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09/29]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27일 밤부터 급격한 하락이 발생 후, 생각보다 상승되돌림이 많이 발생한 상황입니다.
보통 조정파의 경우 추세 파동의 0.382 / 0.5 / 0.618정도 되돌린 후 추세로 재진행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검정색 네모 구간이 하락 임펄스 파동(하락추세파동)이라고 본다면, 하락분의 0.618보다 아주 살짝 더 많이 상승한 상황입니다.
*검정색 구간을 하락 임펄스(하락 추세 파동)로 본 근거는 3파라고 예측되는 부분에서 아주 강한 거래량이 발생하였고, 하락 각도 또한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그렇게 분석하였음.
현재 기준으로 보여지는 확률높은 시나리오는 두 개입니다.
1. 19.8k가 고점이었고, 피보나치 0.618 근처에서 저항 맞고 살짝 내려갔으니 상승되돌림이 종료되었다. 이제 하락 임펄스로 내려갈 것이다. (파란색 경로)
2. 19.8k는 아직 고점이 아니고 고점 갱신이 한 번 더 남았다. 19.8k 고점을 살짝 갱신하고 하락 임펄스가 시작될 것이다.
(보라색 경로)
이 두가지 모두 아니고 상승할 경우 또한 대비해야하는데요,
검정색 구간 하락임펄스 관점이 폐기되는 자리는 20.4k입니다.
20.4k를 돌파하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락 임펄스 관점 또한 폐기되구요.
20.4k 전까지는 숏 포지션 위주로 대응을 추천드리고 싶고, 뚫게 될 경우 그 때 상황보고 유동적으로 대응해야할 것 같습니다!
요즘 장이 많이 어려운데 유연한 대응으로 좋은 결과를 내봅시다 :)
요즘 느끼는건데 장에 페이크도 많아졌고 난이도도 많이 높아졌습니다.
파동도 이전과는 상이하게 출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장일 수록 대응에 중점을 둬야합니다.
매매할 때 자신의 예측이 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을 꼭 가지고, 예측과 차트가 다르게 흘러갈 경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꼭 생각합시다 :)
One Way Ticket중요한 매물대 지지를 받으며 장기간 박스권 횡보중인 비트코인의 운행시간이 다가옵니다
중요한 관찰 포인트
1. 50ema를 뚫고 올리느냐 맞고 떨어지느냐
2. 장기하 락 추세선 세 번째 만남. 뚫고 올리느냐 맞고 떨어지느냐
뚫고 올리면 23k매물대를 어떻게 안착하는지 지켜보고 이후 상승 가능성
or
뚫지 못하고 하방으로 방향이 결정될 경우 14k 혹은 10k까지 하락 가능성
상행이든 하행이든 이 글 보시는 분들은 부디 잘 타고 가셔서 무사히 도착하시기 바랍니다.
---
차표 한 장 손에 들고 떠나야 하네
예정된 시간표대로 떠나야하네
너는 상행선 나는 하행선
열차에 몸을 실었다
사랑했지만 갈 길이 달랐다
이별의 시간표대로 떠나야했다
달리는 차창에 비가 내리네
그리움이 가슴을 적시네
너는 상행선 나는 하행선
추억이 나를 울리네
[09/27]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드디어 지루했던 수렴이 끝나는 것 같습니다.
이탈한 쪽은 상방으로, 살짝씩 오르다가 아침에 거래량이 붙어주며 상승했는데요, 이제 조금씩 파동 틀이 잡혀가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8.1k까지는 5개 파동으로 내려왔으며, 파동이 종결되었다고 보여지고, 그 이후 현재 구간이 중요한데,
18.1k - 19.5k = A
19.5k ~ 18.8k = B (삼각수렴)
18.8k부터 C파 상승이 나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이 ABC파동이 큰 그림에서 'B파동'이고 매도압박이 좀 심해져 C파가 짧게 나오지 않는다면, 20.3 ~ 20.4k까지 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후에는 5개의 파동으로 꽤 강하게 내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 하락파동에서 17.6k를 이탈하며 전저점 갱신을 할 것 같습니다.
매매대응은 롱 포지션은 잡지 않으시거나 짧게 짧게 대응하시는걸 추천드리고, 20.3k정도까지 반등이 온다면 해당 라인에서 추세전환의 신호를 보고 숏 포지션을 진입하시는게 확률/손익비상 좋아보입니다!
[09/20]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어제 비트코인이 전저점인 18.5k를 갱신하며 18.2k까지 하락했습니다.
그 다음 저점은 최저점인 17.6k 밖에 남지 않아 위험한 상황이었지만, 곧장 18.5k를 다시 회복하며 급격한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저점 갱신을 하며 새로운 저점을 형성하였고, 이제는 18.2k가 중요한 저점으로 작용하겠습니다.
오늘 체크해야할 라인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빨간색추세선
지지선으로 작용하며, 한 번 깨졌었지만 다시 회복하고 지지까지 받으며 여전히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검정색추세선
얘는 원래 단기적인 저항선으로 작용했지만 돌파하면서 지지선으로 바뀐 상황입니다.
하지만 기울기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지지선으로 체크하기보다는, 이 추세를 돌파하면서 계속된 매도압박으로 인한 하락세가 조금은 진정되었다 정도로만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초록색 미니 지지/저항선
둘 다 상승추세선입니다.
상단선은 저항, 하단선은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 같네요.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하단선을 이탈하면 상승세가 조금 진정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만약 상단선을 돌파한다면 매우 강력한 상승세가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할 것 같습니다.
[09/19]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69k추세저항을 맞고 비트코인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여전히 약세를 이어가고 있고, 비트코인 같은 경우 계속해서 저점을 갱신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의 경우, 장이 매우 어렵고 이벤트들이 많기 때문에 대응라인을 설정해두고 대응 위주의 매매를 하는 것이 좋은데요,
1.피보나치 지지라인
19000 (피보나치 0.886 & 심리 방어선)
18500 (피보나치 1 & 더블 바텀)
2. 검정색 추세선(지지선)
(기존에 저항이었던 선이 지지선으로 바뀌며, 현재는 지지로 작용하고 있음)
3. 노란색페레럴 채널
하단선(지지로 작용)
중단선(저항으로 작용)
상단선(저항으로 작용)
4. 초록색 페레럴 채널
하단선/상단선 모두 저항으로 작용
아직까지 하방압력이 지속되고 있고, 제대로 된 반등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요즘 시황에서 계속 말씀드리는 것처럼 저점갱신을 항상 염두에 두고 매매합시다!
단기 하락 추세 돌파 및 공통 구간22.8k에서 시작된 강력한 하락파동이 모멘텀이 점점 줄어드며 19.3k에서 마감하였습니다.
이전 18.5k ~ 22.8k까지 상승했던 충격 파동의 되돌림이 61.8% 이상 나와주었고, 이로인해
22.8k에서 하락한 파동이 2번 조정 파동이라는 확률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2번 조정 파동의 첫 번째 파동을 충격파동으로 카운팅하였습니다.
메인 시나리오는 하락 충격 파동 후 불규칙 플랫 패턴을 형성 중이라고 보고있으며 노란색 박스 부분이 저항대로 보입니다.
이 시나리오는 21.5k (하락 충격파동의 61.8% 되돌림 비율)가 깨질 시 폐기이며, 손절가가 높은 만큼 신중하게 포지션 진입하시길 바랍니다.
[09/16]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어제 이더리움 머지(Merge)이벤트 이후 위아래로 강하게 흔드는 움직임이 나왔고, 16시 넘어서 고점을 찍고, 슬금 슬금 하락하더니 나스닥 개장 후 강하게 하락이 발생했습니다.
이더리움의 급락으로 인해 비트코인 또한 하락하며 저점을 갱신했는데요.
전반적으로 증시 상황이 좋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미국 Cpi지수 예상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예상만큼 잘 잡히지 않고 있고, 금리 인상을 좀 더 촉진할 확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상에는 없던 한 번에 100bp 인상 가능성이 등장 후, 점점 확률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에 나스닥이 12000포인트가 깨지며 하락추세로 다시 접어들었고, 비트코인 또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측면에서 한 번 접근해보겠습니다.
일단 비트코인은 22.8k에서 cpi발표가 나오며 급락하기 시작했는데, 저번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저 자리는 69k부터 내려오는 하락추세선과 맞닿는 자리였습니다.
저 자리를 뚫지못하고 저항을 받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상황으로 볼 수 있고, 현재의 움직임은 익스펜딩(확장형) 하락추세에 속해있다고 판단됩니다.
아직까지는 반등하려는 모습이 하나도 보이지 않고 있으며, 19.8k가 매물대 지지였는데 꺠지면서 현재는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9.8k 뚫지못하고 하락시, 지속적인 하락추세가 이어질 것 같습니다.
아래에 걸려있는 지지선으로는 지난번 상승분의 0.886자리인 19000, 더블 바텀 자리인 18500라인이 되겠습니다.
만약 하락추세가 이어져서 18.5k까지 이탈하게되면 17.6k 저점갱신을 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저점갱신을 염두에 두고 매매합시다!
3번 파동연장 충격파동 컨펌5번 파동이 터미널 충격패턴으로 나와준 듯 합니다.
3번 파동연장 충격파동 이후 되돌림 수준은 내부 파동 중 4번 파동의 가격대까지가 일반적입니다.
18.5k부터 시작한 충격파동이 보다 큰 충격파동의 1번 파동이었다면,
보다 큰 충격파동의 1번 파동의 저점과 현재 진행 중인 2번파동의 종점을 이은 0 - 2 추세선이 1번 파동과 2번 파동의 어느부분과도 겹치지 않게 형성되어야 합니다.
조정파동의 카운팅을 하며 0 - 2 추세선이 형성되는지 보는게 관건일 것 같습니다.
만약 이 충격파동의 되돌림 수준이 61.8%를 상회할 경우,
충격파동의 카운팅이 틀렸다.
조정패턴이 플랫패턴으로 조정파동의 미달형 파동c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
조정패턴이 삼각수렴일 가능성이 있다.
참고하세요!
단기 관점18.5k부터 시작된 파동이 5번 파동연장 충격파동이 아니라 3번 파동연장 충격파동인 것 같습니다.
근거는
1번 파동의 길이 = 5번 파동의 길이
2번 파동과 4번 파동간의 파동 변화의 법칙 적용 (2번 파동은 복합조정, 5번 파동은 플랫)
1번 파동과 5번 파동의 채널 유효
5번파동의 급격한 되돌림
입니다.
3번 파동연장 충격파동은 일반적으로 4번파동 종점까지 되돌림을 줍니다.
4파의 종점은 21.5k부근이며, 18.5k ~ 22.3k까지 파동의 0.236 비율 또한 21.5k부근 입니다.
숏 포지션을 들고 계시다면 21.5k를 1차 tp로 잡고 리스크 관리를 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BTCUSDT 1D엘리엇 웨이브(Elliott Wave)에서는 임펄스 파동(Impulse Wave)의 전개 이후 ABC 형태 또는 XYZ(복합조정)로 나타낼 수 있는 조정을 거칩니다. 본 관점에서는 차트 내에서 카운팅 된 가장 큰 파동을 기준으로 가격은 현재 그 위치임을 나타냅니다. 그 파동의 더 작은 단위로 들어가서 보았을 때는 리딩다이아고날(Leading Diagonal)이후
ABC 조정을 카운팅 할 수 있으며 만약 그 카운팅이 유효하다면 5-3-5 Zigzag에서 나아가 새로운 임펄스 파동(Impulse Wave)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번 파동연장 충격파동 시나리오
1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이 18.5k에서 마감되었다고 가정했을경우,
1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되돌림 수준은 4번파동의 종점까지 오는게 일반적인 모습이다.
만일 2번 파동의 종점을 지나는 수준까지 움직인다면 보다 큰 충격파동 또는 조정파동이 마감된 것이다.
현재 2번 파동까지 반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번 파동의 종점을 넘어 1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을 넘어선다면
보다 큰 충격파동 또는 조정파동이 18.5k에서 마감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18.5k에서 올라온 파동을 살펴보면,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모습과 유사한 모습이다.
이 파동을 충격파동으로 가정하고 살펴보았을 때,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은 5번파동의 61.8% 이상 되돌려야 하지만,
추세가 진행되는(충격파동의 1파, 3파 혹은 지그재그의 파동a) 상황이라면 5번파동을 모두 되돌리지 않는다.
만일 이 파동이 모두 되돌려졌다면 이 파동이 보다 큰 파동의 마지막 파동이라는 의미이다. ( 이 파동이 보다 큰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마지막 5번 파동 혹은 플랫 또는 지그재그의 파동c인 경우)
이를 토대로 현재 18.5k에서 반등한 파동이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이라면 5번파동의 61.8% 이상 되돌린다는 근거가 생긴다.
정리해보자면
18.5k에서 올라온 파동은 5번 파동연장 충격파동으로 보인다. 되돌림 수준은 최소 5번 파동의 61.8% 정도 일 것이다.
만일 모두 되돌린다면 25k에서 하락한 1번 파동연장 충격파동이 틀렸다는 근거가 나온다.
모두 되돌리지 않고 반등에 성공할때,
2번파동을 넘어서는 움직임이 나온다면 보다 큰 충격파동 혹은 조정파동이 마감된 것으로 보인다. (아래 코멘트에 참고할 수 있는 카운팅 올리겠습니다. )
비트코인의 현실적인 바닥 16K비트코인은 여러 개의 추세선들이 얽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유효한 패턴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분석을 하였습니다.
먼저 22년 1월부터 약 100일간에 걸쳐 만들어진 상승 채널을 떠올려 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상승 채널을 만들고 이탈하여 대략 상승 채널의 크기만큼 하락을 하였습니다.
약 3번에 걸쳐서 저점 테스트를 한 결과 상승 채널의 하단을 돌파하고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이제 현재 시점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22년 6월부터 만들어진 상승 채널은 세번째 저점테스트에 들어갔습니다.
과거 사례를 참고하면 이번의 저점 테스트는 상승 채널의 하단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가격이 하락한다면 대략적인 목표값은 16K 부근이 됩니다.
16K 는 100월선과 피보나치 비율을 만족하는 의미가 있는 구간입니다.
하락이 멈추는 곳은 이곳이 유력합니다.
주봉으로 본다면 300주선이 17K 근처에 있습니다. 월봉과 주봉의 이평선들은 16K 를 저점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그리고 지난 아이디어에서 19K 를 하락 목표가로 설정하였으나, 19K 가 바닥이 될 것이라는 근거는 빈약합니다.
상승 쐐기형 패턴의 목표값 17K 가 지금 상황에서는 더 타당한 가격입니다.
비트코인의 바닥은 오실레이터의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올 때 후행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 정확한 바닥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나스닥은 내부 추세선 (붉은색) 과 12500 구간의 저항을 받아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며,
S&P500 은 장기 하락 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가격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 하락이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을 만족하며 상승세를 해치지 않는 4000 선을 지켜낼 때 비트코인의 바닥은 16K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비관론으로 보자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으나 그것은 좋은 일이 아닙니다. 미국 증시와 함께 비트코인이 침체에 빠진다면 최소한 가격이 40-50% 하락하며 시장은 1년이상 침체기에 들어갈 것 입니다.
그런 상황은 아무도 바라지 않습니다.
시장을 긍정적으로 본다면 16K 가 비트코인의 현실적인 바닥이 될 수 있으며 가격이 하락하며 오실레이터의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타날 때 적극적인 매수 포지션을 잡을 수 있을 것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