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매도 관점
Daily - 개인적으로는 more refined 된 supply zone을 터치해주길 바랬지만 ($14000 level), 기존 supply zone에서 reversal pattern이 나온 관계로 매도 관점을 고려.
4h - 하락 이후, 상승 채널을 만들며 corrective 한 상승을 이어가는 움직임과 피보나치 0.618 레벨 (고점: 2022/03/29, 저점: 2022/06/16) 및 추세 피보나치 2 레벨을 터치해준 모습.
1h - HTF POI에서 1h 유동성 확보 및 아래로 Break of Structure가 나온 후 이전 캔들 저항에서 저항을 맞고 있는 모습.
피보나치
[08/18]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어제 하루종일 말씀드렸던 중요한 상승추세선에서 하방이탈하면서 비트코인이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상으로, 25.2k 고점부터 내려오는 파동의 모양과 거래량이 하락 임펄스로 내려오고 있을 확률이 조금은 높아보입니다.
어제 24.4k까지 오른 반등이 이 하락파동의 2파(abc)로 보여지네요.
만약 이게 하락임펄스파동이 맞다면, 어디까지 하락할까?
보편적인 값인 3파는 1파의 1.618규모, 1파와 5파는 1:1, 4파는 3파의 0.236을 적용해보아 파동을 완성시켜보면, 21k정도가 이 임펄스하락파동의 끝이 될 것 같습니다.
놀랍게도 저 자리는 17.6k(최저점), 18.9k(저점)을 이은 상승추세선과 정확하게 겹칩니다.
따라서, 저 자리까지 만약 온다면 롱 포지션을 진입해보면 손익비가 아주 좋은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사진에서 보이시는 초록색 상승추세선은 강력한 지지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깨지면 아래가 확 열려버리는 선이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저 선이 뚫린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저는 롱 포지션보다는 숏 포지션 위주로 대응할 것을 권장드리고 싶네요!
[08/17] BT 세현 나스닥 분석 BT 세현 나스닥 분석
나스닥에 대한 분석입니다.
나스닥이 계속 하락을 하다가 11000을 바닥으로 반등을 시작했는데요, 제가 분석하기에 올라온 상승 분은 임펄스보다 ABC상승에 가까운 것으로 보여집니다.
A파동값이 12660에서 끝났고, A파동의 0.382만큼 정확히 B파가 짧게 나왔습니다.
그 이후 임펄스로 상승하며 13740까지 C파동이 나왔다고 분석됩니다.
C 세부파동을 보면, 1파동 규모의 1.618 확장값이 정확하게 3파 규모와 같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C파가 임펄스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11000포인트부터 전체 335 ABC로 상승했고, 이제 임펄스로 강하게 하락할 확률이 있어보입니다.
단기적으로 체크하셔야할건 보라색 평행 채널 하단선인데요, 이 하단선이 뚫리면 강하게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스닥 하락에 주의하세요!
[비트코인] 저점을 지켜준 채 강한 반등 출현!! 거대한 상승쐐기의 운명은??#크랙 #비트코인 #BingX #4H
자주색 중장기지지선 살짝 위에서 강한 반등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기 관점에서 저점을 낮추지 않은 채 반등하며 8월13일~14일 강하게 지지해주었던 24365-24448 구간의 저항을 돌파 시도 하고 있는 모습으로 해당 저항을 돌파한다면 하늘색 장기상승채널 상단선과 노란색 중기저항선이 겹치는 25300까지도 상승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5300 저항구간 위로 오버슈팅이 출현 한다면 노란색 중기저항선과 중기/단기 피보나치 추세 확장 레벨들이 겹치는 25500-25600까지도 상승 가능성은 보여집니다.
이후 하늘색 장기상승채널 상단선의 돌파마감이 진행 된다면 중장기적으론 26748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24365-24448 또는 24830-25003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하락 변곡이 된다면 전일 저점을 하회하려는 하락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단기 저점을 하회하며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장기상승쐐기의 하향이탈로 큰 하락추세가 진행될 가능성도 존재하니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여부를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지지 실패시 노란색 중기지지선과 장기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이 위치한 23325-23258 구간의 지지가 중요해 보이며, 지지 성공의 경우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의 리테스트를 위한 단중기 반등을,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상술한 큰 하락추세의 시작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요약
저항구간
24365-24448
24830-25003
25300
25493-25577(오버슈팅 레벨)
지지구간
23900
자주색 중장기지지선(중요)
23325-23258
[08/16]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비트코인이 어제 25k를 다시 뚫고 고점을 재갱신했습니다.
그 이후 강한 매도압력을 받으며 비트코인 시세가 급격히 하락했는데요, 저는 일단 25.2k부터 23.7k까지 내려간 이 하락분이 임펄스파동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임펄스 하락에 4파 수렴, 그 이후 전저점을 깨는 움직임으로 임펄스 5파동이 종결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바로 전저점인 23.5k부터 고점까지의 피보나치 0.886구간에서 정확하게 반등했기 때문에, 이는 단기 하락파동이 끝났다는 관점에 힘을 실어줄 것 같습니다.
좀 더 큰 관점에서 보면, 현재는 큰 B파동 안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시작인 A파동이 상승이었기 때문에 B파동에서는 어느정도 하락 후, C파동으로 27k정도까지 강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오늘 대응 방향은 어제의 하락에 대한 되돌림으로 어느정도의 상승이 나올 수 있으나, 한 번에 고점을 갱신하러가는 움직임은 조금 힘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롱 포지션도, 숏 포지션도 특정할 수 없는 장인 것 같습니다. 중요한 구간마다 손익비 좋은 포지션 판단하셔서 그 방향으로 대응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비트코인] 단기 고점 갱신을 노리는 모습!! 저항은 어디??#크랙 #비트코인 #BingX #4H
24900 고점 형성 이후 큰 눌림이 출현 하였지만 전일 21시 이후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다시 한번 고점을 높히려는 모습을 하고있습니다.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 ABC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 그리고 DEF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레벨이 위치한 24830-25003구간
ABC추세확장 0.786레벨과 DEF추세확장 0.886 레벨이 겹치는 25493-25577 구간
위 두개의 구간 사이에 장기상승채널 상단선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세의 방향은 앞으로의 행보를 조금 더 지켜보아햐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단기적으론 계속해서 고점과 저점을 높혀주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지난 HH인 E고점을 넘겨줄 거라는 기대를 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24900 고점 형성시에도 노란색 추세선의 종가저항이 계속 이루어 졌으므로 오늘도 노란색 추세선의 종가저항이 이루어지는지 돌파하는지 확인 하는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노란색 추세선의 종가 돌파가 이루어 진다면 단기적으론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그 목표는 상술한 25493-25577까지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하늘색 장기상승채널 상단선의 종가저항이 이루어 진다면 추세가 반전 될 가능성도 있으며, 추세가 반전 된다면 F,D,C 저점을 위협하는 하락세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으며 C 저점을 하회할 경우에는 A 저점까지 위협하는 하락세가 출현할 가능성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노란색 추세선 종가저항이 다시한번 출현 한 뒤 하락추세로 변곡 된다면 F 저점의 사수 여부를 잘 확인하여야 하며 F 저점을 하회 할 경우에는 23325-23258 또는 22800-22600 구간의 지지여부를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
저항구간
24830-25003
25493-25577
지지구간
23900
23325-23258
22800-22600
[08/1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어제 비트코인이 매수세가 계속 동반되면서 시황에서 예측한대로 고점 갱신을 했습니다.
하지만, 고점 갱신자리는 한 파동이 끝났다고 볼 수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점 갱신 후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죠.
어제 또한 고점갱신을 하며 32.4k부터 저점까지의 피보나치 0.5구간을 터치하였고, 파란색 상승추세선, 그리고 페레럴채널(평행채널) 중단선을 돌파하지 못하며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락하기 전에 야수방에서 비트코인/이더리움 1시간 하락 다이버전스 컨펌 + 4시간 스토캐스틱 ( 5 3 3 ) 고점에서 아래쪽으로 고개가 꺾이며 하락을 예상했는데요. 현재는 4시간 스토캐스틱 ( 5 3 3 )이 다시 바닥권으로 내려오며 반등 자리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시황 그림은 4시간/일봉 규모이고, 큰 틀에서 중요한 지지/저항 라인은
빨간색 동그라미를 이은 채널 하단선이 지지선,
저항선은 초록색 피보나치 0.618(26750), 0.786(29240), 0.886(30710)
페레럴채널(평행채널) 중단선 25300정도
페레럴채널(평행채널) 상단선 27300정도
파란색 상승추세선 25400정도가 되겠습니다.
+ 도미넌스
추가적으로 도미넌스는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인데, 비트어제의 고점에서 횡보 또는 추가 상승이 나왔더라면 알트들의 본격적인 펌핑이 시작되었겠지만, 생각보다 하락이 세게 와서 애매한 상황입니다.
알트매매는 조금 지켜보다가 진행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비트코인] 강한 상승!! 하지만 HH 돌파는 아직!!#크랙 #비트코인 #BingX #4H
전일 CPI 예상치 하회 발표와 함께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며 전체적인 시장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비트코인도 더불어 상승한 모습입니다.
상승을 이어가며 이전 LH(Lower High) 였던 D 고점을 돌파하였지만 ABC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5레벨과 CDE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1레벨 그리고 노란색 저항선의 저항을 받으며 상승에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아직까지는 지난 HH(Higher High)인 B 고점을 돌파해주지 못하였기 때문에 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채 조정이 출현 한다면 삼각수렴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ABC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382레벨과 CDE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 레벨이 위치한 23900-23800 구간의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위 지지가 실패 할 경우에는 장기 피보나치 되돌림 0.382 레벨과 중기,단기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치는 23372-23258 구간까지도 하락 가능성이 보이며, 하단 지지선이 겹치는 지속적인 강한 지지구간인 22820-22630 까지도 다시한번 하락할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B 고점을 돌파 해준다면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과 중기 상승채널 상단선 그리고 CDE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1.272레벨이 겹치는 25000부근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과 중기 상승채널 상단의 돌파여부에 따라 추후 방향성을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요약
저항구간
24512
25000-25150(중요)
지지구간
23900-23800
23372-23258(중요)
22820-22630(중요)
반복되는 나스닥 고점패턴 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지난 6일자 아이디어를 먼저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락장이 시작된 이래로 고점패턴이 계속 일정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그 패턴"의 첫단계가 나왔습니다.
이제 기술적반등을 주고 그 뒤에 본격적인 하락이 진짜로 시작되는 그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 패턴이라 함은 4시간봉 기준 60일선까지 주가가 내려온 것을 의미합니다.
일봉도 아니고 4시간봉이 그정도 내려올 수 있지, 왜 그걸로 고점을 따질까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의미가 남다릅니다.
잘 보시면 5~6월 사이 만들어진 고점에서의 하락은 저점은 낮출지언정 5월의 매물대와 6월이후 바닥권 매물대의 가격차이도 거의 없다 시피해서 이전의 하락파동과는 성질이 다르단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6월중순에 나온 저점이 최고점으로부터 지금까지의 하락이 하나의 파동으로 마무리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이후에 나온 파동은 이제 기술적반등이 되는 것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나왔던 반등을 추세전환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렸지만, 10년에 한번 있을까말까한 금융위기 때나 뚫리던 장기추세가 이번에 뚫렸기 떄문에 이번에 나오는 반등도 기술적 반등에 그쳐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전의 제 나스닥 아이디어처럼 이번에도 나스닥이 기술적 반등지점에서 내린다고 하면, 가장 유력한 지점이 0.382되돌림과 0.618 되돌림입니다. 그런데 지금 나스닥의 고점이 0.382 되돌림 구간에서 형성되었으며, 그리고 4시간봉 60일선까지 되돌림이 나왔기 때문에 이것이 저점을 낮추는 새로운 파동이 나올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클라우드 지표 신호
클라우드 지표에서도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되기 전 기술적반등이 나올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주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결론
본 아이디어의 하락관점은 전체하락분에 대한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 4시간봉 60일선을 참고하였습니다.
만일, 클라우드 상단위로 올라오거나, 반대로 4시간봉 60일선에서의 반등이 없는 하락이 발생한다면, 본 아이디어의 관점은 무효화되어야 합니다.
반면, 기술적 반등이 나오고 상단의 추세를 깨고 내려간다면 나스닥은 저점 갱신까지도 가능하게 됩니다.
[비트코인] 새로운 LL의 형성?? 또는 삼각수렴??#크랙 #비트코인 #BingX #4H
6월 19일 저점 이후 HH(Higher High)를 계속 만들며 상승추세를 보여준 모습이었지만 7월30일 HH를 마지막으로 LH(Lower High)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8월5일 저점인 HL(Higher Low)를 하회하는 움직임이 출현하지 않아 LH를 확정짓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지지 받고 있는 구간은 보라색 상승채널 중심선, ABC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0.13레벨 그리고 BCD 하락파동 피보나치 확장 0.618 레벨이 겹치는 22907-22839로 확인됩니다.
위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할 경우에는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 ABC 상승파동 피보나치 확장 0.236레벨 그리고 CD 상승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이 겹치는 23258-23325 구간의 저항을 돌파해 주는것이 추가 상승을 위해선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2907-22839 구간의 지지 실패 또는 반등후 23258-23325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다시한번 하얀색 점선인 장기추세선의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LH와 LL(Lower Low)의 형성으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LL이 형성 된다면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구간은 22155-21973으로 예상되며, 이 구간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중장기적으로 지난 HL(7월26일 저점)인 20721을 하회하려는 하락세에 대한 염두를 두어야 합니다.
22907-22839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23258-23325 저항을 돌파할 경우에는 초록색 삼각수렴의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이후 ABC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382레벨인 2390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삼각수렴의 상향돌파가 성공 한다면 장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과 ABC 상승추세 피보나치 확장 0.618 레벨이 겹치는 24830-25003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요약
저항구간
23258-23325(중요)
23900
24830-25003(중요)
지지구간
22907-22839
22155-21973
비트코인 '단기'하락 관점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8월은 이전에 말씀드렸던 대로 알트코인 장으로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아이디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바닥을 확인하고 전체하락분에 대한 되돌림 자리까지 반등하는 코인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고, 메이저 코인들도 시동을 걸고 있던 참이었습니다. 제가 아이디어를 작성했던 에이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더리움은 전체 하락분에 대한 38.2% 되돌림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Wedge Pattern을 그리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스닥도 전체 하락분의 38.2%되돌림을 확인하고 눌림이 오고 있습니다.
시장이 이제 눌림이 올 타이밍이란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일단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서 수렴패턴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하락을 면하기 어렵습니다.
대놓고 하락패턴을 그리면서 0.382를 찍고 내리는 모습을 연출할 겁니다.
되돌림을 확인했으니 이제 저점이 또 깨질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시장에 유발하겠지요.
저는 그럼에도 고점을 높일 수 있다고 봅니다.
만일, 깊은 되돌림이 나오고 클라우드 하단에서 지지받은 뒤 다시 23K까지 반등한다면, 그 때는 0.382가 아닌 0.618까지의 되돌림을 기대할 것입니다.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대하여 직전 아이디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요약: 0.382 레벨에서의 조정은 불가피하나 되돌림에서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진짜 타겟은 0.618 레벨일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가능성은 비트코인이 고점을 갱신하되, 그 고점이 전체하락분의 0.382 지점이 되는 것입니다.
향후 발생할 파동에 대하여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요 가격대에서의 PA를 확인하기 전까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나스닥] 이번주 키포인트는 13150??#크랙 #나스닥 #nas100usd #1D
단기 상승채널 상단에서 계속된 상승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장기 상승채널 관점에선 중심선 돌파 이후 약 눌림이 출현하는 모습이며, 지지 받는 구간은 하락분 피보나치 되돌림 0.5레벨로 13150은 중요한 지지 역할을 해줄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 금요일 음봉 마감을 하며 상승세의 마무리가 되는 듯 하였으나, 금일 지속된 상승세에 다시 한번 전일 음봉을 시가까지 도달한 모습입니다.
상술 한 13150의 지지는 중요하며 지난 금요일 종가 마감으로 지켜준 상황으로 금일 상승세가 진행되며 개장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수요일까진 13533-13648 구간의 저항을 확인하기 위한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13150의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단기 상승채널 하단과 하락분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 그리고 6월초 매물대 중심선이 위치한 12650 부근까지 급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ADA 현물매수 전략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금일 비트코인 반등을 확인하고 4시간봉 마감을 기다렸다 숏관점을 폐기했습니다.
알트코인 롱, 그리고 알트코인 현물매수를 하는 시기가 왔습니다,
이번에 며칠간 횡보를 하면서 털다가 22.6K저점을 깨고 바로 올렸기 때문에 바닥 롱을 잡지 못했습니다.
손절범위가 있기 때문에 그정도의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진입할만한 매력적인 알트를 찾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손절범위가 있는 만큼 스윙포지션을 시도하는 것이 맞고 이전부터 지금까지 매집 패턴을 만들고 있는 종목들을 선별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런 건 너무 귀찮고 현물로 사놓고 BUY & HOLDING으로 가는 걸 원하신다면 에이다를 추천드립니다.
로그스케일 기준 38.2% 되돌림에서 지지받고 바닥권에서 수렴까지 해줬다는 건 엄청난 메리트입니다.
메이저알트 중에도 38.2% 되돌림이 이번에 깨진 게 되게 많습니다.
한편, 38.2% 되돌림 구간이랑 이격이 있는 알트들도 있죠.
피보나치 되돌림 38.2%를 지키고 수렴했단 것 하나만으로 이 코인을 사야 할 이유는 다 설명이 됩니다.
현시가부터 38.2% 되돌림 구간 까지 분할매수하고 38.2%가 깨지면 손절하면 되겠습니다.
[비트코인] 어디로 움직일지 고민하는 모습#크랙 #비트코인 #바이낸스 #1D
22583-22136 지지구간의 지지 확인 이후 반등 하였지만 중기하락추세 피보나치 되돌림 0.382레벨과 단기상승추세 피보나치 추세확장 0.236레벨이 겹치는 23266-23334 저항구간을 돌파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위 저항구간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단중기적으로는 분홍색 상승채널 중심선, 주황색 장기추세선 그리고 중요 지지캔들이 겹치는 22583-22136 지지구간의 테스트를 다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지지에 성공 할 경우에는 재차 23266-23334 저항구간을 돌파해주는것이 중요하며 저항구간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황색 장기추세선의 지지실패와 함께 단중기적으로 큰 하락추세가 진행될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22366-23334 저항을 돌파 할 경우에는 분홍색 상승채널 상단선과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치는 24848-25010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24848-25010을 돌파 할 경우에는 하늘색 중기상승추세선과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치는 25890-26361 까지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22583-22136 지지에 실패 할 경우에는 21654-21109 지지가 중요하며 해당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분홍색 상승채널 하단선이 위치한 19828-19023 까지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9828-19023의 지지도 실패한다면 17279 또는 15535-15700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요약
저항구간
23266-23334
24848-25010 중요 저항
25890-26361 중요 저항
지지구간
22583-22136 중요 지지
21654-21109
19828-19023 중요 지지
17279
15535-15700
나스닥, 이더리움: 되돌림 후 저점 갱신관점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이번 아이디어에서는 나스닥 주봉분석을 클라우드 지표를 이용해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가 들어간 나스닥 주봉 전체기간을 먼저 올려드리겠습니다.
상단의 붉은색 클라우드에서 지지받으면서 상승하다가 이탈하였던 자리들을 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점을 갱신하지 않고, 고점을 먼저 갱신하였던 자리들을 빼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걸러주면, 총 4개의 선이 남는데, 1990년 7월의 경우는 장기상승을 위한 베이스채널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등락이라 큰 의미가 업습니다.
그래서, 남은 자리들은 결국 닷컴버블,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그리고 올해의 하락장입니다.
닷컴버블
닷컴버블 고점을 먼저 보겠습니다.
클라우드를 이탈하지도 않고 나왔던 조정의 0.618 되돌림이 저항이 되어 추세를 이탈하였습니다.
추세이탈 후에 재진입을 하지못하고 양봉이 떠도 찍어눌러버립니다.
그리고 어디까지 떨어지는가 하면, 1차 하락에 대한 161.8% 추세확장비율을 충족하고서야 닷컴버블은 완전히 꺼졌습니다.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닷컴버블때와 달리 1차하락에 이미 상승추세를 이탈한 상태에서 되돌림을 줬습니다.
역시, 앞선경우와 마찬가지로 61.8% 되돌림까지는 쉽게 반등하고, 되돌림 저항으로부터 재차 하락이 나왔습니다.
조정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161.8% 확장비율을 만족하고 마무리되었습니다.
그 후로 12년간 일시적으로 깊게 주는 조정은 있었으나, 추세로 재진입을 곧잘 해주면서 12~13년간 상승장이 이어졌습니다.
제대로 된 추세이탈이 나온 것은 지난 5월이었습니다.
만약, 앞선 두 사례들과 같은 패턴으로 조정이 진행된다면, 14600달러 부근에서 고점을 만들고 161.8% 확장비를 만족하는 5K까지 주가를 덤핑시켜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앞선 사례들과 지금은 많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스닥 우량주들의 펀더멘털이 10여년전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고, 세제혜택이나 정부보조금 지원, 규제완화 등의 혜택이 나스닥 우량주 기업들에 주어지기 때문에 이전과 같은 주가폭락을 기대하긴 힘들다고 봅니다.
그래서, 조정폭은 이전보다 감소할 수 있겠지만, 0.618의 저항은 여전히 유효할 것입니다.
61.8%나 주봉에서 이렇다할 음봉 없이 시원하게 반등하면 저점이 깨지고 L자형 바닥이 나오리라고 단언하던 사람들은 거의 사라지고 없을 것입니다. 그런말을 할지라도 찬물을 끼얹는다고 욕이나 먹기 때문에 관점을 숨기고 조용히 있는 사람들도 있을겁니다.
그래서 그맘때가 되면 표면적으로 여론은 이미 상승장으로 보는 관점이 주류가 되어있을 겁니다.
61.8%까지 반등할지라도 이전의 역사를 되돌아봤을 때 저점은 다시 깨졌습니다.
지금도 다르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전처럼 확장비 161.%를 만족하는 자리까지 내려간다고 단언하진 못하겠습니다.
닷컴버블 전고점을 근 15년만에 넘겼던 저 변곡점을 하나의 기준점으로 잡는다면?
만일 이번에 61.8%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5600달러 부근까지 떨어지는 하모닉 패턴이 나올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집니다.
물론, 그 전에 61.8% 되돌림 후에 조정이 발생된다면, 가틀리패턴에 대해서 먼저 염두를 할 것입니다.
이더리움
저는 이번에 이더리움이 나스닥을 잘 따라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나스닥과 이더리움이 전체 하락분에 대한 38.2% 되돌림 자리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38.2% 되돌림 보단 61.8% 되돌림 자리가 직전매물이 두텁게 깔린 자리이고 클라우드가 내려왔을 때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도근거가 38.2%보다 많이 보이는 자리입니다.
나스닥도 61.8% 되돌림 자리가 직전매물대가 두텁기 때문에 매도근거가 더 있는 자리입니다.
나스닥이 저항을 뚫으면 이더리움도 따라서 저항을 뚫는 식으로 갈 것이라고 보고, 61.8%에서의 의사결정도 마찬가지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후에 저점을 갱신하는 파동의 여부도 나스닥을 따라가곘지요. 그렇다고 하면,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저점도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결론을 낼 수 있겠습니다.
장기 우상향의 시작점이 아니라 되돌림을 주는 과정이 맞다면, 지금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제외한 알트코인을 일컫는 total3가 크게 상승하면서 버블이 형성되는 게 순리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total3를 btc로 나눈 차트를 보여드리겠습니다.
6월에 바닥이 나온 이후로 total3가 비트코인에 비해 꾸준히 강세를 보여왔습니다.
에디터즈 픽에 있는 제 아이디어에서도 언급했습니다만, total3/btc가 1을 초과한 지점에서 21년도와 17년도 고점이 나왔습니다.
이 추세대로면 머지않아 1을 다시 넘기게 될 것입니다.
BTC 하락관점1. ETH
수렴패턴과 4시간, 일봉 RSI 하락다이버전스 등의 매도 근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단, 일봉기준 이평선 배열이 정배열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1800$ 전후의 매물대 저항을 넘는 오버슈팅이 나올 가능성도 없지않습니다.
그러므로, 매도 포지션을 시도하는 입장에서 이더리움은 건들 필요가 없습니다.
2. BTC
일봉 이평선이 역배열에서 횡보중입니다.
20일이하의 이평선들만 수렴이 됐는데, 이는 일시적 반등이 나왔다는 신호입니다.
비트코인만 본다고 하면 앞으로 한차례 더 반등이 나오더라도 직전고점을 넘기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에 반등한다고 해도 7월 27일에 나온 반등처럼 깊게 뺐다가 강하게 말아올리는 반등이 아닙니다.
멈춰놓고 횡보시키다 급각으로 뽑는 반등이 나올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시장은 환희에 빠지겠지만 저는 다시 24K에서 저항을 받을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바닥권 수렴후에 나온 상승파동을 비교했을 때, 3월 14일부터 4월초까지의 상승과 7월 13일부터 7월말까지의 상승이 로그스케일 기준 100%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올 반등은 다 나왔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비트코인 최고점으로부터의 1차하락 파동과 2차하락파동의 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이번처럼 2차하락파동이 압도적으로 1차하락파동에 비해 길었던 적이 없습니다.
2013년, 2017년 모두 오차범위 내에서 복합조정이 마무리 됐었습니다.
이번엔 1차하락에 대한 127.8% 확장비를 계산해도 19K가 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에 거의 138.2%에 가까운 확장비로 떨어졌다 반등하고 있다면 하락파동이 하나 더 남은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것입니다.
하락파동이 점점 강해지는 형태로 가는 게 맞다면 파동의 연장으로 3케이까지도 갈수 있다고 여전히 보고있습니다.
이 글을 마무리하면서...
벌써부터 댓글창이 예상이 갑니다.
저도 전고점 부근까지는 얼마든지 반등할 수 있다고 분명히 언급했습니다.
제가 확실하게 틀리게 되는 경우는 여기서 4년주기 바닥이 나오거나 비트코인이 최소 25케이까지 반등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