
월봉차트로 보면 비트코인과 구조가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손익비 4:19로 대략 5에 가까운 아주 손익비가 좋은 트레이딩 계획이며 한번더 고점을 스윕한뒤 내려가거나 이미 내려갈길만 남은 것으로 보입니다.
두가지 계획을 세워볼수있으며 저는 분할로 매도포지션을 가져갈 계획입니다.
현재자리에서 50% 고점 스윕이 나오면 50%로 손절선은 1818부근으로 해두었으나 저의 손절계획은 1820$ 지지확인 입니다.
대략 내년 상반기안에 목표지점에 도착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비트,알트코인과 나스닥 , S&P500 , 달러 등 FX계획도 여러가지 퍼블리쉬 할 예정입니다.
[해외선물] 골드 단기 SHORT 노려볼만한 자리⭐ 서 론 ⭐
안녕하세요 차트왕도 입니다.
평소에 거의 주식글이나 지수글만 썼었는 데
경기가 경기다 보니 올릴 수 있는 글이 한정적이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해외선물 종목 중 공매도 진입할 만한 종목이 있다고 생각되는 골드 차트 분석글 적게되었습니다.
⭐ 본 론 ⭐
🔍 아이디어
• ONLY 차트 분석을 통한 매매
🔴 4시간
• 상단 저항 추세선에 닿여있는 자리
• 강한 저항 구간 부근임.
🔵 1시간
• 빨간색 화살표처럼 가격이 하락할 시 쌍봉 완성
• 쌍봉이 완성됨과 동시에 주황색 단기 추세선 하락 돌파
-> 쌍봉 NECKLINE 이 저항으로써 작용
🟢 앞으로의 대응
1차 목표를 TARGET으로 함.
1차 목표가 1641.90 부근에 도달하면 포지션 ALL 청산
손절은 1683.07 에 도달하면 ALL 손절
(1차 목표가 : 1641.90)
🚩 빨간색 화살표처럼 가격이 하락할 시 눌림목(흰색 동그라미)에서 공매도 진입
골드 단기 반등은 지속적일 수 있을 지 살펴 보시오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골드는 참 강력한 반등을 보여줬죠 저가에서 약 100불 정도 올랐습니다
1622 부근에서 어제 고가까지 단지 4시간 레벨에서 상승 파동 하나로 100불을 끌어땡긴 거죠
그래서 4시간 레벨에서 여전히 상승 관점 두고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조정 파동 나온 후에 4시간 레벨에서 상승 중추 만들 수있을 지 중요하겠죠 ?
이유는 간단합니다 과거 왼쪽에서 만들었던 4시간 레벨 하락 중추에 대한 압력을 소화시켜야 됩니다
그 소화 과정에서 지지를 잘 확인되면 한번 더 상승을 할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피보나치 비율 이용해서 0.382 -0.5부근에서 분할 매수 전략 추천드립니다
분할 진입 위치
1) 1693 부근
2) 1680 부근
3) 1666 부근
목표가 1780부근
손절 1630이하( 가격상 손절 범위는 크다 보니 본인의 자금 비율에서 분할 진입 조정 부탁드립니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아이디어 도움 되신다면 팔로우 및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9월 23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나스닥 30분차트 , 숏포지션 전략입니다.
정확하게는 하늘색 손가락이동경로
숏 -> 롱 스위칭전략이구요.
나스닥경우에는 하방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4시간차트 기준으로 수직하락이 진행중입니다.
핑크색지지선은 마지막 상승추세선이되며 ,
주황색 저항선까지가 횡보장 기준입니다.
다음주 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각인 기준으로본다면 ,
일단 이탈없이 횡보만해줘도 좋습니다.
문제는 나스닥 악재로인해서 , 계속 우하향 하락중인데
나스닥 종목의 성격에맞게 , 좋아하지는 않지만 쌍바닥에 승부를 걸었구요.
3시 지표발표는 크게 중요하지않다고 판단하고
무시헀습니다.
*하늘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숏 -> 롱 스위칭전략
1. 11439.6 숏 / 주황색 저항선 돌파시 손절가
2. 10989.1 롱포지션 스위칭 / 하늘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하늘색 지지선은 시즌 종료 기준이되며 ,
훼손 또는 이탈경우 , 반등이 션찮을때 다음주부터 장기적인 하락세가 나올수있으니 주의해주시구요.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중장기로 뭐를 사야 할까? 하늘색 SPX
노란색 DAX
캔들 GOLD
현시점 단기매매 관점으로 증시를 매수 할수는 있으나
중장기 관점으로 매수를 진행할수있는 자리는 아닙니다.
과거 Capitulation 발생시 GOLD 급등하는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지금 위험자산을 중장기 관점으로 매수할수 없는 이유는 Capitulation 가능성 때문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골드 $1566 구간을 기다려보고
매수를 하는것이 현재 시점 매우 현명해 보입니다.
달러 인덱스 역시 강세를 유지하고있고 12월 까지는 중간 중간 조정은 있겠지만
계속 상승할것으로 보고있습니다.
9월 16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30분 차트 원웨이 숏포지션 전략입니다.
현위치에서 수직하락시 , Bottom 근처까지 밀리수있으니 참고해주시구요
나스닥 패턴 및 무지성숏에대한 전략입니다.
딱히 반등할만한 자리도없고 ,
하락추세중이기때문에 가장 현실적인 전략을 만들어왔어요.
*화살표 이동경로시
롱 -> 숏 -> 롱 스위칭전략
1. 11792.3 롱 / 진파랑 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2017.6 숏 / 주황색 저항선 돌파시 손절가
(초록색 저항선까지 도달하는경우 약조정 가능성)
3. 11531.9 롱포지션 스위칭 / 하늘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현재는 숏으로도 먹을자리가 없고
주봉차트에서 계속 눌러주고있기때문에
어느정도 하락이후 다음주 생성되는 MACD 와 지지선 모양에따라 전략이 바뀔듯 보여집니다.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주말에는 분석글을 쉬기때문에 , 퍼블릭제한이 없어서
전체공개로 남겨드릴게요.
좋은 주말보내세요.
감사합니다.
9월 8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30분차트 화살표 원웨이 롱포지션 전략입니다.
*빨간색 화살표 이동경로시
1. 12260.7 롱 / 보라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2926.4 롱포지션 타겟 및 숏포지션 운영구간
전략 성공조건으로는
주황색지지선 유지 및 저녁7시 이전에 12시간중앙선 터치
10시 10분 지표발표에서 호재
롱포지션 입장에서 최대치라고 봐주시면 좋을거같구요
지표발표에서 ,
악재시 , 하단에 하늘색 손가락구간 참고
지표발표가 별로 의미가 없을경우
횡보장 기준으로 핑크색 스마일구간 / 초록색지지선내에서 마무리 될듯 보여집니다.
오늘 보라색지지선까지만 유지되어도 무조건 좋구요
이탈경우에는 내일이후 , 추가 조정 및 하락이 나올수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 잊지마시고
모두들 즐거운 한가위보내세요
감사합니다.
9월 2일 나스닥 US100 해외선물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우"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주말에는 분석글 작성이 없기때문에 , 퍼블리시 제한이없어서 전체공개로 진행합니다.)
30분차트 원웨이 롱포지션 전략입니다.
작은 패턴도 일부 깨진상황이고
1시간차트 MACD 데드크로스가 진행중입니다.
시간이 많이 지난 상황이기때문에 횡보가능성을 높게보았구요.
9시30분 지표발표에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1. 12173.4포인트 롱포지션 진입구간 /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2465.1포인트 롱포지션 타겟 / 숏포지션 자율운영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 Bottom 까지 하락할수있고
다음주 시작에서 추가 하락이 나올수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원칙매매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고
좋은 주말보내세요.
감사합니다.
22-09-01 골드 분석안녕하세요. 비비드 입니다.
오늘의 분석은 금/골드 입니다.
우선 일봉 상의 차트를 보겠습니다.
금의 저항가는 2086 정도 입니다.
두 차례 저항을 받았으며 20년도와 22년도에 한번씩 저항이 나온 것으로 확인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금의 지지 구간 입니다.
금의 지지 구간은 1672 정도 입니다.
지금까지 여러차례 지지를 받은 모습이 나왔으며 금의 20년도 원웨이 상승이 나오기 전까지 강한 지지구간을 만들었던 구간입니다.
현재 금의 가격은 약 1717이며 지지 구간과의 차이는 2.6% 가량 나옵니다.
만약 이번 하락이 나온다면 금은 가차없이 조정의 구간에 진입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이 구간을 이탈을 하게 된다면 미국 금리 인상 발표 전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론 상 이탈을 하게 된다면 금의 목표가는 1270 정도가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더블탑의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이며 13년도부터 19년도까지 장기 횡보 했던 구간이기에 완전 가능성이 없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 됩니다.
다만 이러한 장기적인 관점 매매는 펀드나 현물로 가능하지 선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 됩니다.
지지구간이 중요한 이유 입니다.
파랑 박스 구간을 보면 단 2달만에 약 22% 가량의 하락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녹색 구간의 12% 하락 조정은 5일동안에 일어난 것 입니다.
이를 토대로 본다고 하면 주요 지지구간의 이탈 후 주황색 점선인 1576과 1454 구간에는 매물대가 크게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이탈을 하게 되도 원웨이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장기 분석이다 보니 구름대로 확인 했을 때에 월봉 상 2019년도 이후에 캔들과 지표가 처음 만나는 구간 입니다.
이런 분석들이 조합이 되다보니 이러한 관점에 이르렀습니다.
추후 금의 방향을 지켜보고 새로운 관점이 나올 경우 다시 한번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제 경제 시황에 대한 간단한 생각, 근데 금을 곁들인
달러도 금값도 떨어지고 나스닥도 반등해주고 있음
금값이 미친듯이 올랐던 때가 1971년 때인데
오일쇼크랑 미국의 스테그플레이션 문제로 어마무시하게 금값이 올랐었음.
그 마무리는 어떻게 되었냐?
금리를 21.5%까지 올리고 미국 경제 문제가 해결됐었음.
참고로 스테그플레이션의 조건은?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음.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음.
둘째, 정부가 너무 빨리 통화량을 늘리면서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만들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음. 경제성장을 늦추는 정책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정책은 대개 경제성장을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함.
두 가지 원인은 서구에서의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분석에 제시되어 있다. 유가가 크게 오르면서 시작됐지만, 중앙은행이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지나치게 자극적인 통화정책을 쓰면서 물가·임금 상승세가 이어지기도 했음.
보통 경제위기면 달러가 올라가지만
인플레이션이라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기때문에 달러는 떨어지고, 증시도 떨어지지만, 금은 오름
이것이 단순히 조정을 맞고 떨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미연준이 연착륙하면서 인플레를 잡을 수 있으려나 하는 기대감이 생기는거 같음.
다만 이게 아래의 저항을 맞고 올라온다면... 컵앤핸들패턴으로 저기 저항을 뚫는다?
그럴땐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함.
FX_IDC:USDKRW
현재 달러가 주봉상 저항을 맞고 내려가고 있는데,
달러는 내려가고 금값이 오르면 스테그플레이션의 징조라고 생각이 됨.
코로나로 인해 조건이 어느정도 맞았다가 현재 중국의 봉쇄가 어느정도 풀리면서 그 위험은 어느정도 줄어들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그 위기가 풀린 것은 아님 ( 우크라이나는 세계적으로 비옥한 평지, 미국의 재정 부담 )
계속 경계는 해야 한다고 생각함.
참고로 스테그플레이션 때는 원자재가 매우 큰 강세를 보임.
골드 & 실버 - 원화가치 하락에 대한 헷지 | 당신의 구매력은 안전하신가요?안녕하세요, 1PERCENT 입니다.
1. 화폐가치는 계속해서 하락한다
"언제 적금해서 돈 모아서 집을 사나? 돈 모았을때는 이미 집값은 더 상승했겠지?"
저는 사회초년생 때 첫 취직을 앞두고 월급 관리에 대한 정보를 찾다가 이런 깨달음을 얻고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 2020년 코로나 폭락장이라는 사태와 자산시장의 폭등으로 많은 분들이 투자를 시작하셨습니다.
똑같은 마음으로 시작하셨을겁니다.
90년대 중반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평당 1000만원대 였습니다. 지금은 평당 1억원 에 육박합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갑자기 최신식으로 바뀐건 아니죠. 그만큼 원화의 가치가 하락한 것 입니다.
밥값도 마찬가지죠.
계속 찍어낼 수 있는 화폐가 중앙은행의 지속된 발행으로 점점 많이 돌아다니니 자연스레 상품과 자원의 가격은 상승합니다.
2. 인간은 수천년 부터 '금'과 '은'의 가치를 믿었다
그래서 수천년부터는 함부로 구하기 힘든 금, 은 동전이 이용되었으나,
보유하고 있는 금보다 더 많은 돈이 필요하면 몰래 다른 금속과 섞어 동전의 순도를 떨어트려
더 많은 돈을 발행해 사용했습니다.
좋은 돈(금 은 100%)은 시중에서 사라지고, 나쁜 돈 (여러 금속 섞인 동전)만 돌기 시작했죠.
그리고 역사적으로 반복되었듯이, 점점 흔해진 '돈'은 가치를 잃고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유발했으며,
결국 인간은 '무한정 발행 가능한 "돈"의 가치 하락' 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채,
항상 새로운 화폐 시스템의 도입으로 이를 덮었습니다.
그리고 특정 화폐의 몰락의 마지막에는 항상 '실제 가치가 있는 돈'인 금과 은의 폭등이 있었습니다.
3. 원화는 더욱 취약하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 원화 '도 마찬가지죠. 그리고 원화 뿐만 아니라 전세계는 지금 달러와 연동 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건 다른 국가건 결국 미국 연준이 강한 긴축정책으로 시장의 유통성을 빼앗아 달러의 가치를 높여야 지
서민들에게 계속해서 점점 더 심한 고통을 주는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습니다.
달러의 패권에 대해서는 여러번 다룬 적 있으니 생략하겠습니다.
(금본위제, 브레튼우즈, 페트로달러, 탈달러화)
원화 가치의 하락은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차트에 잘 나타납니다.
1980년대 부터 지금까지 금값은 +430% 정도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환율을 적용하면 한국에서 원화를 받는 이들에게는 무려 +830% 상승입니다.
달러 자산을 보유중인 사람에 비해 금에 대한 구매력이 40년간 이런 차이가 생겼다는 사실 입니다.
원화의 가치 하락이 그만큼 가속화 되었다는 것 입니다.
이는 실버의 차트에서도 들어나는 현실입니다.
국제 은값 VS 국내 은값
은값도 달러 기준 +250%, 원화 기준 +500% 상승했습니다.
4. 구매력 상승이 곧 경제적 쟈유다
1PERCENT 채널에서는 작년 초부터 계속해서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과,
인플레이션과 금융시스템 변화를 대비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로 : '오일&가스' / '골드&실버' 시나리오를 공유했고,
국가의 생존을 위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된 에너지안보 및 친환경 에너지 정책 실패의 위기를 극복하게 해 줄 '우라늄 섹터'를
TOP 3 섹터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오일 & 가스는 2021년 가장 상승폭이 컸던 섹터로 주가상승과 더불어 고배당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에 기여하고
우라늄 섹터는 높은 변동성을 이용해 하락장에서도 두달만에 UUUU 기준 +60% 달성 후 조정을 이용해 추가매집을 계속 하고 있으며
실버 & 골드는 가장 큰 장점인 '완벽한 개인화' 현물 자산으로 모아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정치, 경제, 사회적 이슈를 바탕으로 한 마크로 투자 시나리오를 계속해서 올리길 원하신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PERCENT
끝없이 추락하는 미국 증시, 피보나치는 고점을 예견했다 | S&P500, 비트코인, 금, 오일&가스, 우라늄 차트작년 9월 공유했던 아이디어
과거
- 2008년 금융위기 하락 이후
- 연준의 무차별 양적완화
- 엄청난 자금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이끔
- 작년 9월 피보나치 4.236에 도달, 상방 이탈후 다시 돌아옴
현재
- 역대급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세가지 방법이 있음
1) 공급 증가 (연준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님)
2) 수요 하락 (수요 하락 = 소비 하락 = 기업 이익 하락 = 가구 소득 하락 = 소비 하락 => 경기 침체 악순환)
3) 화폐 가치 증가 (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회수)
"인플레는 일시적이다" 라고 말했던 파월입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아야하나, 파월이 말한 "경기 연착륙"의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인플레를 잡기위해서는 결국 화폐 가치를 높이고 수요를 하락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수요를 잡기 위해서는... 경기 침체를 피할 수가 없어 보입니다.
작년, 그리고 재작년 역대급 수익을 올리고 아마존, 테슬라, 페이스북, 펠로톤, 월마트 등 수 많은 CEO들이 주식을 내내 팔았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인사이드 트레이드로 돈을 잘 벌던 미국 고위급 공직자들도 "윤리적 이유"를 논하며 주식을 거래하지 못하는 법안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우연의 일치일까요?
1PERCENT팀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급변하는 세계 정세의 수혜섹터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맞게 작년 2분기 부터 포트를 리밸런싱 했습니다.
S&P500 대비 금
금 대비 비트코인
S&P500 대비 오일 & 가스
우라늄 섹터 북미 대표 기업
힘든 나날의 연속이지만, 노력의 성과는 과실을 맺을 것 입니다.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1PER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