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이더리움은 완벽한 하락국면이다"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
난 비트코인 "하락국면관점"
그럼 이더리움도 커플링으로 갈 수 밖에 없겠지?
그러면 이더리움은 어떤 그림으로 갈까?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야.
비트랑 완전한 커플링 그림이지
지금 이더도 보면 "가장 중요한자리"
에 올려 놓으면서
rsi를 추세선 하단에 올려 놓았지?
여기서 중요한건 반등이 온게 아닌 "올려놓은거야"
그럼 뭐 여기서 끝난거지.
시나리오는 이미 그려졌어.
비트와 함께 동반하락
저기 저 파란선 A지점까지.
근데 너무 거시적이라구?
그래 4시간봉을 봐 보자.
이더 가격은 현재 중요한 자리에 올려놓았어
여기서 떨어지는것을 보는 이유는
첫번째)
바로 rsi의 abc 상승.(강한 숏 타점을 유도)
두번째)
rsi 추세선 이탈
비트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흘러가고있어
그러면 비트가 20k를 찍을때 이더는 몇퍼센트 빠질까?
대략 20퍼센트
어디에 비교하던 손익비가 좋은자리라고 생각해
난 충분히 설명한 것 같아
그럼 여기까지 :)
부스트 한번 부탁해 .!
[6/13 비트코인] 겐슬러 해임 기원 1일차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겐슬러가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를 제소하면서 흉흉한 상황에도, 비트코인은 천천히 상승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간 팬 을 이용한 점진적 상승 구간을 알아보고, 그 사이에서
단타 포지션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10일의 하락 직후, 11일 12일 연달아서 변동성 강한 꼬리를 만들어주면서 상승 시도가 있어왔습니다.
전날에는 저점을 낮추는 시도를 기대했기에, 25650 자리의 이탈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새벽간 재차 말아 올리면서 상승중이고, 시간봉 마감의 고점 또한 높아진 상태입니다.
때문에 어느정도 추가적인 상승세를 추정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손익비가 나온 근거를 살펴봅시다.
먼저 주봉 단위의 간 팬 입니다.
파란선의 2/1 저항이 큰 틀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그 아래로 흰 간 팬 추세선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봉에서의 작도가 불완전한 것은,
주봉의 45도를 일봉 각도에 맞춰서 수정하는 과정에 의함입니다.
일봉에서는 조금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란선의 추세를 확인 할 수 있고,
간 팬이 3개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신규 작도된 5월 29일의 하락 간 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4시간봉 차트입니다.
4시간봉에선 신규 작도된 간 팬의 유효성을 어느정도 검증할 수 있었고,
지지 간 팬 으로 작용하는 8/1 추세선이 6월 11일 테스트된 모습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간 팬의 마지막 추세 각도인 8/1 선에서 지지받았고, 주봉의 파란 간 팬 또한 몸통으로 지지받았습니다.
☑ 이를 통해 주봉 단위의 시간 지지를 추정할 수 있고, 일봉 8/1 추세선의 지지 흐름 또한 살아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저항 3/1 간 팬의 상승 이탈 움직임에 주목해야 합니다.
상승 이탈 간 팬 만 남기고, 유효 추세선과 평행선을 추가 했습니다.
26020 평행선은 반발 매수 후 몸통 구간의 저항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2번 가량의 저항을 확인했으나, 현재는 이탈 후 상승중입니다.
26150 평행선은 기존 몸통 구간이 꼬리 저항, 매물대 역할을 하는걸 알 수있습니다.
마찬가지로 2차 꼬리 저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매물대 구간 진입 시도중입니다.
☑ 두 평행선 중 26150 저항선은 4차례 돌파 테스트가 이루어졌고, 현재 2시간봉에서
돌파 여부가 결정납니다.
만약 실패한다면 하위 평행선인 26020 까지의 지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10일 15시 몸통 추세선은 일정 부분 내부 추세선의 역할을 하고 있고,
해당 추세선 이탈시 강력한 꼬리 작용으로 반발 매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만약 26020 이하 매도 움직임시, 추가적인 꼬리 지지를 알 수 있고, 이는
간 팬 3/1 추세선에서의 꼬리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피보나치 확장을 이용해서 상승 근거를 추가해봅시다.
피보나치 확장을 작도하였고, 상승시 유효한 매물대 박스를 추가했다.
10일 13시 꼬리 보다는, 11일 03시의 꼬리 움직임이 조금 더 의미있는 구간을 설명할 수 있었다.
통상적으로 상승시에는 1:1 비율을 가정하여서 26450 까지의 일반적 상승을 추정할 수 있고,
그 아래 0.92의 몸통 도달을 목표로 설정하면 편하다.
☑ 때문에 현재 캔들의 상승 추세가 정석대로 진행된다면, 26150의 평행선에서 짧은 롱을 기다려볼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의 출현 가능성은 2시간 남은 봉마감에 있으며, 만약 조정 받지 못하고 상승한다면 26450의 간 팬 저항 + 피보나치 확장 1 비율의 저항이 유효하게 작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 따라서 경로를 그려보면 이렇게 된다.
3가지 유효 경로가 나왔다.
현재의 롱 관점에서는 초록 경로는 상승 시도에 대한 마지막 단기 조정이며,
조정시 0.618 ~ 0.5 의 3근거 중첩 매물대에서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매물대를 이탈한다면 하단 간 팬 의 3/1 추세선 까지 열려있기 때문에,
롱 입장에서는 상당히 급하게 돌아가야 한다.
26450 저항까지 확인한다면, 추세의 강한 이탈보다는 간 팬에 의한 단기 저항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횡보구간 매물대도 저항대로 작용하기에, 재차 0.618 지지를 확인 후 1.236 까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 전반적인 상승 추세를 기대할 수 있으며, 1:1 자리인 26450 도달이 이루어진다면
조정이 발생한다 해도 마지막 상승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
"비트코인은 완벽한 하락국면이다"안녕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자.
오늘 중요한 이벤트가 있었지?
바로 CPI (물가 상승지수)
이게 왜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칠까?
간단히 알려주자면,
경제 불안정이나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는 경우,
일부 투자자들은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에 투자하겠지?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할 수 있는거야
요약하자면, CPI와 비트코인 가격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아
하지만 투자 심리 등 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상호 작용하는거지.
뭐 어쨋든,
차트만 보는 난, 별로 반갑지 않은 이슈야
그럼 바로 차트로 가보자
오늘은 정말 간단해.
지금 비트는 완전한 하방시그널을 "오늘 전부 완성 시켰다"라고 생각하거든.
봐 볼까?
지난번에 말을 했듯이 큰 ABC안에 작은 abc로 강력한 롱 타점을 만들어 준 저 "파란지점" 이 중요하다 했었지? 가격은 25400
이 자리를 지켜 주려면
이 박스 안의 파동이 임펄스파동이 나와야해
하지만, 누가봐도 임펄스파동이 아니지.
피보나치 1대1상승 ABC파동이 나온걸 RSI와 캔들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어.
나는 이 시그널로만 비트 20K부근까지는 확정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마칠게.
도움이 되었다면 부스트 부탁해.
비트코인을 현재 바라보는 시각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비트가 상승채널의 미들라인을 아직까지는 지지해 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만약 지지를 받고 추세전환이 일어난다면 노란색 하락추세선을 돌파해야 안정적인 상승의 힘이 실릴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의 지점에서 현재의 추세대로 상승채널 미들라인을 하락돌파한다면 흰색 점선인 피보 되돌림과 검정색 상승추세선들을 보며 지지를 받는지 못받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현재 거래량은 2023년3월이후 처참합니다 시장에 돈이 들어와야 되는 시점이 곧 비트가 크게 상승할 수 있는 연료가 되니 현재의 미들라인에서도 기대를 해 볼수도 있고 아니면 상승채널의 하단부에서 기대를 해볼수도 있겠습니다.
중요한것은 현재의 자리에서 고점을 높여 올라가주는지와 저 노란색 하락추세선을 언제 돌파 하느냐 입니다.
예언가 너구리 "피보나치로 타점 오차없이 또 적중" (pepe코인)반가워 너구리들.
오늘 볼건 저번에 분석했었던 (PEPE) 페페코인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
저번에 내가 분석했던 pepe
현재 위치를 봐 보자.
저번에 말했던 1대1자리에
"정확히" 반등한거 보이지?
그러면 이 지점에 매수를 했다면,
어디까지 가져가야 할까?
일단 이런 "시가총액이 낮은코인"
->차트 패턴,매물대,rsi 등 보조지표로
접근해야해
일단 "내가 보고있는 그림"에 대해 설명해줄게
이 그림대로 가지 않을까 싶어.
그럼 근거를 들어줄게
1번자리)
ABC하락의 (B)부분 저항까지 상승
2번자리)
1번자리까지 상승의 피보나치 0.5되돌림
3번자리)
2번자리 피보나치 0.5반등이니
피보나치1대1자리까지 상승.
그럼 이렇게 상승한 패턴을 봐 보면
자, 1대1 ABC패턴이야.
그럼 내가 현재 상방을 보고있는 관점에서
슈팅구간을 잡으려면 어디일까
맞아, 저번에 말 했다시피
ABC상승의 B자리(거래량 터지는거 확인)
이 자리를 터치 후 슈팅이
"바로 이쪽" 날짜는 대략 7월
"전 고점 매물대"가 형성된 박스구간까지
가지 않을까 싶어.
그럼 내일보자.
[6/7 비트코인] 매크로도 나를 막을 순 없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기존 이평선 브리핑의 목표가를 달성한 뒤, 비트코인은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 움직임 또한 기존 작도된 간 팬 관점에서 움직였으며,
다시 한 번 관련해서 브리핑 드려보겠습니다.
--
5월 지지 간 팬은 이전 브리핑과 동일하다. 마지막 상승 추세의 근거였던
8/1 추세선이 이탈한 뒤로 크게 하락했으나, 장기 간 팬 추세선인 파란선 구간에서
반등을 확인했다.
현재는 재차 8/1 추세선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대형 거래소의 2고소를 감안하면
재반등에 호의적인 시장 분위기는 아닌 것을 감안해야 한다.
👀 그렇다면 추세선 재진입에 실패한 일반적인 경로를 고려해보자.
우선 고-저-고 피보나치 확장비율은
0.92를 기준으로 몸통 지지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 횡보중 하락 추세의 진행을 알 수 있다.
👀 그렇다면 현재의 반등이 새로운 상승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자.
4시간봉 하이킨아시 에서는 평균가 돌파에 실패하고 눌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현재로썬 고점 갱신에 실패한 LH 형태로 마감되었다.
✔ 고점 갱신에 실패하여, 다음 저점을 확인해야 한다.
👀 그렇다면 신규 피보나치로 하락시 단기 지지 구간을 생각해보자.
두 개의 피보나치를 그려봤다.
고-저 피보나치는 0.618 저항을 확인했고, 현재 0.47 구간 이하로 움직이는 중이다.
✔ 추가적인 매수세 동반이 어려워 보이며, 재차 상승하기 위해선
0.5 구간인 26900 이상 봉마감이 필요하다.
저-고 피보나치는 반등에 대한 되돌림이며, 강한 되돌림 시점인 0.236 지지에 실패했다.
✔ 추가 하락시 0.382 / 0.5 구간을 일반적인 중간 지지구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
👀 0.5 구간에서의 추가적인 근거를 생각해보자.
하이킨 아시에서는 25일 저점 구간의 마지막 음봉을 추정할 수 있다.
물론 더 위의 26680 중간 저점이 존재하지만, 현재 가장 근접한 구간이기에, 매매 자리로는 부적합하다.
✔ 0.5 피보나치 + 피치포크 1.618 구간의 노란 박스를 하락 목표로 설정할 수 있고,
0.382 구간부터는 반발 매수세의 출현 유무를 관찰해야 한다.
👀 손익비를 구해보자.
현재가 기준으로 0.5 자리를 익절 구간으로 설정한다면 2.51의 손익비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처음 0.236 자리의 테스트를 한다면, 초록박스 재반등 시도를 기다렸다가 진입할 수 있다.
✔ 0.236에 근접해서 숏 포지션 진입을 고려할 수 있고, 저항이 확인된다면
0.5 의 26370 까지 열려있다.
[ETH Analysis] Multiple TF에서 관찰되는 Bullish Structure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장기적 Long 관점을 유지 중에 있었습니다.
이더리움의 차트 구조는 현재 다양한 타임프레임에서 bullish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요 저항 level을 확실히 알아두는 것은 언제나 필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을 Top-Down 방식으로 분석하며 ETH Market Structure의 주요한 포인트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ETHUSDT, W1 Chart - 예측하였던 Bullish Movement가 나타나는 양상
1) 이더리움의 주봉 분석은 중장기 Bullish한 관점이 맞아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첫 번째 Bullish Deep Gartley 패턴 은 2020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형성되었으며, 0.382 level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의 Type 1 Reaction을 보인 후, 약 2차례의 Retest 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 작년 11월부터의 상승은 Type II Reversal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Type I Reaction이란 D Point 주위에서 형성되는 PRZ에서의 반전 이후 TP1 까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Type I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PRZ까지의 Return 이후 Retest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PRZ Retest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을 Type II Reversal 혹은 Reaction이라 부르며, TP1 이후 TP2 까지의 상승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3) 되돌림이 일어난 최근의 고점을 이용하여 Bearish Shark Pattern 을 작도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4월 중순의 하락 이후 0.382 Level에서 Support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Type 1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났으며, Bullish 5-0 Pattern과도 매우 유사한 움직임 입니다.
1차적으로 Shark Pattern의 0 Point인 $2030, C Point인 $2140 , 2차적으로 Bullish Deep Gartley 패턴의 TP1인 $2400 에서의 저항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지난주 주봉의 마감 또한 Morning Star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이번주의 움직임 역시 지난주 주봉 상단을 지켜주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Bullish 한 구조는 유지중이라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ETHUSDT, D1 chart - Wyckoff's Accumulation의 Phase E를 기대하며.
1) 이더리움의 일봉은 Wyckoff's Accumulation 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Phase D의 LPS (Last point of support) 과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780 선을 깨지 않으며, 삼각수렴을 상방돌파 한 점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사실상 미국의 '디폴트' 위기가 일단락됨에 따라 Phase E로의 움직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지난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하락 삼각수렴 패턴 은 Sweep 없이 상방돌파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4) 강조하였던 중요한 구간인 $1780 ~ $1920 구간에서 나타나는 High Volume Nodes (HVNs) 의 저항 을 돌파하지는 못하였습니다.
5) 향후 Liquidity를 확보하기 위한 Upthrust와 하방 Sweep 움직임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Phase E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1920, $2030, $2140 근처의 저항 을 반드시 돌파하여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ETHUSDT, H8 chart - ABCD Pattern을 완성하며 TP1을 돌파,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1) ETHUSDT H8 chart입니다. 지난 주 분석을 복기하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지난 분석에서 설명드렸던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3월 중순부터 2달 간에 걸쳐 생성된 Bullish Gartley Pattern (Blue Pattern)
Bullish Gartley와 대응되는 "3 Tap Setup"의 구조 (Green Box)
i) 첫 번째 Low Point ⇔ Gartley B Point
ii) 두 번째 Low Sweep ⇔ Gartley D Point
iii) 세 번째 Low Retest ⇔ Gartley Type II Reversal
D Point 이후의 움직임 (Type I, II Reaction) 에서 AB=CD Pattern 예상
3) 현재 이더리움의 상승은 예측과 같이 Bullish Gartley 패턴의 0.382 Level 에서 저항을 받았으며, 예측하였던 AB=CD Pattern은 완성되었습니다.
4) 약간의 되돌림 이후 재차 0.382 Level을 Test 하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돌파할 경우 0.618 ($1988) Level 까지의 상승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ETHUSDT, H4 chart - B Point Support가 일어난 "BAMM"
1) ETHUSDT, H4 차트입니다.
2) H8 Bullish Gartley Pattern의 C-D Leg를 Impulse Leg로 사용하는 Bearish Bat Pattern 을 예측해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난 상승과 되돌림, 재상승을 통해 B Point ($1872.5) Support가 확인되었으므로, Magnet Movement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BAMM 효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ETHUSDT, H1 chart - Bullish PO3 & 3 Tap Setup
1) ETHUSDT, H1 차트입니다.
2) 지난 주의 Consolidation 이후, Distribution 과정이 나타나며 Monday Range는 $1873 상방에서 형성 되었습니다.
3) 한 차례 되돌림이 나타났으며, 되돌림의 깊이는 Monday Range를 기준으로 정확히 1.618 지점까지의 Retracement 가 나타났습니다.
4) 현재 이더리움은 LTF 상에서 Bullish PO3의 구조 를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Monday Range의 영역에서 Accumulation, 그리고 $1840 ~1873 area에서의 3 Tap setup (Low ⇒ Low Sweep ⇒ Low Retest) 이 나타났습니다.
5) 현재의 상황은 B ullish Movement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Imbalance가 해소된 후 나타난 저항을 어느 정도 돌파한 상태 로 보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주요 지지 / 저항 Level 정리
RESISTANCE
1) D1 Chart 상 HVN들이 위치하고 있는 $1920 Level
2) H1 Chart 에서의 Monday High $1927 Level
3) H4 Chart 에서의 Bearish Bat Pattern D Point인 $1988 Level
4) $1988 Level의 경우 H8 Bullish Gartley의 TP2에도 해당함.
5) D1 Chart 상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Range인 $2030, $2140 Level
6) $2140 Level은 W1 상 Bearish Shark Pattern의 "C Point"이기도 합니다.
SUPPORT
1) H1 Chart 상 Manipulation의 저점 $1840 Level
2) H4 Chart 상 Bearish Bat Pattern의 B Point인 $1872.5
3) H8 Chart 상 3 Tap Setup이 일어난 가격 $1785 Level
4) D1 Chart 에서의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지지선인 $1780 Level
5) H8 Chart 상 Bullish Gartley D Point인 $1740 Level
감사합니다 :)
[비트코인] 뭐,,, 그렇게 됐습니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25일 브리핑 이후로 시간이 많이 흘렀고, 추가적인 변동성이 발생하면서 큰 폭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재차 일봉에서부터 천천히 되짚어 가면서, 그리고 알아보기 쉽게 개편한 브리핑을 보면서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
--
기존 브리핑에서도 적용된 21년 고점의 간 팬에서, 4월과 5월 새로 작도된 간 팬까지
총 3개의 간 팬을 주 관점으로 적용했습니다.
이때 장기적으로 돌파를 요구되는 매물대 구간을 37k로 보고 있으며, 저 자리는
하락 중 제일 많은 매수 변동성을 지닌 구간이기에 표시해뒀습니다.
일봉을 확대하면 위와 같습니다.
4월의 하락 간 팬과 5월의 상승 간 팬이 겹쳐있는 상황이며,
상승의 8/1 추세선을 체크 후, 현재는 하락 8/1 추세선을 체크했습니다.
때문에 상승 추세로의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현재는 신규 지지 채널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럼 이 작도를 기반으로 천천히 보시겠습니다.
4시간봉에서는 4월 저항 추세선의 작용이 확인되는데, 간 팬은 시간이 많이 쌓일수록
추세선의 작용이 강력해지는 특성이 있다.
현재는 5월 8/1 추세선에서 꼬리 작용을 확인했고, 단기적인 지지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이러한 지지 움직임은 피치포크 채널을 작도시 더 명확해지는데,
우선 피치포크 채널의 1.618 자리에서의 저항을 확인하며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때문에 현재 중간값 채널 위에서 4시간 봉마감이 필요하며, 상단 마감시에는 4월 간 팬 8/1 까지의 꼬리를 염두에 두고 단기 지지를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봉마감이 피치포크 중간값 이하 마감시에는 하락 압박으로 인하여 파란선의 1:1 하단까지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추정 경로를 확인하고, 피보나치 확장 작도를 추가해보자.
하락 경로를 추정하는 피보나치 확장에서는 0.5 지지 작용을 확인했으나,
이탈하면서 0.92까지의 꼬리, 0.786 마감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두 간 팬 추세선과 피보나치 확장 비율이 겹치는 구간을 초록 박스로 표시했다.
이는 지지 근거의 중첩으로 인해서, 현재는 단기적인 지지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0.92 매물대는 현재 자리에서 그다지 강한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있기에,
0.618 까지 단기 반등시 추가 저항 움직임으로 숏 관점을 추가 할 수 있다.
추가 하락시에는 1.236~382의 피보나치 확장 매물대가 존재하며,
이때는 장기 간 팬의 파란선 지지를 이탈시 강한 하락을 고려해야 한다.
이제 포지션을 정리해보자.
피치포크와 피보나치 확장을 중첩시켰다. 아까와 동일한 작도니, 이해가 안된다면 위 사진을 다시 봐보자.
피치포크에서는 상승 채널 진행중이나, 하락 피보나치의 작도 유효성을 확인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 지지구간 도달로 인한 반등이 출현한다면, 추가 숏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다.
두 포지션은 피보나치 비율과 간 팬 / 피치포크 채널의 지지를 고려했으며, 스탑로스는
마지막 유효 지지였던 0.5 구간의 재돌파로 설정할 수 있다.
비트코인 기술적분석#비트코인 #1시간 #차트분석
#피보나치
#추세선
#매물대
-빨간색 상승추세선 이탈 전까지는 상승 추세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겠습니다
-피보나치를 보시면 0.236~0.382구간에 매물대(노란박스)가 가장 많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매물대(27.3k)안으로 캔들 마감시 상승 추세 "폐기관점"입니다
상승하게된다면 피보나치 0.786~0.886구간
28960 or 29370부근 저항 예상 구간입니다
결론
현재 상승추세가 유효하며, 빨간추세선 이탈 후 봉 마감 or 27.3k 하방 이탈 시
상승추세 폐기 관점
중간중간 보여지는 캔들패턴으로 방향성을 유추해보며
짚어드린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역 방향 매매는 조심
비트코인 상승추세선 리테스트중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화이팅~!
○비트가 흰색 지지저항선을 뚫고 내려올때 단기상승추세선을 하락돌파 했었죠
그리고 지금 그 자리를 리테스트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리테스트 성공한다면 추가 하락 실패한다면 다시 상승추세선 위로 올라탈 것입니다.
이렇든 저렇든 일단 26.6k를 뚫고 내렸다는것은 조금 아쉬운부분이 많습니다.
해당부분 4시간봉으로 확대한 모습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피보나치 0.5구간인 25.2~25.3k를 건들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래 rsi를 보시면 중앙값인 50을 리테스트하고 떨어뜨렸습니다만 노란색 기준선은 아직 50 위에서 버티고 있는 중이지만 분명 큰음봉이 한번만 나와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하락추세의 발판을 삼을것 같습니다.
○이평선은 흰색 5/주황색 10/노란색 20/녹색 60입니다.
날봉에서는 5일선 한참아래로 떨어진 모습입니다.
12시간봉에서는 5일선 아래로 떨어졌다가 올라오면서 5일선 리테스트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8시간봉에서는 5일선을 상승돌파 했고 현재 5일선과 10일선 중앙에 있는 상승추세선에서 막혀있는 상황입니다.
4시간봉에서는 5일선과 10일선을 상승돌파 했고 역시 상승추세선에 막혀있습니다.
2시간봉에서는 5일,10일 20일선을 상승돌파 했습니다 그리고 5일선과 10일선이 골크를 내면서 상승에 대한 힘이 강하게 나타내다가 역시 상승추세선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1시간봉입니다. 5일선이 상승하기전 쌍바닥을 만들었고 각도가 위로 올라가면서 10일선과 20일선도 각도가 위로 바뀌는 상황입니다. 추세를 나타내는 60일선을 터치하고 역시 상승추세선의 저항때문에 현재 2캔들 음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날봉,12시간봉,8시간봉,4시간봉,2시간봉에서는 하단에 나오고 있는 rsi가 전부 하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시간봉 30분봉 15분봉은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다시 1분과 3분 5분은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시간봉~날봉까지는 하락을 15분봉~1시간봉까지는 상승을 1분봉~5분봉까지는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는것은 큰 하락추세에서 상승으로 돌리려 했으나 현재 상승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에서 현재와 가장 가까운 1~5분봉이 하락으로 돌고있으니 곧 15~1시간봉까지 내리는 모습으로 바뀔수 있다로 보시는것이 좋을듯 하네요.
[DXY] 💵간략히 알아보는 부채한도 협상 & 시나리오!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최근 미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디폴트 (채무불이행)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세계 경제가 들썩이고 있는데요, 과연 디폴트는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단기적 시나리오는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 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I. 디폴트
II. 부채한도 협상
III. 디폴트 시나리오 & 전망
IV. 결론
-----------------------------------
-----------------------------------
I. 디폴트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 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을 위해,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직후 호주 등 순방 일정을 취소하고 귀국했습니다.
부채한도 협상이 뭐길래, 디폴트는 얼마나 위급한 것이기에 이런 행보를 보이는 것일까요?
1)디폴트 : 채무불이행이 무엇이길래?
📌디폴트 : Default
디폴트란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빚 (Debt)은 채무이므로 빚을 갚는 행위인 채무 이행을 하지 못하는 셈입니다.
경제에 있어 디폴트는 아주 섬뜩한 단어입니다. 중국에 진 빚을 갚지 못한 스리랑카는 디폴트 선언 후 물가가 50% 이상 상승하였으며 소요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그리스는 IMF (국제통화기금)에 빌렸던 자금을 갚지 못하며 디폴트 위기에 빠졌고,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습니다. 남미 국가 역시 물가가 치솟았으며 실업자가 급증해 노숙자 등의 사회 문제가 대두되었지요.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의 IMF 외환위기 사태가 트라우마로 남아있습니다.
📉미국이 디폴트에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연방정부의 재원이 고갈돼 군인들 월급을 비롯해 건강보험, 사회보장제도 등의 각종 지출을 충당하지 못하는 최악의 경제적 재앙 사태가 도래할 것입니다.
미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CEA)의 보고서의 경우 미국이 디폴트를 선언, 장기화되는 경우 과거 대공황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 바라보고 있습니다. 실업자는 800만 명 이상, 주가는 45% 가까이 폭락, 경제 성장률은 6.1% 감소할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이 여파는 우리나라 역시 피해갈 수 없습니다. 과거 오바마 행정부 디폴트 위기 시기, 극적 타결이 이루어진 2011년 8월 초를 전후로 KOSPI : -22%, KOSDAQ : -21%의 폭락을 보였습니다.
-----------------------------------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6월 1일을 X-Date이라 지칭하며, 해당 날짜에 미국이 디폴트에 빠질 수 있을 것이라 경고하였습니다. 현재 (5월 28일 기준) 예상 디폴트 시한은 6월 5일 로 약 일주일 넘게 남아 있습니다.
-----------------------------------
2) 어쩌다 디폴트까지?
미국의 디폴트 위기는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2011년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 시기에도 지금과 같은 정치적 대립으로 인해 디폴트의 문턱에서 가까스로 마무리된 과거가 존재합니다. 당시 2011년 S&P; 지수는 19.5% 가량 폭락하며 세계 증시에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럼 왜 기축 통화국인 미국이 이러한 디폴트 위기 에 놓였을까요?
근본적인 원인은 미국의 지출이 세입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사실 미 연방정부는 2001년 이후 22년 간 적자를 보아왔습니다. 건강보험, 사회보장제도, 학교, 군사력 등 국가와 사회 유지를 위해 자금이 필요했던 미국은 국채를 발행하여 비용을 충당해 왔습니다. 즉 달러라는 기축통화의 지위와 국가 신용도를 바탕으로 차용증을 작성 (부채발행)하고 외부로부터 돈을 빌렸던 것입니다.
🏛️이에 미 연방정부는 나라가 빚더미에 않는 것을 막고자 부채발행의 제한 (한도)을 설정 하였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차용증의 규모가 현재 4,000조도 아닌, 4경 원에 이른다는 사실입니다. 부채한도의 억제 효과가 미미했던 탓일까요?
사실 미국 의회는 1917년부터 거의 매년 이 한도를 올려 왔습니다. 의회의 승인을 받아 한도를 올리거나 기한을 유예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현 부채한도는 31조 달러 수준으로 최근의 부채 한도 상향은 2021.12월의 2조 5천억 달러였습니다.
현재, 한도 상향 후 고작 17개월 만에 연방 정부는 부채한도에 도달하였습니다.이대로 가다간 정말 미국이 빚을 갚지 못하는 디폴트 선언을 해야할 상황이 올 지도 모릅니다.
-----------------------------------
-----------------------------------
II. 부채한도 협상
1) 디폴트를 어떻게 막을 수 있나?
현재로서는 빚을 질 수 있는 한도를 늘리거나, 갚는 기한을 늦추는 (유예) 것이 단기적 / 현실적인 해결책인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는 미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간단히 알아보는 미 연방정부의 구조
미국은 50개의 주 정부와 이들을 포괄하는 연방정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방정부는 대통령으로 대표되는 행정부, 입법 기관인 의회 그리고 대법원으로 3권 분립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의회”는 상원의회과 하원의회로 나뉩니다. 특정 법안이 통과되려면 하원 → 상원을 거치며 차례로 동의가 필요합니다.
-----------------------------------
채무 불이행 사태가 발생하면 현 대통령인 바이든의 지지율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내년 재선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은 당연히 의회 (상원 & 하원)와의 채무 한도 협상을 원활히 진행하고 싶어할 것입니다. 문제는 하원의석의 다수가 공화당(야당 - 222/435)인 “여소야대”인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민주당(여당)과 공화당은 정부 지출 / 예산 문제와 관련하여 팽팽히 대립하고 있습니다
과연 바이든 행정부와 의회 간의 협상이 잘 마무리될 수 있을까요?
2) 그래서, 협상은 진행 중?
🏛️여당 야당 간의 정치 카드로 쓰이는 부채 한도 / 난항을 겪는 부채한도 협상
“만약 당신 아이에게 신용카드를 주고, 그걸 한도 없이 쓸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해마다 신용카드 한도를 계속 늘려주는 겁니다. 그 빚, 다 여러분이 갚아야 하는 겁니다.”
- 케빈 매카시 : 미 하원의장 (공화당)
지난 5월 9일과 16일, 22일의 세 차례에 걸쳐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은 백악관에서 만나 부채한도 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 도출에는 실패하였습니다. 공화당은 그간 협상에서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일부 프로그램 삭감 및 코로나19 지원금 회수를 주장해왔습니다. 내년도 정부 지출과 관련해서도 민주당은 올해 수준을 유지하고자 하지만 공화당은 전년 수준으로 삭감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바이든은 “공화당이 경제를 인질로 잡고 있다”라며 협상에 합의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매카시는 “대통령이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며 완강한 입장을 내비쳤는데요, 문제는 6월 5일이 며칠 남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
🚨현재 : 5월 28일,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은 부채한도 협상에 잠정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최종 타결까지 이를 수 있을 지 지켜보아야 합니다.
-----------------------------------
-----------------------------------
-----------------------------------
III. 디폴트 시나리오 & 전망
1. 디폴트 시나리오
🎯부채한도 협상은 X-Date에 가까이 이르러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보다 높습니다.
바이든이 재선을 노리고 있어 어떻게든 합의를 이끌어 낼 것이라는 측면과, 결국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면 민생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게되고, 이로 인해 부채한도 협상을 반대했던 공화당의 지지율 역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부채한도 협상이 늦게 타결될 수록 증시 혼란이 커진다는 사실입니다.
-----------------------------------
2. 전망
💵미 국채
앞서 언급하였듯 국채는 해당 국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하기에, 미국의 디폴트 위기가 고조될 수록 국채의 신뢰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국채 신뢰도가 떨어진 만큼 더 많은 ‘이자’를 주어야 하며 이는 국채 금리의 상승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대출 이자율 등과 직결되는 시장 금리는 국채 금리의 영향을 받기에 마찬가지로 상승하게 되겠지요.
따라서 디폴트 위기감이 고조될 수록 - 부채한도 협상이 늦어질 수록, 국채 금리는 요동치게 됩니다. 실제로 초단기 국채는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이며 단기자금시장에 스트레스를 주고 있습니다.
5월 25일 뉴욕채권시장에서 미국 1개월물 국채금리는 장중 5.9%까지 상승하였으며, 현재 5.50%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
(채널 + 피보나치 + PD Array 분석)
🗝️Key Point
1) 2008 Low, 2020 Cyclic Low, 2023 Yearly Low를 바탕으로 PD Array 설정
2) DXY는 현재 2008~2023 기준 Premium 영역에 위치
💡참고 ** 역사적으로 달러 지수가 가장 낮았던 시기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가 발생했던 2008년 3월 16일(70.698)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달러인덱스 (DXY) 차트입니다. DXY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던 (ATL) 2008년 3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를 최저점 (🟥2008 Low)으로 설정하였습니다.
COVID 19 시기와 맞물리며 양적완화가 한창이었던 기간을 하나의 사이클 (Cycle)로 간주할 시 2020년 말 89.240의 저점(🟥Cyclic Low)은 유의미한 참고점이 될 것입니다.
2022년 9월의 고점인 114.77는 사이클 고점이자 연간 고점 : Cyclic High & Yearly High (현 시점 기준)로 설정하였으며, 연간 저점 (Yearly Low)은 100.8 부근입니다.
상기 고점은 ATL (2008), Cyclic Low (2020), Yearly Low (2023) 대비 공통 최고점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총 3 구간의 PD Array : 🟩Premium & 🟥Discount Array를 설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영역에 위치한 경우 50% 구간 : Equilibrium (EQ : 평형점) 으로 회귀하려는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감안하여 현 DXY의 위치를 평가하였습니다.
🗝️Key Point
1) Yearly Low = Quarterly Low (100.8), 강한 지지 가능성
2) DXY는 현재 2020~2023 Cyclic Premium Area에 위치
3) DXY는 현재 2008~2023 기준 Premium Area에 위치
지난 3개월 (분기) 간의 High, Low 확인 시 분기 저점 (Quarterly Low)는 연간 저점과 100.8로 거의 일치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강한 지지 (Support)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주요 구간 (Key Level)로 유념하여야 할 것입니다. 현재 DXY는 앞서 2008 이후의 대형 사이클 상의 Premium에 속하였듯, 양적완화 시행 시기인 2020년 이후의 사이클 상의 Premium에 속하고 있습니다.
🗝️Key Point
1) Yearly Low = Quarterly Low (100.8), 강한 지지 가능성
2) DXY는 현재 2008~2023 / 2020~2023 Cyclic / Quarterly Premium Area에 위치
3) Golden Pocket (61.8%~66.0%) 에 진입, 반전 양상이 확인됨
**위 차트는 2023.05.25 버전으로, 현재 보이는 일시 하락 움직임이 표현되지 않음을 유의해주십시오
Quarterly High & Low를 기준으로 61.8%~66.0% 구간 (Golden Pocek)을 확인한 결과, 현재 DXY가 해당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Golden Pocket은 추세의 반전이 나타날 수 있는 주요 구간이므로 DXY의 하락 반전이 명확히 나타나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현재 일시 하락을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 상승 추세는 지속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Golden Pocket에서 하락 추세로의 반전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현 추세가 유지된다고 가정 하, Quarterly High ↔ Low 기준 78.6% 까지의 상승 시점 ≒ 약 6/1 시점
** 6/1에 다다르기 전 협상이 타결되어 미 디폴트 리스크가 제거된다면 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으로 DXY 하락, 차트 상 되돌림 나타날 가능성 유의
** 5월 8일을 시점으로 시작된 상승을 바탕으로 평행 채널 작도 : 내부의 Swing High🔵 & Swing Low🔴 표시 (얇은 실선)
2023년 4월 말 ~ 5월 초의 Swing Low가 동일한 레벨 (101.0) 에서 3차례 형성 (Triple Bottom : 붉은 점선), 지지 역할 기대
📌DXY가 78.6%(분기 고/저점 기준)까지 상승한 이후 하락 되돌림 발생 시 유의할 주요 구간 (Key Level)
① Equilibrium (EQ)🟨 Lv.인 103.3~103.4 구간 ≒ 38.2% 되돌림 구간 (Triple Bottom Line (101.0) 기준)
② 5월 상승에서 보인 평행 채널 내의 Swing High & Low 구간과 50.0% 되돌림구간의 중첩
③ 61.8%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 구간
----------------------------------
📢결론
DXY는 부채한도 협상 타결이 될 경우 위험자산 선호 심리로 하락세 전환 가능성
이 경우, 분기 고/저점 기준 78.6% 위치가 주요할 수 있음
다양한 PD Array 상 Premium에 중복 위치하여 있으므로 EQ로의 하락 가능성 존재
본문에 언급한 주요 구간 (Key Level) 도달 여부 관찰
----------------------------------
감사합니다 :)
LINAUSDT 4h(요청자료) 관점공유합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매매를 응원합니다.
LINAUSDT 4h
파동을 아주 이쁘게 그리면서 움직이는 종목이네요 화면상 이종목의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매물대는 오더블럭2번이 되는거 같습니다
하락추세선을 상방으로 돌파했지만 오더블럭2을 뚫지 못하고 저항받아 내려왔습니다
AB=CD로 볼때 목표값은 0.01191이 되지만 현재의 조정이 녹색 지지선을 하락돌파 해서는 힘들것 같습니다
만약 현재 무포지션이라면 하늘색지지선 부근에서 타점 TP 오더블럭2
하락돌파시 손절
다음 녹색지지선 부근에서 타점 TP 하늘색저항선 오더블럭2가 되겠습니다.
[비트코인] 오르락 내리락 반복해~ 롱과 숏이 반복돼~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23일 브리핑의 롱 관점은 현재가 단기 반등으로만 끝났고, 추가적인 상승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현재는 상승분을 전부 반납하고, 새로운 하락 움직임이 나와준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자리에서의 반등 가능성과, 하락시의 다음 도달가는 어떻게 될지, 트붕이와 살펴보겠습니다.
--
상승을 기대했던 트붕이는, 2바닥 움직임을 고려해서 짧은 익절로스를 설정 후
롱 재진입을 기다렸었다. 하지만 심상치 않은 매도세로 인하여 24일은 관망만 했었고,
현재 신규 진입을 고려하고 있다.
기존 브리핑 자리에서 크게 밀린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19일 저점을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 까지 확인되었기 때문에,
트붕이는 추가적으로 밀리지 않을까 고민이 생겼다.
" 큰 추세에서 다시 바라보자. "
4시간봉 하이킨 아시
13일 평균가와 비교해서도 신규 저점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강매도 추세인걸 알 수 있다.
하지만 신규 저점이 나오면 밑도 끝도 없이 저점을 만들러 가게 되는가?
그건 아니다. 저점이 있으면 고점도 있는법.
그렇기 때문에, 트붕이가 할 일은
1 : 현재가 LL 저점이 맞는지? 와
2 : 단기 고점의 LH, 또는 HH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를 알아보는 일이다.
" 추세는 알아봤으니, 피보나치를 활용해보자. "
원 모양으로 피보나치 확장을 작도해봤다.
롱 입장에서는 이러한 피보나치는 현재가 저점일 경우 작도 가능하지만,
마지막 꼬리 이후 0.5 값인 26350 이상을 넘기지 못하고 하락하는 중이다.
또한 매물대 입장에서는 이미 05시 봉에서 S/R 플립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때문에 롱 입장 작도는 근거가 희미하다.
숏 입장의 작도다. 3 구간의 꼬리 테스트가 완료 되었고, 각각 간 팬 추세선의 지지를 바탕으로 시도되었다.
하락에 조금 더 유의미한 근거를 두고 고려할 수 있게 되었고, 무엇보다
할 일 1번의 현재가 저점임을 고려 할 수 있는 4시간 봉 역망치 캔들로 마감되었다.
중간 결론은 무엇인가?
1 : 현재 자리가 저점일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으며, 이는 단기 반발 매수의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2 : 그렇다면 단기 반발 매수 = 단기 고점이 어디까지 나올 것인가?
할 일 2번을 알아보자.
크게 두 가지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경로를 보기 전에, 간 팬의 추세선 작용을 살펴보자.
1 : 상승 / 하락 간 팬의 보라 추세선이 주요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현재는 보라 추세선에 위치해있고, 이는 곧 신규 변곡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2 : 변곡이 일어난다면, 중간 변곡 지점인 하락 간 팬의 4/1 선을 고려할 수 있다.
4/1 추세선은 확실히 단기 지지 / 저항 역할을 해준 것을 알 수 있다.
1 / 2 를 종합해보면, 현재 자리에서의 변곡이 발생할 경우, 빨간 4/1 추세선 까지 반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대전제인 하락 추세중의 반등이기 때문에, 여기서 추가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예상 경로중 초록선의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빨간 경로선을 보자.
빨간 경로선은 4월 14일 하락 간 팬의 4/1 선이다.
유의미한 꼬리 지지가 관찰되었으며, 현재가에서 하락시
13일 꼬리값 + 간 팬 4/1 지지로 인해서 중요한 반등 추정 구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추가적인 매도 강세가 나올 경우, 4/1 선을 토대로 반등 전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하락 피보나치 확장 2.618 + 시간상 간 팬 4/1 도달이 겹칠 경우,
꼬리 저점 갱신으로 인한 매수세 출현을 고려할 수 있다.
이제 트붕이는 2가지의 매매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1 : 반등시 매물대에서 저항 숏
2 : 하락시 간 팬 추세선에서 반발 매수 롱
손익비를 그려보자.
롱과 숏은 서로 손익비를 최소로 잡았다.
최근 움직임이 좁은 구간에서 움직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다 판단했다.
숏)
우선 숏의 경우, 1시간봉 05시의 몸통 구간까지 러프하게 생각 할 수 있다.
이후 스탑로스는 기존 설정된 매물대 돌파까지 열어뒀다.
롱)
롱의 경우는 현재가에서 하락시 10시 캔들의 꼬리까지 근접할 경우 잡을 수 있다.
신규 저점 갱신시 2.618 자리까지 스탑로스를 잡았으며, 최저 구간 반등의 목표가는
24일 22시 추가 하락 매도세의 꼬리가를 설정했다.
트붕이는 포지션을 기다리기로 했다.
To be contin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