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지지와 저항 지점과 피보나치 비율의 해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이디어를 작성하는 동안 차트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아래에 참부된 차트를 참고해 주세요.
-------------------------------------------------
(TRUMPUSDT.P 1D 차트)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분석을 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에 대한 설명의 연장선에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1D 차트)
1D 차트에서는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를 사용하여 되돌림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m 차트)
30m 차트에서 피보나치 비율을 확인하여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차트 도구에 해당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에 의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하여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아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선을 작도한다 하더라도 그 역할이 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코인(토큰)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스캘핑이나 단타 거래(day tradings)으로 짧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거래 기간을 길게 하게 되면, 그만큼 심리적인 부담감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국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서 HA-MS 지표를 활성화하였습니다.
1D 차트에서 작도된 피보나치 비율을 활성화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우리가 거래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28.0-70.654 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게 되므로 새로운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차트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차트 도구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이 있습니다.
-
40.245 지점에 HA-Low 지표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저점 구간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LONG) 시기에 해당됩니다.
현재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최신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HA-Low 지표에서 하락할 때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했습니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든지 기존의 HA-Low 지표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신규 거래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 46.618
- 63.882-70654
위의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지지 받지 못한다면, 분할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저의 차트에서 추세적으로 중요한 지표는 MS-Signal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MS-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2h 차트)
현재 차트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아 사실상 추세를 알 수가 없습니다.
만일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로 작도하려면 작도할 수 있는 가장 큰 타임 프레임 차트가 12h 차트입니다.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이 선택 지점입니다.
(30m 차트)
위의 차트는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로 작도된 차트입니다.
맨 오른쪽에 표시해둔 원들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피보나치 비율을 해석할 때, 0, 0.5, 0.618, 1 비율이 주요 비율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 비율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618 (2.198) 부근으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거래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0.618 (35.663) ~ 0.5 (39.612)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참 이 구간 내에 HA-Low 지표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피보나치 비율을 작도하였다 하더라도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 맞추어 해석하여야 거래를 진행 시점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되어 거래를 엉뚱한 방향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캔들의 배열을 보고 작도되어야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성할 수 있습니다.
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그 역할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아이디어의 내용은 피보나치 비율과 지지와 저항 지점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해석할 것인가로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 사용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를 사용할 때 선택 지점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이 있어 제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사용하는 방법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그전에 일반적인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선택한 구간 내에서의 되돌림되어질 비율로 피보나치 비율을 사용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최저점과 최고점이 선택 지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 가능성이 높다고 말씀드리냐면,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되었느냐에 따라 최저점과 최고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렇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는 차트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를 구성하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할 수 있고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를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보다 객관화시킨 것이 제가 사용하고 있는 HA-MS 지표입니다.
공개된 HA-MS 지표와 다르게 현재 몇 개가 추가된 상태입니다.
이 추가된 지표들의 수식을 아직 공개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저의 아이디어를 공유받으면 언제든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의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선택 지점은 손가락이 가리키는 지점 입니다.
즉, 1번 손가락은 저점이고, 2번 손가락은 고점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왜 1번 손가락의 위치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의 파동이 시작한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승 파동에서의 되돌림 비율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사실상 피보나치 비율을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상 어느 정도의 파동을 이르키면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신고가(ATH)나 신저가(ATL)을 갱신하게 되었을 때 피보나치 비율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현재의 파동에서 되돌림되는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였다면,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파동의 연장의 비율을 알아 보는 차트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되돌림(Fib Retracement) 도구는 2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하는 반면에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Trend-Based Fib Extension) 도구는 3개의 선택 지점을 지정해야 합니다.
그만큼 캔들의 배열을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해집니다.
위의 차트는 상승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위의 차트는 하락 파동의 연장 비율을 알아 보기 위해 작도의 예
예제 차트를 보시고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는지 이해하였나요?
-
위의 차트는 1번 손가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위의 차트는 1-1번 손락 지점을 선택하였을 때의 차트입니다.
좀 더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할 때는 유의해야 하는 것은 캔들의 배열이 애매할 때 어느 지점을 선택할 것인가 입니다.
1번 손가락과 1-1번 손가락이 그 예입니다.
1-1번과 1번은 작은 파동으로 해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로 갈수록 이러한 선택의 어려움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높은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작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트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즉, 거래하기 위해 작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에이다 롱 포지션 전략
에이다 주봉
ema : 10.20.50 정배열
rsi : 63 부근
꼬여있던 ema 정배열이 된 후 6주간의 횡보 후
단기 4시간 또는 일봉상의 저점(0.76) 이후 상승 조정중이며 저점을 깨지 않고
더블바텀을 형성 현재 넥라인을 돌파하려는 시도 중
이에 매수 전략으로 접근
1. 돌파시 전략
돌파시의 거래량을 주목하며 거래량이 동반한다면 이후 조정이 발생시 패턴과 캔들을 주의하며 롱 매수
2. 넥라인 저항으로 내려 온다면
단기 상승에 대한 피보나치 0.382 또는 부근의 캔들과 패턴을 유의하며 롱 진입
목표 가격
1.192 에 매도
USDT.D 테더 도미넌스 답안지 공개합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리는만큼 테더 도미넌스 분석 가져왔습니다.
저처럼 선물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테더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하락하면 비트와 알트는 상승
테더 도미넌스가 상승하면 비트와 알트는 하락
테더 도미넌스는 쉽게 말해 현재의 테더 보유량이 줄어들고 있다면 코인을 매집하는것이기 때문에 상승을 나타내고 테더 보유량이 늘고 있다면 코인을 매도 하는것이기 때문에 하락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www.tradingview.com
아주 중요한 매물대를 2022년부터 지지를 받고 있지만
고점을 낮추고 있고 우측 녹색라인 파동에서는 꼬리가 길게 나와주면서 파동의 형태가 바뀌었습니다.
주봉상으로 빨간색 매물대 하락에 대한 리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월봉상으로 저는 결국 매물대를 하락돌파 하여 아래 표시해둔 매물대 들에서 반등이 나오며 계단식 하락이 나올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41219 1w
#2021.4 고점넘기고 거대한 WEDGE를 그리고 하락예상은 보기좋게 틀렸음
#차트만 보자면 상승세가 매우 가파름
#BTC 움직임이 알트코인처럼 움직이고 있음
#파동 구간구간이 임펄스처럼 안보임
#여러 정황상 합리적인 고점은 200k정도로 보임
#근거
1. 2021.4 대파동 피보나치 3자리(상단)
2. 2021.4 고점 위치가 382 지점이라 가정(하단)
3. 약20만달러일때가 애플 시총을 넘어서는 시점
- BTC 가치를 의심받는 시점이 나스닥 시총 1위에 근접한 시점이 될 것이라 예측해봄
- 108,000 달러일때 애플시총 3.7조이고 BTC는 2조이므로 108k*3.7/2 = 약 200k
- 나스닥 종목의 등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
[CROX] 크록스 리셀하기 VS 크록스 주식사기2002년에 설립된 신발 제조 기업으로
가볍고 편안한 신발을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양한 콜라보 제품으로 젊은 소비자층 확보하며
글로벌 판매망 및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쌓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높은 미국 주식 중 하나로 22년에는 MDD -75%를 기록하였습니다.
작성일 기준 22년 6월과 23년 11월에 발생한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에 도달하였으며 24년 6월 전고점(A)을 시작으로
24년 8월 저점(B), 24년 9월 고점(C)을 연결한 하락 평행채널 하단을
터치하였습니다. 동시에 A-B-C 피보나치 확장 1:1 가격 부근이기도 합니다.
수평 지지로는 24년 2월 6일 캔들을 유의미한 지지로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중장기 상승 평행채널의 경우 고점 체크를 위해 사용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월봉으로 러프하게 큰 그림 생각해보기모든 BTC 거래소의 ATH 를 갱신한 이때
환희와 타성에 젖어 있기 보다는 천천히 과거 차트를 되짚어보며
생각 정리가 필요하다 싶은 타이밍이 아닌가 해서 글을 써봅니다.
근거 없는 하락과 조정을 뜻 하는 글은 아니며
차트로 설명할 수 있는 모든 티커는 고점을 갱신하고 묵직한 양봉을 쏴올릴 때
누군가는 익절과 매도 포지션 을 취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하기 위한 글입니다.
21년 첫 고점과 더블탑 생성
고점과 저점 그리고 조정의 끝을 예측하기 위한 가장 좋은 도구인 피보나치 입니다.
저는 피보나치와 피보나치 확장 툴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피보나치 값 이외에 0.705 , 1.05, 1.088, 1.031 등의 값을 넣어 추가로 사용하는 중입니다.
21년 첫 고점이 65K 근방에 형성되었으며
이후 고점 대비 약 55%의 하락율과 함께 28K대로 진입합니다.
이후 고점과 저점을 이은 피보나치 기준 0.236 값인 34.8K 까지 반등에 성공하며 6월 7월 캔들 모두 0.236 위에서 마감하였습니다.
이 기세를 이어 1.05와 1.088 값 사이인 69.2K 까지 두번째 고점을 형성한 후 약 1년간의 하락세에 접어듭니다.
22년 저점과 반등 시작
첫 고점 형성 후 하락이 나온 꼬리 끝 28.7K와
두번째 고점의 꼬리인 69.2K 를 이은 피보나치 - 파란색 화살표
첫 고점과 반등, 그리고 두번째 고점을 만든 캔들의 몸통 - 빨간색 화살표
기준으로 각각 2.618 과 1.618 값에 22년~23년의 저점이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3년 주요 저항대 돌파와 리테스트
22년 6월 하락 후 반등하면서 돌파하지 못한 구간을
23년 3월 거래량이 터지면서 양봉으로 뚫어냈고
이후 6월부터 9월까지 리테스트 까지 마친 모습입니다.
이후는 아시다시피 , 26K 에서 74K 까지의 상승 추세를 만들었습니다.
24년 고점 형성
21년 두번째 고점의 끝과 22년 저점을 이은 피보나치 1.05값을 아슬아슬하게 달성하지 못하고 조정이 발생합니다.
이 당시 고점 예측에 굉장한 에너지를 소모했었는데
현재 퍼블리쉬 중인 바이낸스 무기한물 차트 외에 다른 차트에서 정확히 1.618 값을 달성한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피보나치 외에도 21년 두 고점의 몸통을 이은 추세선을 맞은것을 확인, '고점일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24년의 저점
역시 이전의 고점-저점을 이은 피보나치와 확장 툴로 0.236 지점을 침범하지 않고 반등한 모습입니다.
현재 위치에 대하여
24년 고점을 만들어 냈던 추세와
24년 고점과 저점을 이은 피보나치의 1.088 값 까지 달성이 된 모습입니다.
상승을 막는 추세와 저항값은 확실히 올라탄다면 폭발적인 상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 이후의 고점을 정확히 예측하는건 어려운 일이지만
대략적인 예상값을 추려낼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 상승사이클을 끝내고 21년처럼 고점을 한번 더 만들어낼지
이미 두번째 고점이 나온게 아닐지
이번에는 확실히 올라타고 기하학적인 상승이 나올지 궁금합니다.
월봉으로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낮은 프레임에서의 세부적인 설명은 모두 생략되었습니다.
당연하게도, 오늘 퍼블리쉬에 사용된 피보나치만으로 매매를 하기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세부적인 매매 내역과 차트는 제 사인메세지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SUI 상승 추세 종료4H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SUI는 다양한 방향으로 갈라져 있습니다.
동시에 전고점도 경신했다.
그리고 되돌림은 이전 저점인 1.65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것이 이번 집회의 끝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으로 짧은 쪽이 메인이 되어야 합니다.
이 되돌림의 저점인 1.59 아래로 떨어지면
그런 다음 TP1은 1.48에 배치됩니다.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그리고 이 영역에서 새로운 통합이 형성됩니다.
먼저 나가서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계속 운영하기 전에 새로운 추세가 형성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암호화폐 시장은 리스크가 높으니 운영 리스크를 신중히 평가해주세요
본 분석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되지 않으므로 주의 깊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G엔솔 신규 진입가 분석지긋지긋한 조정이 계속되었던 2차전지 대표주 LG엔솔
'23년 이후 지속된 ABC조정을 A파의 127.2% 311천원까지 마치고, C파의 마이너 조정 B파를 터치한 상황으로 추세 전환으로 판단합니다. 즉, 현구간이 새로운 1파를 완성하고 2파 조정 구간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1파 크기의 61.8%에 재진입이 확률적으로 높으며, 추세가 좋은 종목은 50%, 약한종목은 76.4%까지 되돌림을 줍니다.
따라서 기존 보유자의 경우 보유물량을 줄이고, 2파 조정시 재진입전략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진입가
1차 : 50% 365천
2차 : 61.8% 353천
목표가
1차 : 161.8%자리 485 천
2차 : 176.4%자리 500 천
장기간의 조정으로 목표가 도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차트상기간을 참고바랍니다.
24.09.04 *비트코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Empty 입니다
팔로워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높은 확률의 분석 관점을,
알아듣기 쉽게 공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팔로우' 하시고
'텔레그램' 도 들어오셔서 부담없이
실시간 차트분석에 대해 편하고 자유롭게 소통해요!
***오늘의 관점 살펴보겠습니다***
다이아고날(파란색) 관점으로 보게 된다면
아직 추가하락의 여력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ABC 하락의 관점으로 볼 경우
현재 저점이 파동의 끝으로 보고
이후 조정(상승)을 볼 수 있습니다.
낮은 확률로 보고있지만
더 큰 다이아고날이 만들어질 경우도 생각은 하고있습니다.
5-3-5 ABC로 불규칙 파동도 넣어봤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파동이 끝났다는 확실한 신호가 나오기 이전까지
또는, 시도 해볼만한 좋은 손익비를 가진 자리를 주기 전까지는
매매를 하지 않을 생각이구요.
확실치 않은 애매한 자리에서 리스크를 짊어지고 가기보단
아는 자리가 나올 때 까지 기다려보겠습니다.
기회는 항상 있으니까요
욕심부리지 않고 느긋하게 기다려 보겠습니다.
빨리 벌려고 할 수록 빨리 잃더라구요,,
추가로 저에게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텔레그램 들어오셔서 질문주세요!
단체방이 부담스러우시다면
당분간은 텔레그램 1:1 채팅 걸어주셔도 답변해 드리겠습니다ㅎ
"이중연장 충격파동"을 활용한 비트코인의 방향성반갑습니다 트레이더 여러분 :)
해당 게시글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 에서 나오는 내용을 차트에 대입해서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예측해보는 내용을 담은 게시물입니다 😉
제가 이번 게시물에서 "엘리어트 파동 이론" 으로 비트코인을 분석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1️⃣ 상품의 가치는 투자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2️⃣ 투자자들이 환호할 때는 당연하게도 높은 수요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투자자들이 공포를 느낄 때는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3️⃣ 가격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가격이라는 수치를 패턴화한 이론입니다
✅결론
→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활용한다면 비트코인의 다음 움직임을 예측해볼 수 있다.
——
그러니 이제부터 "엘리어트 파동 이론" 을 활용해 비트코인의 다음 움직임을 예측함과 동시에, 이론에 대해 깊숙이 파고 들어보겠습니다
—————————
✔️BTCUSDT.P / BINANCE / 8H
해당 차트는 24.01.24 ~ 24.03.14 기간에 형성된 차트입니다.
이 때, 드물게 발생하는 "이중 연장 충격파동" 이 등장했는데요. (5번 파동이 연장된 형태)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1️⃣ 1-3 추세선의 이탈함
2️⃣ 3번 파동이 1번 파동의 1.618을 초과함
3️⃣ 5번 파동이 3번 파동의 1.618을 초과함
4️⃣ 4번 파동이 2번 파동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형성됨.
해당 근거에 대한 차트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BTCUSDT.P / BINANCE / 8H
해당 차트는 위에서 언급했던 1번 근거를 포함한 차트입니다.
(참고. 1️⃣)
파동에서는 추세선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세선의 이탈은 해당 파동의 마무리를 뜻하기도 하고, 파동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선 차트에 표기된 파동에 대해 다룰 예정이니 위에 첨부해드린 차트를 잘 봐주세요.
5번 파동이 연장된 형태는 1번 파동의 고점과 3번 파동의 고점을 이은 추세선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특히 "이중 연장 충격파동" 에서는 더욱이 중요합니다.
"이중 연장 충격파동" 은 강세장에서는 매수세가 매우 강한 걸 뜻하며, 약세장에선 매도세가 매우 강한 걸 뜻합니다.
그러니 파동 진행 방향의 상단 추세선 (1-3 추세선)의 이탈이 발생하는게 매우 당연합니다.
(강세장에선 폭등, 약세장에선 폭락으로 인해.)
위의 첨부해드린 차트를 봐주세요.
총 5번의 "Over shooting" 이 발생하며 시장이 강세였다는 걸 나타냅니다.
이처럼 추세선 하나만으로도 시장의 강세와 약세 그리고 어떤 형태의 파동인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다음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
✔️BTCUSDT.P / BINANCE / 8H
해당 차트는 위에서 언급했던 2, 3번 근거를 포함한 차트입니다.
(참고. 2️⃣3️⃣)
그 외에도 해당 충격파동의 내부 피보나치 비율을 나타낸 차트입니다.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내부적 피보나치 비율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충족 : ✔️ / 미충족 : ✖️)
✔️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100%~261.8% 비율로 상승한다.
✔️ 5번 파동은 4번 파동의 종점을 기준으로 (0-3) 길이의 161.8% 비율로 상승한다. (261.8% 보단 짧아야함)
✔️ 5번 파동은 (0-3) 길이의 100%와 3번 파동의 161.8% 길이 중 짧은 것 보단 길 것이다.
해당 파동은 위 조건을 모두 충족했으므로 "5번 파동이 연장된 이중 연장 충격파동" 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
✔️BTCUSDT.P / BINANCE / 8H
이번 차트는 해당 충격파동의 외부 피보나치 비율을 나타낸 차트입니다.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은 내부적 비율보다 외부적 비율이 더 신뢰도가 높습니다.)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외부적 피보나치 비율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충족 : ✔️ / 미충족 : ✖️)
✔️ 5번 파동의 길이는 3번 파동의 종점을 기준으로 (0-3) 길이의 100%, 161.8%, 261.8% 비율로 형성된다.
해당 파동은 조건을 모두 충족했으므로 "5번 파동이 연장된 이중 연장 충격파동" 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필자 또한 외부적 비율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생각함.)
——
✔️BTCUSDT.P / BINANCE / 4H
해당 차트는 위에서 언급했던 4번 근거를 포함한 차트입니다.
(참고. 4️⃣)
"엘리어트 파동 이론" 의 내용 중에는 "교대 법칙" 이라는 중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이 개념은 시장 움직임에 대해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것들 중 하나로 파동 진행 법칙의 근간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 없이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기본적으로 쓸모가 없게 됩니다)
이 법칙을 가장 잘나타내는 부분은 시간에 대한 것입니다.
위에 올려드린 차트를 자세히 보시면 2번 파동과 4번 파동의 길이를 비교해둔 것이 보일 것 입니다.
기본적으로 연장된 파동이 등장하기 전에는 길거나 깊은 조정이 나오기 마련인데, 첨부해드린 차트의 파동에서는 4번 파동이 2번 파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나왔으므로 해당 조건을 충족한 셈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신뢰도는 충분히 올라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
✔️BTCUSDT.P / BINANCE / 1D
이제부터는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5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의 내부 파동 중 5번 파동의 저점이 깨지면, 해당 충격파동은 보다 큰 파동의 마지막 파동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쉽게 말하면, 지금까지 설명했던 5파 연장 충격파동이 지금까지 상승했던 추세의 마지막 파동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50922.5$구간이 깨진 시점부터 하락 추세로 전환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아래 차트를 이어서 봐주세요
——
✔️BTCUSDT.P / BINANCE / 1D
하락 추세로 전환됐다는 가정 하에 작도한 시나리오입니다.
한 차례의 조정파동 (Flat)이 나온 상황이고, 이 조정파동 (Flat)에 대한 조정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붉은 점선)
시나리오에 따르면, 상승을 하더라도 하락을 위한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
오늘은 실제 비트코인 차트에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대입하여 시장을 바라보았습니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시장을 바라보기위해 노력했습니다.
수많은 트레이더 혹은 투자자들이 상승을 바라보고 있는 점 알고 있습니다.
저는 주목을 받기 위해 하락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게 아니며, 최대한 객관적으로 시장을 바라보기 위해 노력하며 게시물을 작성하였습니다.
근거없이 상승만을 외치기보다는 이성적으로 시장을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언제나 'FOMO' 에 휘둘리지 않고, 시장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현명한 트레이더 혹은 투자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터 한 번씩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관심도가 높아진다면, 후속 게시물도 작성해보겠습니다.
Empty *비트코인* 24.08.29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엠티 입니다!
팔로워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높은 확률의 분석 관점을
공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팔로우' 하시고
'텔레그램' 도 들어오셔서 부담없이
실시간 차트분석에 대해 편하고 자유롭게 소통해요!
***오늘의 관점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앞에서 올라온 ABC(흰색) 파동에 대한 조정중(초록색) 인데요
초록색 A파가 거의 다끝나간다고 보고있기에,
확률높은 매매근거들을 통해 롱타점을 기다려보겠습니다
현재 떨어지고 있는 추세를 임펄스로 보고
5파가 끝나길 기다렸다가 롱 타점을 준비하고있습니다
- 근거 -
1. 5파 완성 자리
2. 지지 매물대 자리
3. 다이버젼스 걸리는 자리
만약 이대로 올라준다면
초록색 B파동이 끝나길 기다리며
숏 진입을 노려보도록하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텔레그램 들어오셔서 질문주세요!
단체방이 부담스러우시다면
당분간은 텔레그램 1:1 채팅 걸어주셔도 답변해 드리겠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