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이중 지그재그 관점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서론은 생략하고..
이 관점은 '파동이론 마스터' 개정판 책을 참고하시면 보시면 좋을꺼라 생각합니다.
날봉 기준으로 이중 지그재그로 보고 있으며 마지막 지그재그의 C파가 나올걸로 보고 있습니다.
우선 근거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아, 그 전에 지그재그의 특성에 대해 말씀드리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ABC로 이루어진 지그재그는 삼격형 내부 파동이 될 수 있으며(이 경우 보통 삼각형 A파에서 연장직잭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임펄스 스러운 조정 파동 중 하나입니다.
피보 비율은 B파가 A파의 0.618을 넘지 않는 선에서 조정이 나와야 하며, 추세가 강할때는 0.382만 조정 주고 C파가 출현을 합니다.
0.5 조정이 일반적이긴 한데 0.618을 넘지 않으면 지그재그의 B파로 봅니다.
C파의 경우 A파 대비 내부 피보 비율로 1:1도 잘 나오는 편이긴한데 A파의 0.618~1.618 사이에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A파와 C파는 가격적인 부분과 시간적인 부분이 비슷하게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 그럼 다시 차트로 돌아가서.
첫 시작이 된 지그 재그의 경우 위 조건과 모든게 일치합니다.
상승률도 100퍼센트 정도로 비슷하고 시간적인 부분도 거의 동일합니다.
B파의 0.382 조정까지도요.
그리고 나서 이제 판단해야 하는게.
직잭이 나오고 X파가 작게 나오고.
(이 경우 내부 파동 B보다 X파가 작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책에 쓰여 있습니다)
현재 72~73정도까지 큰 상승 후 조정 파동이 출현 중입니다.
그럼 앞으로 파동이 어떻게 그려질것인가에 대해.
이중조합(Zigzag - X wave - Flat or Triangle)이거나 이중지그재그거나.
아니면 삼중조합...일단 이건 제쳐두고.
이번 가격 조정이 0.618을 넘지 않고 0.556부근에서 끝났다는 것.
물론 끝났는지 안끝났는지 아직 모르지만.
여기까지 생각을 해보면. 알트는 죽어 나가고 있지만.
비트코인만 보자면 여전한 강세장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마도 많은 분들이 폭포수 효과를 생각하실 겁니다.
이거..이중지그재그 나오는건가? 그렇다면 폭포수 효과를 대입하여 피보나치 비율을 그어봐야겠죠?
차트에서 첫 지그재그가 1이라는 기준이 되고. 짧게 나온 X파는 무시하고.
다음 지그재그의 A파가 첫 지그재그의 외부 피보 비율로 0.618크기로 나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쯤에서 그럼 B-B추세선을 그어보고 채널을 만들어 봅니다.
그리고 생각을 해봅시다.
이중지그재그가 맞다면. 마지막 지그재그의 C파가 남았습니다.
크기를 예측해야 합니다. 시간적인 부분도요.
이때 대입하기 좋은게 역시 폭포수 효과로서 마지막 지그재그의 C파는 첫 지그재그의 0.382 크기로 나온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첫부분에 적었던 지그재그 특성까지 대입해보면(A파와의 관계) 대략적인 크기는 86k부근이 됩니다.
시간적인 부분이 A파와 비슷하게 나온다면 대략 8월 말..
이 예측은 어디까지나 두번째 지그재그의 B파가 53.4k에서 끝났을때의 이야기입니다.
만약 지금 B파가 끝나지 않았고 무제한 삼각수렴 같은 조정파동 끝에 나오는 삼각수렴이 진행중이라면 마지막 C파의 예측 크기는 조금 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관점이 폐기되는 조건은.
채널을 벗어나거나.
두번째 지그재그의 A파. 0.618 되돌림을 넘어서거나(52k)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채널 하단 추세선을 뚫고 내릴 경우 이 관점의 가능성은 크게 낮아질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어설프게 공부해서 올리는 관점이니 참고 정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피보나치
KOSPI 종합지수 분석(단기 하락 국면)KOSPI 종합지수 분석입니다.
현재 채널에 갇혀있는 모습입니다.
아래쪽 페인에는 1년물, 10년물 국채 일드커브를 나타냅니다.
국채 금리차는 차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종합지수에 1개월 선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12월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 역전되었습니다. 이후 1월 하락장이 시작되었습니다.
'24년 3월1일또한 역전되었으며, 4월 1일 하락장이 시작되었습니다.
'24년 6월 14일 비슷한 역전상태의 흐름을 보였으며, 이에 7월 중순이후 하락장 진입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21년 시작된 조정의 현재 정확히 61.8%(2,862)를 터치한 상황으로 이는 저항영역에 도달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물론 장기 상승추세 과정에 일시 조정 구간입니다. 예상 구간 지수 2,910 ~ 2,710사이에서의 3~4주간의 조정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구간 종목 비중을 축소하고, 지수 인버스 상품 ETF,ELW 풋등을 통한 리스크 헷지, 또는 수익실현을 할 수 있겠습니다.
주요 종목
삼성전자 1파 상승 이후 되돌림
SK하이닉스 5파완성 후 abc조정 구간
현대차 5파완성 후 abc조정
KB국민은행 최근 5파완성 후 abc조정 구간
삼성SDI등 최근 상승 종목들 : 1파후 되돌림 구간(50%~ 약한종목의 경우 76.4%까지 예상)
BTC_중기 하락장 저점의 가격대를 49,000~50,000으로 주장하는 이유
저번 아이디어에서 50,000까지의 조정을 주장하고,
72,000까지의 재상승이 일어나서 많이 반성했던 사람,,
오늘은 BTC의 개당 가격이 4월의 low가 깨진 상황 속에서,
다음 저점이 48,000~50,000달러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몇 가지 가져와봤습니다.
1) 첫 번째 이유는 fib retracement입니다.
22년 11월의 저점부터 24년 3월 고점을 기준으로 하는 피보나치 되돌림에 의하면, 다음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지점은 0.382(51,460) 지점입니다.
현물 ETF 승인발 상승을 기점으로 잡아, 23년 9월 저점과 24년 3월 고점을 기준으로 하는 피보나치 되돌림에 의하면, 다음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지점은 0.5(49,273) 지점입니다.
이미 첫 번째 피보나치 되돌림의 0.236 지점(59,936), 두 번째 피보나치 되돌림의 0.382 지점(55,045)에서 매물대가 만들어지는 프랙탈 내지는 강한 반등이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잠정적인 저점을 기대할 수 있는 가격대는 51,460과 49,273입니다.
7월 6일 토요일의 BTC 일봉인데, 주말이긴 하나 일봉이 7월 2일부터 하락 장악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55,045 부근에서 강한 지지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추가 하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우세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2) 두 번째 이유는 일봉에서의 EMA, SMA 이격도가 여전히 크기 때문입니다.
이 그림들은 모두 일봉 EMA 밴드로 바라본 비트코인입니다. 빨주노초파보 색깔별로 EMA 10, 20, 50, 100, 200, 365선입니다.
비트코인은 일봉 이상의 timeframe에서 다음 상승 변동성을 보이기 전마다 늘 EMA의 이격이 크게 줄어들며 정배열되는 모습을 보여온 경향이 큽니다. 19년 2분기의 상승 당시 EMA의 이격이 줄어들며 정배열된 후 14,000 정도까지 가격이 상승했고, 20년 3월 코로나 패닉셀 이후에도 줄어든 EMA의 이격과 함께 다시 정배열이 일어나며 반감기 사이클 막바지의 오버슈팅 시장이 형성됐습니다.
23년부터 새로운 사이클이 시작되며 보인 상승장에서도, 23년 3월과 6월에 EMA의 이격이 줄어들며 다음 상승이 일어났고, 이런 경향은 23년 9월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SMA도 마찬가지의 경향을 보입니다.
이런 다음 상승이 시작되기 이전의 EMA, SMA의 특징을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10, 20, 50, 100, 200, 365선의 이격이 일봉 이상의 timeframe에서 크게 줄어든다.
2)10, 20, 50, 100선이 200선과 데드크로스되는 모습을 보인다.
3) 10, 20, 50, 100선이 365선과도 데드크로스되는 모습을 보일 때가 있으나 365선을 아래로 크게 이탈하며 하방 이격을 늘리지는 않으며, 저점을 형성한 다음 365선 위로 골든크로스되며 200선과 함께 정배열을 형성한 다음 다음 상승을 이어간다.
이제, 이런 상승 전의 EMA, SMA의 경향을 참고하고 현재 BTC 일봉의 EMA, SMA 상태를 관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이전의 상승 전 선례들과 비교해봤을 때 선들 사이의 이격이 아직 큰 편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100선은 모두 아래로 꺾인 상태에 있긴 하지만, 200선은 이번 하락으로 인해 이제 막 꺾이기 시작했습니다.
10, 20선이 100선 아래로 내려오긴 했으나 50선이 아직 100선으로 내려오지 않았고, 10, 20, 50, 100선 모두 200선 아래로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10~100선과 365선 사이의 이격이 아직 너무 크다는 것입니다. 365선은 아직 50,000 정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SMA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이격도가 해소되고 365선 부근에서 EMA와 SMA의 이격이 지금보다 훨씬 해소되며 정배열을 이룬 다음 다음 상승이 일어난다고 가정할 때, 200선이 이제 막 아래로 꺾이기 시작했으므로 앞으로의 EMA 및 SMA 흐름을 그려본다면 현재 365선이 위치하고 있는 49,000~50,000 정도에서 저점이 형성되고 그 시기는 올해 4분기(10~12월) 정도가 됩니다.
물론 단순한 상상도이지만, 현재 지점에서 반대로 큰 상승이 나오는 경우 오히려 일봉 EMA 및 SMA의 이격이 해소되지 않으므로, 그 경우에는 고점 돌파를 위한 상승이 아니라 더 낮은 저점 갱신을 위한 반등일 경우가 큽니다.
3) 그렇다면, 마지막 이유는 왜 다음 저점이 49,000~50,000 정도이며 그 다음에 상승이 재차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이유인데
단순히 73,000까지의 상승 당시 비트코인의 채굴원가 대비 오버슈팅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위의 사이트 및 차트는 macromicro의 bitcon production chart인데, 72,000~73,000 매물대 부근에서 비트코인의 개당 채굴원가는 80,000달러 정도였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개당 가격은 56,700달러고 채굴원가는 개당 72,360달러 정도입니다. 혹은 모더레이터인 capriole_charles의 Bitcoin Production Cost 지표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charles의 지표의 마지막 업데이트는 23년 12월이므로 macromicro의 자료를 참고하는 편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72,000~73,000달러에서 사이클의 top이라고 할 만한 패닉바잉이나 극심한 과열 등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아이디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일봉에서, fib level상 비트코인의 다음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은 49,273 or 51,460이다.
2) 비트코인이 다음 상승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일봉 EMA/SMA 365선 부근에서 이격이 해소되며 EMA/SMA 10~365선이 다시 정배열될 필요가 있다.
3) 비트코인의 EMA/SMA가 이격이 해소된 후 정배열되며 다시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채굴원가를 기준으로 한 가격 오버슈팅이 이번 사이클에서 아직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다음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은 EMA의 10~200선이 365선 아래로 크게 이탈하며 다시 이격이 벌어질 때 그 근거가 깨지고
EMA와 SMA를 중심으로 하는 제 아이디어의 참/거짓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올해 4분기까지 약 3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엔비디아(NVDA) 5파 완성후 조정 구간 진입 분석최고의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는 AI대장 엔비디아입니다. 오늘에서야 액면분할로 인한 캔들 차트가 정상적으로 보이네요.
금일 분석한 SK하이닉스와 비슷한 관점에서 보고 있습니다.
모두 22년 후반 만들어진 프라이머리 파동의 완성단계에 접어 들었습니다.
1파후 횡보 수렴구간 2파, 강력한 충격3파, 단기급락의 4파, 그리고 연장 5파
하이닉스는 176.4%, 엔비디아는 161.8% 엘리엇 파동의 주요 저항구간 입니다.
향후 abc 조정파를 거칠것으로 예상됩니다.
조정구간 매수 지점은 우선 23.6% 되돌림 구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추세가 워낙 강력하다보니, 과거 엔비디아의 조정폭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과거 저의 분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비교적 정확하게 파동의 주요 자리를 지나갔습니다.
abc조정은 크게 3-3-3이나, 3-3-5 조정을 말합니다.
향후 명확한 조정 진행시 파동을 재분석해보겠습니다.
현재는 기존 보유자는 물량의 상당부분을 수익실현할 시기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신규진입자는 100달러 부근 진입을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5파 완성 현대차 향후 ABC조정 돌입 예상 및 재진입가 분석1월초 추세 전환후 되돌림자리 18만원에 진입후 25만원 부근 70%정리,
4월초 4파 급락조정구간 22만원 진입후 29만원 70%정리,
해당구간 주식은 11만원 상승하였으나, 주당 합 15만원의 이익이 생겼습니다.
이렇게 파동분석이 잘 이루어지면, 같은 구간 상승폭 보다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사실상 이렇게 정확히 엘리엇파동자리에서 매매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차전지 및 타 업종 매매에서는 일부 손실도 발생하였습니다.
대형주 위주로 매매하는 것이 조금 더 유리 합니다.
역사적인 신고가를 뚫은 상황으로 차익 매물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구간 현대차 127.2% 터치한 상황으로 60%물량까지는 정리상태입니다.
여기서 138.2% 도달시 10%추가 정리, 5파가 연장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마지막 물량 30%는 161.8%자리 317천원자리 완전 정리계획입니다.
상승5파가 완성되면, ABC조정구간에 진입하게 됩니다.
조정구간은 전체 파동의 23.6%,38.2%,50%,61.8%의 피보나치 되돌림자리에서
재진입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우선 어떤 형태로 차트(A파)를 써내려가는지가 중요합니다.
23.6%자리 259천원자리 도달 진입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확연한 조정구간시 자세한 파동분석을 올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에 많은 상승을 기록했던 종목들은 이번 구간에 조정을 보이면서,
그동안 우량주중에서도 횡보하거나 조정진행중이던 주식들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대차 4파 조정 완료, 목표가 분석시총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일수록 엘리엇파동이 비교적 정확히 적용됩니다.
현대차의 주가흐름은 엘리엇파동의 교과서적 장세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금번 4파조정은 강한 아랫꼬리를 달며 마친것으로 판단됩니다.(매수세가 강하다는의미)
3파의 정확히 50% 되돌림 자리를 터치하였으며,
A파의 138.2%,161.8%사이인 214,500원을 터치하였습니다.
목표가는 기존 관점과 동일합니다. 3파의 127.2%,138.2%확장 자리입니다.
즉, 전고점 부근에서 조정이 예상됩니다. 향후 명확한 추세가 나타난 목표가 부근에서
다음 분석글 올리겠습니다.
엔비디아(NVDA) 조정구간 매수지점 분석급등상태의 NVDA주식입니다. 차트 패턴이 주봉으로 보기 어려워 일봉으로 분석했습니다.
또한 추세가 굉장히 센 종목으로 현재 파동의 모양이 달라 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3파후 4파 조정으로 보입니다. 3-3-5형태로 보이며,
매수지점은 3파의 50%되돌림 자리 819달러와 A파의 127.2% 자리 806달러자리 입니다.
또한 노란색 파동으로는 3파 진행과정이며, 3파 완료 지점은 1,059달러 부근입니다.
이 부근에서 4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경우도 고려해야합니다.
우선 금번 조정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서 목표가 분석글 올립니다.
*비트코인* 24.06.03 매매일지어제자 하락 관점 (빨간색 ABC) 을 토대로 매매를 진행했었는데요.
예전 아이디어 일지 에서도 말했듯이
<분석> 과 <매매> 는 완전 다른 영역.
분석이 맞는 틀리든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목적은 '돈' 을 버는 것이기 때문에
분석을 토대로 '전략' 만 잘 짜면 됨.
<분석> 은 <매매> 를 하기 위해 기준을 잡아주는 '도구' 일 뿐.
즉, 분석이 틀려도 수익은 안전하게 낼 수 있는 '전략' 이 중요.
<분석> 은 타점을 진입 후, 최종 익절 목표가를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
분석이 틀리더라도 최소반등에서 1차 익절을하고
나머지는 분석했던 최종 목표가 까지 가준다면 땡큐 인거고
본절이나 약손절이 나간다면 어차피 1차 익절한게 있어서
최종매매는 <수익> 이 되는 것.
100% 맞출수있는 분석법도 없을 뿐더러
우리는 절대 감히, 시장을 100% 읽어 낼 수 없다.
여러가지 분석법을 통해 시나리오를 짜고
'대응' 하여
분석적으로 높은 '확률' 에 계속해서 베팅할 뿐이다.
이렇게 해야만
수익과 손해를 반복했을때
내 자산이 우상향 하는 것.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조금 뒤에 분석글 올리겠습니다~
삼성전자 매수지점 분석지정학적이슈와, 금리인하기대감 상실에 따라 조정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출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우상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실적이 급속도로 개선되고 있는 삼성전자는 소폭의 조정을 거치고 상승을 기대합니다.
현재 5파를 완성한 상태로 보이며, ABC조정중 A파로 판단됩니다. 차트상 5파로 진행되어,
5-3-5파 형태를 보이지 않을까 예상되며, 조정시 전체 파동(22년말부터 지속된 파동)의 38.2%
73,000원부근에서 매수된다면 좋겠습니다. 이 자리는 현재까지 A파로 보이는 파동의 127.2%인 73,700(C파) 자리 부근이 되겠습니다.
지난번 매수자리를 지나쳤으나, 다시 이렇게 기회가 찾아 옵니다. 늘 여유를 가지고 보는게 좋습니다.
*비트코인* 24.05.29 분석일지.
시나리오1 - 현재 (노란색)B파도 충분히 되돌려 주었기에 바로 하락하더라도 이상하지않다.
시나리오2 - (파란색) A파에 대한 피보나치 0.5 비율까지 되돌려주었기때문에 기간적인 조정은 부족하다고 여겨지지만, 이대로 상승을 보여주더라도 조건은 만족된다.
시나리오3 - 현재 흘러가는 파동모양을 봤을때 삼각수렴 형태로 진행 되고 있다.
※매매전략※
- (시나리오2) 와 (시나리오3) 을 놓고 봤을때에 롱 중복구간이며,
(시나리오1) 으로 흘러가더라도 짧은 손절을 가져갈수있다.
(시나리오1) 때문에 SS급 전략은 될수 없기에
평소보다 낮은 레버리지로 롱 진입.
*비트코인* 24.05.27 흘러내리나..?
어제 말씀드린 숏 타점에서 이쁘게 ABC모양으로 하락해 주었고(파란색 파동) - (10배 숏)일때 20%수익 자리까지 하락
더큰 ABC(빨간색) 로 떨어 질 수도 있기에 1차 익절하고 남은 시드는 계속 유지 해볼만하다. 거기에다 컵핸들 패턴(노란색)도 그려질 수 있기에 본전에 손절가 나가더라고 숏 유지할 가치가 높아진다.
메인 시나리오에 반대되는 분석
1. A(빨간색)파동에대해 충분한 B파 조정이 끝났다고 했을때 ABC 상승 파동
*삼각수렴 - 손절라인을 뚫고 올라갔을때 보고 판단해도 됨.
인지만 하고있자. 어차피 ABC(빨간색)파동에 포함된 분석
2. 임펄스 상승
- 설마? 찐상승? 을 염두하고 있어야할 분석
분석과 매매는 다른 영역이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예상한뒤, 공통구간이나 확률높고 손익비 좋은자리를 매매하고 대응하면 된다.
*비트코인* 24.05.26 차트분석현재로서 매매하기에는 애매한 위치
우선 (1번 그림)초록색 원의 파동이 끝났다는 관점이면 66,300부터 올라온 파동,가격에 대한 조정이 지금보다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번 그림) 초록색 선 방향으로.
만약 지금 가격대에서 더이상 충분한 조정을 받지않고 그대로 상승하게된다면
1. 익스펜딩 다이아고날
- 예상할수있으나 줄어드는 거래량으로 신뢰도가 낮다.
애초에 <익스펜딩 다이아고날> 자체가 나올수있는 확률이 낮음.
2. 구겨진 다이아고날
- 상승관점으로 억지로 우길때 예상해본 다이아고날이긴 한데,,
제가 판단했을땐 이런모양의 다이아고날은 거의 본적이없어 확률이 10% 미만
(아래 채널 밑으로 깨질 가능성이 높음)
3. 임펄스 상승
- 일단 추세파동보다 ABC나올 확률이 더 큼.
- 지금 가격대에서 힘 크게받아서 수직상승한다면, 전고점 트라이 가능성 매우 높음
**매매한다고 했을때
-그나마 확률높고 손익비 좋은 abc분석으로 b고점 왔을때, 단타 숏타겟팅 해볼만했음.
-5분봉 차트로봤을때 b구간에 <하락 다이버젼스> 도 나타남.
-이전 하락파동에 충분히 조정받았다고해도 될만한 상승조정 스케일.
그려놓은 c파동까지는 피보나치 조정의 정석의 자리를 나타낸 희망TP이고, 단타로 매물대마다 1차,2차,3차 등등 짧게 먹고 빠져도됨.
현재 시장상황상 저점(66,300)부터 나온 파동이 임펄스로 나올 확률도 어느정도 차지하겠지만, 분석은 분석이고, 매매는 매매다.
분석과 매매는 별개다.
*매매=대응의 영역
-손익비가 매우 좋은자리이기에 짧은 손절 리스크 를 감수하고 숏단타.
셀트리온 조정구간 분석지속적인 박스권 장세의 셀트리온
프라이머리 4파는 급락과 기간조정의 지저분한 모습을 보이며 진행했습니다. 지난 4월까지의
abcde파는 엔딩다이아고날 형태로 조정이 끝난 것으로 판단되며, 5월달 드디어 d파를 뚫어낸
인터미디엇 1파로 추세 전환을 이룬 모습입니다.
그리고, 1파의 61.8% 될돌림자리인 현재 위치에 있는 상황으로 신규 진입자리이기도 합니다.
수개월동안 제자리 박스권 모습이나, 파동상 분명한 추세 전환자리입니다.
단기 목표가는 22만원 부근, 인터미디엇 3파완료 예상 위치임
중장기목표 프라이머리 5파 자리(기존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