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bonaccianalysis
[6/30 비트코인] 비트는 죽지 않는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저번 비트의 조정 움직임은 큰 추세를 뚫고 내려가진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반등을 이어나가고 있는데, 다음 목표가는 어디로 잡아야 할까요?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시간봉
기존 관점의 파란색 평행 채널과, 신규 작도한 노란색 평행 채널입니다.
파란 채널은 유의미하게 작동했었으나, 29일 15시 미들선 상승 이탈 이후로
3번의 단기 하락 추세를 마무리하는 모습입니다.
이때 22일 상승 이후로 짧은 횡보 구간의 매물대 지지값인 22일 23시 종가 지지를 확인했고,
현재 2차례 상승 움직임을 확인했습니다.
상승하면서 파란 채널 상단을 이탈했기 때문에, 추가 상방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습니다.
상방 관점은 마찬가지로 평행 채널 관점에서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1시간봉
노란 채널의 미들선은 주요 지지 / 저항으로 해석할 수 있고, 최근 시간대에서도
유효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미들선 돌파시, 평행채널 상단 까지
열어둘 수 있게 됩니다.
단번에 올라가는걸 기대할 수 있지만, 최근 움직임의 트랜드를 피보나치로 확인해봅시다.
1시간봉
단기적인 시간봉 관점이기에, 마찬가지로 단기적인 피보나치만 적용했습니다.
0.618 구간의 저항이 지속적으로 확인 되었고, 지지값 또한 0.618 에서 29일 이후 2차례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일련의 파동 경로를 그려볼 수 있으며, 중기 상승 추세의 3하락과 2상승 움직임을 그려볼 수 있습니다.
1시간봉
글 작성중 돌파가 되고 있는데, 아무튼 개략적인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보나치 확장 0.5 자리를 상승 마감했고, 평행 채널 미들선 또한 상승 시도중입니다.
때문에 해당 노란 경로 또한 기대할 수 있는 경로이고, 평행 채널 상단 도달 전 유효 저항은
31230 / 31500 / 31870 수준에 위치합니다.
단기 경로만을 고려한 값이며, 추가 노란 채널 상방 이탈시, 기존 브리핑의 장기 피보나치 확장인
0.618의 32300 을 다음 저항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6/23 비트코인] 숏들은 웃고있다... (실성아님)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비트코인은 일주일간 5천불, 약 25% 가량의 상승세를 보여주면서 올라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22년 11월 이후의 상승 패턴을 참고할 수 있으며,
오늘 브리핑은 해당 패턴의 유사성과, 현재 위치의 입장을 가정하고 작성할 예정입니다.
4시간봉
설명에 앞서, 초기 경로부터 확인하고 가겠습니다.
경로에 대한 피보나치 확장은 시나리오를 통해서 저-고-저 의 유의미한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중간 저점의 위치를 19일 05시 2차 음봉으로 잡았으며,
해당 저점은 추가 하락 움직임에 실패했다는 점에서 하락 저점으로 선택했습니다.
일봉 피치포크 + 피보나치 비율의 혼합 채널 작도입니다.
일반 피치포크 기반에 피보나치 비율을 합쳤으며, 1.618과 1.272의 고점 / 저점의 유의미함을 확인했습니다.
미디엄 라인의 지지 / 저항 작용 또한 확인 되었으며, 현재 가격대에서 짧은 음봉 지지를 보였습니다.
⚡ 현재 일봉의 양봉 마감시 추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일봉 / 4시간봉 간 팬 작도 차트입니다.
여전히 일봉 간 팬은 유효한 지지 /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8/1 저항 추세선의 꼬리 테스트가 이루어졌고, 현재는 2/1 추세선에서 횡보중입니다.
4시간봉에서 지속적인 2/1 지지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모습이며, 해당 각도 추세선 이탈시
28.6 까지 1/1 추세선의 지지가 열려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가격대까지 하락하는건 현재 위치에서는 굳이 고려하지 않으며, 추가 작도를 통해서
중간 구간의 지지를 구해볼 수 있습니다.
⚡ 간 팬 작도에서는 저항 단계에 있으며, 추세선 이탈시 약 -4% 가량의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봉 피보나치 확장 작도입니다.
중간 구간의 지지를 구하기 전에, 하나의 피보나치 확장 작도를 보고 가겠습니다.
대부분의 트레이더들이 추정하는 상승 근거이며, 이때 1:1 상승 비율을 근거로 36k 도달 가능성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장기 포지션의 입장에서는 해당 작도를 기준으로 상승 추세를 가정해도 괜찮겠지만,
이미 23년 이후 3차례의 추세 상승이라는 점에서 조금 목표값을 낮출 필요는 있습니다.
이는 0.5 비율의 현재 자리에서 저항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이며, 이때는 중기 목표값을
조정 후 상승시 0.618 구간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 추가 상승 각도의 부담으로, 단기 저항 후 상승시 0.618, 31.9k 까지의 중기 상승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일봉 피보나치 확장 작도들
단기 상승의 3번째 상승시, 이전 비트코인 움직임은 첫 상승 구간에서 횡보 후 추가 상승이었습니다.
때문에 이를 토대로 단순 1:1 비율의 상승시 35k 까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추세 움직임이라고 해도, 현재 위치에서 급상승 움직임을 가정하기에는 기존 비트코인 움직임은 1~2달간의 횡보 후, 이전 가격대의 지지 테스트를 진행 후 상승하는 움직임이 일반적입니다.
때문에 현재 자리에서의 추가 급상승을 추정하는 경로는 너무 빠른 가정이며, 재차 횡보 하락의 경로를 가정해야 합니다.
⚡23년 이후 조정 경로를 근거로, 급상승 보다는 횡보 하락 후 추가 상승의 경로를 고려해야 합니다.
위의 브리핑에서 활용한 피치포크 + 간 팬 추세선을 통한 신규 경로 작도입니다.
피치포크 0.382의 지지 움직임과, 현재 간 팬 2/1 추세선의 지지 실패시 가능 움직임입니다.
예상 피보나치 비율은 반등시의 최소한의 상승값이 될 수 있고, 현재로써는 신규 눌림롱 진입 구간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급상승 보다는, 눌림롱 경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피치포크의 0.382 추세선이 유효 경로로 쓰이게 됩니다.
일봉 최종 경로와, 초기 경로의 비교입니다.
초기 경로에서 추가적인 조정 움직임을 고려한 최종 경로가 나왔으며, 이러한 경로 가정은
현재 자리에서의 급상승에 대한 반발매도를 추가 고찰한 경로입니다. 해당 경로를 기준으로
공격적 숏 / 눌림 롱의 2 포지션을 세울 수 있으며, 안정적 포지션 진입은 금일 일봉 마감으로 정해질 수 있습니다.
✨현재가에서 숏, 눌림 후 롱 포지션을 고려할 수 있으며, 안정적 진입은 일봉 마감 이후 결정할 수 있습니다.
[6/19 비트코인] 격정을 인내한 나의 포지션은 지고 있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저번 간 팬 브리핑의 숏 관점은 하락이 발생하면서 중간 목표값에 도달했습니다.
현재는 블랙록 이슈로 인한 강한 반등이 나와준 상황이며, 추가적으로 상승 여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확인해야 합니다.
--
이번 작도는 기본 피치포크 채널을 통한 지지 확인 관점입니다.
⚡ 피치포크의 0.5 초록선을 이탈한다면 중앙선의 추세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저-고-저 작도의 피보나치 확장 비율입니다.
⚡ 1.618의 저항을 확인시, 1.236의 매물대 지지까지 열어 둘 수 있습니다.
4월 14일 평행 채널 작도입니다.
⚡ 추세 이탈 후 되돌림 구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저-고 피보나치 비율 작도입니다.
⚡0.12 저항의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추가 저항시 0.382의 일반 비율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존 저점 추세선의 내부 추세선 유효성이 확인되었습니다.
⚡ 상승 마감에 실패하며 음봉 마감시,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 작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 저항 숏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는 위치이며, 상승 움직임시 0.12 이상 양봉 마감 유무를 유의해야 합니다.
[6/16 비트코인] 희망에서 희를 빼세요. 망했습니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저번 간 팬 교육자료를 통해서, 어느정도 간 팬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물론 정규 교육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모든 간 팬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힘들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핵심적인 부분, 즉 초장기적인 추세선 역할과 각도 이탈시 다음 각도로의 움직임 가능성은 이해하셨을 겁니다.
이번 글은 교육 자료는 아니고, 13일 게시글 이후의 차트를 살펴보기 위해서 준비해봤습니다.
--
간 팬의 지지 유효성 자체는 입증했으나, 단기 추세선인 빨간 점선을 넘지 못하고 하락했습니다.
현재는 3/1 이탈 후 블랙록 이슈로 상승 재진입 된 상황이며,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3일 브리핑된 간 팬의 일봉 상황이다. 빨간 점선 추세선을 이탈했으며, 이후 하락 간 팬의 3/1 지점과 지지 간 팬의 8/1 지점의 교차 변곡 지점에서 유의미한 캔들 움직임이 출현했다.
4시간봉 차트를 확대해보면, 현재 위치는 단기적인 낀 구간 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주요 변곡으로 인해서 15일에 하락이 나온건 좋은데, 이렇게 다시 올라온 상황에서
어느 간 팬의 지지 / 저항을 믿는게 좋을까?
교육 게시글에 올린 간 팬의 특성, 초장기적인 추세선 역할을 상기해보자.
일반적인 추세선은 장기 추세선이라고 해서 무조건 고신뢰도의 역할을 가지지 않지만,
간 팬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동으로 근거가 쌓여가는 추세선이다.
⚡ 때문에 우리는 시간이 더 많이 쌓인 지지 간 팬의 8/1 추세선 이탈에 주목해야 한다.
4시간봉 / 일봉 차트
일봉의 주 변곡 구간을 4시간봉에도 표시했다.
이때 우리는 주요 변곡 캔들을 아직 재진입 시도중이며, 어제의 상승이 이슈로 인한 (이슈가 없었더라도 상관없다.) 단기 반등이며, 하락 간 팬 의 3/1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여전히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 그렇다면 하락 경로의 피보나치 비율을 구해야 한다.
1시간봉에서 피보나치 확장 작도를 했다. 최근 거래량이 동반된 구간에서의 고-저-고 피보나치 확장이며,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비율에서 단기 변곡이 발생하는 걸 알 수 있다.
현재 위치에서는 마지막으로 0.5 저항이 발생했으며, 0.92 단기 반등을 확인했다.
하지만 하락 무효화를 위한 0.5 재차 상승 시도가 단기 시간봉에서 막히고 있으며, 0.5 이상 상승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을 가정할 수 있다.
차트상의 하락 경로는 간 팬의 시간상 지지구간인 25370과, 이전 매물대 구간의 캔들 몸통값인 1.618 구간을 주요 경로로 설정했다.
👀 여기서 현재 자리가 단기 하락 경로가 맞다는 예상을 하나 추가해서, 신규 피보나치 경로를 구해보자.
0.5 단기 고점을 기준으로 신규 피보나치 확장 경로를 작도했다.
단기적인 작도라서 신뢰도는 다소 떨어지겠으나, 하락 경로의 근거로 적용하기엔 큰 무리는 없어보인다.
간 팬의 기존 지지를 확인 후 신규 피보나치의 0.5 구간을 반등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으로 1.618 까지 열어두는 시나리오다. 이때 기존 하락 비율의 1.618 구간까지 초록 박스로 열어두며,
이 구간은 25110 ~ 24930 까지 0.7% 가량의 오차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상승 / 하락 변동성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이다.
⚡ 최종 하락 경로를 고려한다면 단기적으로 25370 도달 여부와, 25470 저항 여부까지 확인 후 숏을 시도하는게 일반적이겠고, 이러한 가정은 기존 하락비율의 0.5인 25730 이상 상승 봉마감시 무효화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