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나스닥] 중요한 지지 구간은 아직 남아있습니다.#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날봉
- 단기적 관점보단 장기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해 오늘은 장기브리핑으로 작성합니다.
- 보라색 중기추세선의 이탈 이후 반등을 시도하였지만 저점을 추가적으로 낮춘 모습입니다.
- 현재는 연녹색 하락채널 1레벨 근처에서 20년도11월 만들어준 매물대의 지지를 확인하는 모습입니다.
- 장기적으로 볼 경우에는 아직 조금더 중요한 지지구간의 확인을 위한 하락추세가 남아있는것으로 보여지며, 그 중요한 지지구간은 진한분홍색 내심추세선, 연녹색 하락채널 1.13레벨, 노란색 하락파동 피보나치확장 1레벨이 위치한 11443-11588 구간입니다.
- 상술한 중요한 지지구간의 지지가 실패하게 된다면 중요한 변곡점을 만들수 있는 9700-9800 또는 추세선의 지지확인을 위한 8850-8966 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상승추세로 전환 될 경우에는 12800-12900에 형성된 저항 돌파확인을 하기 위한 상승추세가 진행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만 11443-11588 구간의 지지확인 없이 상승추세로 전환 될 경우에는 연보라색 추세선의 저항 또는 12206-12234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1443-11588 구간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나스닥] 다시 한번 저점을 낮춘 모습. 과연 반등 가능성이 높은 자리는??#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빨간색 단기 지지선을 지켜주며 지난주 마감을 하였지만 노란색 장기지지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채 마감하며 금일 갭하락이 출현하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 지난 주말 강한 반등이 출현한 지지라인인 12550.25 마저 지지에 실패한 모습으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가져야 합니다.
- 추가하락이 출현할 경우 직전 파동의 피보나치확장 1.272레벨과 1.414레벨인 12946.75, 12378.50 모두 지지의 기대감을 가져볼수 있습니다. 그중 12378.50은 하늘색 중기 하락채널 하단이 겹치는 구간으로 조금더 지지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습니다.
- 만일 12378.50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주황색 장기하락채널 하단이 위치한 12076-12142까지의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12378.50 이탈 없이 반등에 성공할 경우 이전 나스닥의 움직임과 같이 최대 13542 까지 상승하는 추세 반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하기 까지 저항으로 보이는 구간(12550.25, 12618-12663.50, 12723)이 굉장히 많으며 적어도 금일 갭 구간인 12663.50 상향 안착 전 까지는 언제든지 하락추세로 전환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비트코인] 35k 대상승 채널 하단 지지 실패... 이대로 가다간 12k??#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날봉
- 파란색 대 상승채널 하단부 하향 이탈이 출현한 모습입니다.
- 35071 종가지지선을 지켜주며 반등하는듯 하였지만, 전일 다시한번 매도추세를 보이며 결국 하락하였습니다.
- 반등이 출현할 경우 35071 상향 안착 해주는것이 중요하며, 상향안착 이후에도 37578 상향 돌파 이전 까지는 계속하여 하락추세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추가 하락이 출현할 경우 31k-31.6k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위 구간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 강한 지지를 해주었던 28.1k-29.8k 까지도 하락 가능성이 보입니다.
- 28.1k-29.8k 지지가 실패한다면, 11월 이후 이어진 모습에서 하락깃발형 패턴의 하향이탈이 출현한 상황으로 해당 패턴의 단순 타겟가인 10k-12.1k까지 하락하는 암울한 시기가 출현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나스닥] 자이언트 스텝 불안감 해소에 강한 반등을 보인 나스닥. 하지만 장기하락채널의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크랙 #나스닥 #무기한물 #1시간봉
- 75bp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된 상황에서 지난 브리핑에서 중요한 지지확인 지점이라고 언급하였던 12915-12960 구간의 지지확인 이후 600포인트 이상의 강한 상승이 출현 하였습니다.
- 지금은 붉은색 저항선과 하늘색 장기하락채널 상단, 그리고 이전 상승파동의 고점인 13542 이 세가지 중요 저항이 겹치는 구간의 저항을 받고있는 모습입니다.
- 전일 불안감 해소 이후 강한 상승세 출현한 만큼 저항 돌파에 대한 가능성을 높게 볼 수 있는 상황이지만 4월중 강한 저항 역할을 한 14280-14305 저항구간 같은 강한 저항을 할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완벽하게 하늘색 장기하락채널 상단을 돌파 한 뒤 지지 리테스트까지 마치고 난 후에야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게 가져갈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 지금 돌파시도중인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13424-13454.50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며, 해당 지지구간 하단에는 전일 출현한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13 지지레벨인 13418.50 지지레벨도 존재합니다.
- 13424-13454.50 지지구간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재차 13542 저항 돌파를 위한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에 실패 한다면 재차 중요 지지대와 상승파동 피보나치 0.618레벨이 위치한 13155.50-13217.50 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하늘색 장기 하락채널의 상단을 돌파 한 뒤 리테스트 지지에 성공 한다면 13650까지는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붉은색 저항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붉은색 저항선과 하늘색 하락채널 상단 사이에서의 움직임 출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강한 상승세로 붉은색 저항선까지 돌파해 준다면 완벽하지 않은 변곡대 이지만 13735-1375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피보나치 확장 2레벨인 13831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022-05-01 BTC 분석] 뉴트럴 관점 및 대응 공유안녕하세요 muok1505입니다.
본인은 엘리엇 파동 카운팅을 주로 사용하여 트레이딩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글 작성 이후 코멘트를 다는 것을 주 활동으로 삼고 있습니다. 팔로워는 실시간으로 관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는 분석을 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직전 포스팅 복기를 읽으시면 제가 카운팅 해온 작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본 내용만 보시려면 다음 점선이 나올 때 까지 내리시면 됩니다.
---------------------------------------------------------------------------------------------
○ 먼저 직전 포스팅 복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파동 형성기간에 대한 의문이 있다.
직전 파동인 abc가 나와 A파동을 만들고(w), 이후 당시의 하락으로 B파동(x)이 나왔다고 보기가 굉장히 부자연스럽다.
이유로는 w파동과 y파동은 같은 스케일의 파동이지만 w를 이루는 소파동 a에 대한 조정인 b파동이 한단계 큰 스케일의 파동인 b파동(x)보다
시간으로도, 기간으로도 더 큰 범위로 조정이 일어났다는 점인데, 따라서 이런식의 카운팅은 상당히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며,
해당 작도에 무리가 있다는 점을 언급을 했습니다.
해서 이런식으로 시간조정의 형태나 가격조정의 형태로 추가적인 조정이 있고나서야 상승 운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물론 해당 저점이 컨펌이 난건지는 알수 없다만, 향후 파동의 형태가 이런식이 된다면 wxy 즉 abc파동이 완성되므로
장기관점에서 러닝플랫으로 신고점을 갱신하는 관점에 의심을 더하게 될 것이다. 라며 장기관점 역시 다시금 의심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시간횡보나 가격조정이 추가로 있을 확률을 생각하고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직전 흰 박스 구간이 수렴으로 카운팅 했던것을 유의하게 보아 파동이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마감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다.
1) 3중으로 걸린 다이버전스
2) 382 지지구간
3) 직전 삼각수렴으로 한 파동이 마무리 되었을 가능성
4) 이전 수렴구간의 매물대가 많이 쌓였던 곳
5) 해당 아이디어에서 가지고 있던 관점(수렴 조정관점)에 어긋나지 않는 점
정도가 판단요소로 작용했고, 손익비 관점에서도 손절가가 되게 가까워 롱 관점에서 좋은 구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며 추가로
해당 관점은 흰 색 점선으로 표기한 부분을 하향이탈하면 관점은 폐기됨을 언급했습니다.
당시 코멘트로 리딩 시나리오를 유의하게 보고 있다. 라며 흰 점선을 작도하여 해당 고점을 넘기면 숏을 볼것이고
2파동을 작도하여 롱 관점을 해당구간에서 보고있음을 표현했습니다.
이후 매매 관점에서는 숏관점 롱관점 모두 수익을 볼 수있는 관점이었으나, 임펄스 관점은 페기되었고 현재 추가하락을 진행했습니다.
---------------------------------------------------------------------------------------------
○ 현재 상황 분석입니다. 오늘은 뉴트럴한 관점으로 대응에 관하여 작성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단기 or 중기적 관점에서 저점이 확인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인이 봐왔던 자리인만큼 큰 추세 채널에서의 지지와 단기 관점에서의 지지를 모두 받을 수 있는 위치입니다.
4시간봉 다이버전스도 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 이전에 박스로 표시된 해당 파동을 수렴으로 유의하여 파동종결로보고 이후 상승을 볼 수 있음을 언급했었습니다.
해서 해당 관점을 연장하여 파동을 엔딩으로 볼까하기도 했었지만 사실 붉은 원에서의 거래량이 튄 모습에 신뢰성 자체는 크게 부여하지 않았습니다.
허나 모양새 자체는 어느정도 설명할만은 하지않나 생각하고 있고, 이 작도는 말씀드렸듯 참고만 하시어 적당히 걸러 들으시면 되시겠습니다.
추가로 해당 파동의 완결을 알리는 임펄스로 카운팅을 할 수 있는 카운팅이 보입니다. 이는 위에서부터 내려온 파동이 마무리 되었고,
이후 상위 파동의 조정 or 더 큰 스케일의 파동의 진행(상승)을 기대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해당 파동이 결과적으로(장기적으로) 하락을 하게 되는 관점이더라도 : 1)노란색계열로 표시한 파동 2)녹색계열로 표시한 파동
두 관점 보두 상승을 설명할 수 있는 공통구간이며, 러닝플랫 관점이 맞아들어 신고점을 갱신하러 가게 되더라도 당연히 설명을 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한가지 더하여,
이전 아이디에서 업로드했듯 이런식의 추가 조정이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설명이 가능한 곳입니다.
위에서부터 근거로 작용된 내용을 정리하자면
1) 장기 채널 형성에서 오는 지지선과 단기 지지라인의 겹침
2) 여러 시간봉에서의 상승 다이버전스 출현 가능성
3) 파동 카운팅 측면에서의 모양새에서 나오는 합리
4) 세부파동의 5파동 카운팅으로 상위 파동의 종결의 가능성
5) 장기적으로 하락 관점이 맞다고 하더라도 모두 설명 가능한 공통 구간
6) 직전 아이디어에서 업로드 했던 추가 조정의 관점상으로도 설명이 가능한 구간
해당관점은 현재의 저점을 하향이탈 하는 순간 폐기됩니다. 대응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관점이 맞아들어 상승을 하게 되었을 때 가장 적은 상승분이 나올 카운팅이 다음과 같으므로 (5파동이 임펄스로 나왔기에 판단한 최소 되돌림)
해당 부분에서는 일정분의 수익 실현을 해야 할 것이고, 관점이 폐기되는 저점에 역지정가를 걸어두는 식의 대응이 좋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다음은 혹시나하는 생각에 추가로 작성하는 관점입니다.
적당히 걸러 들어 주시고, 개인적인 생각임을 인지하시길 바랍니다.
이는 파동 카운팅과는 질적으로 다른 심리에 의존합니다. 만인이 보는 자리인 해당 지점을 과연 비트가 얌전히 줄까 라는 생각이 사실 들긴 합니다.
모두가 너무 쉽게 롱을 부를 수 있는 구간이고 심지어 긴 시간대의 지지와 짧은 시간대의 지지가 만나는 만큼 굉장히 쉬운 구간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만,
시장은 모두가 알듯 모두가 윈윈할 수 없는 제로섬게임입니다. 따라서 해당 구간과 같은 여러 케이스에서 휩쏘를 겪은적도 많은것을 알고 있습니다.
채널 하단 지지를 두드리는 모양새(원모양으로 표시) + 단기 채널으로도 이탈을 했다고 보기엔 아직 무리가 있으므로 추가 하락을 충분히 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위의 해당 롱 관점이 어긋나게 된다면 돌파매도 생각해봄직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사실은 이러한 이유들보다도
해당 구간이 너무 쉽게 해석이 되는게 아닌가 하는 근본적인 생각이 들어 혹시나하는 마음에 업로드하는김에 같이 작성해봅니다.
+사담)
오랜만의 관점 업로드이니만큼 적당히 신경써서 쓴다는게 길이 좀 길어진듯하네요.
개인적인 느낌을 쓰는건 처음인것같은데 이게 너무 쉽게 해석이 되니 오히려 의심을 해야하지 않나 싶어서 끼워 넣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찾아주신분들 모두에게도 즐거운 5월이 되셨으면 합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보나치 시간 수열에 대한 추측과 의의시간을 이용한 확실한 예측법은 없지만 엘리어트의 저서 Nature's Law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은 발견을 말했다.
'마켓의 주요 전환점 사이엔 피보나치 수열이 관련이 있다'
이런 주장과 관련해서 그는 다우 존스 인덱스(DJI)의 주요 전환점 사이의 간격을 예시로 들었는데,
1921년 ~ 1929년 > 8년
1921년 7월 ~ 1928 11월 > 89개월
1929년 9월 ~ 1932년 7월 > 34개월
1932년 7월 ~ 1937년 3월 > 55개월
등등..
피보나치 수열과 관련되어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예시를 들고 있다.
이에 아이디어를 얻은 Walter E. White는 Elliott Wave Principle의 관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훌륭한 피보나치 시간 수열의 관한 예시를 든다.
'1928년도 / 1929년도 Supercycle 고점을 기준으로..'
1929 + 3 = 1932 bear market bottom
1929 + 5 = 1934 correction bottom
1929 + 8 = 1937 bull market top
1929 + 13 = 1942 bear market bottom
1928 + 21 = 1949 bear market bottom
1928 + 34 = 1962 crash bottom
'따라서 주요 고점과 저점의 간격이 피보나치 시간 수열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두가지 예시를 일반화하고 두가지 추가적인 가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추측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일반화된 가설 : 주요 극점과 극점 사이에는 피보나치 시간 수열이 관련이 있다.
가정1 : 피보나치 시간 수열은 time frame에 무관하다.
가정2 : 각 time frame 마다 독자적인 피보나치 시간 수열을 가진다.
추측 : 임의의 time frame에 대해, 극점과 극점 사이에는 피보나치 시간 수열이 관련되어 있고 이는 다른 time frame과는 연관성이 없다.
그리고 회색책(Elliott Wave Principle : Key to market behavior)에 내용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피보나치 시간 수열들은 다음과 같다.
5 ± 0
8 ± 0
13 ± 0
21 ± 1
34 ± 1
55 ± 2
89 ± 2
144 ± 3
233 ± 3
(이때 ±는 허용된 오차범위를 의미함)
가정1 이 필요했던 이유는 주로 일봉 / 주봉 / 월봉 / 심지어는 년 단위를 기준으로 제시되었던 시간 수열론을 좀 더 낮은 time frame에도 적용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가정2 가 필요했던 이유는 하나의 시간 수열 분석에 대해 다른 time frame에선 전혀 의미없는 수가 나와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추가하였다.
위 추측을 적용하면 위 차트와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
(개인적으로 이 추측은 비트코인 4시간 봉 기준으론 어느정도 유효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나는 이 추측이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 아직은 결론을 내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추측의 제시는 지금까지 잘 고려되지 않은 시간론을 간과하지 말자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추가로 이 추측에 대한 논리적 허점은 3개가 있다.
1. 주요 극점과 극점이라고 했는데 주요 극점을 판단할 기준이 없다. 실제로 엘리어트가 제시한 다우 존스 인덱스의 예시를 살펴봐도 중간에 애매한 극점에서 피보나치 시간 수열을 제시하기도 했다.
2. 이게 하나의 파동에 대해 적용된다는 근거는 없다. 실제로 한 파동의 시작과 끝이 아닌 랜덤한 극점과 극점이 연결될 수도 있었다.
3. 낮은 time frame일수록 끼워 맞추기식 논리가 가능해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다.
참고문헌 : 회색책(Elliott Wave Principle : Key to market behavior)
삼성전자의 반등 과연 어디까지 지속될까? (1편)안녕하세요 Rising팀 소속 팀원 케빈리입니다.
오늘은 KOSPI 시총 1위기업인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1편,2편 나누어 분석해볼까 합니다.
1편은 피보나치, 추세기반 확장 피보나치를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공유할 예정이며
2편은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보조지표, 이평선등을 이용하여 분석해보겠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
2020년 3월 19일을 첫 상승파동으로 보고 2021년 1월 11일을 상승파동이 끝난지점으로 저점과 고점을 연결하여 피보나치 되돌림을 작도해보았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조정 값)이 알맞게 작도 되었는지 보려면 0.382, 0.5 구간에서 나타나는 지지와 저항을 확인해보면 이 작도가 어느정도 신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것 처럼 0.5이상 조정이 나왔으며 0.618 부근에서 반등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세기반 확장 피보나치(Trend-based fib)
2021년 10월 13일 부터 생겨난 상승추세선을 따라 시작점을 기준으로 고점 그리고 마지막 상승추세선 닿은 곳을 추세기반 확장 피보나치를 작도를 해보면 2.618에 막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추세기반 확장 작도를 할때 추세선 기준으로 이런식으로 작도하면 보통 2.618정도에서 막히는게 일반적이어서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가지고 왔습니다.
지금의 반등이 조정이 끝났다고 판단하여 피보나치 되돌림을 작도해보면 0.114 구간을 강하게 돌파하여주었고 다음주에 0.114를 지지 또는 0.382 저항을 돌파해주는지 지켜보는게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벌써 한주가 끝이 났네요. 금요일 마무리 잘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2022-04-22 BTC 분석] 추가 조정의 가능성안녕하세요 muok1505입니다.
본인은 엘리엇 파동 카운팅을 주로 사용하여 트레이딩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글 작성 이후 코멘트를 다는 것을 주 활동으로 삼고 있습니다. 팔로워는 실시간으로 관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는 분석을 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직전 포스팅 복기를 읽으시면 제가 카운팅 해온 작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본 내용만 보시려면 다음 점선이 나올 때 까지 내리시면 됩니다.
---------------------------------------------------------------------------------------------
○ 먼저 직전 포스팅 복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당시 근거가 부족하여 매수나 매도 진입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고 기대하는 구간으로는
현재 구간에서 횡보를 하다가 이전 매물대를 받으러 오는 모양새 정도가 있겠지만 어쨌든 관망을 지속할 생각이다.
따라서 해당 부분까지 내려와준다면 진입을 유의하게 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라고 언급했었습니다.
이후 횡보 이후 하락이 나온 상황으로, 해당 부분의 카운팅을 거래량의 감소를 동반한 깔끔한 삼각수렴이 나왔다고 판단하고 있다.
해서 현재 저점이 나온걸로 봐도 무방하겠다만, 개인적으로는 저점을 한번 깨며 다이버전스를 동반하여 추세전환이 컨펌되지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관망을 지속하며, 자리를 주지않고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다음 타점을 잡을 생각이다. 라고 매매계획에 관한 언급을 했습니다.
이후 자리를 주지않고 그대로 임펄스 형태로 올라갔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부분에서의 매도 포지션을 유의하게 생각하고 있다.
허나 역시 해당 하락은 이후 하락의 지속이아닌 추가 상승을 위한 하락임을 인지하고 있다. 며 이후 매도 포지션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차트 이미지가 망가져 글로 대체합니다)
이후 두번에 걸쳐 다이버전스가 나온걸로 판단, 3파 연장으로 5파동이 완결되었다고 판단하였고, 하락이 나왔으나 618지점을 터치하지 못했기에
재차 하락을 하여 0.5구간이나 0.382구간까지의 되돌림이 있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허나 재차 상승을 하여 관점이 폐기 되었습니다.
뒤이은 코멘트로 해당관점이 폐기됨에따라 다이버전스를 찢고 올라가는 무빙을 보일 수 있는 자리라고 판단하여 숏은 굉장히 조심해야하는 자리라고 판단한다.
차트상으로는 숏이 유리해보입니다만, 사견으로는 경험상 피를 봤던 경우가 꽤나 있던지라 개인적으로는 관망하거나 돌파매를 생각해두고 있다. 라며
이는 경험에 의존한 사견임을 인지하고, 단기적으로 꽤나 상승을 할 수 있는 자리이기에 섣불리 매매를 하지 않겠다는 관망의지를 표현을 했습니다.
현재, 코멘트이후 추가 상승이 있었으나 상승을 지속하지 못하고 큰 폭락의 조정이 온 상황입니다.
---------------------------------------------------------------------------------------------
○ 현재 상황 분석입니다.
직전 상승이 임펄스형태로 나왔으나 되돌림이 크게 나오며, 임펄스가 아니라고 판단을 하는게 맞다고 이제는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움직임이 상승을 위한것인지 하락을 위한것인지 명확하게 알기위해선 시간이 흘러야겠지만, 두가지 관점 모두 살펴본다 하더라도 꽤 유의하게 봐야할 점이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기간을 보시면, 길이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직전 파동으로 abc가 나와 A파동을 만들고(w), 이후 현재의 하락으로 b파동(x)이 나왔다고 보기가 굉장히 부자연 스럽습니다.
이유인 즉슨, w파동과 y파동은 같은 스케일의 파동입니다. 허나 w를 이루는 소파동 a에서의 조정인 b파동이 한단계 큰 스케일의 파동인 b파동(x)보다
시간으로도, 기간으로도 더 큰 범위로 조정이 일어났다는 점입니다. 해서 이런식의 카운팅은 상당히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
해서 이런식으로 시간조정의 형태나 가격조정의 형태로 추가적인 조정이 있고나서 상승 운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물론 해당 저점이 컨펌이 난건지는 알수 없습니다만, 향후 파동의 형태가 이런식이 된다면 wxy 즉 abc파동이 완성되므로
장기관점에서 러닝플랫으로 신고점을 갱신하는 관점에 의심을 더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추후에 다시금 보도록 하고
이런저런 가능성이 되게 농후한 자리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허나 만약 관점이 맞아들어 추가조정을 진행하게 된다면, 알트 불장을 충분히 유의하게 보고 있습니다.
추가로 현재의 깊은 하락이 단기적으로는 딱히 관점을 낼만한 파동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유의미한 파동이 나오면 코멘트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 사담)
주위에 곡소리가 되게 많이 들립니다. 아무래도 투더문 하시고 롱 타신것같아 참 아쉽습니다 :(
다들 멘탈 케어 잘하시고 찬찬히 장기관점부터 되돌아보셨으면 합니다. 다들 꼭 대성하시길 바라고,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