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짜리 커피가 사라졌다니, 카페주인양반 이게 무슨소리요!! KC1! / 2019-04-071.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이유로 슬그머니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올리는 프랜차이즈들이 늘어서 정말 원자재 가격이 오른걸까라는 의구심에 분석을 시작합니다.
2. 커피 선물의 가격은 주봉기준으로 작년 9월 17일의 전저점을 지난 3월 11일에 돌파한뒤 하락형 캔들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3. 왼편의 주봉기준 차트에서 보이듯 오더블럭의 저항과 피보나치 되돌림 618이 중첩되는 구간에서 하락추세가 만들어진 이래 786 구간에 오더블럭을 하나더 만들고 내려오고 있습니다.
4. 일봉 기준으로 지난 3월 1일 일봉이 오더블럭이 되어 하방으로 이탈하는 형상입니다.
5.오더블럭 설명을 할 때마다 발판이 되는 오더블럭이 만들어지지않으면 반등이 어렵다고 설명을 드렸는데, 주봉/일봉 모두 발판이 될만한 오더블럭이 보이지 않습니다.
6. 상방 오더블럭을 기준으로 매도를 진행할 계획이며, 잠정적 TP는 피보나치 확장 1.618인 82불 수준입니다.
* 일봉 프레임에서 가격 추세가 결정되는 만큼 모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7. 커피 선물은 1년전과 비교해서 가격은 오히려 20% 하락한 상황으로 원자재 가격은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피보나치 되돌림은 예상되지만, 정차한 곳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XBTUSD/19-04-051. 장대양봉 이후 3~4일간은 숏 진입 계획은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 2일이 지나고 있습니다.
- 오늘과 내일 양봉이 이어질 경우 어제 음봉은 오더블럭이 됩니다.
2. OB관점
- 일봉 기준에서 상방에는 5.5K에 OB가 있고, 하방에는 4K초반까지 지지하는 OB가 없습니다.
- 조정이 나오면 제법 깊은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최근 브리핑을 하면서 상승을 이어가려면 오더블럭을 만들고 쌓고 올라서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 어제의 음봉이 바로 그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한편 장대음봉이후 조정을 예상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해당 음봉이후 캔들 생성과정에서 저항이 되는 OB가 필요합니다.
- 어제의 음봉은 상승의 발판이, 오늘의 양봉은 하락의 발판으로 바뀔 여지가 있어 오늘 내일은 주요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일목균형관점
- 장대양봉 하나로 아직까지 해석할 새로운 내용은 없습니다.
- 캔들, 기준선, 전환선, 후행스펜 모두 이른바 정배열 상태로 이대로 횡보한다는 가정하에 약 21일간은 상승보다는 하방으로 쏟아질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입니다.
- 이 경우 1차적으로 전환선과 기준선의 지지를 받게 된다면 4650~4550선에서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채널, 피보나치 관점
- 보라색 상승채널과 보다 급하게 형성된 파란색 평행채널 모두 상방돌파를 한 상황으로 단순히 채널 관점에서는 조정을 예상하게 만듭니다.
- 특히, 전고점-전저점간을 연결한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는 618 구간까지 올라왔고 과거 급 반등시기에도 618 구간에서 되돌림이 나오면서 하락이 이어졌던 사례가 이미 있었습니다.
- 피보나치 채널의 1.618을 치고 있는 점에서 단기적으로는 파란색 채널 상단구간인 4700~4800선까지 되돌림이 나올 여지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5. 이평선 관점
- 고대하고 고대하던 200이평을 돌파했는데 왜이렇게 마음이 무거울까요.
- 아직 짧은 이평들의 움직임이 크지 않은 상황으로 이평선이 뭉치기 시작하면 오히려 조정후 반등을 기대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이평선에서 기대할 수 있는 주요 지지구간은 4620~4570선입니다.
6. 종합결론
- 여러 지표에서 보여주는 되돌림 점이 매우 다르고 제가 분석하는 주요 기반인 OB의 경우 현재는 유효한 OB가 없습니다.
- 이런 맥락에서 정차한 곳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 추가 상승이 이어지려면 일단 여기서 발판을 만들어야는데, 이 과정에는 다소간의 시일이 소요됩니다.
- 단타 관점에서는 내일 오전까지는 롱 추세로 접근이 유리하지만, 봉 마감이후에는 오히려 숏추세로 전환가능성이 보입니다.
7. 모쪼록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 60% 감소, 뚫어랏 47500원! (오더블럭 관점에서)1. 삼성전자의 1/4분기 영업이익 발표가 있었습니다.
- 매출액 52조원, 영업이익 6조2000억원으로 이는 전년도 같은 시기와 비교해 매출은 14.13%, 영업이익은 60.36% 감소한 것입니다.
-그간 어닝 쇼크에 대한 예고가 충분히 있었던 점, 최근 인터넷 기업들의 데이터 센터 증설이 진행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분기 실적은 충분히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2. 주봉 차트에서는 하락채널에 여전히 갇혀있으며 금주 내내 상방 돌파 시도가 있었으나 전고가에 막혀 추가 상승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 장기적 간점에서는 현구간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 피보나치 되돌림과 확장을 통해서 40800원대까지 하락을 조심스럽게 전망합니다.
3. 일봉 차트에서는 오더블럭을 상방돌파한 상황으로 지지테스트후 추가 상승을 이어갈지 주목되는 구간입니다.
- 주봉에서의 강력한 매물대 저항으로 인해 추가상승의 흐름이 억눌려 있습니다.
- 하지만 상방으로 파동이 진행할 경우 1차 목표가격은 51,000원대로 해당구간 진입시 새로운 상승추세의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모쪼록 성투하길 기원합니다.
#8. 피보나치 툴을 활용한 몇가지 방법
Fibonacci Retracement(피보나치 되돌림)
새로운 저점 혹은 고점이 형성된 이후 하나의 기준 파동이 발행하여 조정 국면으로 돌아섰을 경우 조정이 마무리 되는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한다.
Fibonacci Extension(피보나치 확장)
지난 고점 혹은 저점까지 100%이상 되돌림이 발생하여 조정이 아닌 추세가 지속될 경우 어느정도까지 확장된 파동이 발생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으로 활용한다.
Fibonacci Extension(피보나치 목표설정)
조정이 마무리 되고 이전 추세를 이어갈 경우 조정이 마무리된 지점으로 부터 지난 파동대비 추가 상승 혹은 하락이 이어질 것인지를 통해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활용한다. (일목균형 이론의 수준론 中 N값 참고)
Fibonacci Expansion(피보나이 연장)
지난파동의 끝을 기준으로 파동이 최종 얼만큼 연장된 파동으로 진행되는지를 예측하고 계산하기 위한 방법
(일목균형 이론의 수준론 中 E값 참고)
------------------------
일목균형 수준론에 대한 교육 아이디어 참고
BTCUSD (BITFINEX ; 1H) 단기 흐름 분석안녕하세요. 세번쨰 아이디어 올립니다.
두번째 아이디어에서 예상했던 작은 사이클의 파동이 예상보다 강하게 진행하며 진입했던 포지션은 스탑로스로 청산되었습니다.
작은 파동의 흐름이 확장되었다고 생각되어 그보다 큰 흐름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차트를 하나밖에 못쓰니 아이디어 작성하는게 어렵습니다..ㅎㅎ
1. 추세에 관해
이전 최고점 (13017)과 직전 고점대를 연결한 추세선과 매물대를 강하게 이탈하고 저항 매물대였던 구간에서 지지를 받으며 수렴의 방향이 나왔다 생각됩니다.
이는 1시간 봉 상 강력한 매물대가 집중된 구간을 돌파한 흐름으로 이 구간의 지지와 지지 이후 강한 상승세가 나올 수 있다 생각해볼 수 잇습니다.
2. 파동 흐름에 대해
직전 최저점 (9900)부터 1~5파동을 생각해보았습니다. 현재 3파 진행 중이라 생각되며 3,4,5파에 대한 목표가는 몇가지 해석의 여지가 있습니다.
첫째, 피보나치 비율을 활용한 패턴적 목표가로 12130달러를 설정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봉 몸통의 중간 부분과 거의 일치하는 가격입니다.
둘째, Bearish Bat pattern을 활용 생각해볼 경우 12639를 목표로 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은 매물대(12534)와 주봉 몸통(12639)의 중간 부분에 해당합니다.
3. 4파와 5파에 대해
상승 흐름의 핵심은 고점과 저점을 높이는데 있으며 위에 기술한 목표가 부분은 저항을 받을 만한 자리이자 돌파 이후 지지를 받아야만 하는 구간이므로 이를 고려해야합니다.
현재 12130 가격대에서 저항을 받고 있는 형태이나 직전 매물대가 위치하고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상승 추세 상단(초록색 추세선) 부근에서 지지를 받을 확률이 높으며
이 구간에서 매물을 잘 희석해낸 다면 어느정도 오차를 생각하여 12400~12650 까지 목표로 해볼 수 있습니다.
목표가를 달성한 뒤 주요 지지 선은 강한 저항이 발생했던 12130, 직전 매물대가 위치한 11890, 저항구간 11450-11385 정도로 보고 있으며
강한 상승 흐름일 경우 12130 부근을 깨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지지를 받고 반등이 나올 경우 직전 최고점 이었던 13017을 돌파하여 13200~13400 까지 목표해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붙고 더 많은 매수세가 집중될 시 하락 채널 상단 13800 부근까지 터치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합니다.)
4. 포지션 진입에 대해
계단식 상승 흐름으로 인식해도 될 것이며 현재 저항받은 가격대는 음봉이 나온 일봉의 몸통 중간부에 해당하며 매물대이기도 합니다.
이 가격대에서의 저항과 지지가 어디서 나오는지 확인하면서 진입을 고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더 짧은 사이클의 투자자라면 현재 저항과 지지가 짧은 가격대에서 진행 중이므로 횡보흐름으로 인식하여 비트 흐름에 맞추어 짧은 단타로 접근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 구간이 일봉상 중요하다 생각하기때문에 마감까지 염두해두고 분할로 숏 진입할 생각입니다.
손절 구간은 큰 사이클의 하락 평행 채널 이탈 (14000부근), 이익 청산가는 최종 8600-8000 설정합니다.
5. 마지막으로
아직 완전한 추세 전환으로 생각이 들진 않습니다. 다른 트레이더들의 의견을 봐도 그러한 의견이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12120-12540 구간을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가격대에서 강한 저항으로 돌파에 실패할 경우 짧은 사이클에서 흐름은 단절되며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 초보자에 가깝지만 투자할때에도 보면, 심리가 한쪽으로 치우칠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시장은 그 반대로 통수치듯 움직이는 경향이 있곤합니다. 엄청난 손실과 함께.
늘 긴장하고 대응을 준비하지 않으면 크게 당하는 수가 있습니다.
지금이 그때인지는 누구도 모르겠지만, 항상 안심과 자만은 멀리하시고 냉정한 분석과 빠른 대응으로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BTCUSD (BITFINEX ; 4H) 단기 추세 하락에 따른 분석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아이디어 작성해 봅니다.
현재 BTC는 고점을 연결하여 작도한 하락 방향의 평행 채널 내에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1월 17일 채널 하단 9231.1 달러를 터치한 뒤 매수가 들어오면서 단기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었으나
고점을 낮추지 못하고 저항을 받고 상승 흐름을 이어가진 못했습니다.
다행히도 1월 23일 9900달러에서 지지를 받으며 저점을 높이는데 성공했지만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하며 단기 상승 추세를 이탈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1. 향후 매수세가 어디에서 들어올 것인가?
> 두가지 예상을 할 수 있는데
첫째, 직전 최저점과 직전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에서의 지지 (수렴으로 인식하는 트레이더가 많은 경우)
둘째, 직전 최저점 (9231.1달러)을 이탈하여 저점을 낮추었을 때, 채널 하단에서 지지
2. 포지션 진입에 대한 의견
> 차트 상 밝은 초록색의 추세선, 단기 상승 추세선을 이탈하고 이를 재차 확인하는 시점에서 신규 숏 포지션으로 진입
(11280 포지션 진입)
>> 단기 반등이 나올 경우 새로운 단기 하락 추세선과 기존의 장기 하락 추세선에 근거하여 진입 또는 추매 진행
3. 목표가에 대한 의견
>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며 수렴 > 상승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음. 또한 9900 달러를 지지해준 매수세는
이를 하락 이탈했을때 유효하다고 판단함.
따라서 1차 목표가는 직전 저점 9900달러
2차 목표가는 직전 최저점 9231.1달러
분할 청산을 목표로함.
> BTC 진행의 경우 유사한 사이클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동일한 하락 폭을 대입하여 목표가를 선정
(단기 상승 추세선을 이탈한 지점을 기준 삼아 동일 폭을 계산)
>> 하락 구간에 대한 피보나치 되돌림의 경우 0.5 ~ 0.618 에서 저항을 받았으므로 보정 비율로
1.618 ~ 2 구간을 목표가로 예상.
따라서 8766.6 ~ 8066 (or 8148.1) 달러 목표.
처음으로 작성해본 아이디어입니다. 아마추어의 관점이니 너그러운 관점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좋은 의견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