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 나왔네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11일간의 고가권 횡보 끝에
보다 명확하게 롱 배팅에 나설만한 흐름이 그려지고 있습니다.
저점을 여러 차례 갱신 하며 약 2주간의 횡보를 통한
유동성 확보 가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이라 판단되며
아주 심플한 롱배팅 전략이 그려지는 구간입니다.
현재 차트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봉 차트입니다.
하모닉 패턴 샤크 패턴의 PRZ에서
약세 전환이 그려지고 있으며
0.5~0.618 구간의 지지 및 반등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현 구간 지지 및 반등에 성공할 경우 현 구간이
단기 저점이 될 가능성 높으며
재차 상승 추세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보고 있습니다.
가격대로는 51~51.2K 구간이며
해당 구간에서 롱 배팅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부스트 및 댓글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
피보나치
숏충이가 롱칠 때안녕하세요.
숏관점에 고통받다 돌아온 제이입니다.
우스갯소리로
숏충이가 롱치면 고점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43K에서부터 지금까지 숏관점만 봐왔던 제가
롱을 치러 돌아왔습니다.
숏관점을 완전히 폐기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먼저 2023년 비트코인은 지지 저항을 매우 잘 지켜왔습니다.
그리고 2024년 들어서 ETF 승인 이후 49K에서도 저항이 무의미해지고 있고
오늘 오전 52K를 자유롭게 드나드는 모습에서도 나타나듯
52K 저항도 무의미해졌습니다.
즉 전고점 제외하고는 이제 저항이 무의미해졌습니다.
그리고 일봉 단위로 매우 각도 높이 치켜올리며
빠르게 상승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50.5~51K 부근 지지를 생각하고
롱 포지션 진입을 시도할 것이며 추세가 재차 뽑혀져 나오면
롱 익절이 아닌 신규 롱 진입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노려볼 생각입니다.
그런데...
숏충이가 롱치면 고점이던데?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부스트 및 댓글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24.02.26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2월 14일부터 달러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큰 상승세에서는 조금 벗어난 모습입니다.
이후 움직임은 박스권 횡보후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전 단기 하락세에 대한 되돌림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 저항라인은 104.437 라인이 될것으로 예상되며, 하단 지지라인은 1월말~ 2월초의 상단 저항 라인으로 작용하였던 103.800(S1)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예상 상단 저항 : 104.437
예상 하단 지지 : 103.800
감사합니다.
NEAR-KRW :: SSPAPA
1. 기존 중-장기 (2023.12.13) 및 단기 (2024.02.11) 관점에서 바라본 BINANCE:NEARUSDT.P
2. 현재의 차트 구조.
3. 원화(KRW)차트에서 확인해봐도 동일한 부분이기 때문에 (관계없이) 패턴의 확장구조라고 생각하여 접근해본다면
:: 시장구조의 붕괴가 일어나면서 일반적으로 패턴의 확장이 일어난다고 보는 것이므로.
4. 하락분 피보나치 레벨과 겹치는 구간까지의 상승추세가 남아있다고 볼 수 있고,
5. 이는 다음 레벨 (아이디어에서 구준히 언급하고 있는 2월, 4월의 일봉종가 저점/고점. 1월, 7월의 월봉 종가저점에서의 Action) 까지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게 합니다.
6. 다만, (가능성은 적다고 판다하고는 있지만) 과거패턴의 움직임을 토대로 본다면, 위와 같은 움직인 또는 시간적 충족을 통해 "부족한 매물"을 채운 후 방향을 다시 잡는 그림에 대한 부분은 주의해야겠습니다.
어? 빅쇼트?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비트코인이 40K 유동성을 제거하고
반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믿지 않습니다.
그리고 속지 않습니다.
그 이유 설명 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비트코인 현재 하락에 대한 피보나치 되돌림
0.5 구간 에서 저항을 맞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23년 들어서 20~21년과는 사뭇 다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늘 고가권을 형성한 뒤 반등 되돌림은 0.5~0.618 선에서 그치는 움직임을 보여줬습니다.
2023년 비트코인 차트입니다.
고가권을 형성하고 하락이 전개된 후
반등 되돌림은 두 경우 모두 0.5 구간 에서 멈췄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입니다.
어제 텔레그램 채널에
41.6K를 깨고 내려간 뒤 롱 유동성을 지우면 롱 진입 시작하겠다 이야기 했는데
그러한 움직임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곧장 상승이 나왔습니다.
이번 반등의 종착지 는 여기라고 봅니다.
이에 맞춰 43800 스탑을 잡고 숏을 들고 있습니다.
38.5K 갱신까지 기다릴 것입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부스트 및 댓글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충격파 현대자동차 향후 전망과 목표가엘리엇파동과 피보나치를 이용한 매매중 이렇게 정확히 예측이 되는 경우가 가장 기분이 좋습니다.
현대차를 분석하게 된 것은 실적도 좋은 회사가 주식은 매우 저평가되어 있어서(PER,PBR)
전년말부터 추세전환이 일어난후 1월의 조정기(즉, 1파후 되돌림자리)에 분할로(50%되돌림, 61.8%되돌림)
가장 많은 비중을 실어 매수하였습니다. 물론 정부정책상 때를 잘 만난부분도 있겠지만, 좋은 주식은
쌀때 사야한다는 개인적인 믿음이 있었습니다.
우선 현재 노란색 텍스트는 현재의 마이너 파동을 분석한 것입니다. (3)파구간의 3파(161.8%자리)를
터치한 상황이며, (1)파의 127.2% 확장자리를 정확히 터치한 상황입니다. 우선 여기서 20%를
매도하였습니다. 이것은 최소한의 조정이 있을 것이므로 이때 20%를 이용해 다시 매수계획입니다.
매수는 21만원대 노란색 3파의 23.6%,38.2% 되돌림시 매수(물론 매수가 안될 경우도 있음)
미보유자는 추격매수 할 자리도 됩니다.(다만, 비중은 작게)
이후 유지,
목표가
(1)파의 161.8%(249,000), 176.4%(257,500) 여기서는 각각 비중의 70%까지는 정리,만약 200%가
온다면, 나머지 30%도 정리 이후 관망 (3)파가 중요합니다. (3)파에서 대부분의 수익을 창출해야합니다.
(4)파는 (3)파의 되돌림자리에서 매수해야합니다. 추세가 강력하다는 전제하에 23.6,38.2%자리 30%정도만 매수 -> 세부적인 것은 당시의 차트상황을 보며...
혹시 수익이 나신분들 축하드립니다.
KOSPI종합지수 분석주요 (3)파 진행중 마이너3파 진행 상황
(1)파의 쐐기형 상승과 급락(2)파 (abc-335) 전년 10월말까지
전년 11월 이후 강한 추세전환 1파후 1월 급락 2파진행중
2개의 파동이 3파에 위치하며, 급등을 연출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향후 주요 저항자리는 노란색 3파자리인 161.8%자리 지수 2924포인트자리
또는 흰색 (1)파의 161.8%자리 지수 2980포인트 자리
이 자리는 일목상 주요 저항자리이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수익실현 및 조정시 매수 기회를 엿볼 자리입니다.
나스닥, 다우지수는 5파 완성한 상태로 조정이 예상되나, 연장파동을 쓸지, 우리지수의 디커플링이 될지는
추후 지켜봐야 겠습니다.
다우와 나스닥이 127.2% 확장에서 138.2%확장하고, 그 사이 우리지수가 폭등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종합지수 2920-2980(많이 본다면 3050)자리에는 반드시 큰 저항자리 이므로 상당수 수익실현후
재매수 기회를 노릴 계획입니다.
다우지수 향후 전망다우지수 주봉차트를 보면 지금은 2019년의 상황과 매우 비슷한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조정이후 급상승 차트 'A'가 2023년 'B'와 매우 비슷합니다.
급격한상승의 1파와 이에 따른 Running Flats형태의 2파, 그리고 161.8%의 3파(현재 위치)
물론 2020년에는 코로나 팬데믹이 있어 대폭락이 있었으나, 2024년에는 그렇지는 않으리라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3파후 4파는 급락을 동반한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2파가 기간조정했을 경우 상대적으로 4파는 급락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이런 상황이 맞아 떨어진다면 반대로 자산을 늘려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며칠전 나스닥 전망에서 나스닥은 5파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참고)
2019년의 상승이전 차트 (2018년 상황)도 매우 유사합니다.
Fractal입니다. 노란색 A,B 파동 구간이 2019년 'A'원의 모습과 유사합니다.
당시 C파동이 진행되기 시작하던 2018년 기사를 하나 찾았습니다.
--------------
온갖 악재 이겨낸 미 증시 갑자기 폭락하는 이유
기사입력 : 2018년10월11일 17:50
최종수정 : 2018년10월11일 18:31
김선미 기자 = 미국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1주 전만 해도 사상 처음으로 2만7000선 돌파를 눈앞에 뒀지만, 이제 무서울 정도로 추락하고 있다.
다우지수는 10일 832포인트(3.2%) 급락했다. 특히 기술주들이 큰 타격을 받아 나스닥지수는 4% 내리며 2016년 6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다. 최후의 보루 아마존마저 6% 빠졌다.
미 증시의 갑작스런 폭락은 대부분 국채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 간단히 보자면, 미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자 증시가 급락하고 있는 것이다. 복잡하게 보자면, 금리 인상에 따른 다양한 여파가 증시에 복합적인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 이후 생략-
24-01-29__BTC/USDT.P__W1__IFCZ+PFCZ_S
비트 선물 / 주봉 / Fibonacci Cluster Zone / 지지레벨
(IF 49027.5 BO --> 분석 무효화)
S1 = 37661.8 - 39688.9 / 38675.35 /38801.8
S2 = 36804.3 - 39688.9 / 38273.95 / 37838.1
S3 = 34493.8 - 37328.3 / 36198.3 - 36410.3
S4 = 27516.2 - 28672.2
S5 = 22149.8 - 24009.7 / 22149.8 - 22630.2
S6 = 15443.2 - 15831.1
24-01-30__BTC/USD__W1__IFCZ_S
Fibonacci Cluster Zone
비트현물 / 중요 피보 레벨 뭉친 곳 / 주봉 / 지지
S1 = 35679.10 - 37194.81
S2 = 33241.75 - 34989.14
S3 = 27367.69 - 28757.30
S4 = 22059.24 - 23192.59
S5 = 19019.77 - 19805.40
S6 = 15891.08 - 16654.14
S7 = 13025.80 - 13543.95
S8 = 10635.29 - 11657.15
S9 = 8610.49 - 8697.87
S10 = 6599.21 - 734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