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6 비트코인] 희망에서 희를 빼세요. 망했습니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저번 간 팬 교육자료를 통해서, 어느정도 간 팬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물론 정규 교육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모든 간 팬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힘들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핵심적인 부분, 즉 초장기적인 추세선 역할과 각도 이탈시 다음 각도로의 움직임 가능성은 이해하셨을 겁니다.
이번 글은 교육 자료는 아니고, 13일 게시글 이후의 차트를 살펴보기 위해서 준비해봤습니다.
--
간 팬의 지지 유효성 자체는 입증했으나, 단기 추세선인 빨간 점선을 넘지 못하고 하락했습니다.
현재는 3/1 이탈 후 블랙록 이슈로 상승 재진입 된 상황이며,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3일 브리핑된 간 팬의 일봉 상황이다. 빨간 점선 추세선을 이탈했으며, 이후 하락 간 팬의 3/1 지점과 지지 간 팬의 8/1 지점의 교차 변곡 지점에서 유의미한 캔들 움직임이 출현했다.
4시간봉 차트를 확대해보면, 현재 위치는 단기적인 낀 구간 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주요 변곡으로 인해서 15일에 하락이 나온건 좋은데, 이렇게 다시 올라온 상황에서
어느 간 팬의 지지 / 저항을 믿는게 좋을까?
교육 게시글에 올린 간 팬의 특성, 초장기적인 추세선 역할을 상기해보자.
일반적인 추세선은 장기 추세선이라고 해서 무조건 고신뢰도의 역할을 가지지 않지만,
간 팬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동으로 근거가 쌓여가는 추세선이다.
⚡ 때문에 우리는 시간이 더 많이 쌓인 지지 간 팬의 8/1 추세선 이탈에 주목해야 한다.
4시간봉 / 일봉 차트
일봉의 주 변곡 구간을 4시간봉에도 표시했다.
이때 우리는 주요 변곡 캔들을 아직 재진입 시도중이며, 어제의 상승이 이슈로 인한 (이슈가 없었더라도 상관없다.) 단기 반등이며, 하락 간 팬 의 3/1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여전히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 그렇다면 하락 경로의 피보나치 비율을 구해야 한다.
1시간봉에서 피보나치 확장 작도를 했다. 최근 거래량이 동반된 구간에서의 고-저-고 피보나치 확장이며,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비율에서 단기 변곡이 발생하는 걸 알 수 있다.
현재 위치에서는 마지막으로 0.5 저항이 발생했으며, 0.92 단기 반등을 확인했다.
하지만 하락 무효화를 위한 0.5 재차 상승 시도가 단기 시간봉에서 막히고 있으며, 0.5 이상 상승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을 가정할 수 있다.
차트상의 하락 경로는 간 팬의 시간상 지지구간인 25370과, 이전 매물대 구간의 캔들 몸통값인 1.618 구간을 주요 경로로 설정했다.
👀 여기서 현재 자리가 단기 하락 경로가 맞다는 예상을 하나 추가해서, 신규 피보나치 경로를 구해보자.
0.5 단기 고점을 기준으로 신규 피보나치 확장 경로를 작도했다.
단기적인 작도라서 신뢰도는 다소 떨어지겠으나, 하락 경로의 근거로 적용하기엔 큰 무리는 없어보인다.
간 팬의 기존 지지를 확인 후 신규 피보나치의 0.5 구간을 반등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으로 1.618 까지 열어두는 시나리오다. 이때 기존 하락 비율의 1.618 구간까지 초록 박스로 열어두며,
이 구간은 25110 ~ 24930 까지 0.7% 가량의 오차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상승 / 하락 변동성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이다.
⚡ 최종 하락 경로를 고려한다면 단기적으로 25370 도달 여부와, 25470 저항 여부까지 확인 후 숏을 시도하는게 일반적이겠고, 이러한 가정은 기존 하락비율의 0.5인 25730 이상 상승 봉마감시 무효화된다.
피보나치
"비트" 진짜 반등처럼 생각하는 여러분에게.자 한번 비트코인을 4시간봉을 보자.
현재 비트코인이 계속 하락 1대1 abc를 그리며
내려오고 있지?
숏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체크해야 할 건
"추세변환"이야
금일 이슈가 있었지?
1)블랙록, 미 SEC에 현물 기반 BTC ETF 출시 신청서 제출
2)애널리스트 "일반적으로 BTC 채굴 보다 매입이 낫다"
3)영국 재무부장관 "디지털 파운드 발행해야 할 수도
원래 하방으로 쭉 빠질 수 있는 그림이라 생각했지만
ABC 1대1 패턴이 깨지면서
쭉 떨어질 줄 알았던 차트가
이렇게 이슈로 인해 반등이 나오면서
"커다란 ABC 패턴을 완성했어"
"그러면 여기서 체크해야 할것"
Q1) 롱추세 전환인가?
Q2) 저 커다란 ABC패턴은 어떻게하면 깨질까?
첫번째 질문으로 가자.
나는 롱 추세전환을
(C부터 B)를 찍은 피보나치 되돌림 0.382구간
"돌파로 보고있어"
그래야 이런 임펄스 파동이 만들어 질 수 있으니깐
그러면 두번째 질문.
"어떻게하면 저 커다란 ABC가 깨질까"
당연히 C 자리 돌파지
하지만 먼저 숏 자리를 선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캔들의 0.382 이탈"
"지금 여기서 제일 중요하게 봐야할 거야"
이 부근 지지를 받지 못하면 아까 말한
하락 임펄스 파동이 시작되니
숏 관점인 친구들은 이 지점이 뚫리길 바래야겠지.
그럼 여기까지
도움이 되었다면 부스트 한번 부탁할게.
"이더리움은 완벽한 하락국면이다"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
난 비트코인 "하락국면관점"
그럼 이더리움도 커플링으로 갈 수 밖에 없겠지?
그러면 이더리움은 어떤 그림으로 갈까?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야.
비트랑 완전한 커플링 그림이지
지금 이더도 보면 "가장 중요한자리"
에 올려 놓으면서
rsi를 추세선 하단에 올려 놓았지?
여기서 중요한건 반등이 온게 아닌 "올려놓은거야"
그럼 뭐 여기서 끝난거지.
시나리오는 이미 그려졌어.
비트와 함께 동반하락
저기 저 파란선 A지점까지.
근데 너무 거시적이라구?
그래 4시간봉을 봐 보자.
이더 가격은 현재 중요한 자리에 올려놓았어
여기서 떨어지는것을 보는 이유는
첫번째)
바로 rsi의 abc 상승.(강한 숏 타점을 유도)
두번째)
rsi 추세선 이탈
비트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흘러가고있어
그러면 비트가 20k를 찍을때 이더는 몇퍼센트 빠질까?
대략 20퍼센트
어디에 비교하던 손익비가 좋은자리라고 생각해
난 충분히 설명한 것 같아
그럼 여기까지 :)
부스트 한번 부탁해 .!
[6/13 비트코인] 겐슬러 해임 기원 1일차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겐슬러가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를 제소하면서 흉흉한 상황에도, 비트코인은 천천히 상승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간 팬 을 이용한 점진적 상승 구간을 알아보고, 그 사이에서
단타 포지션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10일의 하락 직후, 11일 12일 연달아서 변동성 강한 꼬리를 만들어주면서 상승 시도가 있어왔습니다.
전날에는 저점을 낮추는 시도를 기대했기에, 25650 자리의 이탈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새벽간 재차 말아 올리면서 상승중이고, 시간봉 마감의 고점 또한 높아진 상태입니다.
때문에 어느정도 추가적인 상승세를 추정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손익비가 나온 근거를 살펴봅시다.
먼저 주봉 단위의 간 팬 입니다.
파란선의 2/1 저항이 큰 틀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그 아래로 흰 간 팬 추세선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봉에서의 작도가 불완전한 것은,
주봉의 45도를 일봉 각도에 맞춰서 수정하는 과정에 의함입니다.
일봉에서는 조금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란선의 추세를 확인 할 수 있고,
간 팬이 3개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신규 작도된 5월 29일의 하락 간 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4시간봉 차트입니다.
4시간봉에선 신규 작도된 간 팬의 유효성을 어느정도 검증할 수 있었고,
지지 간 팬 으로 작용하는 8/1 추세선이 6월 11일 테스트된 모습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간 팬의 마지막 추세 각도인 8/1 선에서 지지받았고, 주봉의 파란 간 팬 또한 몸통으로 지지받았습니다.
☑ 이를 통해 주봉 단위의 시간 지지를 추정할 수 있고, 일봉 8/1 추세선의 지지 흐름 또한 살아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저항 3/1 간 팬의 상승 이탈 움직임에 주목해야 합니다.
상승 이탈 간 팬 만 남기고, 유효 추세선과 평행선을 추가 했습니다.
26020 평행선은 반발 매수 후 몸통 구간의 저항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2번 가량의 저항을 확인했으나, 현재는 이탈 후 상승중입니다.
26150 평행선은 기존 몸통 구간이 꼬리 저항, 매물대 역할을 하는걸 알 수있습니다.
마찬가지로 2차 꼬리 저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매물대 구간 진입 시도중입니다.
☑ 두 평행선 중 26150 저항선은 4차례 돌파 테스트가 이루어졌고, 현재 2시간봉에서
돌파 여부가 결정납니다.
만약 실패한다면 하위 평행선인 26020 까지의 지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10일 15시 몸통 추세선은 일정 부분 내부 추세선의 역할을 하고 있고,
해당 추세선 이탈시 강력한 꼬리 작용으로 반발 매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만약 26020 이하 매도 움직임시, 추가적인 꼬리 지지를 알 수 있고, 이는
간 팬 3/1 추세선에서의 꼬리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피보나치 확장을 이용해서 상승 근거를 추가해봅시다.
피보나치 확장을 작도하였고, 상승시 유효한 매물대 박스를 추가했다.
10일 13시 꼬리 보다는, 11일 03시의 꼬리 움직임이 조금 더 의미있는 구간을 설명할 수 있었다.
통상적으로 상승시에는 1:1 비율을 가정하여서 26450 까지의 일반적 상승을 추정할 수 있고,
그 아래 0.92의 몸통 도달을 목표로 설정하면 편하다.
☑ 때문에 현재 캔들의 상승 추세가 정석대로 진행된다면, 26150의 평행선에서 짧은 롱을 기다려볼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의 출현 가능성은 2시간 남은 봉마감에 있으며, 만약 조정 받지 못하고 상승한다면 26450의 간 팬 저항 + 피보나치 확장 1 비율의 저항이 유효하게 작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 따라서 경로를 그려보면 이렇게 된다.
3가지 유효 경로가 나왔다.
현재의 롱 관점에서는 초록 경로는 상승 시도에 대한 마지막 단기 조정이며,
조정시 0.618 ~ 0.5 의 3근거 중첩 매물대에서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매물대를 이탈한다면 하단 간 팬 의 3/1 추세선 까지 열려있기 때문에,
롱 입장에서는 상당히 급하게 돌아가야 한다.
26450 저항까지 확인한다면, 추세의 강한 이탈보다는 간 팬에 의한 단기 저항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횡보구간 매물대도 저항대로 작용하기에, 재차 0.618 지지를 확인 후 1.236 까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 전반적인 상승 추세를 기대할 수 있으며, 1:1 자리인 26450 도달이 이루어진다면
조정이 발생한다 해도 마지막 상승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
"비트코인은 완벽한 하락국면이다"안녕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자.
오늘 중요한 이벤트가 있었지?
바로 CPI (물가 상승지수)
이게 왜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칠까?
간단히 알려주자면,
경제 불안정이나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는 경우,
일부 투자자들은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에 투자하겠지?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할 수 있는거야
요약하자면, CPI와 비트코인 가격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아
하지만 투자 심리 등 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상호 작용하는거지.
뭐 어쨋든,
차트만 보는 난, 별로 반갑지 않은 이슈야
그럼 바로 차트로 가보자
오늘은 정말 간단해.
지금 비트는 완전한 하방시그널을 "오늘 전부 완성 시켰다"라고 생각하거든.
봐 볼까?
지난번에 말을 했듯이 큰 ABC안에 작은 abc로 강력한 롱 타점을 만들어 준 저 "파란지점" 이 중요하다 했었지? 가격은 25400
이 자리를 지켜 주려면
이 박스 안의 파동이 임펄스파동이 나와야해
하지만, 누가봐도 임펄스파동이 아니지.
피보나치 1대1상승 ABC파동이 나온걸 RSI와 캔들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어.
나는 이 시그널로만 비트 20K부근까지는 확정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마칠게.
도움이 되었다면 부스트 부탁해.
비트코인을 현재 바라보는 시각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비트가 상승채널의 미들라인을 아직까지는 지지해 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만약 지지를 받고 추세전환이 일어난다면 노란색 하락추세선을 돌파해야 안정적인 상승의 힘이 실릴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의 지점에서 현재의 추세대로 상승채널 미들라인을 하락돌파한다면 흰색 점선인 피보 되돌림과 검정색 상승추세선들을 보며 지지를 받는지 못받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현재 거래량은 2023년3월이후 처참합니다 시장에 돈이 들어와야 되는 시점이 곧 비트가 크게 상승할 수 있는 연료가 되니 현재의 미들라인에서도 기대를 해 볼수도 있고 아니면 상승채널의 하단부에서 기대를 해볼수도 있겠습니다.
중요한것은 현재의 자리에서 고점을 높여 올라가주는지와 저 노란색 하락추세선을 언제 돌파 하느냐 입니다.
예언가 너구리 "피보나치로 타점 오차없이 또 적중" (pepe코인)반가워 너구리들.
오늘 볼건 저번에 분석했었던 (PEPE) 페페코인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
저번에 내가 분석했던 pepe
현재 위치를 봐 보자.
저번에 말했던 1대1자리에
"정확히" 반등한거 보이지?
그러면 이 지점에 매수를 했다면,
어디까지 가져가야 할까?
일단 이런 "시가총액이 낮은코인"
->차트 패턴,매물대,rsi 등 보조지표로
접근해야해
일단 "내가 보고있는 그림"에 대해 설명해줄게
이 그림대로 가지 않을까 싶어.
그럼 근거를 들어줄게
1번자리)
ABC하락의 (B)부분 저항까지 상승
2번자리)
1번자리까지 상승의 피보나치 0.5되돌림
3번자리)
2번자리 피보나치 0.5반등이니
피보나치1대1자리까지 상승.
그럼 이렇게 상승한 패턴을 봐 보면
자, 1대1 ABC패턴이야.
그럼 내가 현재 상방을 보고있는 관점에서
슈팅구간을 잡으려면 어디일까
맞아, 저번에 말 했다시피
ABC상승의 B자리(거래량 터지는거 확인)
이 자리를 터치 후 슈팅이
"바로 이쪽" 날짜는 대략 7월
"전 고점 매물대"가 형성된 박스구간까지
가지 않을까 싶어.
그럼 내일보자.
[6/7 비트코인] 매크로도 나를 막을 순 없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기존 이평선 브리핑의 목표가를 달성한 뒤, 비트코인은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 움직임 또한 기존 작도된 간 팬 관점에서 움직였으며,
다시 한 번 관련해서 브리핑 드려보겠습니다.
--
5월 지지 간 팬은 이전 브리핑과 동일하다. 마지막 상승 추세의 근거였던
8/1 추세선이 이탈한 뒤로 크게 하락했으나, 장기 간 팬 추세선인 파란선 구간에서
반등을 확인했다.
현재는 재차 8/1 추세선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대형 거래소의 2고소를 감안하면
재반등에 호의적인 시장 분위기는 아닌 것을 감안해야 한다.
👀 그렇다면 추세선 재진입에 실패한 일반적인 경로를 고려해보자.
우선 고-저-고 피보나치 확장비율은
0.92를 기준으로 몸통 지지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 횡보중 하락 추세의 진행을 알 수 있다.
👀 그렇다면 현재의 반등이 새로운 상승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자.
4시간봉 하이킨아시 에서는 평균가 돌파에 실패하고 눌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현재로썬 고점 갱신에 실패한 LH 형태로 마감되었다.
✔ 고점 갱신에 실패하여, 다음 저점을 확인해야 한다.
👀 그렇다면 신규 피보나치로 하락시 단기 지지 구간을 생각해보자.
두 개의 피보나치를 그려봤다.
고-저 피보나치는 0.618 저항을 확인했고, 현재 0.47 구간 이하로 움직이는 중이다.
✔ 추가적인 매수세 동반이 어려워 보이며, 재차 상승하기 위해선
0.5 구간인 26900 이상 봉마감이 필요하다.
저-고 피보나치는 반등에 대한 되돌림이며, 강한 되돌림 시점인 0.236 지지에 실패했다.
✔ 추가 하락시 0.382 / 0.5 구간을 일반적인 중간 지지구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
👀 0.5 구간에서의 추가적인 근거를 생각해보자.
하이킨 아시에서는 25일 저점 구간의 마지막 음봉을 추정할 수 있다.
물론 더 위의 26680 중간 저점이 존재하지만, 현재 가장 근접한 구간이기에, 매매 자리로는 부적합하다.
✔ 0.5 피보나치 + 피치포크 1.618 구간의 노란 박스를 하락 목표로 설정할 수 있고,
0.382 구간부터는 반발 매수세의 출현 유무를 관찰해야 한다.
👀 손익비를 구해보자.
현재가 기준으로 0.5 자리를 익절 구간으로 설정한다면 2.51의 손익비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처음 0.236 자리의 테스트를 한다면, 초록박스 재반등 시도를 기다렸다가 진입할 수 있다.
✔ 0.236에 근접해서 숏 포지션 진입을 고려할 수 있고, 저항이 확인된다면
0.5 의 26370 까지 열려있다.
[ETH Analysis] Multiple TF에서 관찰되는 Bullish Structure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장기적 Long 관점을 유지 중에 있었습니다.
이더리움의 차트 구조는 현재 다양한 타임프레임에서 bullish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요 저항 level을 확실히 알아두는 것은 언제나 필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을 Top-Down 방식으로 분석하며 ETH Market Structure의 주요한 포인트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ETHUSDT, W1 Chart - 예측하였던 Bullish Movement가 나타나는 양상
1) 이더리움의 주봉 분석은 중장기 Bullish한 관점이 맞아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첫 번째 Bullish Deep Gartley 패턴 은 2020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형성되었으며, 0.382 level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의 Type 1 Reaction을 보인 후, 약 2차례의 Retest 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 작년 11월부터의 상승은 Type II Reversal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Type I Reaction이란 D Point 주위에서 형성되는 PRZ에서의 반전 이후 TP1 까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Type I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PRZ까지의 Return 이후 Retest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PRZ Retest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을 Type II Reversal 혹은 Reaction이라 부르며, TP1 이후 TP2 까지의 상승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3) 되돌림이 일어난 최근의 고점을 이용하여 Bearish Shark Pattern 을 작도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4월 중순의 하락 이후 0.382 Level에서 Support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Type 1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났으며, Bullish 5-0 Pattern과도 매우 유사한 움직임 입니다.
1차적으로 Shark Pattern의 0 Point인 $2030, C Point인 $2140 , 2차적으로 Bullish Deep Gartley 패턴의 TP1인 $2400 에서의 저항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지난주 주봉의 마감 또한 Morning Star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이번주의 움직임 역시 지난주 주봉 상단을 지켜주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Bullish 한 구조는 유지중이라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ETHUSDT, D1 chart - Wyckoff's Accumulation의 Phase E를 기대하며.
1) 이더리움의 일봉은 Wyckoff's Accumulation 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Phase D의 LPS (Last point of support) 과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780 선을 깨지 않으며, 삼각수렴을 상방돌파 한 점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사실상 미국의 '디폴트' 위기가 일단락됨에 따라 Phase E로의 움직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지난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하락 삼각수렴 패턴 은 Sweep 없이 상방돌파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4) 강조하였던 중요한 구간인 $1780 ~ $1920 구간에서 나타나는 High Volume Nodes (HVNs) 의 저항 을 돌파하지는 못하였습니다.
5) 향후 Liquidity를 확보하기 위한 Upthrust와 하방 Sweep 움직임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Phase E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1920, $2030, $2140 근처의 저항 을 반드시 돌파하여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ETHUSDT, H8 chart - ABCD Pattern을 완성하며 TP1을 돌파,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1) ETHUSDT H8 chart입니다. 지난 주 분석을 복기하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지난 분석에서 설명드렸던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3월 중순부터 2달 간에 걸쳐 생성된 Bullish Gartley Pattern (Blue Pattern)
Bullish Gartley와 대응되는 "3 Tap Setup"의 구조 (Green Box)
i) 첫 번째 Low Point ⇔ Gartley B Point
ii) 두 번째 Low Sweep ⇔ Gartley D Point
iii) 세 번째 Low Retest ⇔ Gartley Type II Reversal
D Point 이후의 움직임 (Type I, II Reaction) 에서 AB=CD Pattern 예상
3) 현재 이더리움의 상승은 예측과 같이 Bullish Gartley 패턴의 0.382 Level 에서 저항을 받았으며, 예측하였던 AB=CD Pattern은 완성되었습니다.
4) 약간의 되돌림 이후 재차 0.382 Level을 Test 하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돌파할 경우 0.618 ($1988) Level 까지의 상승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ETHUSDT, H4 chart - B Point Support가 일어난 "BAMM"
1) ETHUSDT, H4 차트입니다.
2) H8 Bullish Gartley Pattern의 C-D Leg를 Impulse Leg로 사용하는 Bearish Bat Pattern 을 예측해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난 상승과 되돌림, 재상승을 통해 B Point ($1872.5) Support가 확인되었으므로, Magnet Movement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BAMM 효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ETHUSDT, H1 chart - Bullish PO3 & 3 Tap Setup
1) ETHUSDT, H1 차트입니다.
2) 지난 주의 Consolidation 이후, Distribution 과정이 나타나며 Monday Range는 $1873 상방에서 형성 되었습니다.
3) 한 차례 되돌림이 나타났으며, 되돌림의 깊이는 Monday Range를 기준으로 정확히 1.618 지점까지의 Retracement 가 나타났습니다.
4) 현재 이더리움은 LTF 상에서 Bullish PO3의 구조 를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Monday Range의 영역에서 Accumulation, 그리고 $1840 ~1873 area에서의 3 Tap setup (Low ⇒ Low Sweep ⇒ Low Retest) 이 나타났습니다.
5) 현재의 상황은 B ullish Movement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Imbalance가 해소된 후 나타난 저항을 어느 정도 돌파한 상태 로 보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주요 지지 / 저항 Level 정리
RESISTANCE
1) D1 Chart 상 HVN들이 위치하고 있는 $1920 Level
2) H1 Chart 에서의 Monday High $1927 Level
3) H4 Chart 에서의 Bearish Bat Pattern D Point인 $1988 Level
4) $1988 Level의 경우 H8 Bullish Gartley의 TP2에도 해당함.
5) D1 Chart 상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Range인 $2030, $2140 Level
6) $2140 Level은 W1 상 Bearish Shark Pattern의 "C Point"이기도 합니다.
SUPPORT
1) H1 Chart 상 Manipulation의 저점 $1840 Level
2) H4 Chart 상 Bearish Bat Pattern의 B Point인 $1872.5
3) H8 Chart 상 3 Tap Setup이 일어난 가격 $1785 Level
4) D1 Chart 에서의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지지선인 $1780 Level
5) H8 Chart 상 Bullish Gartley D Point인 $1740 Level
감사합니다 :)
[비트코인] 뭐,,, 그렇게 됐습니다.안녕하세요, 코줏대감 입니다.
25일 브리핑 이후로 시간이 많이 흘렀고, 추가적인 변동성이 발생하면서 큰 폭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재차 일봉에서부터 천천히 되짚어 가면서, 그리고 알아보기 쉽게 개편한 브리핑을 보면서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
--
기존 브리핑에서도 적용된 21년 고점의 간 팬에서, 4월과 5월 새로 작도된 간 팬까지
총 3개의 간 팬을 주 관점으로 적용했습니다.
이때 장기적으로 돌파를 요구되는 매물대 구간을 37k로 보고 있으며, 저 자리는
하락 중 제일 많은 매수 변동성을 지닌 구간이기에 표시해뒀습니다.
일봉을 확대하면 위와 같습니다.
4월의 하락 간 팬과 5월의 상승 간 팬이 겹쳐있는 상황이며,
상승의 8/1 추세선을 체크 후, 현재는 하락 8/1 추세선을 체크했습니다.
때문에 상승 추세로의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현재는 신규 지지 채널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럼 이 작도를 기반으로 천천히 보시겠습니다.
4시간봉에서는 4월 저항 추세선의 작용이 확인되는데, 간 팬은 시간이 많이 쌓일수록
추세선의 작용이 강력해지는 특성이 있다.
현재는 5월 8/1 추세선에서 꼬리 작용을 확인했고, 단기적인 지지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이러한 지지 움직임은 피치포크 채널을 작도시 더 명확해지는데,
우선 피치포크 채널의 1.618 자리에서의 저항을 확인하며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때문에 현재 중간값 채널 위에서 4시간 봉마감이 필요하며, 상단 마감시에는 4월 간 팬 8/1 까지의 꼬리를 염두에 두고 단기 지지를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봉마감이 피치포크 중간값 이하 마감시에는 하락 압박으로 인하여 파란선의 1:1 하단까지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추정 경로를 확인하고, 피보나치 확장 작도를 추가해보자.
하락 경로를 추정하는 피보나치 확장에서는 0.5 지지 작용을 확인했으나,
이탈하면서 0.92까지의 꼬리, 0.786 마감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두 간 팬 추세선과 피보나치 확장 비율이 겹치는 구간을 초록 박스로 표시했다.
이는 지지 근거의 중첩으로 인해서, 현재는 단기적인 지지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0.92 매물대는 현재 자리에서 그다지 강한 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있기에,
0.618 까지 단기 반등시 추가 저항 움직임으로 숏 관점을 추가 할 수 있다.
추가 하락시에는 1.236~382의 피보나치 확장 매물대가 존재하며,
이때는 장기 간 팬의 파란선 지지를 이탈시 강한 하락을 고려해야 한다.
이제 포지션을 정리해보자.
피치포크와 피보나치 확장을 중첩시켰다. 아까와 동일한 작도니, 이해가 안된다면 위 사진을 다시 봐보자.
피치포크에서는 상승 채널 진행중이나, 하락 피보나치의 작도 유효성을 확인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 지지구간 도달로 인한 반등이 출현한다면, 추가 숏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다.
두 포지션은 피보나치 비율과 간 팬 / 피치포크 채널의 지지를 고려했으며, 스탑로스는
마지막 유효 지지였던 0.5 구간의 재돌파로 설정할 수 있다.
비트코인 기술적분석#비트코인 #1시간 #차트분석
#피보나치
#추세선
#매물대
-빨간색 상승추세선 이탈 전까지는 상승 추세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겠습니다
-피보나치를 보시면 0.236~0.382구간에 매물대(노란박스)가 가장 많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매물대(27.3k)안으로 캔들 마감시 상승 추세 "폐기관점"입니다
상승하게된다면 피보나치 0.786~0.886구간
28960 or 29370부근 저항 예상 구간입니다
결론
현재 상승추세가 유효하며, 빨간추세선 이탈 후 봉 마감 or 27.3k 하방 이탈 시
상승추세 폐기 관점
중간중간 보여지는 캔들패턴으로 방향성을 유추해보며
짚어드린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역 방향 매매는 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