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력 : 아직 넥라인 아니다 횡보 더 남았다.제 생각인데 아직 넥라인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근데 다만.... 오늘 8~10시 무빙보면 벌써 넥라인 인거같긴하데.... 검은 봉패턴으로 흘러갈거라고 생각되는데 한번올라가서 내려갈생각을 안하네요... 거기에다가 2월 8일 3700피뢰침이랑 똑같이 3700 피뢰침 꽂고 내려온점... 이게 끝으로 올라갈지 내려갈지 정해질지.. 아니면 봉패턴대로 흘러갈지.... 잘 모르겠습니다. 솔직하게... 추천 포지션은 3600에서 롱잡고 3900불부터 숏 잡으시는거 추천드립니다. 딱히 롱이다. 숏이다. 정할수가없네요
프랙탈
넥라인으로 이동중인 캔들어제 올렸던 1날 차트입니다. 예상대로 흘러가고있습니다.
근데 다만 이제 3560까지 빠질줄알았던 진행이 3575부근까지 떨어지고 다시 올라왔네요
1시간봉 현재 제가 바라보는 구간입니다.
4시간봉 비슷하게 빠졌죠?
다음 진행될 차트는 굳이 말 안해도 보이실거라고생각됩니다.
단기적으로 3630 넥라인까지 간다고 봅니다. 일단 단기 롱 보고 넥라인에서 상황을 지켜보도록 합시다. 넥라인 뚫을시 최소한 3800이상 돌파 할 것으로 예상
하지만, 넥라인 돌파 실패시 3480에 대한 지지 테스트 후에 올라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횡보는 빠르면 내일 늦으면 화요일 즈음에 끝날것같고 횡보기간동안 알트 펌핑이 있을 것 이니 아직 못오른 알트르 찾아서 담아보시는 거 추천 드립니다.
프랙탈과 역헤숄로 보는 차트 예상일봉을 보시면 일단 위에 얇아진 구름대를 확인 할 수 있고 또한 1시간봉, 4시간봉, 일봉을 보시면 14일 23시부근을 기준으로 반대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첫번째로 빨간선입니다. 역헤숄 넥라인 부근인 3650지점에 도착후에 4.2k 도착
두번째로 주황선입니다. 역헤숄 넥라인 부근인 3650지점에서 3480 지지 리테스트 후에 반등으로 4.2k 도착
세번째로는 역헤숄 그리는척하면서 12월 말 ~ 1월 초 분홍박스 처럼 3.1에 대한 쌍바닥을 그린 후에 4.2k 로 올라갈 것 이고
결과적으로 4.2k 후엔 어디로 가냐? 말그대로 대세상승장이 될 수 도 있고, 4.2k가 어딥니까 12월달과 쌍봉을 이루는 구간입니다. 쌍봉을 이루면 어떻게 된다? 떡락을 한다.
이 떡락으로 저는 3.1k에 대한 저점 갱신을 바라보고있습니다.
1월 7일~1월 10일 프랙탈로 보는 다음 구간 예상EHTUSD, XBTUSD 차트 둘다 1월7일~1월10일과 비슷하게 가고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다들 비트코인 기준으로 3480이 지지라인으로 생각해서 저도 같은구간에서 반등으로 1차적으로 3800부근 그 이후로는 4200불까지 보고있습니다. 4200불에서 하락시 최저점이였던 3.1k를 돌파하고 신저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추천 자리 XBTUSD 3575 부근 숏포지션 진입 ETHUSD 121부근 숏포지션 진입 스탑로스로 타이트하게 XBTUSD 3600돌파시 ETHUSD 125불 돌파 손절 어처피 올라가면 비트의 가치가 오르기때문에 큰 손절은
추가움직임이 일단 하방인건 확실하나 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추가해 봅니다. 바뀐 관점은 현재 골파인부분이 초록박스와 같고 현재 그려지는 부분이 파란박스와 같다고 본다는 관점
그리고 4시간봉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4시간봉 세 개가 더 나와야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12시간이내에 3420불 부근 터치후에 하락할 가능성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만약에 숏타기엔 좀 늦은것 같다? 3250~3300 롱포지션 입벌려볼만하다고 봅니다. 현재 일봉상 3일봉 4일봉으로 상승다이버전스가 그러져있는데 일봉마감전에 하락으로 이 상승다이버전스를 없애버리고 하락 지속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봅니다. 겨
비트코인 1월 초 프랙탈과 일목 구름 지표에 따른 하락 가능성지난(20일) 하락 이후 어디로 이동하려는 것인지 단기간에 확인하기 어려웠고, 시장을 좀 더 지켜 보았습니다.
만약 어제(21일) $3,600 가격대를 상승 돌파 후 다시 빠른 시간 이내에 위로 이동할 수 있었다면, 우리는 상승을 좀 더 빨리 보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더 이상 상승의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까?
현재 시장에서 하락의 가능성을 찾는다면, 이 분석은 숏 포지션 전략을 설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1월 초 프랙탈과 일목 구름 지표에 따른 하락 가능성 분석 입니다.
여기서 하락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근거에 따라 숏 포지션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1. 1레이아웃은 1월 초에 보았던 하락의 모습입니다. 2레이아웃이 비슷하게 움직임을 보여줄지 확인 하십시오.
2. 1레이아웃에서 거대 음운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 또한, 2레이아웃에서 비슷하게 움직임을 보여줄지 확인 하십시오.
2. 2레이아웃에서 분홍 원은 우리가 보아야 할 움직임일 것입니다.
3. 하락을 보여준다면 최대 0.786($3,465) 까지 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 있습니다.
단, 거대 음운 저항을 돌파하여 안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보여준다면 손절 전략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자리는 룟인가?몇시간전 있었던 용꼬리급으로 달린 캔들 제 예상대로 3400부근 터치를 했지만 꼬리를 달고 올라와서 다음 캔들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숏이 좀 흔들립니다. 거기에 더하여 이전 프렉탈과 비교했을 때 이평선에 부딪히고 내려갔지만 현재 구간에선 캔들자체가 60 이평선위에 올라있습니다. 그래서 제 또 다른 예상은 가격의 변동폭이나 시간의 폭이 줄어들은 점에서 용고리 달고 올라와 다음 캔들이 시작한 지점이 네모난 갈색박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딱히 이번 구간에서는 롱이다 숏이다 할 수가 없지만 3가지 포지션을 가질 수 있겠습니다. 1배숏, 관망, 롱 세 가지가 있습니다. 1배숏은 올라가도 이득이고 내려가도 이득인 것이 학계의 정설/관망은 올라가야만 이득이지만 딱히 롱 타는것에 비하면 리스크는 크지 않죠?/롱 무조건 올라가야만 씹이득보는 포지션 현재 구간에선 롱 포지션이 가장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포지션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프렉탈 비교로 보는 숏관점12월 말 1월초의 큰 변동폭의 횡보 이후에 장대양봉 출현 후 횡보 그러고는 장대음봉 3개가 출현하였습니다. 현재 큰 변동폭의 횡보와 장대 양봉출현으로 현재까지 변동폭이 줄어든 프렉탈 형태를 보이고 있죠. 아직까지 프렉탈대로 가고있습니다. 프렉탈대로 계속 이어간다면 장대 음봉 3개 출현으로 3200불까지 바라 보고있습니다. 다만 세력은 언제나 개미들의 돈을 뜯어먹는 양아치로 추세선을 못귿지만 제가 보는 추세선상으로 바닥에 있기도하고 일봉상 거래량이 줄어든 시점에서 장대 음봉이 아닌 거래량이 실린 장대양봉으로 3900불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현재는 프렉탈 관점으로 숏 타점 3750~3770 손절 라인 3850부근 보고있습니다.
일봉 상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거래량 실린 장대 양봉 뽑아주면서 다시 한번 구름대에 안착하는 모습도 염두에 두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