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랙탈
롱 숏 둘다 설명이 가능한 부분차트는 라이트코인의 횡보구간과 비교한것이고 밑에는
고점 더블탑 이후 하락모습입니다.
1. 어센딩트라잉앵글 형태로 ABCDE 중 D파를 그리러 가는 것일 수 있다.
1-1. CME 갭구간까지 떨어지고 올란다면 어센딩트라잉앵글이 더 길어 질수 있다.
2. CME 갭구간은 7175~7485이다.
3. LTC, DASH, EOS등 선행차트라고 생각되는 코인들과 비교했을때 더블탑 이후의 하락을 볼만한 구간이다.
3-1. 또는 더블탑이후에 횡보를 보여주는 구간일 수 있다.
정리해드리자면 뚝배기 넓게 잡을 수 있다고 쳤을때 저라면 숏에 물리겠습니다.
어처피 일단은 하락을 보여줄만한 여지가 있어요.
첫번째로 CME갭을 채우러간다.
두번째로 상승추세선을 리테스트 하러 간다. 고 했을때 7600위에서 숏을쳐도 이익을 챙길만한 구간이죠?
LTC, DASH, EOS 등과 비교했을때 이구간은 하락구간과 비슷하게 보인다. 설마 비트가 대장이니깐 다른비트들 다 떼놓고 뛰어올라가버린다? 그건 좀..
롱은 확인매매를 해야 될 여지가 있습니다. 일단 상승추세선도 안닿았을 뿐더러 CME 갭구간도 아직 안채워졌기때문입니다
롱을 타야겠다 싶으시면 7400 7175 6400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확인매매를 해야겠다. 일단 관망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숏도 리스크가 커요 만약에 7400부딪히고 올라간다 했을때 7600에 타서 7400에 익절하면 좋겠지만 8300까지 리스크가 큽니다. 대략 700불이네요? 리스크가 크죠? 그럼 어떻게 해야하냐? 전략을 짜야겠죠
1. 현구간 숏 진입 tp1. 7400 tp2. 7175 tp3. 6800 이후 6400까지 홀딩
2. 7400 반등 ->8300 갈시 8300~8400숏 진입 SL 8450 확정 돌파 시
3. 7400 롱 진입, 7175 롱 진입, 6400롱 진입 SL은 각 EP마다 100불
세가지 시나리오 짜봤습니다. 1번은 솔직히 지금구간에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2번 3번은 관망매매고 그 중에서도 3번은 손실이 생길 수 있는 시나이로
2번은 만약 그대로 떨어진다면 비트의 개수는 줄지 않지만 가치가 떨어져 씹손해보는 멍청매매가 될 수 도 있습니다. 선택은 여러분에 달려있습니다.
제가 6400을 보는이유입니다.코인을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면 스캠판 ? 차트 대부분 비슷하게 흘러갑니다. 거의 동기화된 차트마냥 비슷하게 흘릅니다. 물론
물론 약간의 그 그룹이라해야되나 좀 나눠져서 움직이긴하는거같은데 암튼 그런느낌인거 다들 아실겁니다. 그래서 저는 이자리에서 6400까지 갈수있다고 생각해요.
EOSUSD 차트입니다.
DASHUSD 차트입니다.
뭐 이외에도 더 많은데 하나하나 올리기가 좀 그렇네요 암튼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렷지만
이렇게 됐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어처피 CME 6400-6800갭도 메워야되고 다른 메이저들 처럼 그릴려면 결국엔 6400부근을 갔다왔어야했으니깐 근데 비트같이 무거운애들은 그렇게 힘들지 않을가
그래서 12월에 4k 회복후 계단식하락때 마지막부분에서 똑같은 프랙탈형태로 내려오다가 마지막에 휩소형태로 프랙탈을 보여준 것처럼 6400을 갔다 온 것도 그런형태이지 않을까 합니다.
이 구간아니면
여기처럼 흘러갈 것으로 예상이됩니다.
만약에 최소한 24시간이내에 7900을뚫고 7800도 뚫고 6k를 보지 않는이상 추가적인 상승올 최소 9k를 볼 것으로 내다보고있습니다.
타노스 강속구에 맞은 롱스톤들..1. CME BTC1! 6400~6800 갭이 타노스의 핑거스냅으로 채워짐.
2. 갭을 채우면서 되돌림주고 올라와서 LTCUSD의 고점 이전 움직임 이후 상승 2-1 재차 상승 이후에 50EMA와 양운테스트
3. 또는 LTCUSD의 고점 이후 움직임으로 50EMA와 양운의 지지테스트 이후 상승 고점 돌파
4. LTCUSD와 2015년 BTC모두 일봉상 고점 이후 50EMA와 양운의 테스트를 받았다.
2015
LTCUSD
5. CME BTC1!은 현재 휴장이다
장이 열리기 전까지 7105위에서 놀고있다면 갭차이로 인해 재차 하락의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
위험한 숏 베팅원래 역추세 매매하는 하면안되는데 롱보면서 트뷰에 롱 관점 공유해놓고 혼자서 역추세매매해서 자꾸 잔고가 털려버리네유 ㅠㅠ
두 가지네요 현재구간이 오른쪽 라이트코인 3월 차트 분홍색점선 구간이냐 아니면 주황색 점선구간이냐 인데
만약에 예를들어서 옆에 네모난 구간처럼 자리를 안주고 들어올릴경우라고 생각했을때 주황색구간으로 볼 수 있고 만약에 그게 아니라면 분홍색점선이라고 볼만한데요
근데 두 구간 모두 이 다음에 있어서 하락의 모습을 보여주기도하고 현재 구간에서 리스크 좀 있는 숏베팅을 해볼만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또 RSI 일봉 시간봉들이 과매수권이기 때문에 매력적이면서도 리스크 큽니다.
5900위에서 숏타고 손절라인은 이전에 건드렸던 5975달러를 강하게 돌파시 칼손절이 답입니다.
비트코인 작년 7월과 오늘날 프랙탈 비교에 따른 숏 포지션 전략어제(5일)까지 비트코인의 흐름을 보고 다행히 이 움직임을 기억 했습니다.
이것을 작년 7월과 비교할 수 있었고, 1일 봉(5일)이 음봉으로 마감 됨에 따라 그 가능성을 확인 했습니다.
이 프랙탈을 완성하고 1차 지지선을 깨며 하락 파동이 계속될지는 모르지만 각 1차 지지선, 저항선 박스권에서 움직임이 어렵다면 이 아이디어를 참고 하십시오.
다음 근거들을 확인하여 숏 포지션 전략을 확인 하십시오. (1시간 봉)
1. 이 프랙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점을 높이지 못하는 특징을 확인 하십시오. (하락 추세선이 그것의 이해에 도움을 줍니다.)
2. 추가적으로 RSI 지표와 함께 비교 하십시오.
3. 이제부터 1차 저항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며 고점과 저점이 낮아진다면, 가능성에 무게를 실으십시오.
4. 종종 보이는 급락 이후 상승이 결국 하락 추세선을 상승 돌파하지 못한다면, 가능성에 무게를 실으십시오.
5. 수익 청산 목표가는 1차 지지선 또는 빨강 원 부근($5,900)으로 설정 하십시오.
6. 파랑 선은 그 움직임을 대략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단, 1차 저항선 또는 하락 추세선을 상승 돌파한다면 시장을 다시 확인 하십시오.
잠시 차트를 보며 생각을 해봤습니다.제가 지금까지 두가지 의견을 제시했었는데요
하나는 2015년과의 비교고 하나는 라이트코인을 선행이라 생각하고 3월차트와 비교했는데요
2015년과 같게간다고 쳤을때 빨간선과 같이 움직여야했는데 다른 움직임을 보여주고 EMA조차 2015년에는 크로스도 못치고 떨어진 반면에 오히려 3월 라이트코인 차트와 비슷하게 가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RSI나 움직임의 상태가 매우 흡사하다고 봅니다.
다음 움직임으로는 흐지부지 RSI가 과매수권이죠? RSI를 조금 식혀주면서 우상향 횡보를 이어줄것같고요 한 5800~5900달러 바라보고있습니다.
비트코인의 횡보가 시작될때 디커플링이 되어버린 이더리움, 그리고 비트코인캐쉬가 움직이지 않을까 싶네요
또 라이트코인의 일봉상 하락쐐기패턴으로 하락쐐기 상승이탈한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너무 어렵다잉~2015년 차트와 비교입니다.
캔들로보면 쌍봉구간과 비슷해보이지만..... 거래량으로보면 이제 상승초입같아보이기도합니다.
그리고 라이트코인 3월초와 비교입니다. 이전에 제가 다른 구간을 본것같습니다. 잠시 차트 공유를 쉬면서 재차 확인한결과 일봉상 현재 구간은 두번의 상승후 눌림목인구간이 아닌가... 합니다.
근데 다만 좀 꺼림칙한건
비트파이넥스의 롱 숏 비율입니다. 제가 이전에 숏은 늘고 롱은 그대로라고했는데 역시 5600까지 상승후 롱 터지고 숏이 대량으로 늘어난 모습입니다.
그리고 결론은 파란색 선은 2015년의 하락으 그림이고 주황색선은 3월초 라이트코인의 흐름입니다.
추가적으로 50 100 200 ema의 2015년과의 모습인데요 둘다 200ema를 뚫긴햇습니다만 200ema와 50ema의 크로스가 안된채로 더블바텀을 이룬후에 상승으로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근데 지금은 약간 크로스는 아니고 비벼지는 모습이죠
비벼지면서 상승하거나 비벼지다가 더블바텀으로 가거나 여기서 추가적인 하락이 생긴다면 더블바텀도 생각해 볼만한 구간입니다. 마지노선은 극단적으로 4500생각합니다. 여기 뚫리면 더블바텀 생각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