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2.12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 중요 지지 라인의 지지 실패!!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 전일 브리핑 이후 '42819'의 지지가 깨지며 추가 하락세가 출현한 모습입니다.
- 현재 상승중 만들어주었던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의 지지를 받으며 이전 4H캔들에서 밑꼬리를 만들어주었으며 현재 4H캔들은 양봉을 형성해가는 모습입니다.
-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와 여러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41874-41774'구간에서 반등이 출현중인 모습으로 '42819' 리테스트 저항을 확인하기 위한 단중기적인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42819' 지지가 실패하였기 때문에 리테스트 저항 확인 없이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하며, 이때에는 장기 피보나치 레벨이 위치한 '41239-40916'의 지지여부가 중요합니다.
- 만일 '42819' 저항 리테스트시 단기 시간프레임에선 저항을 돌파하여도 4H캔들의 돌파를 확인하여야 하며, 4H캔들이 '42819'저항을 돌파마감 해준다면 '43423' 또는 '44324-44451' 저항까지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22.02.11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 45716 저항 너무 강해....#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 기본적인 지지/저항은 이전 브리핑과 동일 합니다.
- 전일 CPI 발표 이후 출현한 강한 눌림을 다 회복하며 상승추세를 이어갈거라는 기대감을 안겨주었지만, 이전 브리핑에서도 언급하였던 '장기 박스권(주황색 박스)' 하단인 '45716' 저항을 받으며 강한 매도세를 보여주었습니다.
- 장기적으론 고점과 저점을 높히는 상승추세를 보여주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고점은 높히고 저점은 낮추는 모습으로 단기적인 추세의 방향성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42819' 지지를 계속 지켜주는 모습으로 단기적인 상승세가 이어질순 있겠지만, '45716' 저항을 강하게 받은 모습에서, 현재 진행중인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 상단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이전 브리핑에서와 같이 '41239-40916'의 지지를 위한 하락을 계속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만일 현재 진행중인 반등이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 상단이자, '장기 박스권(주황색 박스)' 하단인 '45716'을 돌파해준다면, '48578-49139'까지의 중장기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2.11 / 항셍 1시간봉 분석#크랙 #항셍 #무기한물 #1시간봉
- 1월 21일 갭 구간인 '25085-24921' 상단의 저항을 강하게 받으며 지속된 눌림이 출현하지만 계속하여 상승세를 보여주며 고점을 높히고 있는 모습입니다.
- 금일 갭 위치가 '25085' 상향에서 시작한다면, '25085-24921'의 지지 확인 이후 매수대응 하는것이 안전하며, 이때 '장기 하락 추세선(주황색 실선)'이 위치한 '25467-25517'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25467-25517'의 저항마저 강하게 돌파해준다면 '25806-25830'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금일 갭 위치가 '24921' 하향에서 시작한다면, '24921-25085'의 저항 확인 이후 매도대응이 가능해 보입니다. 하지만 '단기 상승 추세선(파란색 실선)'과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24838-24801'의 지지가 이루어 진다면 상승세가 지속되며 고점을 높힐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매도대응은 '단기 상승 추세선(파란색 실선)'의 하향이탈 이후 대응하는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 매도추세 진행시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구간은 2월초 매물대가 위치한 '24539-24449'로 보여집니다.
- '24539-24449' 지지마저 실패할 경우 '24246 / 24121 / 23996 / 23862'의 중요 지지레벨로 이루어진 2월4일 갭 구간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2.02.09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대형 매물대 지지 이후 강한 반등!! 어디까지 상승 할 수 있을까??#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14483-14445'의 지지확인을 마친 뒤 '하락추세선(하늘색)'을 돌파하며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고있는 모습입니다.
- '단기매물대(초록색 박스)' 상단인 '14781' 저항에서 주춤하였지만 돌파하며 리테스트 지지 확인 까지 마친 뒤 재차 상승추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 매수세가 강하게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중기 상승추세 피보나치 되돌림(보라색 실선)' 0.236 레벨 저항의 가능성을 무시할수 없으며, 장초반 '14781'의 지지확인을 다시 한번 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상승추세가 계속 진행된다면 2월초 강한 저항이었고 돌파 이후 강한 지지를 보여주며 긴 밑꼬리를 만들어 주었던 '14956-14960'의 저항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강한 매수세가 진행되며 저항을 돌파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15323' 부근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14956-14960' 또는 '14893' 저항을 받은 뒤, 눌림이 출현 하였을때 '14781' 지지가 실패 한다면, 다시한번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를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때 대형 매물대 상단이 위치한 '14483-14445'의 지지여부가 중요합니다.
- '14483-14445'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지난 브리핑과 동일하게 '14161' 또는 '13883-13876' 까지의 단중기적인 하락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2.08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 12월 매물대 저항 중?? 어디까지 눌리려나??#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 '대 상승 채널(붉은색 두꺼운 실선/파선)' 하단인 33k 반등 이후 '중기 하락 채널(하얀색 실선/파선)'까지 상향돌파 하며 강한 매수세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 '12월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하단부가 위치한 '45716'에 살짝 못미쳐 강한 저항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상승중 작용하였던 단기 지지/저항 구간의 지지를 하향돌파 한 모습으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중기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파란색 파선)'1.13레벨인 '43423'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45716' 구간까지의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반등시 '45716' 저항을 돌파 해준다면 '12월 매물대(주황색 박스)' 중심부와 '중기 피보나치 레벨(회색 실선)'과 '장기 피보나치 레벨(붉은색 점선)'이 겹치는 '48578-49139'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43423' 지지가 실패 한다면 '41239-40916'까지 하락 가능성이 열리게 됩니다. 다만 중기적인 피보나치 라인이 위치한 '41874-41774'에서의 반등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 하락이 강하게 출현하여 '41239-40916' 지지마저 실패 한다면, '38588-37778'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2.02.08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도대체 매물대 확인을 언제까지 할거야??#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향돌파 이후 매물대 범위 만큼의 상승이 출현하였지만 눌림이 출현하며 계속하여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단 지지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계속된 지지 확인중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 의 하향돌파 이후 저항을 받으며 금일 프리장중 횡보추세를 보이던 중 하락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상단 지지선 '14535.50'의 지지가 실패하였지만, '상승분 피보나치 되돌림(보라색 실선)' 0.5레벨과 '날봉 지지선(자주색 실선)'이 위치한 '14483-14445'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재차 반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됩니다.
- '14483-14445'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한다면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저항구간은 '단기 매물대(초록색 박스)' 하단과 '4시간봉 저항선(노란색 실선)'이 겹치는 '14575-14610'의 저항돌파가 중요하며, 해당 저항을 돌파할 경우 '14781'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4483-14445' 지지가 실패한다면 '14380'/'14300' 지지선이 존재하지만 중요한 지지구간은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의 강한 저항이었고 돌파 이후 강한 지지로 변한 '14161'로 보여집니다.
- '14161'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대형 매물대(주황색 박스)' 하단이 위치하는 '13883-13876'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차트를 만드는 피보나치 이론먼저 지난 31K 까지 하락을 예상했던 관점은 완전히 폐기합니다.
매매에 쫓겨 차트 분석을 소홀히 했는데 역시 잘못된 분석으로 약간의 손해를 보았습니다. 손절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트레이딩뷰에 아이디어를 작성하는 것은 매매 일지를 겸하고 있습니다. 프라이빗이 아닌 퍼블릭으로 아이디어를 발행하는 까닭은 분석을 신중하고 엄격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경고! 글이 매우 깁니다.>
1. 개요
비트코인 차트를 자세히 살펴보면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에 맞춰 움직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이론은 이미 널리 알려졌지만 스스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난 5 년의 시간동안 트레이딩을 하면서 피보나치 이론을 정리할 필요성을 느끼고 2021년 1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비트코인 차트를 예시로 분석하고 기록으로 남겨 피보나치 이론을 검증하고 실증하려 합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은 0.382, 0.5, 0.618 숫자들이 지지 및 저항으로 작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비트코인에 한해서 0.382 와 0.618 이라는 숫자는 특별히 아주 높은 확률로 반전이 일어나는 숫자입니다. 상승할 때는 확장 비율 1.618, 2.618 등의 숫자도 차트의 움직임과 잘 맞는 편입니다. 그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볼린저밴드, 상대강도지수(RSI) 등을 파동의 끝을 알아내는 보조 지표로 활용합니다.
1. 피보나치 도구 세팅
큰 장기 추세의 분석을 위해 3880 과 68K 를 하나의 상승 파동으로 보고 피보나치 도구를 작도합니다. 주요 피보나치 비율과 가격은 0.618 (44K) , 0.5 (36K), 0.382 (28K) 입니다. 이 3 종류의 숫자들을 잘 기억합니다.
2. 피보나치 0.618 (44K) 이탈
40K 에 긴 꼬리를 만들고 반등을 시도했으나 69K-40K 하락 파동의 0.382 (51K) 를 넘지 못하고 44K 아래로 떨어집니다. 44K 는 1번에서 세팅한 피보나치 되돌림 0.618 구간입니다. 반등을 시도하지만 44K 를 넘지 못하고 떨어집니다. 다음 정류장은 피보나치 되돌림 0.5 (36K) 입니다.
3. 파동의 끝
가격은 0.5 (36K) 까지 도착하였습니다. 월봉 볼린저밴드의 중심선(Basis) 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언더슈팅 (또는 오버슈팅) 입니다. 거래량이 실린 큰 파동의 끝을 확인하는 방법에 많은 고민을 해봤으나 가장 좋은 것은 RSI 등 오실레이터의 다이버전스 입니다. 위 차트에서도 녹색 사각형 구간에 상승 다이버전스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봉, 월봉을 아우르는 큰 움직임은 1, 2, 4시간봉, 일봉 내의 작은 움직임은 5분봉, 15분봉의 다이버전스가 잘 맞습니다.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면 대부분 거래량이 터지며 반등 (반락) 이 크게 나옵니다. 하지만 파동의 끝을 잡으려는 시도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과거에 이런 시도로 큰 손해를 본 전례가 많습니다.
파동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할 때가 많습니다. 파동의 시작점에 대한 고민, 다이버전스의 신뢰성, 큰 거래량과 움직임으로 인한 심리적인 위축, 때때로 나타나는 큰 오버슈팅 (언더슈팅) 등의 이유로 정확한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예시처럼 0.5 에서 파동이 끝날 것 같은 경우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항상 0.382 까지 더 움직일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0.382 (28K) 까지 15% 이상 남았다는 점, 상승 다이버전스, 월봉 볼린저밴드 중심선 이렇게 3가지를 근거로 일단은 하락 파동이 끝났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 반전을 잡을 것인가 말것인가
파동이 끝났다면 그 다음은 반전입니다. '기술적 반등 (반락)' 이라고도 부르는 그것으로 파동의 시작과 끝이 정확하다면 하락 파동의 0.382 까지 반등, 상승 파동의 0.618 까지 반락하는 현상을 자주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파동의 시작과 끝을 판단하는 어려움 때문에 반전을 잡는 것 또한 쉽지 않습니다. 반전을 포기할 수도 있지만 유혹이 너무 달콤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써봤지만 안정적인 성공률을 만드는데 실패하였습니다. 안전한 매매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관망' 입니다. 차트가 급격하게 움직일 때는 진입하지 않는 것이 가장 결과가 좋았습니다. 그래도 진입하고 싶다면 일봉 이상의 시간 프레임에서 직전 파동의 0.382, 0.618 구간에서 진입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합니다.
위 그림처럼 0.382의 반전을 예상하고 롱 포지션에 진입하였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 가격이 28K 까지 내려왔다면 자신있게 반전을 예상하고 진입하였을 것입니다. 전저점이며 0.382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트는 멈췄고 나쁜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매매 과정 복기, 바닥 형성이 어설펐기 때문에 다시 한번 바닥을 확인하러 갈 것이라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5. 지금 생각해보면 "아차" 하고 놓쳤던 것들
일봉 차트입니다. 붉은색 사각형은 캔들 위아래로 꼬리가 많이 달리며 많은 혼란을 주었던 시기입니다.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올랐다가 내려갈지, 내려갔다 올라갈지 수 없이 고민하게 만든 기간입니다. 차트가 천천히 움직이기 때문에 작은 시간 프레임에서 휘둘리며 매매를 하였습니다만 결국 큰 그림에서 보면 세력들에게 놀아나고 있었던 것 입니다.
이렇게 10일내내 세력들에게 희롱당하였습니다. 연속되는 상승과 하락의 되돌림, 너무나 천천히 만들어지는 파동 떄문에 그래서 많은 고민을 하였고 지쳤습니다. 하지만 파동의 시작과 끝을 정하면 피보나치 되돌림은 잘 맞는 편입니다.
6. 결국 큰 그림
현재 상황입니다. 무엇이 잘못되었을까요? 상승 파동이 0.618 목표가 40K 를 넘어섰습니다. 오버슈팅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오차가 큽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디서 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이럴 때는 큰 시간 프레임으로 올라가 관찷합니다.
상위 파동들의 피보나치 도구를 작도해보면 0.382, 0.618 등이 겹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 목표가는 45K - 47K 정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45K 보다는 더 크고 확실한 파동의 0.382 값인 47K 가 더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쭉쭉 올라가면 좋겠지만 과정이 순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피보나치를 믿는다면 흔들리지 않고 자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예시로 보여준 차트처럼 비트코인은 비교적 정확하게 피보나치 비율안에서 움직여 왔기 때문입니다.
7. 피보나치 이론의 한계
이 처럼 대부분 비트코인은 피보나치 비율안에서 움직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있습니다.
a. 파동의 99% 는 피보나치 비율에 딱 맞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있습니다. 즉 피보나치 비율보다 조금 더 움직인다는 것인데 이 오차 때문에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피보나치 비율에 부합하는지 확인 후 여유를 갖고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린저 밴드, RSI 등의 보조 지표가 도움이 됩니다.
b. 정확한 파동 계산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엘리어트 파동이론과 하모닉 트레이딩 등 피보나치 비율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기술적 분석 도구에서 발견되는 문제입니다. 그래도 파동의 계산은 1,2 단계면 충분하기 때문에 더 많은 파동을 계산해야 하는 엘리어트, 하모닉 보다 쉽고 단순합니다.
c. 피보나치 비율을 초월하는 파동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현재 시간 프레임에서 파동이 피보나치 비율이 맞지 않게 움직이면 상위 시간 프레임으로 옮겨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피보나치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2대 이상의 모니터를 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스캘핑 보다는 스윙 거래에 알맞습니다.
d. 위에서 언급한 a,b,c 때문에 칼 같은 손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언더 슈팅, 오버 슈팅, 거대한 무빙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경험이 많이 필요합니다.
8. 정리하며
피보나치 이론은 복잡한 차트의 형상에서 매매를 시작하는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며 모든 차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과 자연의 법칙에도 통하는 신비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보나치 이론을 활용한 트레이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믿음과 인내심입니다. 피보나치 이론대로 움직일 것이라는 믿음과 결정된 곳으로 움직일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역시 문제는 도구가 아니라 사람인 듯 합니다.
비트코인 상승 목표가 40K1. 헤드앤숄더 패턴의 목표가에 닿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직전 저점의 지지 구간, 각종 오실레이터 지표의 상승다이버전스 발생
3. 바이낸스 기준 펀딩비가 음수로 바뀌었습니다. (롱이 받습니다) 펀딩비가 음수로 강하게 세팅될 경우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1차 목표, 현재 자리에서 하락 파동의 되돌림 0.618 구간 38K 까지 상승
5. 2차 목표, 44K 에서 32K 까지 하락 파동의 되돌림 0.618 구간 40K 까지 상승
6. 40K 까지 상승시 일봉 하락쐐기형 패턴 발생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22.02.03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중기 매물대 지지 확인을 위한 추가 하락??#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강한 상승세가 진행되던중 '장기 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하늘색 점선)' 0.5 레벨의 저항을 강하게 받으며 강한 눌림이 출현중인 모습입니다.
- 상승중 만들어주었던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의 지지가 실패하면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단기 매물대(파란색 박스)'가 위치한 저항 구간인 '14893.25-14943.75'를 돌파하지 못한다면 '중기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금일 저점 지지구간이던 '14766-14751.50'의 지지도 중요해 보이며, 지지에 실패할 경우 '중기 매물대(주황색 박스)' 상단의 지지 확인 이전까진 매도 위주의 대응이 안전해 보입니다.
- 하락추세가 진행된다면 반등 기대 구간은 '14502.25-14483' / '14306.25-14299.75' 두 구간으로 보여지며, '14502.25-14483'에서 반등 출현시 '14674-14666.25'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4306.25-14299.75' 지지 확인 가능성이 생기므로 본절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만일 금일 상승세가 출현하며 '14893.25-14943.75' 상향으로 안착한다면 '15058-15078'의 저항 돌파가 중요하며, 저항 돌파시 '15433.50-15462' / '15653.50-15682.75' 두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2.01 / 나스닥 1시간봉 분석#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장기간 머물던 660포인트 가량의 박스권을 강한 매수세로 상향이탈한 모습입니다.
- '중기 하락 추세선(연녹색)' 저항 돌파이후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돌파를 앞두고 있습니다.
- 하락중 저항을 받았던 '14829.50-14798.75'구간의 상향안착을 시도하는 모습이며 이대로 매수세가 이어진다면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돌파 시도를 위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을 돌파한다면 리테스트 확인 이후 매수대응 하는것이 좋으며, 단중기적으로 최대 '15516.25-15567.75'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장기 하락 추세선(흰색)' 저항 실패시 '14829.50-14798.75' 지지가 중요하며, 지지 실패시 매물대 상단인 '14602.25-14547' / '14390-14335' 까지 지지 확인을 할 가능성이 보입니다.
- 넓은 범위의 박스를 돌파하였기 때문에 큰 변동성의 출현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보수적인 대응을 추천드립니다.
22.02.01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 38.5k 저항 너무 강한것!!#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 33k 반등 이후 '38588-38708' 세번째 돌파 시도중인 모습입니다.
- 해당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장기 하락 채널(회색)'의 상향 돌파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상향돌파 성공시 '40916-41106' / '41774-42021'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41774-42021'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중장기적으로는 '45716-46005' / '48578-49139'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38588-38708'의 저항 돌파 실패 또는 돌파 이후 리테스트 지지 실패시 '35650-35402'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35650-35402'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29278'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의 높은 변동성, 바닥 확인 후 상승비트코인 차트의 변동성이 높습니다. 큰 추세나 패턴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이럴 때는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이 잘 맞는 편입니다. 주로 0.618 과 0.382 구간이 지지와 저항 구간으로 많이 작용합니다. 특히 큰 파동과 작은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이 겹치는 부분이 강한 매물대가 됩니다. 따라서 이런 규칙을 적용하여 보면 36K - 40K - 32K - 45K 순서로 움직일 것이라 예상합니다.
참고로 저는 차트 분석을 할 때 단정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럴 수 있다" 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100% 정확하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관점이 틀렸을 때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따라서 이 관점 또한 틀린다면 다시 분석하고 대응할 것 입니다.
22.01.27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또 고점 높히고 저점 낮추는 나스캠...#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강한 하락으로 프리장에 지지해주던 '중기 상승 파동 저점'인 '14367.75'의 하향이탈이 출현하였습니다.
- 노란색 고점 두개와 저점 하나로 이루어진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의 하단에서 반등이 출현하며 프리장 갭인 '14194-14150.75'를 돌파해준 모습입니다.
- '14194-14150.75'의 리테스트 중인 상황으로 리테스트 지지가 성공한다면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중심선과 금일 오전 프리장 저항인 '14267.25-14282.25'의 저항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돌파하지 못할 경우 본장 개장 전까지 '14194-14150.75'~'14267.25-14282.25' 두 구간 사이의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상승추세가 진행될 경우, 전일 강한 지지를 보여주었던 '14367.75-14390' 구간의 저항은 강할것으로 예상되며, 돌파하지 못할 경우 다시한번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하단의 지지테스트를 위한 하락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14367.75-14390' 저항을 돌파한 뒤 리테스트 지지에 성공한다면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상단'과 '장기 하락 추세선(하얀색)' 그리고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쳐있는 '14641.25-14674'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단기 상승 채널(하늘색)' 하단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21년도 상반기 매물대들인 '13740-13702.50' / '13603.75-13571' / '13395.50-13374.25' 세 구간에서의 지지확인 이후 매수대응을 추천드립니다.
- 장기추세는 아직 하락추세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중기추세는 고점과 저점을 높혀주는 상승추세를 확인할수 있지만, 단중기추세로는 고점을 높히고 저점을 낮추는 행보로 추세 방향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매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2.01.25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어마어마한 하락... 그러나 양봉마감...#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5%에 가까운 하락을 보여주었지만, 새벽중 강한 반등이 출현하며 양봉 마감하였습니다.
- 하지만 금일 프리장 초반 전일 하락추세 출현 전 쌓아주었던 매물대 '14529.50-14563'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조정중인 모습입니다.
- 현재는 작년 7월과 10월의 저점을 이은 '장기 하락 추세선(자주색)'을 끼고 크게 횡보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14347.50-14367.75' 저항구간중 상단인 '14367.75'를 1H캔들이 돌파마감 해준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수 있는 상황이며, 이번 4H캔들이 양봉마감 된다면 이후 4H캔들의 형성동안 상승을 기대해 볼수 있는 상황입니다.
- 하지만 오랜 하락추세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매물대(저항)이 굉장히 많이 쌓여있는 모습이며, 아직까지 제대로된 고점갱신 없이 고점을 낮추는 모습만 보여주었기 때문에, 금일 오전 고점인 '14524.75'를 갱신하기 이전까지는 언제든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고점 기준인 '14524.75'를 갱신 이후부터 눌림에 매수대응이 안전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 고점 갱신 하지 못한채 하락추세로 전환된다면, 전일 저점 캔들 종가가 위치한 '13922-13878.25'의 지지 확인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 '13922-13878.25'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 저점 갱신의 가능성을 높게봐야 하며, 작년 상반기 매물대가 위치한 '13740-13375' 구간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최근 변동성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본장 이후에는 대응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22.01.25 / 비트코인 1시간봉 분석 / 언급했던 33k에서 강한 반등!! 과연 저점일까?!#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시간봉
- 지난 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32999'에서 14.13%의 상승이 출현하였습니다.
- 아쉽게도 저항자리로 언급하였던 '37600-38000' 구간에 살짝 못미친 '37550' 고점을 만든 뒤 조정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현재는 조정중 여러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35710-35400'구간의 지지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35710-35400'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재차 고점을 높히려는 움직임이 출현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다만, 상승이 출현하여도 여러가지 저항이 겹치는 구간인 '37341-37778' 구간의 저항은 강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37341-37778' 저항을 돌파한다면 '중기 하락 채널(청록색)' 하단, '단기 디스조인트 채널(노란색)' 상단 이 두개의 지지여부가 중요해 보이며, 지지해줄 경우 '중기 하락 채널(청록색)' 중심선과 여러 피보나치 레벨이 겹치는 '39748-40075'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35710-35400'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34723'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겠지만, '단기 디스조인트 채널(노란색)' 상단과 같은 각도의 '단기 상승 추세선(초록색)'의 지지가 실패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 상승 추세선(초록색)' 리테스트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34723'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저점 단기 매물대 상단에 위치한 피보나치 레벨인 '33806'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33806'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할 경우 저점에서의 '다이아몬드 패턴'의 형성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퍼블리시에 첨부한 장기프레임 차트처럼 '장기 상승 채널(분홍색)' 하단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29278-28678' / '25088-24375' / '21578'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2.01.24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장기 하락 채널 하단에서 반등!! 과연 저점일까??#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장기 하락 채널(보라색)' 하단에서 장대 양봉을 보여주며 금일 프리장 초반 매수세를 보여준 모습입니다.
- 하지만 본장에서 나온 움직임이 아니기 때문에 큰 영향력을 가질지는 의문인 상황입니다.
- '디스조인트 채널(하늘색)'의 하방이탈 이후 재진입이 출현하여 단기적인 상승추세를 기대해볼수 있지만, 중장기적인 고점의 갱신이 없는 상황으로 아직까지 중장기 추세에 대한 방향성은 애매한 상황입니다.
- '14591-14617.75'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디스조인트 채널(하늘색)' 하단이 위치한 '14513-14502.25'의 지지확인이 중요해 보이며, 지지가 실패할 경우 다시한번 '장기 하락 채널(보라색)' 하단 그리고 '10월 04일 저가(14367.75)' 의 지지를 위한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단기적인 지지/저항 기대 구간들에서 단타 위주의 대응이 안전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22.01.24 / 비트코인 1시간봉 분석 / 인륜적 반등은 출현할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시간봉
- 바이낸스 기준 12월 04일 최대거래량이후 최대 거래량인 '34008'밑꼬리 캔들 성형 이후 저점이탈 없이 계속하여 고점을 높혀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금일 오전 강한 저항이었던 '36117'의 저항위로 안착을 시도하였지만 '36487'저항이후 안착하지 못한채 눌림이 출현하는 모습입니다.
- '36487' 저항을 돌파하기 이전까지 추격매수 대응보다는 눌림시 지지라인에서의 매수대응이 좋아보이며 지지라인의 이탈 출현시 공격적인 손절 대응을 추천드립니다.
- '36487' 저항을 돌파한다면 '단기 하락채널(청록색)'하단과 매물대가 겹치는 '37600-38000' / '38588' 까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최대 거래량 캔들의 종가인 '35488' 라인에서 지속적인 저항역할을 해주었기 때문에 '35488'라인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 '35488'의 지지가 깨진다면 최대 거래량 캔들의 종가인 다시한번 '34812'의 지지확인을 다시 할 가능성도 있어보이지만 전일 새벽 상승전 한차례 지지확인을 하고 올라온 모습으로 다시한번 지지확인시 지지 실패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 '34812'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34008'의 저점 이탈을 염두에 두고 대응해야 할것으로 보여지며, 저점이탈시 강한 매도세의 출현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다만 일봉상 '장기 상승채널(분홍색)'의 하단부와 '장기 하락 파동 피보나치 확장(회색 실선)' 0.707레벨이 겹치는 '33k'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33k'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 장기/중기 피보나치 지지 레벨이 겹치는 '29278-28678'까지의 하락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22.01.24 / 항셍 1시간봉 분석 #크랙 #항셍 #무기한물 #1시간봉
- 지난주 강한 매수세와 강한 조정세를 보여주며 '11월 25일 시가(24746)'의 지지를 테스트하며 마감한 모습입니다.
- 조정중 한번 지켜주었던 '24746'의 지지가 꺠진것으로 추가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추가 하락이 출현한다면 '11월 23일 종가(24564)'의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24564'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24746'저항을 돌파하기 위한 반등이 출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4564 반등' 혹은 '장초 상승'으로 '24746'저항을 돌파해준다면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24998-25085' 저항까지 중간 저항의 판별이 어렵기 때문에 저항의 출현 위치가 불명확 합니다.
- '24564'의 지지가 실패한다면 '1월 20일 지지대'로 보여지는 '24319-24217'의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 '중기추세선(하늘색)'과 '단기추세선(초록색)'이 위치한 '24319-24217'의 지지가 성공한다면 간한 반등을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추세선(주황색)'이 위치한 '24153' 부근까지 지지확인을 위한 휩쏘가 출현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22.01.21 / 비트코인 4시간봉 분석 / 단기 하락 채널 하단 지지 확인중!!
#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4시간봉
- 전일 새벽 '장기 하락 채널(회색)' 상단의 저항을 받은채 강한 매도세가 출현한 모습입니다.
- 현재는 '단기 하락 채널(청록색)' 하단의 지지를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아직까지 매수대응에는 리스크가 높아 보입니다.
- 반등하더라도 1월10일 저점이 위치한 '39748'과 강한 지지대였던 '40916-41774' 저항은 강해 보입니다.
- 현재자리에서 지지에 실패하며 추가하락 한다면 지지를 기대해볼수 있는 구간은 '35706-35402'입니다.
- '35706-35402'의 지지마저 실패한다면 첨부된 1D 차트에서 확인할수 있듯이 '33K'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01.21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전일 급락 출현!! 반등 기대 자리 알아보기!!#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새벽 강한 매도세를 보여준 상황입니다.
- '단기 지지선(노란색)'과 '장기 지지선(초록색)'을 강하게 뚫고 내려간 모습으로 아직까지는 그렇다할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 추가 하락이 진행된다면 지지를 기대해 볼 만한 구간은 '14591-14583.75'와 '14502.25-14462.25'로 보여집니다.
- 하락세가 강하게 진행되는 모습으로 매수에 대한 불안감은 높지만 '장기 하락 채널(보라색)' 하단과 여러 지지선들이 겹치는 '14502.25-14462.25'의 지지가 진행된 이후 안착을 한다면 여러 저항이 겹치는 '14805.50-14824.75'까지 매수 대응 해볼만한 자리로 확인됩니다.
- '14502.25-14462.25' 지지가 실패한다면 '10월 4일 저가 지지선'인 '14367.75'의 지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14367.75'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 '장기 지지선(자주색)'이 위치한 '14250'부근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 현재 위치에서 매수 대응 하기에는 애매하며 공격적이라면 이전 지지라인인 '14696.50' 상향으로 최소 1H 마감 확인 이후 지지확인까지 마치고 대응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22.01.20 / 나스닥 1시간봉 분석 / 장기 지지선 지지 실패하나요?#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장기 하락 추세선(하늘색 실선)'의 지지가 깨졌지만, '단기 하락 쐐기 패턴(노란색)'의 하단부 지지에 성공하며 반등중인 모습입니다.
- '장기 하락 추세선(하늘색 실선)'의 상향으로 다시 안착을 시도하는 모습이지만, 전일 오후 강하게 지지해주었던 '15070.75-15078' 구간의 저항을 돌파 시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저항을 돌파 한다면 '단기 하락 쐐기(노란색)'의 상단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며, 저항돌파에 실패한다면 다시한번 '단기 하락 쐐기(노란색)' 하단의 지지확인을 하기 위한 하락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5070.75-15078' 저항 돌파시에는 단기적으로 '15141.75-15160.75'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하락쐐기 상단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15141.75-15160.75' 매물대는 전일 강하게 지지해주었던 구간으로, 상승시에 강한 저항을 해줄것으로 보여집니다.
- '15070.75-15078' 저항 돌파 실패시에는 저점 구간이기 때문에 매도대응에는 리스크가 높을것 으로 보여집니다.
- 매도 대응은 최소한 '단기 하락 쐐기 패턴(노란색)'의 하단 지지까지 실패 확인 된 이후부터 대응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2.01.20 / 항셍 1시간봉 분석 / 확장 삼각형 상승 돌파?! 돌파 상승 가즈아~~#크랙 #항셍 #무기한물 #1시간봉
- 전일 '중기 상승 추세선(하늘색 실선)'의 지지 실패에도 불구하고 지지 구간의 지지를 받으며 반등세를 보여준 모습입니다.
- 전일 반등에 '확장 삼각형 패턴(파란색 삼각형)'의 상향돌파가 출현하였으며, 금일 장초 '확장 삼각형 패턴'의 상단 지지여부가 중요할것으로 보여집니다.
- 금일 '24326' 상향에서 갭 상승 시작 한다면 '24254'의 지지가 중요합니다. '24254' 지지가 성공할 경우 '24564' / '24810-24864' 까지의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금일 '24254' 하향에서 갭 하락 시작 한다면 '24254-24361'의 저항이 중요합니다. '24254-24361'의 넓은 저항구간이지만 해당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24130-24153'까지의 단기적인 하락을, '23858-23820'까지의 장기적인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금일 '24326-24254' 사이에서 갭 시작 한다면 '24254'의 지지 실패 또는 '24361'의 저항 돌파를 확인 한뒤 이탈 방향으로 대응하는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22.01.19 / 비트코인 1시간봉 분석 / 단기 하락 채널 상승돌파!! 상승추세 이어질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시간봉
- '단기 하락 채널(연녹색)'의 상향돌파 출현 이후 '중기 피보나치 레벨들(주황색 점선, 초록색 점선)'이 겹치는 '42647-42740' 저항을 받으며 눌림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단기 지지 구간'으로 보이는 '42085-42075'에서 지지 성공후 반등이 출현한다면 재차 '42647-42740' 저항을 돌파하기 위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이때 저항을 돌파해준다면 '43355-43439'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42085-42075' 지지가 실패한다면 강한 변곡 구간으로 보이는 '41774-41718'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41774-41718'지지가 진행되어도 '42085-42075' 저항 위로 안착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만일 '42085-42075' 지지 테스트 없이 상승한다면 '42647-42740' 저항 돌파 및 상향안착 이후 부터 추격 매수 대응이 안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이때 '43355-43439'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추가 상승시 기대해 볼 수 있는 저항구간은 '43869' / '44451'로 보여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