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강한 상승 후 횡보!!! 이 수렴의 끝은 어디??#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전일 강한 상승세의 출현이후 단기 고점을 갱신한 뒤 큰 폭의 횡보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수렴의 끝자락에 다다랐으며 방향이 출현한다면 전일 강한 상승을 보여준 만큼 큰 움직임에 대한 대비를 해두어야 합니다.
11806-11819 상향안착에 실패 한다면 하락의 움직임이 강할 것으로 예상되며 11699-11665의 지지구간은 두개의 피보나치 레벨만 겹치기 때문에 지지확인에 더욱더 주의해야 하며 세개의 피보나치 레벨로 이루어진 11566-11524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상승한다면 세개의 피보나치 레벨로 이루어진 11980-12018의 저항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11980-12018 저항을 돌파 한다면 상승채널 상단을 향한 단중기적 상승추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트코인] 최악은 3K??? 하락지속형 패턴들로 알아보는 지지 예상 구간#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D
하락지속형 패턴들과 그에 대한 피보나치 추세 확장을 이용하여 기대해 볼 수 있는 모든 지지 구간을 조사해 보았습니다.
다른 기술적 분석 없이 오직 하락패턴들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으로만 분석한 내용이므로 가볍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청록색 대형 하락패턴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 레벨이 포함된 구간은 붉은색으로, 포함되지 않은 구간은 주황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지속된 하락 지속형 패턴들의 출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도 하락추세 진행중 삼각수렴을 진행하고 있어 추가적인 하락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추가 하락 없이 반등할 경우에는 공격적으론 19828 상향 안착, 보수적으론 21654 상향 안착 이후 부터 매수대응 하는것이 안전하다고 보입니다.
[이더리움] 주봉 로그차트 피보나치 분석#크랙 #이더리움 #바이낸스 #로그차트 #피보나치 #1주봉
안녕하세요 크랙입니다.
지난 비트코인 주봉 로그차트 분석글에 이더리움 분석 요청을 해주셔서 오늘은 바이낸스의 ETHUSDT 1주봉 로그차트를 이용하여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피보나치 되돌림과 피보나치 추세 확장을 이용하여 저항과 지지의 가능성이 보이는 자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저점 이후 ATH 를 형성한 뒤 조정이 출현하고 있는 시점에서 되돌림 0.382레벨의 지지가 실패한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0.382레벨의 지지를 지켜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지지 중인 1061-960 구간은 여러 피보나치 레벨들과 상승채널의 중심선이 겹치는 구간으로 강한 지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주 양봉 마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주 매도세가 출현중인 모습으로 정확한 지지의 여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1061-960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할 경우에는 1717-1899 저항이 존재하고 잇으며, 해당 저항구간은 21년도 5월~7월 강한 지지의 역할을 하였으므로 저항 작용 시에도 강한 저항이라 예상됩니다.
상승채널 중심선을 지켜준 채 지속된 상승세가 진행 된다면 다음 ATH는 7677-8226이 아닐까 싶습니다.
허나 상승채널 중심선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740-647 또는 426-384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나스닥] 대형 상승 채널의 하방 돌파 출현, 과연 저점을 지켜줄 것인가?#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주황색 큰 상승채널의 하단에서 오랜시간 횡보하였지만 반등하지 못하며 하향이탈과 함께 큰 매도세가 출현한 상황입니다.
상승분의 피보나치 되돌림(회색) 0.618레벨인 11524.50의 지지를 해주는듯 하였지만 큰 파동상 전고점인 12945.25, 눌림점인 11068.50 그리고 이번 파동의 고점인 12262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노란색) 0.382레벨인 11545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채 추가적인 하락이 진행중인 상황입니다.
단기 하락채널(하늘색) 하단의 지지가 깨지지 않은 채 반등에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매수세가 받쳐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등이 출현 한다면 강한 저항이었던 11545를 돌파 해 준 뒤 매수대응 하는것이 좋으며, 최대 상승은 11618.75 또는 11665.25까지 볼수 있습니다.
하락세가 지속되며 단기 하락채널(하늘색)의 하향이탈이 출현 한다면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 0.707레벨과 초록색 단기하락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2.618레벨이 위치한 11418.25-11412.50 구간에서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은 이전 움직임에서 강한 저항역할을 하였고 22일 강한 반등의 시작점이 된 구간으로 강한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28일 이후 강한 하락세가 진행되고 있으며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 확장 0.5레벨과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 0.786레벨이 겹치며 초록색 단기 피보나치 확장 3레벨이 겹치고 11068.50 저점형성 앞뒤로 강한 지지와 저항으로 변곡대로 형성된 11301.25-11324 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11301.25-11324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11068.50 저점을 낮추는 움직임이 출현할 수 있으니 매수대응은 조심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중요 저항 : 11545 / 11618.75 / 11665.25
- 중요 지지 : 11412.50-11418.25 / 11301.25-11324
[비트코인] 로그차트 피보나치 장기 분석#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로그차트 #피보나치 #1주봉
안녕하세요 크랙입니다.
오늘은 바이낸스의 BTCUSDT 1주봉 로그차트에 피보나치 되돌림과 피보나치 추세 확장을 이용하여 중요한 저항 자리 그리고 지지 가능성이 보이는 자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저점인 3782.13과 ATH인 69000을 기준으로 피보나치 되돌림(회색)을 작도하여 나온 레벨들을 중요하게 보아 붉은색 박스로 표기했으며, 기타 피보나치 확장들을 기준으로 겹치는 구간들은 주황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21년도 30500달러를 돌파한 뒤 이후 1월, 5월~7월 그리고 22년도 5월초 강한 지지를 해주었지만 22년 5월 말 저항으로 변곡되며 강한 매도세가 출현 하였습니다.
6만불 상향에서 더블 탑 패턴 파동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보라색) 1레벨인 30646불, 69000 고점 형성 이후 진행된 하락중 첫 파동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하늘색) 0.618레벨인 30500불. 즉 30500-30646 구간은 강항 지지를 해주었고 지지에 실패하며 강한 저항으로 변곡되었기 때문에 시장의 큰 추세가 상승추세로 돌아서더라도 강력한 저항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바이낸스 차트 기준 상승채널의 중심선 지지가 실패하며 큰 하락을 보였으며,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의 0.382레벨과 여러 피보나치 추세 확장 레벨들이 위치한 21900-22989 구간의 지지마저 실패하며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LH1(LowerHigh)과 LH2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피보나치 추세 확장(노란색)의 1레벨과 보라색 피보나치 추세 확장의 1.618레벨이 위치한 17950-18558 에서 반등이 출현 하였지만 21900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추가적인 하락세가 출현하고있는 상황 입니다.
이번 주 17950-18558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며 지지에 실패할 경우에는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이 위치한 16154-16922까지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6154-16922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이 위치한 21900-22989 저항을 테스트하기 위한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시장의 큰 추세는 하락중인걸 항상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16154-16922 지지마저 실패 한다면 회색 피보나치 되돌림의 레벨들과 19년도 20년도에 만들어진 매물대가 위치한 10915-11467 그리고 8470-8967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봐야 합니다.
대형 상승채널의 하향이탈이 출현 할 경우에는 5811-6900이라는 대형 변곡대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더리움 개인적으로 비트코인보다는 이더리움이 파동이 더 빠르고 선명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더리움을 기준으로 시장이 움직이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 지지 저항 체크도 이더 기준으로 하고있습니다.
아침부터 반등이 나왔으나 주가는 저항대에 이미 도달했고, 이 가격대를 넘어서면 회복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더 큰 반등폭을 기대할 수 있는 각이 나옵니다.
반면, 여기서 강한 저항을 받고 1170달러 부근까지 재차 떨어질 경우, 6월중순에 나왔던 바닥을 리테스트하는 자리가 나올 수 있습니다.
양방향 가능성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오전에 1170달러 부근 추세돌파 신호에 롱을 잡았다면, 양방향매매로 1210달러부터 숏을 동시에 잡아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돌파실패시 나올수 있는 조정파동을 예상한 차트입니다.
올해 약세장 반등에서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 모두 파랑색 이평선 리테스트를 하는 쌍바닥이 자주 나온 바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쌍바닥찍고 반등한 후에는 저점을 갱신했었습니다.
7월에 큰 반등을 뽑아내는 회복장세로 가려면 파랑색 이평선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하는 파형이 나와선 안됩니다.
희망적인 부분이 있다면, 피보나치 서클 저항을 금일 오후에 상승돌파하였다는 것입니다.
하락추세의 돌파는 긍정적이나, 저항대를 넘지못하면 결국에는 혼조세가 이어지거나 조정시나리오 대로 갈 것입니다.
[나스닥] 저점에서 출현한 상승세 추세 반전일까??#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지난 금요일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노란색 상승채널의 중심선 돌파 이후 지속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rsi_candle 보조지표에서 지속적인 과매수 신호와 racd 보조지표에서 데드크로스가 출현한 상황에서 아직도 고점 근처에서의 단기 횡보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보조지표를 무시하고 추가적인 상승이 진행 된다면 단기 매물대와 노란색 상승채널 상단, 그리고 보란색 단기저항선의 겹치는 12270.75-12354.50의 저항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위 저항구간을 돌파 하며 추가 상승을 이어 나간다면 5월말~6월초 매물대의 하단인 12434 그리고 POC 라인인 12585.5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2270.75-12354.50 저항돌파 실패 또는 현 위치에서 보조지표들의 과매수에 의한 하락이 출현 한다면 단기 매물대 상단이 위치한 11963의 지지와 노란색 상승채널 중심선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지만, 조금더 하단에 위치한 6월13일 갭과 그 갭 위치에서 지난 금요일 만들어준 매물대인 11810.75-11863 구간까지도 하락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 11963과 노란색 상승채널의 중심선이 지지에 실패하더라도 11810.75-11863 구간의 지지가 성공 한다면 단기적인 상승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11810.75-11863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할 경우에는 급락의 출현 가능성도 있지만, 11963 또는 노란색 상승채널 중심선에 대한 리테스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장 상황을 살피며 대응 하는것이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
[비트코인] 중기 저항선 돌파 하였지만, 힘이 부족한 모습.#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H
- 지난 브리핑 이후 파란색 상승채널의 지지를 받으며 분홍색 중기 저항선의 돌파가 출현 하였습니다.
- 분홍색 중기 저항선의 돌파 이후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었지만 파란색 상승채널의 하향이탈이 출현 하였으며, 분홍색 중기 저항선의 지지 이후 상승채널의 재진입을 시도하였지만 피보나치 확장 0.5레벨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조정이 출현중인 모습입니다.
- 현재는 피보나치 확장 0.382레벨의 저항을 돌파 시도 중인 모습이며, 돌파하지 못할 경우에는 0.236레벨과 분홍색 중기 저항선이 위치한 20738 부근의 지지 확인에 대한 가능성을 생각해야 합니다.
- 20738 지지에 성공할 경우 22304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지지에 실패할 경우에는 빨간색 상승채널의 하향이탈도 진행되기 때문에 직전파동 저점인 19770의 지지 확인을 위한 추가 하락에 대한 가능성을 대비해두어야 합니다.
- 빨간색 상승채널은 상단부에서 윗꼬리가 많이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므로, 하단부에서 밑꼬리가 출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빨간색 상승채널 하단과 0.382레벨로 이루어진 단기 수렴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상승 목표가 23K피보나치 되돌림 0.382 와 0.618 은 비트코인에서 상당히 중요한 구간입니다.
작도 방법에 따라 0.382 또는 0.618 은 아주 높은 확률로 도달하는 반전 구간입니다.
따라서 되돌림에 의해 가격은 위 차트에서 0.618 비율을 만족하는 23K 까지 도달하는 관점이며, 그렇게 된다면 상승채널 (붉은색) 을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23K 에 도달하면 차트는 자연스럽게 17K 또는 그 이하 가격을 하락 목표가로 하게 됩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후 다시 바닥 또는 고점을 재확인 하러 가는 경우는 수도 없이 많기 때문입니다.
차트가 만들어지는 상황을 보고 후속 아이디어를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USDKRW] 거대한 저항선의 돌파 시도중!! 달러 사야되나??- 1997년 외환 위기 고점, 2009 세계 금융 위기 고점을 이은 보라색 장기 저항선의 돌파 시도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보라색 장기 저항선을 돌파 한다면 추가적인 달러의 가치 상승 가능성을 봐야하며, 단기적인 저항은 1330.50-1367로 보여집니다.
- 1330.50-1367 저항을 돌파한다면 1407-1463 까지의 상승 가능성을 봐야하며, 해당 저항까지 돌파할 경우에는 1704.87-1795.49 까지의 상승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 다만 사용중인 보조지표들에선 과매수구간에 다다랐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과매도 구간에서 지속적인 보조지표의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고점이라는 생각에 확신을 갖긴 어렵습니다.
- 만일 보라색 장기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거나, 돌파 한 뒤 1330.50-1367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며 재차 보라색 장기 저항선 하방으로 내려온다면 달러/원 가격은 1300-1100 사이에서의 횡보 또는 수렴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나스닥] 장기 변곡선의 저항을 받는 모습. 11296.75 지지 여부 중요합니다.#크랙 #나스닥 #NQ1! #무기한물 #1H
- 지난 6월 13일 올려드린 일봉 장기분석에서 11531.75 중요 변곡선과 10946.50-10403.25 지지테스트 가능성을 설명드렸습니다.
- 1시간봉 차트를 확인할 경우 아직까지 10946.50-10403.25 지지 확인을 하지 않은 채 반등하고 있지만 11531.75의 저항을 강하게 받는 모습입니다.
- 현재는 대 하락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인 11443.75의 지지를 확인하고 있는 상황이며, 지지에 실패할 경우 큰 하락의 출현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 11443.75 지지가 실패한다면 보라색 단기상승채널의 중심선도 지지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이에 보라색 상승채널의 중심선 지지에도 실패 한다면 단기적인 변곡선으로 보이는 11296.75 까지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이때 11296.75의 지지가 강하다면 재차 11531.75 저항 돌파를 위한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노란색 중기하락채널 상단을 돌파해 준다면 보라색 상승채널 상단과 이전 고점 종가인 11731 부근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11296.75 지지가 실패 한다면 추가적인 저점 갱신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하며, 노란색 중기 하락채널 중심선에서 반등을 기대해 볼 수는 있지만 11296.75 변곡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대 하락파동 피보나치 확장 1.13레벨과 주황색 장기 지지선이 겹치는 10946.50 근처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일 11296.75까지 하락하지 않은 채 반등이 출현 한다면 11531.75 돌파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돌파 이후 지지에 성공 한다면 11731 부근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에센피, 나스닥, 비트] 엇갈린 셋의 운명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크랙입니다.
오늘은 에센피500, 나스닥 그리고 비트코인을 장기적 관점(일봉과 주봉)에서 비교해보는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본 분석은 CME_MINI ES1!, CME_MINI NQ1!, CME BTC1! 각각의 선물 연결차트를 사용하였으며, 종가를 기본으로 하는 라인차트와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RSI(length: 14) 종가기준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본 아이디어는 투자 권유가 아닌 개인적인 의견(기본적 분석이 개입되지 않은 간단한 기술적 분석)이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일봉 차트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에센피는 일봉 라인 차트상 1월 3일 고점을 형성하였습니다. 반면에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약 두 달 이른 11월 19일과 09일에 형성되었습니다. 고점이 만들어진 이후 상황을 보겠습니다.
에센피는 짧았던 하락 대비 큰 되돌림(0.618~0.786)과 이로 인해 피보나치 확장 비율 1.414~1.618 사이까지 하락하였으며 나스닥은 하락 대비 0.618이라는 적당한 되돌림 이후 추가 하락하였으며, 피보나치 확장 비율 1.13~1.272 사이까지 하락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은 고점 이후 큰 하락폭을 보였지만 비교적 짧은 상승 되돌림(0.382) 이후 추가 하락을 하였으며, 피보나치 확장 비율 0.786~0.886 사이까지 하락하였습니다.
RSI 지표 역시 미국증시들과 비트코인의 상황은 상이합니다. 에센피와 나스닥은 1월27일 ~ 6월16일 까지 가격(저점)을 낮추었지만 RSI는 저점을 높여준 모습으로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중인 상황이며, 더불어 나스닥은 중기 단기 상승 다이버전스까지 출현중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1월27일 RSI 보다 6월17일 저점을 더 낮췄기 때문에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증시들은 일봉 차트상 충분한 상승 되돌림과 조정폭을 보여준 상황에서 상승 다이버전스를 만들어줬기 때문에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 및 추세 전환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짧은 상승 되돌림, 더 큰 낙폭, 그리고 상승 다이버전스의 부재로 증시들보다는 비교적 추세 전환에 대한 기대를 낮출 수밖에 없는 게 현 실정입니다.
다음으로 주봉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저점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판데믹 이후 상승이 이어지던 중 비트코인은 약 세달 동안(4월12일~7월12일) 증시들과는 다르게 가파른 하락이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재차 신고점을 갱신하였지만 세 달 간의 하락으로 인해 RSI는 이미 과매수 구간을 벗어나 50 밑으로 회귀를 한 모습입니다.
코로나 저점 이후 고점 대비 되돌림 비율들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센피는 0.382~0.5, 나스닥은 0.5~0.618, 그리고 비트코인은 0.707~0.786 구간까지 하락이 진행된 상황으로 나스닥과 비트코인에 비해 에센피는 비교적 짧은 되돌림이 나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I 역시 증시들에선 단기적인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 중이며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코로나 저점부터 이어지는 큰 모습의 상승 다이버전스 형성에 대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봉 차트상 에센피와 나스닥의 단기 반등 가능성은 존재하는 상황이고,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장기적인 반등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에센피는 단기적 반등에서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요약하자면…
- 일봉 차트상 미 증시들은 충분한 기술적 반등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비트코인은 그렇지 못한 상황
- 주봉 차트상 에센피와 나스닥은 단기 반등을,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장기 반등에 대한 가능성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