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안녕하세요 Descendingkinght_입니다.
요즘 독감이 유행하고 있는데 다들 독감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
현재 SK이노베이션 주가는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상승 요인
1.SK E&S와의 합병으로 구조적 개선 기대감.
2.SK ON의 적자 축소: 전년 대비 적자가 감소하며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시사.
3.정유 부문 반등 가능성: 국제 유가 상승 및 원/달러 환율의 상승
-리스크 요인
전기차 시장의 둔화: 글로벌 판매량 감소 및 가격 경쟁 심화.
-기술적 관점
현재 주요 매물대(85000-98000)를 터치했으며, Bull flag 패턴이 형성되고 있어 스윙 트레이딩 관점에서 매력적인 위치.
-투자 전략
SK이노베이션의 주요 매물대는 85,000~98,000원으로 판단됩니다.
1.매수 전략: 해당 구간에서 매수하셨다면, 중장기 관점(1년 이상)으로 보유를 추천합니다.
단기 목표가는 167000-175000원에 1차 수익실현을 하는것도 좋은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배터리 사업의 적자가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요 매물대가 무너진다면 리스크관리를 하시길 바랍니다.
-----------------------------------------------------------------------
제 의견이 마음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부탁드립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플래그
AURA "상승 N파" 를 통한 12000% 상승 가능성(연두) 상승 추세선 지지를 통해서 펌핑되며 "하락 채널" 돌파 봉 마감했습니다.
단기적으로 매물대 (0.01691 부근) 저항에 도달했으며 조정시 하단의 돌파한 전고 ($0.01028 부근) 그리고 추가 조정시 하단의 (연두) 상승 추세선 지지를 통해서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을 완성하며 추세 관점에서 "상승 N파"로 진행될지 보겠습니다. (패턴 예상 목표가: 1.26 부근이며 0.01028 매수 기준 목표가 달성시 약 12000% 상승입니다.)
⚠️ AURA/SOL 마켓입니다. ⚠️
⚠️ 이는 투자 권유가 아닌 단순 기술 분석을 근거로한 가능성에 대한 개인 의견입니다. ⚠️
우리는 분기점에 있다."차트 구조" 의 유사성은 인간의 "심리 구조" 의 유사성과 동일합니다.
결과적으로 비슷한 심리는 비슷한 구조를 낳게 되기 때문에 유사성을 무시 해서는 안됩니다.
다만 21고점의 심리와 24고점의 심리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 합니다.
저는 언제나 차트 구조 < 주기 흐름 이라고 생각 합니다.
다만 주기 흐름은 언제나 차트 구조에 먹힐 수 있다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결과적으로는 주기 흐름이 차트 구조를 만듭니다)
X축 주기 흐름상 아직 고점을 만들 시기가 아니라는 판단으로 매매 중임으로
지금의 분기점에 매수 배팅 하고 있습니다.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전한 토론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모두 성투 하시길 바랍니다.
BTC 매도 포지션과 중장기 하방 관점
9월 초부터 하락 레이를 상단으로 갱신하지 못하는 움직임이 계속 관찰되고 있습니다.
현재 :
7월 말의 가격상 저점과 8월 중순 이후의 고점들을 이은 레이( 보라색 레이 ),
그리고 8월 말부터의 고점들을 이은 레이( 빨간색 레이 ),
이 두 레이 아래에서 가격이 계속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 두 레이 아래에서의 저항과 더불어,
9월 초부터 27,314~27,489 resist 에서도 지속적으로 윗꼬리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레이와 저항대에서의 저항이 계속 유지되는 한,
계속해서 매도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8월 중순부터
24,900~25,400 support에서의 매수세 또한 계속 관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매도 포지션의 최종 TP는
포지션을 아무리 길게 가져간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25,200 정도가 돼야 합니다.
간혹, 상단 레이가 상방으로 돌파되지만 더블탑 내지는 트리플탑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불트랩을 만들어 이후에 극심한 하방 변동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설령 상단 레이가 상방으로 돌파된다고 하더라도
27,496이나 28,200이 주봉 몸통 기준으로 완전히 상방으로 돌파되지 않는 한,
하방 관점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담으로, 학교를 다니다 보니 한글과 영문으로 아이디어를 업로드하는 일이 너무 힘들어서
당분간은 한글로만 아이디어를 업로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평행채널의 심화반갑습니다.
차트보는 공대생입니다.
오늘은 차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평행채널에 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쉽게 찾아볼 수 있고 간단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전략이 존재합니다.
1. 우선 형성과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하락채널
하락채널의 경우에는 고점 => 저점 => 더 낮아진 고점 을 만들고
더 낮아진 고점에서 저항받는 모습을 확인한 후 그려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그려진 평행채널은 상단부에서는 저항 하단부에서는 지지의 역할을 해줍니다.
상승채널
상승채널의 경우에는 반대입니다 . 저점 => 고점 => 더 높아진 저점을 만들고
더 높아진 저점에서 지지받는 모습을 확인한 후 그려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상단부에서는 저항 하단부에서는 지지의 역할을 해줍니다.
2. 다음으로는 평행채널의 역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첫번째로는 조정파동 역할을 해 주는 경우입니다.
위 차트의 흐름을 보시면,
하락추세형성 => 상승채널 형성 => 채널의 하단부를 깨며 추가하락 진행
(채널의 하단부는 지지레벨이기 때문에 깨졌을 때 추가하락이 나옴)
이런 과정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두개의 하락추세 가운데 상승 조정파동이 만들어 졌는데,
평행 채널의 형태로 등장 한 것 입니다.
흔히들 알고 계시는 플래그 패턴과 동일 합니다.
두번째로는 추세 가속의 역할을 해 주는 경우입니다.
상승추세의 시작 부분에 등장하여, 채널 상단부를 상방 이탈한후 폭발적인 추세를
터뜨린 모습입니다. 해당 예시는 이후 1000불 가까운 상승폭이 출현 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통 하락채널을 하방이탈하며, 상승 채널을 상방이탈하며 진행됩니다.
예시2
3. 평행채널의 특징
평행채널이 조정파동의 역할을 해줄 때 채널의 상하단부를 예쁘게 딱 찍고
다음 추세를 터뜨리기 보단, 조금 못 미치거나 살짝 이탈한 후에 터뜨리는 경우가
조금 더 많습니다.
살짝 이탈 했다가 반등 한 경우 입니다.
상승추세 진행중 => 하락채널로 조정파동을 형성 => 하단부를 이탈 했지만, 다시 재진입하며 반등
이렇게 채널 재진입이 상승 전환의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채널 하단부에 못 미치고 반등 한 경우 입니다.
채널 하단부를 만들어준 저점 (주황색 원) 지지를 받아주며 올라간 모습입니다.
이상으로 ,
제가 매매할 때 직접 사용하는 평행채널 이용법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시글 우측하단에 부스트 버튼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 20358 지지 여부 중요해 보입니다.#BTC #4H
전일 오후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었지만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뒤이은 하락세로 20358 지지 확인을 진행한 모습입니다.
20358과 노란색 추세선이 겹치는 구간에서 반등이 출현하고 있지만 반등세가 이어지지 못하며 전일 상승전 지지했던 20500의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다시 한번 20358의 지지 확인 가능성도 보여지며 이때 20358 지지에 실패 할 경우에는 주황색 'Rising Wedge' 패턴의 하단선 지지가 중요하게 됩니다.
'Rising Wedge' 패턴 하단선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19625 변곡선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19625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전일 브리핑과 같이 ㄷ 저점의 갱신을 위한 하락세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락이 진행되며 ㄷ 저점이 갱신 될 경우에는 A-B-C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 1~1.13레벨인 16450-15849 까지 하락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만일 20358 지지가 견고하여 현 자리에서 반등을 이어가 준다면 C 고점의 갱신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록색 'Bearish Flag' 패턴, 주황색 'Rising Wedge' 패턴 그리고 붉은색 'Rising Wedge' 패턴의 상단선이 겹쳐있는 상황이고, 강한 변곡선으로 보이는 21300도 존재하기 때문에 고점 갱신 이후 하락하는 모습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모습에서 상승세로 진입하였다고 확인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A 고점을 갱신 해주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A 고점 갱신 이전까지는 장기하락추세에 속해 있다고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하락 지속형 패턴은 아직 유지 중#BTC #1D
지난 금요일 20358 변곡선의 지지 확인 이후 단기 고점을 갱신하였지만, 반등세를 이어주지 못한 채 다시 하락추세가 진행 중인 모습입니다.
아직은 지난주 언급하였던 두 가지 하락 지속형 패턴이 유지 되고 있으며 추가 상승을 하기 위해선 이 패턴들의 상단 추세선의 돌파 마감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8월 중순 길게 늘어선 밑꼬리들로 이루어진 저항 매물대 자리이기 때문에 상향돌파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20358의 지지가 성공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저항은 8월 중순 밑꼬리 구간의 하단 종가와 9월 10일 강한 저항을 보여주며 변곡의 역할을 하였던 21300으로 보입니다. 해당 구간은 ㄱ-ㄴ-ㄷ 상승 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1.414-1.618레벨 사이에 있으며 하락 지속형 패턴들의 상단 선과도 밀접해 있어 윗꼬리를 남기며 저항받기 좋은 구간이라 생각됩니다.
만일 21300 저항 도달 후 돌파하지 못하며 강한 매도세가 출현한다면 이는 하락추세로의 변곡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이때 20358 변곡선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19625 변곡선의 지지 확인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때 19625 변곡선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ㄱ 저점을 갱신하려는 하락추세의 출현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만일 21300 저항을 돌파하며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A 고점의 갱신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B 저점 형성 이후 근소하지만 ㄱ 저점에서 저점을 높여준 뒤 계속하여 저점을 높이고 있는 모습으로 A 고점이 갱신된다면 단중기적으로 눌림이 출현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A 고점을 갱신하지 못한 채 하락추세로 변곡 된다면 21300의 지지 여부가 굉장히 중요해지며, 이때 21300 지지가 실패한다면 상술한 것과 같이 ㄱ 저점을 갱신하려는 하락추세의 출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비트코인] 단기 상승 추세 좋습니다~ 하지만 큰 모습에선 하락형 패턴도 보입니다.#BTC #4H
전일 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20358의 돌파와 지지 리테스트까지 성공한 뒤 21k까지 상승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추가적인 상승을 견인하지 못하며 21k의 저항을 강하게 받는 모습이며 단기적인 하락세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일 Z점이 이번 상승의 고점으로 확정 된다면 X고점이후 고점이 낮아지는 모습으로 Y저점을 갱신하는 하락추세의 진행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2일 매물대의 하단선인 20767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단기적인 하락추세는 피할수 없을거라 보여지며, 이때 중요한 지지라인은 전일과 동일하게 20358 변곡선으로 확인됩니다.
20358 변곡선 중기 올림점과 중기고점으로 이루어진 추세선도 겹치기 때문에 더욱더 중요하게 보아야 하며, 해당 라인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19625 변곡선까지 하락 가능성도 열리게 됩니다.
20358 지지 실패 이후 19625 변곡선마저 지지에 실패 하게 된다면 완벽한 패턴의 모습은 아니지만 'Rising Wedge Pattern'의 하향이탈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이때 'Bearish Flag Pattern'의 하향이탈마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두 패턴의 하향이탈이 확정된다면 상술한 Y저점의 갱신 또한 지켜봐야 하며 Y 저점이 갱신될 경우에는 X-Y-Z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레벨-1.13레벨인 16387-15785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22일 매물대의 하단선인 20767의 지지가 성공하거나, 단기 하락세 출현시 20358의 지지가 견고 하다면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전일 브리핑에서와 같이 21155-21516-21860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암울한 비트코인... 단기,장기 모두 하락패턴#BTC
지난 금요일 브리핑에서 언급한 19489를 지켜주는 듯 하며 양봉까지 만들어 주었지만 결국 지지에 실패하며 매도추세가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모습입니다.
단기적으론 "Bearish flag" 또는 "Rising wedge" 패턴의 진행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이는 하락추세 지속형 패턴입니다.
단기 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으로 위 단기 패턴의 단순 타겟가는 15.8k-15.2k 로 확인되며, 피보나치 확장 0.618레벨인 17592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강한 매도세가 출현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장기적인 모습에서 "Bearish pennant" 패턴의 진행 가능성도 보이기 때문에 18.9k-17.6k 지지구간의 지지여부가 굉장히 중요하며, 해당 구간은 바로 위에서 언급하였던 단기 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레벨과도 겹치기 떄문에 17.6k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더 암울한 상황에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단기적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 모두 하락추세가 강하게 보이고 있는 모습으로 매수대응은 18.9k-17.6k 구간의 지지가 성공 한 뒤 대응하는것이 좋다고 보여지며, 보수적으론 20358을 상회하기 전 까진 매수대응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