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비트코인] 중요 지지 끝자락에서 다행히 반등 시도 해주는 모습!!!#크랙 #비트코인
#1D
장기,중기,단기 피보나치 레벨들이 겹치는 중요한 16255-16067 구간의 하회이탈을 시도하였지만 다행히도 긴 밑꼬리를 남긴 채 중요 구간 내부 마감을 해준 모습입니다.
하지만 구간 상단인 16255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마감하는 모습으로 아직까지는 추가 하락의 가능성을 완전히 버리지는 못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오늘 1D 캔들이 16255 상회마감을 하며 양봉을 만들어 줄 경우에는 추가적인 상승세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4H
전일 브리핑에서 말씀드린 15725-15704 구간의 지지가 계속 이루어 지며 야간중 반등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ㄱ-ㄴ-ㄷ 하락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의 0.618래밸인 16234의 저항을 4캔들째 돌파하지 못하고 있으며 계속된 상승 시도에도 돌파 실패 한다면 실망매물로 인해 하락이 출현 할 수 있습니다.
하락이 출현 할 경우에는 16004-15920의 지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해당 구간의 지지가 성공 할 경우에는 다시 반등을 시도하며 노란색 중기 추세선의 저항돌파를 위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지지가 실패할 경우에는 전일 브리핑에 말씀드린 자주색 장기 추세선과 ㄷ-ㅌ-ㅍ 하락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 0.786레벨이 위치한 15329 부근까지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저점 갱신 해버렸으....#크랙 #비트코인 #4H
전일 노란색 장기추세선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 채 추가하락이 출현한 모습입니다.
11월10일 저점인 15569를 약간 갱신해 주며 15483 저점을 만들고 반등중인 모습이며, ㄱ-ㄴ-ㄷ 하락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 0.786 그리고 ㄷ-ㅍ-ㅎ 하락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레벨이 겹치는 15704-15725 구간 위로 종가를 지켜주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ㄴ 저점의 종가라인인 15920과 ㄷ-ㅌ-ㅎ 하락파동 추세확장 0.5레벨이 겹치는 15920-16004구간의 저항을 받고 있으며, 해당 구간은 전일 하락 출현 전 계속하여 지지해준 구간으로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추세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합니다.
추가 하락이 출현 한다면 21년6월 저점과 ㄴ 저점을 이은 자주색 장기추세선까지 하락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ㄷ-ㅌ-ㅎ 하락파동 추세확장 0.786레벨이 위치한 15329 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자주색 장기추세선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다음 지지 기대구간은 ㄱ-ㄴ-ㄷ 하락파동 추세확장 1레벨과 ㄷ-ㅌ-ㅎ 하락파동 추세확장 1레벨이 위치한 15029-14823 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15920-16004 저항을 돌파 한다면 전일 계속해서 저항받았던 노란색 장기추세선과 ㄱ-ㄴ-ㄷ 하락파동 추세확장 0.618레벨인 16234 저항 돌파가 중요하며 노란색 장기 추세선 상향마감 출현시 공격적인 매수대응을 해볼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ETHUSDT 롱 포지션현재 이더는 올라오는 모습이 임펄스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모습이 1파 임펄스 일지 535 ABC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조정이후 추가 상승할 확률이 높다는 것.
그리고 조정 이후 반등이 나와 올라온다면, 공통 숏구간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1:1 (1347)을 넘을꺼라고 생각하고, 제가 생각하는 롱 현재 조정이후 최소 TP는 1: 1.236 자리 (1377)까지 올라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더가 이렇게 올라와준다면 비트 또한 제가 아이디어를 남긴거 처럼 1:1 구간쯤 올라올꺼라 생각하고 있고,
추후 조정 이후 반등이 나와 고점을 갱신한다면, 비트랑 이더 두개의 차트를 지켜보고 좀 더 확률이 높은 쪽으로 숏 포지션 진입을 할 전략입니다.
현재 이더의 최대 조정폭은 382자리(1219) 까지 보고 있으면,
위에 글을 정리하면 1219 -> 1377 까지 조정 이후 상승을 보고 있고, 1377에서 다이버전스 또는 거래량을 보고 숏 포지션을 진입할 전략입니다.
[비트코인] 중기 수렴의 하향 이탈!! 장기 추세선 까지 하락!! 장기 추세선의 지지는 성공 할 것인가?#크랙 #비트코인 #1H
어제 오후부터 지속된 하락세에 하늘색 수렴의 하향이탈이 출현하였습니다.
수렴의 하향이탈 이후 토요일 브리핑에 언급하였던 16258-16163 구간까지 하락한 모습이며 이는 장기상승추세선도 위치한 구간입니다.
현재 ㄴ-ㄷ-ㄹ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1.13레벨인 16163까지 밑꼬리를 남긴 채 1레벨인 16258위로 종가를 지켜주는 모습으로 반등을 노련하는 모습이지만 아직까지는 제대로된 반등세를 보여주진 못하고 있습니다.
만일 지지에 성공하며 반등이 진행 될 경우에는 장기변곡선인 16398, 그리고 ㄴ-ㄷ-ㄹ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0.786레벨이 겹치는 16398-16414 구간이 중요한 저항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16398-16414 구간의 저항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에는 장기상승추세선과 저항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수렴의 모습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398-16414 저항을 돌파 한다면 전일 야간~새벽까지 강한 지지를 해주던 16537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이후 16398-16414 구간이 지지의 역할을 잘 해준다면 하늘색 수렴 상단선 까지도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혹여나 현재 지지중인 장기추세선과 16258-16163 지지구간의 하향이탈이 출현 할 경우에는 ㅌ-ㅍ-ㅎ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구간과 ㄴ-ㄷ-ㄹ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1.618구간이 위치한 15805-15725 구간까지도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피보나치 이해 #3] 피보나치 - 시간 요소 툴 피보나치 - 시간 요소 툴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기술적 분석에서 빠질 수 없는 “피보나치 (Fibonacci) 분석”, 그 세번째 시리즈가 찾아왔습니다.
마지막 4편은 다음주에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
<목차>
<피보나치 이해 #1 : 피보나치 분석의 기초>
- I. 피보나치란 무엇인가
- II. 피보나치 분석
- III. 피보나치 툴
<피보나치 이해 #2 : 피보나치 - 가격 요소 툴>
- I. 가격 요소 (Price Element) 란?
- II.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s)
- III. 피보나치 연장 (Fibonacci Extensions)
- IV. 피보나치 확장 (Fibonacci Expansions)
- V.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3 : 피보나치 - 시간 요소 툴>
- I. 시간 요소 (Time Element) 란?
- II. 숫자셈법 (Number Counts)
- III. 파동셈법 (Wave Counts)
- IV.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 V.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4 : 피보나치 - 가격 + 시간 요소 툴>
- I.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 란?
- II. 팬 (Fan Lines)
- III. 채널 (Channels)
- IV. 아크 (Arcs)
- V. 나선 (Spirals)
- VI. 원 & 타원 (Circle & Ellipses)
------------------------------------
지난 1부와 2부에서는, 각각 피보나치 수열 및 황금 비율의 개념과 가격 요소 (Time Element) 도구를 자세히 다루어보았습니다.
오늘 3부에서는 피보나치 툴 3대 요소 : 가격 / 시간 / 가격 + 시간 중 “시간 요소 (Time Element)” 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트레이딩은 가격의 움직임을 토대로 한 진입 / 목표 설정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격 반전 시점을 예측하는 “시간 요소”는 “가격 요소”에 비해 활용도와 인기가 다소 떨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가격 반전의 “시기”를 적절히 판단하여 보다 효율적인 트레이딩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
I. 시간 요소 (Time Elements) 란?
시간 요소 (Time Elements) 도구는 “시간”에만 근거한 분석 도구로, 가격과 연관된 요소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간 요소 도구 만으로는 가격의 반전 (Price Reversal)이 어느 “시점”에 일어날 지 예측 할 수 있을 뿐, 어 느 레벨 (ex: Top or Bottom)로 일어날 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 즉, 가격 변동이 일어날 시기는 유추 가능하나, 가격 변동 폭은 알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차트의 X축 “시간” 요소 만을 분석에 사용하므로, Y축 “가격” 스케일의 Arithmetic (Linear : 선형) ↔ Logarithmic (Log : 로그) 여부는 분석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단, 시간에 의존하는 특성 상 주식 시장과 같이 개장 시간, 휴일 등의 영향으로 시간 흐름이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 분석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립토 시장의 경우 휴장 개념이 없기 때문에 적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시간 요소 (Time Element)를 적용하는 피보나치 분석 방식은 다음과 같은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숫자셈법 (Number Counts)
② 파동셈법 (Wave Counts)
③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④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이제, 각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II. Number Counts : 숫자셈법
1. 특징 & 한계
기준이 되는 명확한 고점 / 저점 (Significant Peak or Trough)의 캔들 수를 파악한 후, 다음 변곡점은 “피보나치 수에 대응하는 차례의 캔들” 에서 나타날 것으로 계산합니다.
주의할 점은, A-B 구간에 13개의 캔들이 해당한다고 하여, 다 음에 나타날 변곡점 C 까지(B-C)가 꼭 21개의 캔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 입니다. B-C는 8, 13, 21, 34 등 “피보나치 수”에 해당하기만 한다면 상관 없습니다. 연속된 순서의 피보나치 수가 아니더라도 적용이 가능 한 것입니다.
모식도 상 A-B : 13, B-C : 21 이지만, C-D 역시 21임에 유의하십시오. D-E 간의 캔들 수는 34개일 수도, 다시 13개일 수도, 21개로 동일할 수도 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피보나치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Q. 첫 기준은 어디에 설정하여야 할까요?
A : 고점 / 저점 (Peak or Trough) 여부는 관계 없습니다. A-B에 해당하는 첫 기준 구간은 “명확 : Significant” 하다는 전제 하 다음과 같이 자유롭게 적용 가능합니다.
● 고점 - 고점 (Peak to Peak)
● 저점 - 저점 (Trough to Trough)
● 고점 - 저점 (Peak to Trough)
● 저점 - 고점 (Trough to Peak)
🔔 가격 반전의 시점을 예측하는 도구이나, 정확히 해당 순번에 해당하는 캔들이 변곡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전/후 여유 범위를 두고 예측 하여야 합니다.
🔔 채널 분석, 보조 지표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경우 해당 시점에서 가격 반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피보나치 “수열” 이 아닌, 피보나치 “수” 만을 대입하는 것으로, Fn+2=Fn + Fn+1의 규칙성이 지켜지지 않습니다 . 따라서 도구 적용 시 분석가의 주관이 개입될 우려가 높음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이로 인해 시간대 투사, 시간 비율 투사에 비해 신뢰도가 떨어지는 방식 이기도 합니다.
2. TradingView 적용
1) <피보나치 타임존> 툴을 이용한 숫자셈법
TradingView 도구 중 <피보나치 타임존> 툴을 이용하여 숫자셈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본래, 해당 도구는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에 적용하는 도구이지만, 간단한 조작을 통해 쉽게 숫자셈법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임의의 캔들 하나를 설정 후, 바로 인접한 다음 캔들을 이어 클릭 해줍니다. 이 경우, 1에 해당하는 영역이 실제 1개 캔들 수에 대응하므로, 차트 상 나타나는 13, 21, 34, 55... 구간에 실제로 해당 수 만큼의 캔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해당 도구가 차트에 설정되었다면, 이를 클릭 후 드래그하여 원하는 구간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해당 툴을 일종의 “자”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2) 자 도구를 이용한 숫자셈법
< 도구 모음 상 “자” 도구 or Shift + 차트 위 클릭>
툴 바의 “자” 도구를 선택하거나, 차트 상에서 Shift키를 누른 상태로 클릭을 “한 번” 시행하면 직사각형 영역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후, Shift 키를 뗀 상태로 구하고자 하는 지점을 클릭하면, 해당 구간 만큼의 캔들 수 , 날짜 수, 거래량 및 가격 폭을 나타내줍니다.
이를 활용하여, 특정 구간의 캔들 수를 파악 후, 피보나치 수에 해당하는 다음 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적용 예시
숫자셈법을 간단히 적용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편의 상, 차트는 라인으로 표시하였습니다.
고점 & 저점 (Peak & Trough)로 설정된 첫 두 영역은 각각 21개 만큼의 캔들이 속해있습니다. 이후 나타날 변곡점은 13, 21, 34, 55 등 피보나치 수 중 하나가 될 가능성 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후 명확한 저점 (Trough)가 55 캔들→ 34 캔들 만큼의 시점에 등장하였습니다. 분석 시 피보나치 수열을 순차적으로 따르지 않음에 주의 하여야 합니다.
반전의 시점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시간 요소 도구 만으로는 EP, TP, SL 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패턴 분석 및 보조 지표 등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트레이딩 플랜을 세워야 하겠습니다.
------------------------------------
------------------------------------
III. Wave Counts : 파동셈법
1. 특징 & 한계
숫자셈법이 캔들의 “수” 자체를 계산하였다면, 파동셈법은 파동 (Wave)의 수를 계산 합니다. “수”는 피보나치 수에서 착안하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차트 상 나타나는 캔들이 결국 파동을 구성함에 착안한 방식으로, 다음에 나타날 파동의 수를 계산하여 Price Action을 예측 합니다. 유명한 엘리어트 파동이론 (Elliott Wave Theory) 역시, 피보나치 수열에서 기원하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위 모식도 상, 파동은 충격파 (Impulse)와 조정파 (Correction) 로 구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큰 틀에서 충격파 : 조정파 수는 1:1 로 나타나지만, 충격파는 다시 5개의 하위 파동 으로, 조정파는 3개의 하위 파동 으로 나뉘지요. 충격파 5개 하위 파동을 다시 각각 살펴보면, 또 다른 작은 충격 / 조정파들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 1개의 충격파 = 5개의 하위 파동 (충격파 X 3 + 조정파 X 2)
● 5개의 하위 파동 = 21개의 하위 파동((충격파 3 + 조정파 2) X 3 + 조정파 (충격파 2 + 조정파 1) X 2)
로 이어지게 됩니다. 하위 파동으로 갈 수록 1 : 1 → 5 : 3 → 21 : 13 → 89 : 55.... 로 피보나치 수가 나타나는 셈입니다. 이를 파동 프랙탈 (Wave Fractalization)이라 하며 “부분”이 “전체”를 닮는 특성을 보입니다.
🔔 파동 자체의 수를 계산하므로, 충격파↔조정파 간의 전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추세 반전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 습니다.
🔔 파동셈법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한 측면에 해당하므로, 엘리어트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TradingView 적용
파동(Wave)에 피보나치 수를 적용하므로 엘리어트 기법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도구 모음 중, <엘리어트 임펄스 / 코렉션 파동> 툴을 이용하시면, 파동셈법 적용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3. 적용 예시
위 예시의 경우 하나의 큰 🟠 조정파 (Correction) 내부에, 많은 하위 파동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정파는 하위 충격파 🟢 + 하위 조정파 🔴 로 나뉘며, 각각의 하위 파동 내부에는 또 다른 하위 파동이 위치하게 됩니다. 만약, 가격 움직임이 Sub-impulse wave (5) 를 그린 후, Sub-correction Wave (3) 를 다시 그린다면 이후 또 다른 Sub-impulse wave의 등장으로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
------------------------------------
IV. Time Ratio Projections (시간 비율 투사)
1. 특징 & 한계
시간 비율 방식 역시, 가격 반전 (Reversal)이 일어날 시점을 예측하는데 사용됩니다. 구체적인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파동셈법의 한계를 보완하며, 엘리어트 기법과 연계해 사용되곤 합니다.
우선, 기 준으로 삼을 파동의 “기간 (Duration)”을 확인 합니다. 이를 1.000 으로 설정한 후 피보나치 비율 (Fibonacci Ratio)을 기반으로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s : 2편 참고) 를 시간 축에 적용하여, 잠재적 반전 시점을 파악합니다.
Chapter I : 숫자셈법과 마찬가지로, 기준 파동 설정은 다음과 같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합니다.
● 고점 - 고점 (Peak to Peak)
● 저점 - 저점 (Trough to Trough)
● 고점 - 저점 (Peak to Trough)
● 저점 - 고점 (Trough to Peak)
위 모식도에서, A-B를 1번 파동으로 “1.000” 만큼의 기간이라 가정한다면, B를 기준으로 투사 (Projection) 시, 0.618 기간에 해당하는 2번 파동 (B-C), 1.000 기간에 해당하는 3번 파동 (C-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시간 비율 투사법은 다음 가격 반전의 “시점”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다양한 피보나치 비율이 존재하는 만큼, 얻을 수 있는 “시점” 역시 다양합니다. 따라서 신뢰도 높은 시점을 파악하여야 하는 경우, MACD, Stochastic 과 같은 보조 지표를 활용하여 Confluence Zone이 존재하는 시점을 확인 하여야 합니다.
🔔 고점-고점을 기준 범위로 설정하였다고 하여, 산출한 시기에 고점이 나타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가격 “반전”이 나타날 뿐 이므로,고점 (Peak)이 나타날 수도, 저점 (Trough)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TradingView 적용
시간 비율 투사법은 <추세기반 피보나치 시간> 도구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도구는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도구와 같이, 기준점을 3개 설정하여야 합니다.
처음 두 개의 기준점 (① + ②) 설정으로, 기준이 될 고점 또는 저점을 정합니다. 이후 나타나는 비율 투사 값은, 해당 기간을 토대로 비율을 반영한 값입니다.
마지막 세번째 기준점(③)은, 원하는 시점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①을 다시 클릭하여 설정하는 경우, 시간 확장 (Expansion) 의 개념을 적용한 반전 구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② 또는 임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경우, 시간 투사 (Projection) 의 개념을 적용하게 됩니다.
두 방식은 별도의 우열은 가릴 수 없으며, 앞선 방식과 마찬가지로 타 보조 지표 활용을 통한 Confluence Zone 형성 시점을 반전 가능성이 높은 구간으로 생각하여야 합니다.
3. 적용 예시
A-B를 기준 구간으로 삼고, Time Ratio를 A 지점을 기준으로 적용 (Expansion) 한 예시입니다.
1.382 구간에 해당하는 C 지점과, 2.382 지점에 해당하는 D 에서 가격 반전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1.618, 2.000 구간에서는 이렇다 할 Price action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당 도구를 적용하더라도 모든 피보나치 비율 구간에서 가격 반전이 일어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
V. Time Zone Projections (시간대 투사)
1. 특징 & 한계
마지막으로 알아볼 시간 요소 도구는,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방식입니다. III에서 다룬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와 적용 방식은 동일합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 대신 “수”를 사용하는 점 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기준 구간 (A-B)을 설정합니다. 마찬가지로 고점 또는 저점 (Peak or Trough)을 선택합니다. 기준점의 조합은 다음과 같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합니다.
● 고점 - 고점 (Peak to Peak)
● 저점 - 저점 (Trough to Trough)
● 고점 - 저점 (Peak to Trough)
● 저점 - 고점 (Trough to Peak)
기준 범위는 피보나치 수의 “1”에 해당하며, 이를 시작으로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에 해당하는 범위를 구하게 됩니다.
🔔 가격 반전의 시점을 예측하는 도구이나, 정확히 해당 시점의 캔들이 변곡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전/후 여유 범위를 두고 예측 하여야 합니다.
🔔 채널 분석, 보조 지표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경우 해당 시점에서 가격 반전 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TradingView 적용
<피보나치 타임존> 도구를 사용 합니다. 원하는 범위를 설정해주면, 이후 피보나치 수열에 따른 구간이 차트 상에 나타나게 됩니다.
피보나치 수 값 및 표현되는 색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적용 예시
BTC 일봉에서 적용한 예시입니다. 기준 구간 (A-B)의 피보나치 수열에 해당하는 시점🔵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 E는 각각 13, 21 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명확한 변곡점이 관찰됩니다. 그러나 C의 경우 8 부근에 등장하였으나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모습 을 보입니다.
따라서 시간 요소 도구를 사용하여 반전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 전/후로 약간의 편차 가 존재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
VI. 요약 & 정리
이번 시간에는 피보나치 : 시간 요소 도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전 가격 요소에 비해 내용이 상대적으로 가볍게 느껴지셨을 것입니다.
4가지 분석 기법 : 숫자셈법 (Number Counts), 파동셈법 (Wave Counts),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모두는 잠재적 가격 반전이 “언제” 일어날 지를 알려줄 뿐 , 어느 가격 수준 (Price level) 일 지, 천장 또는 바닥 (Top or Bottom) 일 지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난 가격 요소 기법과 마찬가지로, 단독 적용을 통한 예측은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타 보조 지표와의 활용을 적극 권장 하는 바입니다.
1) 피보나치 시간 요소 도구에는 숫자셈법 (Number Counts), 파동셈법 (Wave Counts),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4가지가 있다.
2) 이들은 가격 반전의 “시기” 만을 알려줄 뿐, 가격 수준과 천장/바닥 여부를 알려주지 못한다.
3) 숫자셈법 (Number Counts)는 캔들의 수에 피보나치 수를 대입하는 방식이다.
4) 파동셈법 (Wave Counts)는 파동의 개수에 피보나치 수열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5) 시간 비율 투사 및 시간대 투사 (Time Ratio & Zone)은 각각 피보나치 비율과 수를 사용하는 것이 다를 뿐, 적용 원리는 같다.
6) 설정한 기준 범위에 따라 결과가 판이할 수 있으므로, 명확한 변곡점 (Significant Peak or Trough)의 설정과 보조 지표와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다음 시간에는 피보나치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상으로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본 글의 저작권은 Yonsei_dent에 있습니다.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비트코인] 중기 수렴 하단 지지중!! 주말 동안 수렴하면 노잼...#크랙 #비트코인 #1H
전일 오전 수렴 상단의 저항을 확인한 이후 지속된 하락추세로 수렴 하단까지 도달한 모습입니다.
수렴 하단선의 지지확인 이후 반등을 시도하였으나 장기 변곡구간인 노란색 박스구간의 저항을 받으며 수렴 하단선의 지지를 다시 확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수렴의 하방이탈이 출현 한다면 ㄱ-ㄴ-ㄷ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추세 확장 0.13레벨과 11일~14일 하락추세의 FRVP HVP 구간이 위치한 16553-16510의 지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6553-16510 지지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ㄴ-ㄷ-ㄹ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 1레벨~1.13레벨과 ㄱ 저점, 그리고 장기상승추세선이 위치한 16258-16163 구간까지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수렴 하단선의 지지가 성공하며 다시한번 반등한다면 노란색 변곡구간의 저항돌파가 중요하며, 저항 돌파시에는 수렴 상단과 11일~14일 하락추세 FRVP POC, 그리고 ㄱ-ㄴ-ㄷ 상승파동 피보나치 추세확장 0.5레벨이 위치한 16864-16854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수렴의 상승돌파가 출현 한다면 ㄴ 고점과 FRVP HVP가 위치한 17080 또는 전일 오전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17318-17439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위태위태한 비트코인, 현재 구간 엘리엇파동 분석현재 엘리엇파동상 가장 확률 높아보이는 카운팅입니다.
수렴 관점입니다.
15.5k 저점 지점부터 18.2k까지 수렴 A파로 보고 있습니다. 소파동은 abc로 쪼개지고, A값과 C값의 비율이 1:1.382로 딱 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abc로 내려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b파는 수렴으로 출현했으며, 수렴 거래량 또한 충족했기 때문에 abc(b파 수렴이 성립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A값과 C값의 비율은 1:0.618로 딱 맞아떨어졌네요.(A값에 비해 C값이 짧은 경우)
현재 구간을 분석해보면, 큰 수렴 C파 abc 안에서 b 수렴이 나오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B-b와 마찬가지로 수렴 거래량이 충족되기 때문에 수렴으로 볼 수 있고, 수렴 추세라인도 잘 지켜주고 있습니다.
현재 구간은 C-b-e로 살짝 조정 후 C-c 상승이 가능한 구간입니다. (수렴 e파는 절단이 나올 수 있으니 숏 포지션은 주의)
이후 큰 수렴 D파, E파가 출현하며 수렴의 끝자락을 만들 것 같고, E파가 완성될 즈음에 한 방향으로 튀며 크게 방향성이 나올 것으로 예측 중입니다.
현재 구간에서는 C-b 상단 추세선을 돌파할 경우 롱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이 가장 괜찮은 매매일 것 같네요!
여전히 시장에 부정적인 이야기들이 오가고 있습니다. 변수에 항상 주의하고 대응 위주로 매매합시다!
[비트코인] 드디어 상승추세 가는거냐? 아니면 또렴이냐???#크랙 #비트코인 #1H
전일 야간 출현한 상승세로 하락채널의 상향돌파가 출현한 뒤 오늘 아침부터 상승세를 이어가며 다시한번 단기고점을 높혀주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하락채널을 만들어주는 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파란색) 0.618레벨과 14일 15일 고점을 이은 추세선의 저항을 받으며 상승이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현재는 단기적인 눌림이 출현하는 모습으로 11일부터 14일까지 하락한 FRVP POC 구간과 파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0.5레벨이 겹치는 16864-16854 구간의 지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위 구간에서 지지가 성공 하며 상승세를 다시 이어간다면 하늘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레벨~1.13레벨, 그리고 11일~14일 하락추세에서 단 한번도 체크하지 않은 HVP인 17394가 겹치는 17318-17439 까지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864-16854 구간의 지지가 실패 하며 하락추세로 변곡 될 경우에는 하늘색 추세선들로 이루어진 수렴의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하며, 이때 파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0.13레벨과 HVP, 그리고 하늘색 추세선이 겹치는 16510-16553 구간까지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하단에서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수렴 연장의 가능성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어디서 떨어지려나?안녕하세요?
저의 포스팅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기록 + 그냥 저렇게도 하는구나 하는 흥미 정도 이므로, 설명이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양해 바랄께요!
이번에는 하모닉 + 피치포크를 활용한 매매입니다.
상승 피치포크라인과 하락 피치포크 라인이 겹치는 구간을 돌파하는 모습니다.
왼쪽 피치포크 0.382 (연한녹색) 라인을 반등하고 0.618까지 돌파 및 지지하였으나, 1:1구간 (진한파란색 라인)은 시도조차 못하고 떨어졌습니다.
다시 0.618 라인을 지지하고 반등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하락 피치포크의 0.618 구간에서 떨어질껄로 생각하고 숏 걸었다가, 매수세의 힘이 있다고 판단해 아래로 살짝 빠질때 초 소액 익절했습니다.
작성하는 중에 저의 느낌~ 대로 반등을 하는 모습입니다.
다음 저항은 중간에 그린 빨간 화살표, 즉 하락 피치포크의 1:1구간입니다. 아주 강력한 저항구간이므로 맞고 떨어질 확률이 제일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피치포크 만으로 매매를 하기에는 저는 아직 멘탈이 약하므로, 하모닉이 같이 들어가 있는 구간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파란색 라인을 뚫고! 더 간다면, 제일 상단의 하락 피치포크의 1.5 구간인 진한 보라색 라인까지 (피보나치 확장을 그으면 1.618자리와 유사하게 나옵니다.) try 할걸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박쥐 패턴이 완성되며, 보라색 구간은 추세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아주 강려크한 저항 구간이므로, 매우 강력한 하락을 만들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앞선 포스팅 처럼 패턴을 안만들고 내려가는 경우도 허다하지만, 중요한 구간에는 변형되었지만, 패턴을 만들고 간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다수의 시장 참여자들이 보는 강력한 자리라면, 지지나 저항이 어마어마 할테니깐요!
요약 : 제일 상단 빨간화살표인 피치포크 1.5 저항구간 + 하모닉 박쥐패턴 + 1:1.618 ABC 저항구간 = 강력한 저항! Sell!!!!!!!!!!!!!!!!!!!!
[비트코인] 대수렴 상단선은 회전문....#크랙 #비트코인 #1H
대수렴 상단선을 사이에 두고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입니다.
전일 1시간봉 10연속 음봉을 만들며 청록색 하락채널의 하향이탈이 약간 출현하였지만 바로 양봉을 만들어주며 하락채널 상단선과 이전 단기수렴 하단선이 위치한 구간까지 상승한 모습입니다.
현재 하늘색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0.382레벨에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이지만 새벽중 출현한 상승세가 이어지며 상승돌파 한다면 하락채널의 상승돌파로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청록색 하락채널 상승돌파 한다면 청록색 피보나치 추세확장의 0.618레벨인 16963까지의 단기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직전 고점인 17002를 돌파 해 준다면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레벨 그리고 hvp라인인 17394가 위치한 17318-17439 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저항받고있는 청록색 하락채널 하단, 하늘색 단기수렴 하단, 하늘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0.382레벨, 청록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0.382레벨 총 4개의 저항이 겹치는 구간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청록색 하락채널이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떄는 다시한번 대수렴 상단선의 지지여부가 중요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일 눌림 출현시 대수렴 내부로 재진입 한다면 지난 브리핑들에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역시 16000-15954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대수렴 상단선에서 단기수렴 진행중#크랙 #비트코인 #1H
전일 ppi 예상치 하회 발표 이후 매수세가 출현하며 대수렴 상단선을 돌파 하였지만 전고점인 17185.40을 갱신하지 못한 채 수렴 상단을 사이에 두고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입니다.
11월 11일 부터 11월 14일까지 진행된 하락추세의 poc 레벨인 16864를 사이에 둔 채 상단 매물대와 하단 매물대인 17080~16674 사이 횡보하는 모습으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고점을 갱신하지 못한 채 하락하며 저점을 높혀주는 모습으로 작은 모습의 수렴 가능성도 보이고 있으며, 조금 더 단기적인 관점에선 상승채널을 만들어 가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대수렴 상단선 돌파 이후 고점을 넘기지 못하였기 때문에 대수렴 연장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기 수렴 및 단기 상승채널의 하향이탈이 출현 한다면 대수렴 하단까지의 하락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장기 또는 중기 관점에서 상승추세를 기대하기 위해선 17185 고점을 갱신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갱신 한다면 단기 상승채널 상단과 11일 오후 내내 매물대를 만들어준 구간의 poc인 17394 부근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대수렴 내부로 재진입 하며 단기수렴과 상승채널의 하향이탈이 출현 한다면 단기적으론 16553-16508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론 대수렴 하단선이 위치한 16000-159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보여집니다.
[쇼빗] 221116 비트코인차트의 엘리엇파동 카운팅과 그에 따른 타점 공유와썹요 형들 느슨해진 국빗에 긴장감 주는 쇼빗이야
지난번 퍼블리시한곳에서 상승중이네
여기서 0.5 찍고 abc로 바로 흐를 가능성도 당근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표나 파동 상 바로 고꾸라질 시그널은 잘 확인이 안되는듯?
그렇기에 난 롱 홀딩하려고 해
하락 메이저 3파 후 4파가 abc로 나오는 것이라 예상되는데 b파를 거의 플랫에 가깝게 되돌림을 주었기에
거의 러닝플랫에 가까운 되돌림이었기에 나올 시 임펄스 등의 어느정도 빠른 속도의 상승이 나올거라 기대돼
느슨하게 오른다면 수렴일 가능성이 있겠지
그렇기에 어느정도 반익을 해야될 지점은 수렴부 상단이라 예측되는 지점이라 생각해 거기서 고꾸라질 수 있거든
가격대는 차트상에 표기 해 두었어
난 그 쯤 2/3정도 익절을 지정가로 걸어놨는데 잘 오를까 모르겠어
오늘 얘기할건 여기까지고
국빗은 쇼빗 선에서 정리되는거 알지?
그럼 형들 오늘도 할일 충분히 하면서 즐겁게 매매들 해!
cya
[비트코인] 또또또... 수렴이냐?#크랙 #비트코인 #4H
전일 오후 출현한 급등으로 인해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하였지만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 모습입니다.
저점을 높혀주며 출현한 반등세로 고점을 높혀주는 움직임을 기대하였지만 초록색 피보나치 확장 1레벨의 저항을 넘어서지 못한 채 다시 하락한 상황입니다.
현재는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은 높아지는 수렴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수렴의 이탈 전 까지는 최대한 수렴 상단과 하단에서의 대응이 최선으로 보여집니다.
수렴 상방 돌파가 출현 한다면 높아진 저점을 기준으로 평행채널을 그려볼 수 있으며, 이때 평행채널 상단과 9일 하락중 만들어주었던 추세 반대 캔들, 그리고 단기,중기 피보나치 추세확장 0.618레벨들이 위치한 18253-18670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수렴 하방 돌파가 출현 한다면 진행중인 하락 파동의 피보나치 1레벨과 여러 단기,중기,장기 피보나치 중요 레벨이 겹치는 11991-12217 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변형 가틀리안녕하세요?
두번째 포스팅 입니다.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다른분들에게 자랑? 혹은 도움? 의 목적보단 제 개인적인 매매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함이니, 재미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인적인 매매방법은 엘리엇 파동에 의한 파동분석 및 하모닉패턴의 조합 입니다.
파란색 새로 줄 까지가 한파동으로 보았고, 이후 부터 조정 파동으로 봤습니다.
파란색 줄 부터 0.618자리까지는 명확하다고 보기 어렵지만, 나름대로 임펄스만 봤을땐 충분히 가능한 자리라 생각했습니다.
0.618 자리 반등이라 생각하고, 가틀리가 발생한다고 봤을때, 0.786자리가 오기를 기다렸습니다.
또한 파란줄 부터 0.618 자리를 A, 짧은 반등을 B로 보고 C가 1:1인 자리를 매매하려고 했으나, 미세하게 조금더 위에서 반등했습니다.
그래서 1:1자리는 페이크라 보고, 1.13자리에서 다른 조정파동의 피보나치 확장을 그어보고, 1.13자리가 중요한 자리라 판단했습니다.
딥 가틀리의 0.886...
그리고 하모닉의 경우, 정확하게 비율을 맞춰주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은거 같습니다. 나름대로의 변형?을 해야 좀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거 같네요!
현 시점에서 살펴보아야 할 크립토 시장 차트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현재 크립토 시장이 FTX 파산의 여파로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 시점에서 우리가 짚어보아야 할 몇 가지에 대한 생각을 풀어나가 보겠습니다.
시총이 현재 많이 빠졌습니다. 고점은 거의 3T(Trillion )즉, 3조원 달러(한화 아님) 에서부터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인데,
지난주만 해도 그래도 트릴리언 단위를 유지하였는데 지금은 쭉 빠져 현재 763B(Billion(빌리언))에 그칩니다.
참으로 안타깝죠.
이 숫자는 어느 정도냐면 애플 시총은 약 2.3 T , 아마존이 약 1T, 그리고 테슬라가 약 620B입니다.
즉 암호화페 크립토 시장 전체를 다 합친 시총은 잘나가는 미국 기업 한 개정도의 크기 입니다.
그럼 TOTAL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하모닉 패턴으로는 현재 나비 패턴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으나, 만약 내려온다면 주봉상 상다(상승 다이버전스)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RSI라는 것은 조심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 영역에서 해결이 나지 않은 채로 지속될 수 있는데 이것은 지표의 한계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이상에서는 잡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다이버전스가 예상이 된다면, 항상 기다리고 확인하는 전략을 가지는 것이 정석입니다.
2번째는 H&S 헤드앤숄더 패턴입니다. 결국 이런 식으로 큰 거품을 의미하는 헤숄 패턴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헤숄 패턴을 판별하는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래량을 중요시하게 판단하거나, 비율을 중요시하게 판단하거나 모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죠.
사실 거래량이라는 것은 속일 수가 없으며 사람들의 심리에 의해 선행 될 수 있다는 의견 때문에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코인이라는 것은 거래량 집계라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생각됩니다.
하모닉 식별에서 중요한 것은 비율입니다. 자세히 말하면 비율을 통해 패턴 인식을 하는 것입니다.
하모닉 헤드앤숄더 패턴의 본질은 비율을 판별함으로써, 수많은 헤드앤숄더 패턴 후보군 중 비율이 맞지 않는 패턴들을 제거하고
헤드앤숄더 패턴에 비율을 입혀 잘 판별하여 트레이딩에 써먹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프렉탈을 단순한 캔들 움직임으로 보면 제가 제시한 이 두 패턴의 비교가 다르다 할 수도 있습니다.
추세선을 그어 거래량적으로 보았을 때, 오른쪽 패턴은 이미 저점을 아웃한 상태입니다.
또는 아직 큰 거래량은 출연을 안 한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른쪽의 차트는 하모닉 헤드앤숄더 패턴이고, 왼쪽의 비트코인의 차트는 현재 완료가 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단순히 캔들의 모양을 본다면 다를 수도 있으며,또 거래량이 모인 구간과 함께 추세선을 그어보아도 다르다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비율을 입힌 본질적인 하모닉 헤드앤숄더 패턴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어쩌면 비슷할 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패턴으로 본다면 어깨의 왼쪽에 머리를 향한 확장 하모닉 패턴이 있고, 오른쪽에는 AB=CD 패턴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AB=CD 패턴의 비율이 아주 정확하게 떨어지질 않습니다.
헤드앤숄더패턴은 머리만큼 떨어지던가 일반적으로 어깨 대비 AB=CD 패턴의 완성으로 결판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번 이래저래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 아이디어를 게시해봅니다.
하모닉 패턴은 찍고 D에서 올라가는 것이 아닌 여러 영역 중에서 올라갈 수 있으므로 ,섣부르게 판단하면 안되고
영역에서 초과 허용하는 영역이 있으니 거기까지 염두하시고,
주봉상 다이버전스가 완성된다면 어떻게 반응할지 궁금합니다. 다이버전스라는 것은 걸리면 강하게 반등한다는 것인데,
시장의 심리가 강하게 반응하려면, 지금으로서는 펀더멘탈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어떤 시장의 견고함을 뒷받침 되어 줄 수 있는 이슈가 필요하고, 그 심리가 결국에 시장을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시장의 큰 추세는 수요와 공급이며 그 매수/매도'세'라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의해 결정된다라 생각하며,
이번 이슈는 그 본질에서 벗어날 수 없다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시장이 잘 버텨 주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봅시다. 🤗
강하게 하락 중인 비트코인, 바닥이 어디일까 ?최근 오랫동안 저점이었던 17.6k가 아래로 뚫리며 비트코인이 아주 강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저점을 갱신하며 계단식 하락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일봉 규모의 큰 그림에서 비트코인 반등 지점을 찾아보겠습니다.
먼저 69k(신고점)부터 내려오는 일봉 하락 추세선입니다.
세 차례 저항을 맞았으나, 이후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며 단기적으로 반등이 꽤 나왔습니다.
그 이후 현재 하락 중인 모습, 아직은 이 추세선보다 위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혹시나 아주 강하게 하락한다면, 이 추세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추세선 각도가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아주 강한 하락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터치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됨)
*혹시나 이 추세선을 하방이탈할 경우 시장상황이 매우 안 좋게 흘러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봉상 가장 강력한 매물대 라인입니다.
18.6k~18.8k라인인데요, 해당 구간이 원래는 지지구간으로 작용했지만 매물대 하방이탈 이후 현재는 저항구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을 뚫고 지지해준다면 그 이후 당분간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승이 나올 시 체크해야할 라인이 되겠네요.
만약 현재 상황에서 추가적인 저점갱신이 발생하고 크게 하락할 경우 12.4 ~ 12.6k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고점부터 세 개의 파동으로 쪼개어(빨간색 박스 - 초록색 박스 - 빨간색 박스) 피보나치 확장값을 사용해보았을 때, A값과 C값이 1:1이 되는자리가 12.5k입니다.
그리고 2019년 - 2020년 형성했던 고점이 겹치는 자리입니다.
이 구간이 이전에는 고점으로 저항선으로 작용하였지만, 돌파했었기 때문에 현재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1:1자리와 이전에 형성했던 고점 지지선이 겹치는 자리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구간으로 보여지네요!
FTX 이슈부터 시작해서 비트코인 시장의 신뢰도가 조금씩 흔들리고 있습니다. 장에 변측적인 요소도 너무 많이 작용하고 변동성도 강해져,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뇌동매매에 주의하시고, 부디 현명한 투자하시길 바랄게요!
[비트코인] 주말 동안 지켜주던 4H 오더블럭 지지 실패.... #크랙 #비트코인 #4H
주말동안 지지해주던 4H 오더블럭(16400-16756) 구간의 하향이탈이 출현 하였습니다.
아직 하향이탈 이후 첫 4H 캔들이 만들어지는 중이며 밑꼬리를 길게 만들며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이지만 계속 지지해주던 4H 오더블럭의 하향이탈로 쉽게 반등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보여집니다.
현재 반등을 시도하는 구간은 장기하락파동인 69k-33k-48k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빨간색) 0.886레벨, 중기하락파동인 33k-17.6k-25.2k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주황색) 0.618레벨, 그리고 단기하락파동인 18.7k-15.5k-18.1k 하락파동의 피보나치 추세확장(초록색) 0.618레벨이 겹치는 16254-16067 구간입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위 구간에서의 장기적, 중기적 반등 가능성을 기대하며 낮은 비중의 매수를 진행해 볼 수 있지만 현재 암호화폐 시장 상황은 대형 거래소의 파산이후 타 거래소들에 대한 조사들도 이루어 지고 있어 또 다른 거래소 이슈가 출현할 지 모르는 아슬아슬한 상황으로 장 상황을 조금더 지켜보는것이 안전하다고 보여집니다.
아직은 매도세가 우위인 장세로 15569 저점을 지켜주는지 여부도 확인해야 하며 중요 저항들이 상방에 다수 존재하기 떄문에 매수에 대한 메리트가 좋지 않은 모습입니다.
지속적으로 상술한 16254-16067 구간의 지지가 이루어 진다면 단기적으로 반등추세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떄 16606은 중요한 저항으로 보여지며 어제 야간에도 16606 하향마감 이후 하락이 가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H 기준 16606 상향돌파 마감시에는 공격적인 매수대응을 해볼 수 있을것으로 확인되며 이때는 단기적으론 16963, 중기적으론 17500, 장기적으론 18183고점을 갱신하는 움직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254-16067 구간의 지지마저 실패 한다면 15569 저점을 갱신하려는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6월 17.6k 저점과 11월10일 15.5k 저점을 이은 노란색 지지선에서의 반등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반등에 성공할 경우에는 더블바텀의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지지에 실패 할 경우에는 이전 브리핑들에서 계속 언급하였던 12k 구간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피보나치 이해 #2] 피보나치 - 가격 요소 툴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기술적 분석에서 빠질 수 없는 “피보나치 (Fibonacci) 분석”, 그 두번째 시리즈가 찾아왔습니다.
남은 3, 4부작을 매 주 차례로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
<목차>
<피보나치 이해 #1 : 피보나치 분석의 기초>
- I. 피보나치란 무엇인가
- II. 피보나치 분석
- III. 피보나치 툴
<피보나치 이해 #2 : 피보나치 - 가격 요소 툴>
- I. 가격 요소 (Price Element) 란?
- II.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s)
- III. 피보나치 연장 (Fibonacci Extensions)
- IV. 피보나치 확장 (Fibonacci Expansions)
- V.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3 : 피보나치 - 시간 요소 툴>
- I. 시간 요소 (Time Element) 란?
- II. 숫자셈법 (Number Counts)
- III. 파동셈법 (Wave Counts)
- IV.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 V.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4 : 피보나치 - 가격 + 시간 요소 툴>
- I.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 란?
- II. 팬 (Fan Lines)
- III. 채널 (Channels)
- IV. 아크 (Arcs)
- V. 나선 (Spirals)
- VI. 원 & 타원 (Circle & Ellipses)
---------------------------------
지난 시간에는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 비율의 개념을 되짚고, 왜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지 및 어떻게 사용되는지 간략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오늘 2부에서는 피보나치 툴 3대 요소 : 가격 / 시간 / 가격 + 시간 중 “가격 요소 (Price Element)”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부를 아직 확인하지 못하신 분께서는 꼭 읽어보신 후 본 편을 접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
---------------------------------
I. 가격 요소 (Price Element) 란?
1. 가격 요소의 특징
피보나치 도구를 사용해 도출한 특정 가격 구간은 심리적 유인력이 큰 영역 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범위에서 가격의 반전 또는 일시적 지지 / 저항의 등장을 기대하는 심리가 작용하므로, 가격 반응 (Price Reaction)이 일어남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격 요소를 기반으로 한 피보나치 도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반영되지 않고 , 오로지 가격 수치 만을 토대로 가격의 반응과 반전 구간을 예측합니다.
따라서 차트의 X축인 “시간”의 흐름과 관계없이 일정한 예측 가격값 (Y축)을 보여주는 정적 (Static) 도구 라 할 수 있으며, 작도 시 분석 값이 수평선으로 차트에 나타나므로 수평 피개적 (Horizontal Overlay) 도구 로도 불립니다. 주식 시장의 경우 개장 시간, 휴일 등의 영향으로 시간 흐름이 연속적이지 않으며 (시간 공백) 이로 인한 시간 왜곡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 더욱 유용합니다.
2. 가격 요소의 종류
지난 시간에 다룬 피보나치 수 & 비율 (Fibonacci Numbers & Ratios)은 잠재적 지지 및 저항 구간 (Support & Resistance Level) 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하였습니다. 이는 다음 4가지 도구를 토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① 되돌림 : Retracements
② 연장 : Extensions
③ 확장 : Expansions
④ 투사 : Projections
이들의 정의 및 양상은 엄연히 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부 투자자 및 플랫폼에서는 해당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각각의 정의를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1) 피보나치 되돌림 : Retracements
“되돌림 (Retracement)” 은 가격이 명확한 고점 (Peak)을 형성한 후 하락 (Decline)이나 조정 (Correction) 또는 명확한 저점 (Trough)를 형성 한 후 상승 (Rally) 을 보이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되돌림 수준은 명확한 고점 + 저점 사이의 가격 범위 (Price Range) 내에서”만” 존재합니다. 즉, 가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되돌림이라 할 수 없음 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되돌림은 상방 (Upside) 또는 하방 (Downside) 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서로 반전된 형태를 보입니다.
---------------------------------
2) 피보나치 연장 : Extensions
“연장 (Extension)” 은 가격 되돌림이 100% 구간을 초과하는 경우 를 의미합니다. 되돌림이 가격 범위 (Price Range) 를 넘어 진행되는 경우 가 연장 (Extension)인 셈입니다.
상방 연장 (Upside Extension)은 상방 되돌림이 직전 고점 (Previous Peak)을 넘어 진행하는 것을, 하방 연장 (Downside Extension)은 하방 되돌림이 직전 저점 (Previous Trough) 보다 내려가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3) 피보나치 확장 : Expansions
“확장 (Expansion)”은 연장 (Extension)과 유사하나 사뭇 다른 점이 있습니다. 연장이 직전 가격 범위의 추세를 “되돌리는” 것이 더욱 길어진 것이라면, 확장은 되돌아가다 말고 다시 기존 추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 을 의미합니다. 위 모식도를 보시면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 확장(Expansion)의 형태 안에 연장(Extension) 이 숨어있습니다 ! 즉, 확장 (Expansion)은 연장 (Extension)의 변형인 셈이며,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가격 범위 (Price Range)를 설정할 명확한 고점 (Peak) 및 저점 (Trough)의 설정 여부 차이 입니다.
동일한 고점, 저점을 설정하였다면 확장 (Expansion)은 연장 (Extension)과 반대 방향 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
4) 피보나치 투사 : Projections
“투사 (Projection)”의 사전 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사>(현 상황을 근거로 한 규모·비용·양 등의) 예상, 추정, 투사, 투영
이는 어떤 상황에 대한 해석, 판단에 기존 상태를 반영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용어에 대한 감을 익히셨다면, 위 모식도를 통해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상방 투사 (Upside Projection)의 경우, 설정한 가격 범위 (Price Range : A-B) 이후 나타난 저점 (Higher Trough : C) 으로부터, 범위 폭 (A-B) 에 피보나치 비율 (R) 을 곱한 만큼 가격이 상승 (P)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 때문에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는 “ABC Projection” 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 B-C를 기준으로 P를 B-C의 연장 (Extension)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 관점의 차이이므로 내용 상 대립하지 않습니다.
---------------------------------
5) 피보나치 도구를 이용한 EP, SL, TP 설정
피보나치 도구는 평행 채널, 패턴 등의 분석과 같이 적용되었을 때 더욱 신뢰 를 갖출 수 있습니다. 위는 하락 채널에서 ABC projection을 적용한 경우, 숏 → 롱 포지션으로의 EP / SL / TP 설정에 관한 예시입니다.
C를 기준으로, 하락 채널의 하단 추세선과, 127.2% 구간이 중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C 지점 이후, 상단 추세선의 저항 돌파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100~127.2 % 구간을 TP로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후, 하단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 반전이 일어나는 경우, 롱 포지션으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
II.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s)
1. 되돌림 : Retracements
기존 추세가 반전되는 경우, 이어져 온 추세를 되돌리는 가격 반응 “되돌림”이 나타날 수 있다 하였습니다.
Q. 되돌림 구간은 어떻게 설정하여야 할까요?
A : 23.6 %, 38.2 %, 50.0 %, 61.8 %, 78.6 % 를 보편적으로 사용합니다.
1) 대중적인 수로 해당 가격 범위 (Price Range)를 나누어보는 것
▶ 50.0 %
일반 연산에서 자주 사용하는 10, 5, 4, 3, 2 의 수로 100% 구간을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50% 구간대🟥 가 가장 많이 중첩됨을 알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1부에서 언급한 Dow, Gann, Pivot 간의 유사 되돌림 영역대 (Retracement Band ) 와 같은 논리입니다.
2) 피보나치 황금 비율을 사용하는 것
▶ 23.6 %, 38.2 %, 61.8 %, 78.6 %
1부에서 설명한 피보나치 수열을 통한 황금 비율 (Divine Proportion)으로 위와 같은 수치를 구할 수 있습니다.
2. 상방 되돌림을 이용한 저항 구간 예측
상방 되돌림 (Upside Retracements)은 잠재적 저항 구간을 구할 시 사용됩니다.
공식 : 저점 (Trough) (B) + (범위 값 (R) X 되돌림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A) - 저점 (B)
3. 하방 되돌림을 이용한 지지 구간 예측
하방 되돌림 (Downside Retracements)은 잠재적 지지 구간을 구할 시 사용됩니다.
공식 : 고점 (Peak : B) - (범위 값 (R) X 되돌림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B) - 저점 (A)
4. TradingView 적용
TradingView 도구 중 <피보나치 되돌림> 툴을 이용하여 쉽게 되돌림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차트 상 원하는 고점 / 저점을 순서대로 설정하면 해당 가격 범위를 기준으로 한 피보나치 되돌림이 그려집니다.
설정에서, 0~1 사이의 값 만을 보이게 설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 수치 또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상방 ↔ 하방 되돌림 적용 시, 각 지점 (A,B)를 클릭하는 순서 에 따라 되돌림의 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으니 순서 설정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5. 2중 / 3중 / 다중 되돌림 (2 / 3 / Multi-Legs Retracements)
만약 피보나치 되돌림을 하고자 할 때, 설정한 가격 범위 사이에, 또 다른 명확한 고점 / 저점이 있다 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요? 위 그림과 같은 경우를 2중, 3중 , 다중 되돌림 이라 합니다. 여러 고 / 저점이 있으므로 가격 범위를 여러 군데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규칙이 하나 있습니다.
“고점 - 저점으로 설정한 범위가, 뒤에 이어서 등장할 임의의 가격 범위를 포함 (Engulf) 하는가?”
위 규칙만 지킨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다중 되돌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AF, CF, EF로 3중 되돌림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세 범위 내에서 각각 피보나치 비율을 적용한다면, 되돌림 구간이 서로 겹치는 경우가 나타납니다. 이를 Cluster or concentration → Fibonacci confluence (피보나치 융합대) 라고 하며 해당 구간은 높은 신뢰도를 지닐 것으로 간주합니다.
일봉, 주봉 이상의 거시적 타임프레임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삼각 / 쐐기 / 깃발형 패턴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중 되돌림 설정 시 주의사항>
1) 명확한 고점 / 저점을 찾는 것이 기초
2) 저점 + 고점 선택을 통해 범위 (Range)를 설정하여야 하며, 고점- 고점, 저점-저점으로 설정하지 않도록 주의
3) 되돌림은 설정한 가격 범위의 0~100 % 내에서만 존재하므로, 이를 넘어서는 경우 무효화 (invalidating)
---------------------------------
---------------------------------
III. 피보나치 연장 (Fibonacci Extensions)
1. 연장 : Extensions
연장 (Extension)은 되돌림 (Retracemen)을 통한 가격 조정이 100% 를 넘어 진행 되는 상태라 말씀드렸습니다. 연장(Extension)에서 주로 사용하는 피보나치 비율을 다음과 같습니다.
- Fibonacci Ratio Based: 127.2% / 161.8% / 261.8% / 361.8% / 423.6% / 461.8%
- Multiples of 100% Based : 200% / 300% / 400%
2. 상방 연장을 이용한 저항 구간 예측
되돌림 (Retracement)과 마찬가지로, 잠재적 저항 구간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공식 : 저점 (Trough : B) + (범위 값 (R) X 연장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A) - 저점 (B)
3. 하방 연장을 이용한 지지 구간 예측
하락 되돌림을 통한 조정이 연장되는 경우 어느 구간에서 지지(Support)를 나타낼 지 예측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공식 : 고점 (Peak : B) - (범위 값 (R) X 연장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B) - 저점 (A)
4. TradingView 적용
되돌림과 동일하게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만약 연장 (Extension) 값만 활성화를 원할 시, 100% 이상 값에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 되돌림 + 연장 값을 모두 보이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
IV. 피보나치 확장 (Fibonacci Expansions)
1. 확장 : Expansions
연장(Extension)이 고점 - 저점으로 이루어진 기존 가격 범위의 “방향과 반대”로, 되돌림하며 진행된다면 (ex. 하락세를 보이던 price action이 저점 형성 후 반등하여 상방 연장 되는 경우) , 확장은 기존 가격 범위의 방향대로 진행되는 경우를 의미함 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서로의 진행 방향이 반대를 보이기 때문에 Expansion은 Failed Extension, Inverted Extension 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용하는 피보나치 비율도 연장 (Extension)과 동일합니다.
- FIbonacci Ratio Based: 127.2% / 161.8% / 261.8% / 361.8% / 423.6% / 461.8%
- Multiples of 100% Based : 200% / 300% / 400%
위 모식도 상, A → B로 하락하던 차트는 일시적으로 반등하다 변곡( X : 🟠) 하며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저점 (B) 로 그어진 가상의 지지선을 돌파하며 하락하는 경우 그 정도를 피보나치 비율로 구하게 되는 것이 “확장 : Expansion”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림 상 A-B를 기준으로 한 확장 (Expansion)이 가능한 것은 알겠으나, B-X 를 기준으로 하면 연장 (Extension)으로 보는 것이 가능할 지 의 여부를 말이지요.
정답은 “A, B, X 와 같은 변곡점 (Inflection point)”들의 “명확한” 변곡점 여부 에 달려 있습니다. 확장은 “X” 가 명확한 변곡 지점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이 때문에 확장 (Expansion) 구간을 계산 시, “X” 로 인한 일시적 되돌림은 계산에 전혀 반영되지 않습니다. 만약 “X”가 분명한 변곡점일 경우, B-X를 기준으로 한 연장 (Extension) 및 A-B-X를 통한 투사 (Projection) 모두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분명한 지점일 경우, A-B를 기준으로 한 확장 (Expansion)만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명확한 정도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보나치 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택한 변곡점에 <거래량의 동반, 강한 기존 추세, 반전 캔들의 등장 여부> 와 같은 추세의 명확한 반전 지점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여러 근거가 따라주어야 합니다.
2. 상방 확장을 이용한 저항 구간 예측
공식 : 저점 (Trough) (B) + (범위 값 (R) X 확장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Peak) - 저점 (Trough)
3. 하방 확장을 이용한 지지 구간 예측
공식 : 고점 (Peak) (A) - (범위 값 (R) X 확장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Peak) - 저점 (Trough)
4. TradingView 적용
확장 값 설정은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도구로 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도구는, <피보나치 되돌림> 도구와 다르게 기준점을 3개 설정하여야 합니다. (본래 피보나치 투사 : Projection에 적용)
고점/저점을 설정하였다면 마지막 3번째 기준점은 "처음 설정한 점"을 다시 클릭 하시면 확장 (Expansion)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되돌림 값을 원하지 않는 경우, 100% 이상 값만 보이도록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
---------------------------------
V.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s)
1. 투사 : Projections (ABC Projection)
피보나치 투사 (Projection)는 되돌림 / 연장 / 확장과 마찬가지로 잠재적 지지 - 저항 구간을 예측하는데 사용합니다. 투사는 새로운 고점 또는 저점 (New High or Low)가 나타난 경우 이를 기시점 (C) 으로 삼게 됩니다. 해당 지점에, 직전의 “명확”한 가격 범위 (Significant Price Range : A-B)에 피보나치 비율을 적용한 값을 반영하면 투사를 통한 지지 / 저항 구간을 구할 수 있게 됩니다.
투사 (Projection)는 현재 나타나는 Price Action이 새로운 양상 (ex : 가격이 ATH를 기록하며 상승 중인 경우)일 때 특히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양상” 이란, 과거에 참고할만한 지지, 저항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2. 상방 투사 이용한 저항 구간 예측
공식 : 더 높은 저점 (Higher Low) (C) + (범위 값 (R) X 피보나치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B) - 저점 (A)
3. 하방 투사 이용한 지지 구간 예측
공식 : 더 낮은 고점 (Lower Peak) (C) - (범위 값 (R) X 피보나치 비율 (P))
범위 값 (R) = 고점 (Peak : A) - 저점 (Trough : B)
4. TradingView 적용
확장과 마찬가지로 <추세기반 피보나치 되돌림> 을 사용합니다. 이 때는 A-B-C 지점을 순차적으로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기호에 맞게 설정해주시면 되며, 범위의 제한은 없습니다 .
5. Fibonacci Cluster : 투사 + 확장 (Projection with Expansion)
A,B,C 세 개의 변곡점을 사용하는 투사 (Projection)의 경우, A-B를 기준으로 한 확장 (Expansion)을 동시에 접목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투사와 확장이 나타내는 구간 값이 서로 일치하거나 근접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피보나치 군집 (Fibonacci Cluster)이라 부르며, 피보나치 융합대 (Fibonacci Confluence Zone)으로 간주 합니다.
같은 피보나치 계열 도구 뿐 만 아니라, Gann, Pivot level 등 다양한 도구를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Confluence Zone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의 경우, 지지-저항 구간으로서의 신뢰도가 더욱 상승합니다.
---------------------------------
---------------------------------
VI. 요약 & 정리
이번 시간에는 피보나치 : 가격 요소 도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4가지 도구 모두 적용 및 계산 방법은 크게 어려울 것이 없었을 것 입니다.
하지만 피보나치 도구를 통해 구한 값이 충분한 근거를 지니려면, 명확한 변곡점을 구별할 수 있는 안목과 여러 보조지표의 활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피보나치 가격 요소 도구에는 되돌림 (Retracement) / 연장 (Extenstion) / 확장 (Expansion) / 투사 (Projection) 4가지가 있다.
2) 이를 적용하기 위한 제일 중요한 요소는 “명확한 변곡점 : Significant Peak or Trough”의 설정이다.
3) 되돌림 (Retracements)가 100% 구간을 넘어서면 연장 (Extension)이 된다.
4) 연장 (Extension)의 변형은 확장 (Expansion)이다.
5) 확장 (Expansion)과 투사 (Projection)의 차이는, A-B-C 변곡점 중 “Higher Low or Lower High : C” 지점이 명확하느냐의 여부이다.
6) 투사(Projection)는 확장 및 타 도구 (Tool)와 연계하여 Confluence Zone을 찾을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피보나치 시간 요소 (Time Elemen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상으로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본 글의 저작권은 Yonsei_dent에 있습니다.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