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22-12-09 차트 분석이전부터 상방에 대한 근거와 관점을 계속 이야기 했었다.
1. 역 헤드엔 숄더
역 헤드엔 숄더가 나와
오른쪽 어깨가
머리와 왼 어깨보다 저점을 높였다.
매도하려는 세력의 힘이 빠졌음을 알 수 있다.
2. 추세대로 매물대를 밟고 차근히 상승 중이다.
그래서 만약 ABC의 618지지에 성공한다면 DE파동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었다.
적어도 다음 매물대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었다.
3. 어제 새로운 상승의 근거가 15m에서 나왔는데 상승 매집봉이 등장을 했다.
매집봉이란 주식단테가 만든 개념으로 세력이 상승하기 전
매물대를 쉽게 뚫기 위해 한번 소화시키며 개미를 털기 위한 작업으로
매집봉이 나온다면 상승할 근거가 된다고 소개했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자, 그럼 현재 상승분이 왜 현재자리에서 멈췄나 보면
다음 고점 매물대까지의 상승을 봤었는데
그 고점 매물대의 618자리이자, ABC의 전 고점을 아직 뚫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멈춘 것이다.
만약 ABC의 전고점을 뚫어준다면 17924~18258까지 상승분을 줄 가능성이 높다.
조정 기간은 적어도 15m에서 이평이 정배열이 되고,
지지 받을 힘이 모였을 때 다시금 상승분을 줄 가능성이 높다.
p.s 차트 이미지에서 예상 이평의 기간은 대충그린거기 때문에 그냥 이런식으로 가겠구나 참고사항일 뿐이다.
피보나치
[비트코인] 중기 저점의 갱신... 여기서 반등 한다면 어디까지 상승 할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1H
전일 브리핑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며 중기 저점이었던 16713.56을 하향갱신 하였습니다.
아직 상승채널 하단은 깨지지 않았지만, 저점 갱신 이후 출현한 반등세에도 단기 저항들이 위치한 구간의 저항을 강하게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시 지지 확인을 하기 위해 하락한다면 상승채널 하단선과 16722 장기변곡선이 겹치는 구간의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16722 지지에 성공 한다면 채널 하단선 지지 체크 이후 반등이므로 16900-17100 구간의 매물대 상향돌파를 위해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17100 저항 돌파에 성공 한다면 상승채널 상단선과 장기저항들이 겹치는 17678-17772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16722 지지에 실패 한다면 장기 피보나치 레벨과 장기 추세선이 위치한 16255 부근까지의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BTC 22-12-08 차트 분석기존 채널 형성 관점은 폐기한다.
채널의 형성이 온전히 만들어지지 않고,
사이비 고점처럼 C파가 형성 되었기 때문이다.
상방 관점의 근거
1. 매물대 소화
A-C의 382, 618 자리에 넥라인 + 매물대가 형성 되어 있음이 확인이 되고,
현재 파동 진행이 차근차근 매물대를 소화하며 올라가는 중이다.
가장 두터운 매물대를 뚫어주고 현재 지지를 받는 중이기에 적어도 다음 매물대까지는 상승해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2. 추세추적 대파동 기준
이전 대파동 하락분에 관해 기술적 반등이 나오지 않았다.
적어도 236 지지하고 618까지 기술적 반등이 나와주어야 대파동 기준의 하락 관점이 나오는데 현재의 근거로는 장기 상승밖에 보이지 않는다.
일봉상 소파동으로 ABC의 끝을 보았으며 기술적 반등이 나와야 하는 구간이다.
일봉상 대파동 기준으로도 ABC의 끝을 보았기에 ABCDE로 빠지는게 아닌 이상 상승을 해주어야 하는 구간이다.
3. 역 헤드앤 숄더
지난번 칼럼에서 이야기 했듯이 역 헤드엔 숄더의 모습이 있어 추세 전환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승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제 상승해도 이상하지 않다는 것이다.
올라가는 것에 두 가지 관점이 있는데
하나는 ABC이고, 다른 하나는 ABCDE이다.
ABCDE로 봤던 것은 지난번 칼럼에서
중형 ABC의 C파 진행중으로 생각하여 ABCDE로 채널 형성하며 올라갈거라고 예상했는데
저점 갱신과 더불어 C파 진행 시간이 A와 B파보다 길다는게 말이안되어 중형 ABC는 폐기했다.
뿐만 아니라 채널까지 망가졌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매물대 밟고 다음 매물대까지 상승하는 것에 있어 가장 현실적인 파동이 아닐까 생각이 들어서 고집하는 중이다.
But,
굳이 ABCDE가 아니어도 ABC도 가능하다.
진행되었던 ABC를 A로 보고, 현재의 조정구간이 좀더 깊어져 382구간까지 떨어진다면 대형 ABC가 가능해진다.
이 매물대를 뚫어주느냐, 아니면 소파동 조정 ABC가 완성되고 상승하는 것으로 보이냐 두 가지 가정이 있을 뿐이다.
그래서 현재 단기 하락, 장기 상승으로 관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ETH 매매전략안녕하세요.
이더차트를 보다가 괜찮은 롱타점이 보이길래 새로운 매매전략을 세웠습니다.
일단 이더가 웻지형태가 나올 수 있다는 모습이 보였고, 저점을 갱신은 했지만, 이전 하락에 비해 거래량이 너무 없습니다.
이 말은 아직도 이더가 이 가격대가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해석 할수 있고 이는 재차하락이 나올수 있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일단 차트를 보시면 현재 눌림이 진행중인데 추세선을 강하게 돌파한다면 당연히 롱 보다는 위에서 저항 받고 내려올 때 숏을 들어가는게 승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B 소파동을 넘겨도, 웻지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위치에서 매매할 자리가 너무 많고 손익비를 좋게 가져갈 수 있는 자리가 많아서 매매전략을 짰습니다.
1. E파동으로 웻지를 완성해준다면 롱
2. 웻지추세선이 매수세가 붙으면서 강하게 돌파한다면 위에 B파동 숏
여기는 위아래 둘다 확인매매가 필요하다고 생각 드는 자리입니다.
E파동이 온다고 무조건 롱이 아니라 반등이 나오는 것을 보고 롱을 들어가야하고,
마찬가지로 위에서도 저항을 받고 내려가는것을 확인하고 숏을 들어가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추후 변동상황이 생기면 코멘트를 남기겠습니다.
12.04 1618 탈환? or 다시 하방?
현재 비트는 단기 상승 추세선과 (청록색)에서 안착하지 못하고 다시 내려온 모습입니다 역시 단기 하락추세선 (청록색) 구간에서 약 이탈후 리테스트를 하지만 여전히 좋아 보이지는 않는 실정입니다.
16850 에서 리테스트를 못하고 이구간이 깨지면 167 과 차후 165 가 깨지는지 지켜보셔야 할 꺼 같습니다. 163~5부터는 숏 단기 익절 라인으로 생각을 하시는게 좋으실꺼 같습니다.
추세선이 점점 내려와서 8월 고점하락추세선과 단기 하락추세선(하얀색) 라인이 점점 내려온다면 164~163 라인이기 때문에
어제 언급 드린대로 161 164 정도까지 분할로 접근해 보신 후 159 382라인 이탈하지 않는 선에서 롱 가져 가보시면 좋으실꺼 같고
159가 깨지면 롱입장에선 좋진 않지만 핑크장기하락추세선과 하늘색 라인 156~154 전저 이탈 3%내외로 롱 도전 해보실만한 자리라고 봅니다.
비트가 다시 173 을 탈환 하지 못하고 17160 근처에서 다시 숏이 나왔습니다 현재 168과 167 라인을 비트가 사수 하고 있고 그이하는 더이상 내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제 같은경우
도미넌스가 상방을 틀면서 비트 대비 3배가량 빠지는 모습을 보여줬었고 차후 알트도 어느정도 하방을 줬습니다.
이더 같은경우 구름대 한시간 자리에서 약 반등 중이며 비트도 167~168 라인을 깨지 않고 약 반등중입니다.
현재 비트는 큰들에서 여전히 상승채널을 그리고 있으며 현재 상방으로 위로 틀시에는 내일 176 177이며
채널 하단으로 빠질경우 164~165 정도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주 금요일 부터 단기로는 삼각수렴과 단기 하락채널로 보이고 있는데 단기 채널하단은 164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언급드린대고 161 164 정도까지 분할로 접근해 보신 후 159 382라인 이탈하지 않는 선에서 롱 가져 가보시면 좋으실꺼 같고
숏같은 경우는 173~4를 아직 지지 하지 않았기 때문에 숏 포지션 가지고 계신 분들은 스탑 걸고 유지 해보시는 것도 좋으실꺼 같습니다.
사실 채널이 올라와서 177까지 치고 내려간다면 참 어이없는 상황이 오겠지만 피보 1618 173 지지시 185로 갈 확률이 좀 더 높기 떄문에 리스크 관리하시고
보수적으로 숏 자리 접근은 177~178 라인 2%손절후 맥시멈 185까지 보시면 되실꺼 같습니다.
롱 입장에선 여전히 1618 지지와 채널 상단에서 머문후 2.618 185까지 가는게 현재로썬 베스트로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저 같은 경우 숏을 173 1.618 라인 까지 다시 매수 해보려 합니다. 지지시 1~2%내외 짧은 손절을 보고 있습니다.
167~168라인을 어느 정도 지켜주는 모습이라 롱이 위로 크게 터질지 167 163을 깨면서 159를 강하게 꺨지 현재 계속 애매한 박스를 그리고 있는 현실 인거 같습니다.
나스닥 같은경우 12039 라인을 지지를 못하여서 금요일 10시30분 발표로 인해 비트와 같이 하방이 나왔는데 지지라인 11690 근처를 잘지키고 비트와 함께 다시 반등하였었고 12039는 재 탈환하지 못한채 마감을 하였습니다.
매물대라인 11690~11720 그어 보시면 그라인이 그라인이기 때문에 자리는 딱딱 맞고 위아래에서 반등하는거 같습니다.
12039 와 11690 라인 매물대에 신뢰도가 어느정도 더 높아진 느낌입니다.
월요일 같은 경우 역시 롱 입장에선 12039 탈환을 하고 주봉 0.618 12300 라인을 넘겨 주는게 베스트 입니다.
내일 21 시이후로 4시간 음운대를 벗어나면서 올릴지 아니면 주말이기 때문에 옆으로 캔들을 밀면서 횡보 할지도 지켜 봐야 할 꺼 같습니다.
언급드리고 4시간 음운대를 벗어내면서 횡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재 800라인과 핑크 장기추세선 지지시 롱이 역시 유리하며 857라인을 탈환하는지 보시면 좋으실꺼 같습니다.
[비트코인] 단단한 지지층!! 과연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크랙 #비트코인 #4H
12월의 시작과 동시에 큰 박스권을 그려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11월5일~11월20일까지 이어진 하락추세의 노란색 피보나치 되돌림 0.236레벨의 지지를 굳건하게 이어가고 있지만 그렇다 할 반등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아닌 상황입니다.
12월 이후로 단기적인 파동들에서 저점을 계속하여 높혀주며 고점도 모습으로 추가 상승의 가능성을 아직은 가져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저항받는 17090 부근에서 다시한번 저항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저점 이탈을 시도하려는 하락세가 충분히 나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방향성을 판단하기에는 힘든 구간입니다.
단기적으론 17090 저항의 돌파 여부가 중요해 보이며, 중기적으론 12월 이후 만들어진 하단 지지구간중 최저 저점인 16713.56의 지지 여부가 중요해 보입니다.
16713.56의 하향 갱신 없이 지속적으로 지지를 이어간다면 이후 상승채널 상단과 여러 저항선들이 겹치는 17678-17772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향갱신이 출현 한다면 하얀색 상승지지선의 지지가 성공 하여도 이후 하락세로 변곡될 가능성을 봐야 하며 이때 중요한 지지 기대구간은 16254부근으로 보여집니다. 16254 부근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15999.01 저점을 하향갱신 하려는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으며, 이때 15999.01 저점이 하향갱신 될 경우 15725-15483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BTC 매매전략안녕하세요.
주말은 역시 횡보를 하는 경우가 많네여.. 일단 비트가 고점을 갱신하고 충분한 조정이 없이 횡보를 하고 있습니다.
횡보에 끝이 상승보단 하락관점을 보고 있습니다.
원래 이더 포지션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더가 전고점까지 올라오면서 본절로스가 나가서 포지션이 없는상태입니다.. 수익을 많이 볼 수 있었던 상황인데 로스를 잘못 걸어서 수익이 날라간 상태네여...
아직 제가 경험이 부족한가 봅니다.
지금은 포지션이 없고, 비트가 한번 더 상승 해서 추세선 부근 까지 올라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계속 말씀 드린 것 처럼 충분한 조정이 없이 수렴을 하고 있는게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추세선 상단에서 숏을 잡고 반익절을 추세선 하단 부근에서 하고, 본절로스를 걸고 수렴하방 이탈을 보고 있습니다. 하방이탈을 하게 된다면 16.5k 까지 보고 있고 추후 밑에서 변곡신호에 맞춰 롱포지션을 잡을 생각입니다.
물론 손절기준은 추세선 상방 이탈이 되겠지요.
다들 한주동안 고생많으셨습니다. 좋은 매매전략이 보이면 다시 한번 글을 남기겠습니다.
BTC매매전략 안녕하세여.
지수발표로 인해서 변동성이 정말 크네요... 당분간은 롱숏의 대결이 치열할꺼라고 생각이 듭니다.
BTC 매매전략을 단기 하락을 보고 있습니다.저는 현재 바닥에서 올라온 모든 카운팅을 ABC로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비트가 엔딩을 그리면서 고점을 갱신했고, 현재 1시간봉 더블 다이버전스 거래량 또한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다이고날패턴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고점이 한번 더 올라와 준다고 해도, 롱보다는 숏관점이 우세하고, 단기적으로 몇일동안은 숏관점을 유지할꺼 같네요.
일단 현재 조정이 온다면 어디까지 빠질까 생각을 해봤는데 16.4K 0.5 구간까지 최소한으로 눌림을 주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저점을 갱신하로 가는 무빙 보다는 조정 이후 재차 상승을 보고 있습니다.
일단 4시간봉이 과매수권에 들어와 있는 상태이기도 하고, 조정이후 고점을 갱신 해주는 무빙이 나온다면 4시간봉 하락 다이버전스가 뜨면서 추세가 스윙관점으로 하락관점이 나올꺼 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말은 지금 위치가 4시간봉상 크게 ABC A가 나왔다고 보고 있는거고, B 이후 C파가 나오는데 C파에 매수세가 없이 고점을 갱신 하지만, 위에서 저항을 받아 얼마 못오르고 조정이 나올 수 있다는 관점입니다.
메인관점으로는 지금 이렇게 보고 있고, 조정에 모습이 정말 중요할꺼 같네여.
차트가 어느정도 진행이 되면, 다시한번 코멘트 남기겠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ETH 매매전략안녕하세요.
이더가 좋은자리가 보여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올리려고 합니다.
일단 이더를 봤을 때,현재 임펄스가 나오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찝찝한 부분은 하나 있는데, 4파 조정이 너무 짧다라는 점. 하지만 4파조정 이후 연장으로 5파가 나오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지금 기다리는 자리는 이더의 현 고점을 넘기는 무빙입니다.
연장 3파가 강하게 나와서 정확하게 타점을 예측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고점을 넘기는 얼라트를 걸고, 차분하게 기다리려고 합니다.
고점을 넘겼을때 왠만한 RSI는 다이버전스가 나올거고, 거래량 또한 다이버전스가 나올꺼라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가장 1312 정도를 보고 있습니다. 여기가 1050바닥 상승 조정의 1:1 자리입니다. 이쯤부터 대기를 하고, 세밀하게 타점을 잡을려고 합니다.
혹시나 이더 자리에 관심이 있으시는 분들은 고점에 얼라트를 하나 걸어두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드네요.
다들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
12.02 1618을 넘어서진 못한 비트와 칼같은 하방
현재 비트는 단기 상승 채널을 그리고 있으며 173을 넘기고 지지한다면 롱이 우세해 보이고 이대로 내려간다면
167 165를 깨야 숏이 조금 더 우세하다고 볼수 있는데 숏 같은 경우는 손익비가 나쁘지 않은 자리가 여전하며 올라 갈시 말씀드린 173 지지 하거나 채널 상단인 174 지지시 손절이 좋아 보입니다.
롱 홀딩 입장에서는 173~174를 넘어선다면 피보2.618 18500 까지 홀딩 해보실수 있으며 173 지지가 안될시 어느정도 부분 익절도 챙기셔야 할꺼 같습니다.
롱을 트라이 해보신다면 161~165 라인에서 159 깨지지 않는선에서 받아 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언급드리고 1618 자리에서 그대로 숏이 나왔으며 174까지는 도달 하지 못하였습니다.
채널상으론 40불정도 미도달이랑 숏을 들고 계신분들은 아마 손절이 안나가지 않으셨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비트가 다시 위로 올린다면 174지지시 여전히 단기 피보 2.618 185 라인 까지 열린다는 관점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숏 포지션 보유 하고 계신분들은 스탑 로스 걸어두시면 좋으실꺼 같습니다.
현재 비트는 단기 상승 추세선과 (청록색)에서 안착하지 못하고 다시 내려온 모습입니다 역시 단기 하락추세선 (청록색) 구간에서 약 이탈후 리테스트를 하지만 여전히 좋아 보이지는 않는 실정입니다.
16850 에서 리테스트를 못하고 이구간이 깨지면 167 과 차후 165 가 깨지는지 지켜보셔야 할 꺼 같습니다. 163~5부터는 숏 단기 익절 라인으로 생각을 하시는게 좋으실꺼 같습니다.
추세선이 점점 내려와서 8월 고점하락추세선과 단기 하락추세선(하얀색) 라인이 점점 내려온다면 164~163 라인이기 때문에
어제 언급 드린대로 161 164 정도까지 분할로 접근해 보신 후 159 382라인 이탈하지 않는 선에서 롱 가져 가보시면 좋으실꺼 같고
159가 깨지면 롱입장에선 좋진 않지만 핑크장기하락추세선과 하늘색 라인 156~154 전저 이탈 3%내외로 롱 도전 해보실만한 자리라고 봅니다.
역시 현재 이탈시 6월 하락 추세선과 만인이 보는 일봉선은 11 10 라인에 위치하고 있고 점점 시간을 끌수록 11 9 가 보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스닥은 언급 드린대로 12039 지지후 123~124 라인이 올라 가줘야 하는데 12039를 이탈하면서 비트 하방이 같이 나와줬습니다.
역시 롱 입장에선 12039 리트라이후 123~124 안착이 중요합니다.
토탈캡같은경우도 핑크 장기추세선을 넘지못하고 800 매둘대 근처에 있는데 역시 추세선위와 4시간 음운대 상단인 857 라인을 넘겨 주는게 롱 입장에선 좋아보입니다.
내일 21 시이후로 4시간 음운대를 벗어나면서 올릴지 아니면 주말이기 때문에 옆으로 캔들을 밀면서 횡보 할지도 지켜 봐야 할 꺼 같습니다.
BTC 22-12-01 차트 분석어제 분석한 걸 토대로 남아있던 상승분이 나와줬지만
매물대에 저항을 받아 뚫지 못하고 C파의 완성을 하지 못했다.
힘을 모아 한 차례 파동을 더 주려고 해도 이미 상승 5파 ABCDE가 나와줬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의 상승분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럼 이제 다음 시나리오가 어떻게 되는가?
1. 전제 : 앞선 중형 ABC파동이 C파 저점 갱신을 마쳤다고 판단을 하여
더 이상 하방을 두드리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차트를 본다면
2. 현재 진행되는 ABC파동이 C파 완성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C파 완성을 위해
상승을 계속해서 두드릴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
1) 우선 여태까지 상승했던 부분에 대한 단기 조정 후 618 자리(매물대)에서
A파-B파 진행이 되는데 그 때 레귤러 플랫으로 튕겨 올라갈 가능성
2) 지그재그 조정으로 382 부근까지 하락을 했다가 D파를 만들고 E파를 만들 가능성
이 두 가지로 ABCDE파의 진행으로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완성되지 않은 C파의 완성을 위한 파동 진행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3. 하방 관점으로 본다면
일단 전제부터 다시 잡아야 한다.
C파 저점 갱신 실패로 보고 하방을 두드려야 한다고 본다면
현재 ABC를 B파로 판단하고,
C파동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3-3-5로 진행되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빠질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리가
전고 매물대 자리이자 중형 ABC파의 618자리이다.
하락의 근거가 되는 자리인 것이다.
결론
공통 구간으로 618까지의 하락분은 볼 수 있지만 이후 상승과 하락에 대한 판단은
해당 자리에서 다시 판단 해야 할 문제이다.
상승에 대한 근거는 현재 2가지,
하락에 대한 근거도 2가지이기 때문에 차트의 방향을 속단하기 이르지만
공통 구간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 영역이다.
12.01 167 지지후 반등 단기 1.618을 넘어 설수 있을까?현재 공격적 숏 자리라고 언급 드렸는데 167~170 라인 역시 173 1618 라인 지지시는 손절이 맞다고 보고 있으며 그이후는 피보 2618 185까지 열렸기 때문에 숏을 보시는분 들은 스탑로스가 필수라고 보고 있습니다.
반대로 이라인 에서 잡으신 분들은 숏 익절은 165 163 159 순으로 보시면 되실꺼 같고
159 이탈시 에는 역시 약간의 숏물량 홀딩 해보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도미넌스를 흡성해서 올리는 상승은 아니여서 아리송한 부분이고 이대로 올리면서 도미넌스가 흡성이 없다면 숏으로 좀 더 생각해 보는 부분이 될꺼 같습니다.
현재 비트는 주요라인인 167과 165를 버텨주어야 롱 입장에선 우세하다고 보고 있으며 165 이탈시 162~3과 159 라인 여전히 열려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언급 드리고 주요 라인인 167를 찍고 172까지 현재 반등을 준 모습입니다. 167 165 를 주요 라인이라고 말씀드렸는데 1차 주요라인에서 더 이탈하지 않고 반등을 해준 모습입니다.
1618 까지는 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근접은 해주었습니다. 어느 정도에 기로에 섰다고 봐야 할꺼 같습니다.
현재 비트는 단기 상승 채널을 그리고 있으며 173을 넘기고 지지한다면 롱이 우세해 보이고 이대로 내려간다면 167 165를 깨야 숏이 조금 더 우세하다고 볼수 있는데 숏 같은 경우는 손익비가 나쁘지 않은 자리가 여전하며 올라 갈시 말씀드린 173 지지 하거나 채널 상단인 174 지지시 손절이 좋아 보입니다.
롱 홀딩 입장에서는 173~174를 넘어선다면 피보2.618 18500 까지 홀딩 해보실수 있으며 173 지지가 안될시 어느정도 부분 익절도 챙기셔야 할꺼 같습니다.
롱을 트라이 해보신다면 161~165 라인에서 159 깨지지 않는선에서 받아 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어제 3시30분 연설이후 파월이 좋은 소리를 했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좋은 재료가 나온 느낌이네요
나스닥은 새벽 약하방 이후아무일이 없는듯이 횡보라 오랜만에 디 커플링이 또 나와 버렸습니다.
다시 11690을 탈환한다면 비트 17300 은 충분히 도전해볼수 있는 자리라 보고 있고 차후에는 12039 12300라인이 중요해 보입니다.
나스닥은 언급드렸었는데 현재 12039 라인에서 놀고 있는 모습이며 현재 4번 트라이중입니다 이라인을 뚫고 주봉 0.618과 추세선 안착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12300~12400 라인이며 역시 12039 지지를 못할시 하방이 5~10%정도의 하방이 나오기 때문에 롱 입장에선 12039 매물대라인을 뚫고 올라가야 유리한 부분입니다.
토탈캡 같은 경우에도 현재 핑크색 장기추세선 올라와 안착을 하지 못하고 약 이탈하였는데 다시 추세선 근처를 말아 올리며 4시간 음운 상단과 850 라인을 지지해야 롱 입장에선 유리한 부분입니다.
[이더리움] 비트와는 다르게 상승 기대치를 채워준 모습!!!#크랙 #이더리움 #4H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단기 눌림 이후 추가 상승을 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다르게 분홍색 피보나치 채널의 1레벨을 상회한 뒤 저항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 레벨 살짝 못미쳐 저항이 출현 하였기 때문에 이대로 추세가 꺽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비트코인 브리핑에서 언급하였던 장기저항구간이 이더리움에선 1292.43-1288.86으로 확인되며 현재 해당구간의 지지가 실패한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이더리움은 추가 하락이 출현 할 경우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1250 / 1230 구간까지의 하락 가능성이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비트코인이 장기저항구간에서 지지를 받을때 이더리움이 단기매물대인 1272.71-1265 구간의 지지가 이루어 진다면 비트코인의 채널 상단까지의 상승 기대감과 같이 이더리움도 피보나치 채널 1.13레벨과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레벨이 위치한 1309-1330 구간까지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이더리움이 하락변곡 되며 위에서 언급한 지지구간들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피보나치 채널 하단과 화요일 돌파하였던 하늘색 삼각수렴의 지지 리테스트를 위해 1180 부근까지의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추가 상승 가능성을 보이는 비트코인!! 중요 지지 자리는 어디??#크랙 #비트코인 #4H
비트코인은 전일 브리핑 이후 16722.60의 지지를 확인한 뒤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16722.60 지지확인과 동시에 초록색 단기상승채널의 중심선 지지또한 확인한 모습으로, 전일 브리핑에 말씀드린 채널 상단과 노란색 피보나치 추세확장 1~1.13 레벨이 위치한 17320-17491까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당장 추가 상승 없이 눌림이 출현 한다면 장기저항구간인 17064-16986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지지구간의 지지가 성공 할 경우에는 위에서 말씀드린 17320-17491까지의 상승 기대감은 계속 가져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 지지구간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초록색 단기 상승채널의 하단선 지지확인을 위한 하락추세로의 변곡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BTC 매매전략안녕하세여.
BTC 매매전략이 수정되여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올립니다.
현재 저는 롱 포지션을 전량 익절하고, 16489 평단의 숏을 잡고 있습니다.
전업트레이딩을 하면 바로바로 전략공유를 해드릴 수 있을텐데... 일을 하다보니 뒤늦게야 올리네요.
일단 이전관점에서 전략을 바뀐 이유는 올라오는 무빙이 임펄스가 아닌 ABC로 보였고 현재 어제 저점에서 올라온 고점을 넘기는 조정이 나왔기 때문에 임펄스가 아닌 ABC가 확실해졌습니다.
그말은 앞서 올라온 파동(15.4K) 에서 올라온 파동이 임펄스가 아닌 ABC A로 봐야 하는거죠.
물론 그래도 현재위치에서 장기적으로 롱관점이 폐기된 것은 아닙니다.
단기간 숏이 나올확률이 높고, 조정 이후에 다시 롱을 들어가도 되기 때문에 스위칭을 한거죠.
일단 ABC로 봤던 근거는
1. 바닥에서 올라온 거래량과 고점을 형성했을 때 거래량을 비교해보면 고점(16.5K)이 낮다.
2. 15분 봉을 보시면 고점을 만들었을때 RSI 다이버전스가 명확하게 형성
3. 임펄스라고 봤을때, 3파 이후 4파 조정이 2파보다 더 크거나 길게 형성 될텐데, 여기서 2파보다 크면 1파고점을 넘기게 된다. 이말은 임펄스가 아니다.
이 3가지 근거를 통해 ABC라고 확신을 했고, 방금 조정에서 명확해졌습니다.
저는 여기서 0.5~0.382정도 왔을때 변곡신호를 통해 롱으로 스위칭을 할려고 합니다.
숏포지션이 아닌 분들은 다이버전스를 통해 변곡점을 확인하고 들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현재 위치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조정이후 공통 롱구간이 열리기 때문에 반익절을 짧게 첫매물대에서 가져가고 반본절을 하게된다면, 무조건 수익으로 나올 수 있는 자리이고, 가장 안정하게 하는 트레이딩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인 변동상황이 생기면 코맨트를 남기겠습니다.
BTC 22-11-30 차트 분석 실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매일같이 차트 분석을 하려고 한다.
차트 분석의 목적이 매매를 위함 임을 잊지 않고
목적에 맞게 분석을 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우선 추세추적을 해보려 한다.
1. 15m 기준 넥라인에 피보를 그려보면
현재 236을 밟고 일어서서 786 저항을 맞고 있는 것이 보인다.
한번은 두들겨 줬고, 786자리이기 때문에 382까지 떨어질 수 있다.
단기 숏 들어가기는 좋은 자리이다.
2. 1H 기준으로 고점과 저점에 피보나치를 그어보면
236에서 매물 대 저항을 뚫고 618 부근까지 상승 후 저항을 맞고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평과 캔들의 이격도 어느 정도 크기 때문에 이평을 지지할 수 있을 때 까지 횡보를 하거나 조정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런 근거로 단기 숏 으로 생각이 들지만 아직 확신은 들지 않는다..
하지만 크게 본다면
236을 밟고 상승분을 준 것은
매물대를 지지하고 더 큰 상승분을 줄 수 있는 단초를 준 것이다.
현재는 상승을 준비하기 위한 몸풀기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382까지 조정 이후 상승을 한다면 1.618 상승까지 가능하다.
3. 이제 파동 분석을 해보려 한다.
이전 파동을 상승 임펄스 이후 하락 조정으로 본다면
상승 파동의 382 구간을 딛고 상승하여 786 저항을 맞고, 618 부근에 있는 중이다.
아직 1:1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큰 ABC 완성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4. 하지만 ABC로 본다면 5-3-5 지그재그이기 때문에
C파의 상승분이 아직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상승을 한다면 11월 10~11즈음의 매물대에서 걸려 멈출 것 같다.
그 즈음이 1:1구간이기도 하며 채널 상단이기도 하다.
결론
C파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상승분이 남아있다.
ABCDE가 완성이 되어야 히기 때문에
D의 조정은 채널 중단이자, BC의 618지점에서 끝나고
여태 나왔던 상승분의 근거들로 인해 큰 상승폭을 줄 것으로 나타난다.
BTC 22-11-29 차트 분석 ver.2
1. 1D로 보았을 때 ABC 끝자락이 나왔다.
하지만 C파동이 바닥인가? 라고 묻는다면 아직 기술적 반등이 나오지 않고
옆으로 횡보하고 있는 모양이기에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2. 그래서 현재 진행 방향이 수렴처럼 보이기도 하다.
그래서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다는 것에 근거가 추가가 된다.
3. 15m 분석은 임펄스 이후 ABC조정이 나왔다.
C파는 1.236까지 조정이 나왔고,
앞선 상승분을 임펄스로 봤기 때문에 조정 ABC는 2파로 볼 수있을 것이다.
4. 현재의 상승분은
큰 파동 1~2파가 끝나고
3파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만약 임펄스 5파가 진행이 된다면
1의 분석에서 나오지 않았던 기술적 반등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C파동의 마무리가 끝났으니 추세 전환을 시도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5. 임펄스 5파 완성 진행 수 중파동 ABCDE의 가능성이 있다.
1) 5파 완성 자리가 중파동의 618자리이며,
2) 앞선 매물대가 존재하는 구간이기도 하다.
3) 1D기준 60일 선에 저항을 맞는 구간이다.
3) 상승파동의 하락 조정이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숏 자리의 근거가 된다.
결론 : 단기 롱 임펄스 5파 진행 후, 장기 숏 조정이 나올 가능성을 알 수 있다.
BTC 22-11-29 차트 분석1. 1D로 보았을 때 ABC의 끝자락이 나왔다.
하지만 C가 바닥인가? 라고 묻는다면 아직 기술적 반등이 나오지 않고
옆으로 횡보하고 있는 모양이기에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2. 현재 진행 방향이 수렴처럼 보이기도 하다.
그래서 한 파동 더 빠질 수 있다는 것에 근거가 추가가 된다.
3. 15m 분석은 임펄스 이후 조정이 나왔기 때문에 큰 파동 1-2파가 끝나고 3파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단기적으로 3~5파가 진행된다면 1D의 C파 기술적 반등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임펄스 5파가 진행이 된다면 1의 분석에서 파동이 더 빠지는 것이 아닐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BTC 매매전략안녕하세요. 주말동안 지루한 횡보장이 유지되고 있네여.
요몇일 잠도 못자고 해서 이전 포스팅대로 하방 역시장가매매가 아니면 쉬자라는 마음으로 주말을 보냈습니다.
주말이 거의 끝나가는 시점에 방향성이 보이고 있는거 같네요.
저는 아직도 하방을 보고 있습니다.
앞서 올라온 파동에 비해 너무 조정의 크기가없기 때문에 하방관점을 우선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역시장가매매 오더를 유지하고 있고, 고점 돌파에 알람을 걸어두고는 있습니다.
고점을 올라와도 롱으로 따라붙진 않을꺼에요. 롱이라 해도 위로 올라갈수 있는 구간이 얼마 없을꺼라고 보고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매매를 몇일정도 더 못할 수 도 있겠지만, 손익비 측면을 봐도 롱으로 따라붙기엔 리스크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방으로 내려와주면서 236~382 매물대 자리를 주면, 여기서 롱으로 스위칭을 해서 고점을 돌파하는 무빙으로 생각을 하고, 고점이후 첫매물대에서 반익을 하고, 반을 길게 끌고 가볼까 생각중입니다.
나머지 반 TP는 올라오는 카운팅이 5파동이 나왔다고 생각드는 곳까지 가져갈 생각인데, 아마 17.2K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추후 차트분석에 변동이 생기면 다시 한번 코맨트 남기겠습니다.
[이더리움] 중기 하락 쐐기 그리고 단기 삼각 수렴의 세 번째 지지 확인을 하러 가나 봅니다.#크랙 #ETH #1D
22년6월 저점 이후 추가적인 장기 저점 갱신 없이 우하향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노란색 추세선들로 이루어진 쐐기의 모습을 그려가고 있으며 현재 두차례 쐐기 하단의 지지를 성공하였지만 저점을 유지하고 고점을 낮추는 하늘색 단기 수렴의 가능성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장기 지지선들이 위치한 1180.36-1208.69 구간의 지지 하향이탈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며 하회이탈 마감 될 경우에는 즉시 또는 1180.36-1208.69의 저항 확인 이후 하락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노란색 쐐기 하단선의 세번째 지지를 기대하며 1076.86-1073.83 구간에서의 손절이 짧은 매수 대응을 노려 볼 수 있습니다.
1076.86-1073.83의 지지가 성공하면 트리플 바텀을 형성 할 경우에는 하늘색 단기 수렴의 상단선 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단기 수렴의 상방 돌파와 1180.36-1208.69 저항 돌파가 출현 할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노란색 쐐기 상단선이 위치한 1393.10-1451.26 구간까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1180.36-1208.69 저항 돌파 시 또는 1076.86-1073.83 지지 실패시에는 단기 삼각수렴과 중기 하락쐐기의 하방 이탈로 하락추세가 가속화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노란색 하락쐐기 상단선을 기준으로한 하락채널의 하단선과 피보나치 지지 레벨들이 위치한 824-746.61 까지 하락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혹여 824-746.61의 지지마저 실패 한다면 빨간색 장기하락채널의 하단선이 위치한 680.42-592.08 구간의 지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이해 #4] 피보나치 - 가격+시간 요소 툴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기술적 분석에서 빠질 수 없는 “피보나치 (Fibonacci) 분석”, 시리즈의 마지막이 다가왔습니다.
----------------------------------------------
<목차>
<피보나치 이해 #1 : 피보나치 분석의 기초>
- I. 피보나치란 무엇인가
- II. 피보나치 분석
- III. 피보나치 툴
<피보나치 이해 #2 : 피보나치 - 가격 요소 툴>
- I. 가격 요소 (Price Element) 란?
- II.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s)
- III. 피보나치 연장 (Fibonacci Extensions)
- IV. 피보나치 확장 (Fibonacci Expansions)
- V. 피보나치 투사 (Fibonacci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3 : 피보나치 - 시간 요소 툴>
- I. 시간 요소 (Time Element) 란?
- II. 숫자셈법 (Number Counts)
- III. 파동셈법 (Wave Counts)
- IV. 시간 비율 투사 (Time Ratio Projections)
- V. 시간대 투사 (Time Zone Projections)
<피보나치 이해 #4 : 피보나치 - 가격 + 시간 요소 툴>
- I.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 란?
- II. 팬 (Fan Lines)
- III. 채널 (Channels)
- IV. 아크 (Arcs)
- V. 나선 (Spirals)
- VI. 원 & 타원 (Circle & Ellipses)
----------------------------------------------
지난 3편의 시리즈에서는 각각 피보나치 수열 및 황금 비율의 개념, 가격 요소 (Price Element) 도구 및 시간 요소 (Time Element) 를 자세히 다루어보았습니다.
오늘 마지막 순서로 피보나치 툴 3대 요소 : 가격 / 시간 / 가격 + 시간 중 “가격+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 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
I.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s) 란?
가격 + 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s)는 “가격”과 “시간”의 흐름을 동시에 반영 하는 피보나치 분석 도구입니다.
두 요소를 모두 고려하므로 고차원적 (High-dimensional)& 동적 (Dynamic) 분석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에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분석 값 (Price)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주로 기하학적 (Geometrical) 방식에 따라 작도되므로, 분석 전 차트 스케일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경우 시간 요소가 일관되지 않아 (휴장과 같은 시간 공백에 의해) Price & Time 도구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나, 크립토 시장은 24시간 운영되어 시간 공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용에 유리합니다.
가격+시간 요소 (Price & Time Elements)를 적용하는 피보나치 분석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팬 (부채꼴 : Fan Lines)
② 채널 (Channel)
③ 나선 (Spiral)
④ 아크 (Arc)
⑤ 원 및 타원 (Circle & Ellipse)
이제, 각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II. Fibonacci Fan Lines : 피보나치 팬
1. 특징 & 한계
1) 피보나치 팬의 특징
피보나치 팬의 경우, 가격 반전이 일어나는 정도 (Amount)와 각도 (Degree)를 추적하는 도구입니다. 팬 선 (부채꼴 선)은 본질적으로 추세선 (Trendline) 과 같으므로 저항 / 지지 구간으로 작용하게 되며, 적용 방식 또한 동일합니다.
피보나치 팬은 작도 방향에 따라 상승 팬 (Rising : Accelerating Fan Lines) 및 하강 팬 (Declining : Decelerating Fan Lines) 로 나뉩니다.
상승 팬은 예상 저항 구간을 나타내며, 돌파되는 경우, 저항→ 지지 구간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하강 팬은 이와 반대로, 예상 지지 구간을 보이며 돌파 시 지지→ 저항 구간으로 변화합니다.
피보나치 팬은 38.2%, 50.0%, 61.8% 를 주요 피보나치 비율로 사용합니다. 단, 사용자의 성향에 맞춰 23.6%, 78.6%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61.8% 구간을 돌파하는 경우, 가격 반전이 지속(Continuation of Reversal)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피보나치 팬 도구 적용 시, 시장이 보합세를 나타내는 경우 (Consolidation)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유의하여야 합니다.
2) 피보나치 팬의 작도
작도법은 간단합니다. 기준으로 삼을 명확한 고점과 저점 (Peak or Trough)을 선택한 후, 이를 빗변으로 한 직각 삼각형을 작도합니다.
이후 해당 삼각형의 높이(B ↔ Base)에 각각의 피보나치 비율을 표시🟥합니다. 이후, 기준점 A (Base Point)과, 높이에 표시된 구간을 잇는 직선을 그려줍니다. A를 기준으로 한 부채꼴 형태가 그려지게 되며, 각 팬 선 (Fan lines)을 예상 지지/저항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차트 스케일이 선형 또는 로그 스케일 여부에 따라 (Linear or Logarithmic) 작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합니다.
3) 피보나치 팬이 무효화 되는 경우 (Invalidating Fibonacci Fan Lines)
피보나치 팬은 유용한 도구이나, 동적 분석이니 만큼 적용이 적절한 지의 여부를 잘 판단하여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해당 팬 분석은 무효(invalidating)한 것으로 간주하며 새로이 작도하여야 합니다.
🔔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이 피보나치 팬의 기준이 되는 고점 혹은 저점을 벗어나는 경우
- 하강 팬 (Declining Fan Lines)의 경우, 가격이 고점 (Peak)을 넘어서는 경우 무효화
- 상승 팬 (Rising Fan Lines)의 경우, 가격이 저점(Trough)보다 하락하는 경우 무효화
🔔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이 그려진 피보나치 팬 선과 다소 동떨어져 나타나는 경우
- 가격이 기준 범위 (Base ~ Peak or Trough)내에서 움직이나, 작도된 선 (38.2%, 50.0%, 61.8% 등...)과 다소 괴리된 위치에서 나타나는 경우 무효화를 고려
- 현재의 가격 움직임 (Current Price Action)에 맞춰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다시 작도
2. TradingView 적용
TradingView 도구 중 <피보나치 스피드 레지스턴스 팬> 툴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기준으로 삼을 고점과 저점을 선정한 후, 과거 (좌측) 지점부터 순차적으로 클릭해주시면 작도가 완료됩니다.
고점 → 저점 순으로 설정 시 상승 팬 (Rising Fan Lines)이, 저점 → 고점 순으로 설정 시 하강 팬 (Descending Fan Lines)이 그려지게 됩니다.
트레이딩 뷰의 경우, 팬 라인 작도를 가격 ”Price”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형 / 로그 스케일에 따른 편차가 비교적 작으나 여전히 존재하므로 분석 시 주의 를 요합니다.
위 예시와 같이, 38.2% 50.0%, 61.8% 외에도 트레이더가 선호하는 피보나치 비율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적용 예시
A-B (저점-고점)를 기준으로 한 하강 팬 분석 예시를 참조하겠습니다. 0.382 구간에서는 명확한 지지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0.618, 0.786 구간🟨에서는 지지를 받으며 가격대를 유지하다 다시 하방 돌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786 구간을 돌파 시, 해당 추세가 지속 (continuation)될 가능성 이 높아지며, A를 기준으로 한 Base line의 지지를 하방 돌파🟥하며 SR flip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III. Fibonacci Channels : 피보나치 채널
1. 특징 & 한계
1) 피보나치 채널의 특징
피보나치 채널 (Fibonacci Channel)은 채널 확장 (Channel Expansions)으로도 불립니다. 피보나치 팬과 마찬가지로, 저항 및 지지 구간을 예상할 때 사용하며 채널의 작도 원리는 피보나치 확장 (Fibonacci Expansions)에 근거 하고 있습니다. 채널 작도가 우상향 대각선을 그리는 경우 하방 채널 (Downside Channel), 우하향 대각선인 경우 상방 (Upside Channel)이 그려지게 됩니다.
하방 채널의 각 피보나치 구간은 지지 구간으로, 상방 채널의 경우 저항 구간으로 작용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 피보나치 확장과 달리 피보나치 채널의 경우 작도가 대각선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차트 스케일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피보나치 채널의 작도
피보나치 채널은 기준이 될 고점 및 저점 (Peak or Trough)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작도할 수 있습니다. 위 모식도의 예시를 통해, 각 차트 상황에 맞는 작도법을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① 연이은 두 고점 (Peak) + 사이의 저점 (Trough)을 기준으로 채널 설정
② 연이은 두 저점 (Trough) + 사이의 고점 (Peak)을 기준으로 채널 설정
③-1 하방 채널 → 낮은 저점 & 높은 고점 (Lower Trough & Higher Peak) + 고점 직전의 저점 (Trough Preceding the Peak)을 기준으로 채널 설정
③-2 상방 채널 → 높은 고점 & 낮은 저점 (Higher Peak & Lower Trough) + 저점 직전의 고점 (Peak Preceding the Peak)
2. TradingView 적용
TradingView에서 <피보나치 채널> 도구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의 작도법과 동일하게, 3개의 기준점 (A, B, C)을 설정하여 채널을 그릴 수 있습니다.
설정의 “익스텐드 라이트, 레프트” 탭을 활성화하여, 각 구간들이 연장된 직선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선호하는 피보나치 비율을 추가 및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적용 예시
BTC 의 2022년 흐름을 연 초의 랠리 (Rally)를 기준으로 한 하방 채널 (Downside Channel) 예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5월 LUNA 사태 및 6월 Sell-off 이벤트로 급격한 하락이 있었으나, 각각 1.618 & 2.618 구간🟥에서 절묘하게 지지를 받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FTX 사태 이후 3.618 구간의 명확한 지지🟦가 확인되며, 지지선 하방 돌파 시 추가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 이 높아보입니다.
----------------------------------------------
----------------------------------------------
IV. Fibonacci Arcs (피보나치 아크)
1. 특징 & 한계
1) 피보나치 아크의 특징
피보나치 아크 역시, 피보나치 비율을 토대로 가격 움직임 (Price Actions) 예측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아크의 작도 방향 (수평선 : 0º 을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 에 따라 저항 아크 및 지지 아크 (Resistive Arc or Supportive Arc)로 나뉘게 됩니다.
피보나치 아크는 호선으로 그려진 피보나치 되돌림 (Retracements)의 일종 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피보나치 아크의 작도
명확한 고점 또는 저점 (Peak or Trough)을 기준으로 삼은 후, 두 지점을 이은 선 상의 피보나치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을 반지름으로 한 호선 (Arc)을 그릴 수 있습니다. 작도된 구간은 Price Barrier 로 작용합니다.
① 지지 아크 (Supportive Arc)
명확한 저점 → 고점 순으로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이후, 고점을 기준으로 한 호 (Arc)를 작도합니다.
② 저항 아크 (Resistive Arc)
명확한 고점 → 저점 순으로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이후, 저점을 기준으로 한 호 (Arc)를 작도합니다.
🔔 피보나치 팬, 채널과 마찬가지로 동적 분석 도구이므로 차트 스케일에 따라 분석 구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TradingView 적용
<피보나치 스피드 리지스턴스 아크> 또는 <피보나치 웻지> 도구를 사용하여 피보나치 아크를 작도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고점 / 저점을 구분할 수 있다면 작도는 어렵지 않습니다.
<피보나치 웻지>의 경우, <피보나치 스피드 리지스턴스 아크>와 원리는 동일하나, 특정 각도만을 포함한 호 (Arc)를 임의로 그릴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보다 높습니다.
🔔설정한 기준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피보나치 구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차트 스케일 뿐 만 아니라, 타임프레임의 고 / 저 (HTF, LTF) 여부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위 예시의 경우, 동일한 가격 스케일, 동일한 기준점을 설정하였으나 타임프레임의 차이 만으로 상당한 편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의 주관이 다소 개입될 수 있는 도구로 적용 및 비교 시 유의 하여야 합니다.
3. 적용 예시
마찬가지로, 2022년 이후의 BTC Price Action을 예시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inear scale + 1D Timeframe)
5월 LUNA, 6월 Sell-off Event시 하락은, 각각 1.000 & 1.618 구간의 지지🟥를 받았으며, 1.618 구간의 경우, Arc를 따른 지지 및 랠리🟦가 특징적입니다.
현재 2.618 구간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Arc를 따르는 랠리 가능성 이 존재합니다.
----------------------------------------------
----------------------------------------------
V. Fibonacci Spiral (피보나치 나선)
1. 특징 & 한계
1) 피보나치 나선의 특징
피보나치 나선은 피보나치 황금비 (1.618)를 기준으로 하는 일련의 사각형 집합 (각 정사각형은 이전 사각형 한 변의 길이에 황금비를 곱한 길이를 한 변으로 함) 을 기반으로, 각 사각형의 끝점을 연결하여 작도된 나선을 의미 (모식도 참조)합니다. 피보나치 나선이 이어질 수록, 지니는 반지름 역시 피보나치 비율에 근거하여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기술적 분석 상, 가격-시간 분석이 적절히 반영된 분석으로 여겨지며 주식 / 선물 / 채권 / 크립토 등 다양한 투자 분야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 피보나치 나선으로 산출한 구간은 지지/저항을 통한 가격 반전 (Reversal) 뿐 만 아니라, 가격의 급격한 움직임 (Price Spike) 을 예상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선 다양한 피보나치 분석 도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보나치 나선”이 “왜“ 차트 분석에서 의의를 지니는지에 대한 근거가 빈약합니다.
2) 피보나치 나선의 작도
팬, 채널, 아크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두 극점 (Peak or Trough)을 기준으로 하여 나선을 작도하게 됩니다. 설정된 두 점을 잇는 선분은 나선의 첫 반지름 (First Radius)이 되며, 황금비를 기반 으로 나선이 이어집니다.
나선 확장은 “1/4 바퀴를 회전” 할 때마다 반지름에 황금비를 곱한 크기만큼 이루어 집니다.
적절한 두 점을 설정한 경우, 가격 움직임 (Price Actio)과 나선이 겹치는 구간이 지지 / 저항으로 작용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TradingView 적용
<피보나치 스파이럴> 도구를 통해, 두 명확한 극점을 기준으로 작도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준점 간의 거리를 첫 반지름으로 상정 후, 황금비를 반영하여 자동 계산되므로 값을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설정” 에서 나선의 방향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아크와 마찬가지로, 설정한 기준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피보나치 구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차트 스케일 뿐 만 아니라, 타임프레임의 고 / 저 (HTF, LTF) 여부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3. 적용 예시
2022년 5월 LUNA 사태 당시의 BTC 일봉 움직임을 피보나치 나선으로 분석해보았습니다.
연 초 저점과 랠리에 이은 고점 (A-B)를 기준으로 나선 작도 시 나타나는 나선을 따라, 5월 급락 당시의 가격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작도 시, 타임프레임 및 스케일에 따라 나선의 위치가 확연히 달라짐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초기 설정한 TF 및 scale을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VI. Fibonacci Circle & Ellipse (피보나치 원 & 타원)
1. 특징 & 한계
1) 피보나치 원 & 타원의 특징
피보나치 원 & 타원 분석은, 여타 도구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기준 극점 (Peak or Trough)을 토대로 이루어집니다. 두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원 또는 타원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각 피보나치 구간이 그리는 원 (또는 타원)은 지지 / 저항 구간으로 작용한다는 점은 동일하나, 시장 전반의 추세를 가늠 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타원의 경우, 그 기울기와 형태가 극적일 수록 (ex - 찌그러진 형태, 급경사 등) 이후 나타날 가격 반전 (Price Reversal)이 강한 세기로 나타나는 경향 이 있습니다.
🔔 타 도구들과 달리, 가장 드물게 사용되는 피보나치 도구라 할 수 있으며 그 원리 또한 나선 (Spiral)의 경우와 같이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피보나치 원 & 타원의 경우 상방/하방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각 원 (또는 타원)은 지지, 저항 구간으로 동시에 작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수평 (0º)을 기준으로, 상방은 저항 영역 / 하방은 지지 영역으로 간주합니다.
2) 피보나치 원 & 타원 작도
명확한 두 극점 (Peak or Trough)을 설정 후, X축 (시간) 및 Y축 (가격) 상의 거리를 토대로 한 타원을 작도합니다. 이후 타원의 긴 지름 / 짧은 지름에 각각 피보나치 비율을 적용한 타원을 그리게 됩니다.
2. TradingView 적용
<피보나치 서클> 도구를 통해, 두 명확한 극점을 기준으로 작도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작도할 경우, 원(Circle)의 형태로 작도가 가능합니다.
두 극점을 기준으로 작도하는 경우, X축, Y축에서의 두 점 간의 거리를 각각 긴 지름, 짧은 지름으로 삼는 타원 이 그려지게 됩니다. (X축 간의 거리 ↔ Y축 간의 거리가 동일한 경우 원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피보나치 아크가, 두 점 간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삼아 그려진다면, 피보나치 서클의 경우 두 점 간의 길이가 아닌, X축 & Y축 상의 거리를 지름으로 삼는다는 점에 차이가 있습니다.
3. 적용 예시
마찬가지로, 2022 BTC 현재 움직임을, 6월 Sell-off 후 랠리의 움직임을 기반한 Ellipse으로 작도하였습니다. 4.236 구간🟥에서 일시 지지, 4.618 구간에서 현재 지지🟦 를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초 움직임을 기준으로 작도한 Ellipse (HTF 상) 에서 5.000 구간과도 중첩🟦되어 지지의 근거를 더하고 있습니다.
----------------------------------------------
----------------------------------------------
VII. 요약 & 정리
오늘은 피보나치 분석, 그 마지막 시간으로 가격+시간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5가지 분석 기법 : 팬(부채꼴 : Fan Lines), 채널 (Channel), 나선 (Spiral), 아크 (Arc), 원 및 타원 (Circle & Ellipse) 모두 가격과 시간의 흐름을 동시에 반영하는 동적 (Dynamic) 분석 도구 라 하였습니다.
적절히 사용되는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여줄 수 있으나 가격 + 시간을 모두 반영하는 만큼, 스케일 및 타임프레임 설정에 특히 유의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단독 적용을 통한 예측은 편향적 해석으로 인한 오류를 낳을 수 있으므로 타 보조 지표와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는 바입니다.
1) 피보나치 가격+시간 요소 도구에는 팬(Fan Lines), 채널 (Channel), 나선 (Spiral), 아크 (Arc), 원 및 타원 (Circle & Ellipse) 가 있다.
2) 이들은 가격 반전의 “구간”과 “시기”를 모두 나타내는 동적 (Dynamic) 분석 도구이다.
3) 따라서 가격 - 시간 스케일 설정에 유의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4) 피보나치 팬 (Fan Lines)은 추세선 (Trendline)에 기반한 분석 도구이다.
5) 피보나치 채널 (Channel))은 확장 (Expansion)에 기반하였으며, 기준점 (3 지점)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6) 피보나치 아크 (Arc)는 되돌림 (Retracement)을 호 (Arc)의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7) 피보나치 나선 (Spiral) 및 원 & 타원 (Circle & Ellipse)은 피보나치 비율을 토대로 한 분석 도구이나 그 원리는 명확하지 않다.
8) 원 & 타원은 지지/저항 뿐 만 아니라 시장의 추세 (Trend)를 전반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
----------------------------------------------
길고 긴 4주 간의 피보나치 시리즈가 끝을 맺었습니다. 트레이딩뷰 이용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응원 덕에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본 글의 저작권은 Yonsei_dent에 있습니다.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