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11k~10.3k 지지 테스트 가냐??#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D
- 대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레벨의 저항 이후 강한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지난 저점을 만둘어 주었던 변곡선과 대하락추세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인 11531.75-11443.75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20년도 7월 형성되어 20년도 8월, 9월, 10월 강하게 지지해주었던 11058-10301 매물대 구간의 지지 확인을 위한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보조지표상 RSI와 RACD에서는 충분히 추가적인 하락이 출현 할 수 있는 값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무분별한 매수 대응은 큰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 이번 년도 5월 밑꼬리를 강하게 만들어준 구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기적, 중기적인 방향성은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에 따른 관망이 안전하다고 보여집니다.
피보나치
[비트코인] 결국엔 저점 갱신, 하지만 0.618과 평행채널이 있다!!#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D
- 결국은 삼각수렴의 하향이탈과 28.1k 중요 지지라인의 하향이탈이 출현한 상황 입니다.
- 중기적 장기적으로는 28k 라인 지지가 실패 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하지만, 장기 하락파동 피보나치 확장 0.618레벨과 단기 하락채널 하단이 겹치는 25890 부근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단중기적인 반등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단중기적인 반등이 출현 한다면 중요 매물대의 상단인 29.8k, 장기 하락파동 피보나차 확장 0.5레벨인 30148, 그리고 삼각수렴 하단이 겹치는 29800-30148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26700 저점이 갱신된 상황에서 단중기적인 반등이 출현하였을때 상술한 저항구간인 29800-30148을 돌파 하며 32658.99 고점을 갱신해 준다면 남은 6월도 큰 방향성 없이, 와이드닝패턴 또는 다이아몬드패턴의 형성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25890 지지가 실패하며 하락할 경우에는 22.7k-23.8k / 17.1k-19.7k / 10k-12.1k 라는 세개의 큰 매물대의 지지를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 하락추세 진행 시에는 장기하락파동 피보나치 확장 1레벨과, 중기하락파동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이 위치한 10909~12107 까지의 하락을 염두에 둔 채 대응하여야 합니다.
반등장 시작, 하지만 시원하지 못한 상승
당초 S&P500 지수가 반등 자리에 왔다는 것은 이 전 아이디어에서 언급하였습니다.
전저점을 깨는 공포를 주고서 매수가 들어와 피보나치 비율을 지켰습니다. 역시 세계 일류급 차트는 다르네요.
각종 지표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관측되므로 자연스럽게 반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이 편안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위에 저항이 너무 많고 넘어야 할 중요 추세선들이 있습니다.
2008년의 차트를 보면 중요한 하락 추세선을 넘지 못하고 크게 하락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 차트를 확대해서 다시 그려보면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과도 비슷하게 맞아 떨어집니다.
지난 2008년과 비슷하게 이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2008년에 나스닥은 위와 같이 움직였습니다.
2022년도 비슷하게 움직일 확률이 높습니다. 7월까지 반등하고 긴 하락장에 들어갈 듯 합니다.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지만,
40K 직전까지는 반등을 하는 것이 현재로선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그리고 20K 를 꺤다면 10K 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나스닥 지지라인 체크 ! 다우이론 활용지난 4년간 시장 참여를 하면서 느낀점은 톱다운 방식으로 분석하고 그 안에서 트레이딩을 했을때 승률이 높았던 것 같습니다.
1500% , 2100% 두 번의 고수익을 냈던 기간에는 금리나 정책입안자의 방향을 보며, 차트상 바닥 구간에서 큰 비중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가능했던것 같고,
2번의 큰 실패 과정이 있었던 이유는 큰 경제 방향이 좋지 않음에도 단기 테마 모멘텀에 의존하여 기술적 반등 (약세장 초기에서 지지라인 붕괴로 인한 손실) 그래도 올라가는 종목은 있다는 믿음으로
버블 끝 부분에서 하락장이 올거라는 근거가 있었음에도 심리 문제로 큰 방향성을 역행하는 실수로 실패를 했습니다.
"뛰어난 트레이더가 될거야 그도 성공했으니까 나도 조금만 더 하면 될 수 있어"
"나는 전업투자자니까 수익을 봐야만해"
"고점대비 10퍼센트 손실이 발생되었어 복구해야돼"
"코인시장은 끝이야 가치투자 배당주 테마주로 복구해야지"
패배를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매매기법이 아니라 나 자신과의 심리싸움에서 진 것이고
가장 본질적인 탑다운 접근방식을 사용하지 않았던 것!
다행스러운 점은 문제점을 알고 있다는 점
나스닥 차트를 보면 과거 생각했던 흐름보다 천천히 그리고 느리게 계단식 하락 박스권 패턴 수렴 패턴등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인해
손절을 했어도 뇌동매매로 이어지는 근 1년간 난이도가 높은 장세였던것 같습니다.
<다우이론을 활용한 현 위치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약세시장은 분산국면 공포국면 침체국면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 분산국면: 전문가들은 과열을 직감하고 주식 처분 (추세선 기울기 완화 거래량 높음)
2. 공포국면: 일반 투자자들의 매입세력 크게 위축, 매도 세력 증가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 경제지표나 회계 자료 수치가 불리해짐 주가 (수직하락 거래량 급감 이 후 긴 회복이나 보합)
3. 침체국면: 매도 세력의 시장 지배 주가가 크게 하락하지도 상승하지도 않음 일반투자자 시장이탈 전문가들이 다가올 호황에 대비해 매입 (투매양상 주가는 하락하지만 폭이 작아짐)
현 시장을 보면 일반투자자가 공포를 느끼지만 이탈이 크다고 생각이 들진 않으며,
단기 저항 받고 떨어지는 구간에 있기 때문에 이후 나올 시장의 뉴스에 따라
1.현구간 박스권 하단에서 횡보할지
2.또는 10100~10300불 지지라인
3. 8000불 지지라인 (대공황급 폭락)
위 3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해 볼 수 있고 2번 지지라인에서 매수 후에 추가 하락시 적립식 투자로 접근하는 전략으로 적립식 가치투자 하려 합니다
비트코인 중기 관점에 대해 (몇년째 상승채널을 정확히 지키며 움직이는중)비트코인이 기나긴 하락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긴 빙하기를 보고 있지만 아직은 큰 상승의 여지가 더 남아있다고 봅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상승 채널을 정확히 지켜가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채널이 깨지기 전까진 상승 동력이 유효하다고 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중단기 움직임은 23k나 35k에 있는 CME 갭을 먼저 채울것을 염두하고 있습니다. (동그라미 표시된 곳이 현재 생성된 갭의 위치입니다.)
35k를 터치 후 다시 조정이 나오거나 23k에 있는 갭을 채우고 상승 패턴을 만들기 시작하거나
근시일내에 저점이 나오고 상승 추세로 전환되지 않을까 생각중입니다.
※ 엘리어트 파동도 관점에 포함했었으나 조정파동은 복잡하기 때문에 함부로 예상하면 너무 위험하다 생각해서 제외하였습니다.
하루 빨리 얼어붙은 시장에 활기가 돌기를 바래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