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크립토커런시)
2879.9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3321.3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3265.0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2646.89 지점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원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그렇지 못하다면, 2316.1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BTC 차트의 StochRSI 지표와 다르게 아직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다음 변동서 기간인 2월 24일경(2월 23일-25일)을 지나면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장기 상승 추세선 (1) 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본 차트에서 추세를 알 수 있는 지표는 Trend Cloud 지표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들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지 하락하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그에 따르는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거래 전략으로 거래를 시작할 때 HA-Low, HA-High, BW(0), BW(100) 지표 부근이나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 시점을 찾아야 합니다.
-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표로 아래 지표 설명을 참고해 보세요.
Heikin Ashi Line chart 상승, USDT.D Line chart 하락, StochRSI 상승 :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Heikin Ashi Line chart 하락, USDT.D Line chart 상승, StochRSI 하락 :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나머지는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2706.15-2879.9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2706.15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513.01-2706.15 부근에서 지지 받고 MS-Signal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D 차트)
그러므로, 2316.10-2513.01 부근에서 지지 받고 2706.15-2879.9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가간은 BTC 의 변동성 기간과 같은 2월 16일경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1M 차트의 M-Signal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제목) 1M 차트의 M-Signal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현물 거래시 거래 전략의 예)
----------------------------------------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MS-Signal(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2879.90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2316.10-2513.01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거래하기 위해서는 최소 5EMA+StErr 지표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즉, 2879.9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현재 위치로 보면, 3136.41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3265.0-3321.30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되므로 이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선정하였다면, 그 지점 부근에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거래 전략을 만들기에 적합한 지표는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입니다.
현재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 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박스 상단 지점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은 2125.01-2921.0 입니다.
이에 따라서, 2879.90 부근에 중요한 지점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나 3265.0-3321.30 구간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현물 거래는 하락할 때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장입니다.
다만, 투자 기간이 단기 이하일 때는 수익 중일 때 수익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딱히 거래 전략을 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단기 이상의 투자 기간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금액 중 일부를 매도하고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도한 금액만큼 다시 매수하여 보유 수량을 늘리는 거래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수한 다음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일부를 매도하고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다만, 상승세에 있을 때는 다시 매수하기 전에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물 거래시에는 하락할 때가 거래 전략을 만드는 중요한 시기에 해당되고, 상당히 바쁘게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렇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금액을 모두 매도하게 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만 남기 때문에 그때부터는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순수 코인(토큰)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것이 현물 거래로 장기 투자에 좋은 거래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
총 투자금의 약 20% 정도는 항상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번과 같은 큰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현금이 없다면, 반드시 일정 부분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해 두어야 합니다.
현물 거래시 손실 중이더라도 위의 방법대로, 즉, 매도 후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유 수량을 늘려간다면 보다 빠르게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저의 차트에서 추세 지표인 MS-Signal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중요합니다.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관찰이 필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이더리움(ETH) 2월01일 분석 안내.CRYPTO:ETHUSD
이더리움(ETH) 지난 일봉 기준 폴링웨지 패턴에 이어
큰 흐름으로는 컵 앤 핸들(Cup And Handle)의 패턴도 보이는 모습입니다.
무엇이 됐든 4,000달러 부근이 주요 저항 구간이 되겠고
해당 구간 돌파 시에는 4,700 - 7,000불을 타겟으로 가지고 가도록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하단은 2,100불을 깨트려서는 안됩니다.
4,000불 구간을 잘 지켜보도록 합니다.
보유자산의 1/150 혹은 1/100 비중으로 안전하게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 중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의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26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BTC의 변동성 기간이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1월 26일까지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TH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빠르게 3265.0-3321.30 부근이나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3136.41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이번 변동성 기간에 3136.41-3321.30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3136.41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다시 3265.0-3321.30 구간으로 상승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락세가 진행되면서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수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1월 26일이나 1월 31일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다시 발산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ETH] 난 이더 게임을 해봤어요!!!!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솔라나를 비롯한 메이저 코인들이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고있는데
우리 이더리움은 왜이럴까요..??
오늘은 이더리움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
이번 상승장에서도 노란색으로 표시한 24년 3월 11일부터 두달간 이어진 하락이후의 급반등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하얀색으로 표시한 구간이 진행된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렇게 이더리움은 프렉탈적인 접근이 참 잘 먹히는 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짜고짜 이 얘기를 왜하나면 지금 구간 역시 보다시다피 24년 5월 상승했던 이구간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마 이때 매매를 하셨던분들은 시장분위기를 기억하실겁니다.
이때도 비트코인이 급등함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은 한참을 줄줄 흘렀고,
사람들이 이더리움은 망했다며 이더리움 민심이 나락가면서 매수심리가 완전 죽어있었습니다
그렇게 이더리움에 대한 조롱이 극에 달하고있던 찰나에
비트코인보다 3~4일정도 늦게 큰 상승을 보여주면서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에게 포모를 안겨주었는데요
-------------------------------
저는 이번에도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코인 시장을 보시면 메이저코인들이 상승할동안 이더리움은 지지부진 하면서 이더리움에 대한 민심이 매우 안좋은데요
심지어 트럼프쪽에서 이렇게 의도적인 기사를 내며 펌핑을 시도해도 쉽게 매수세가 붙지 않고있는 모습입니다
이런점들을 미루어보아 저는 이번에도 역시 비트코인보다 늦지만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줄것이라고 보고있으며
빨간색 하락추세가 돌파되는 시점이 그 거대한 상승의 트리거가 되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저는 어떻게 대응을 할 생각인지 말씀드리자면
저는 개인적으로
초록색 매물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이 매물대근처 까지 다시 하락이 나와준다면 매물대가 하방이탈 되지 않는한 매집을 계속해서 해볼 생각이고
매물대까지 하락하지 않고 빨간색 하락추세를 돌파한다면 돌파할 때 시장가매수로 대응해볼 생각입니다.
2025 미국 경제, 폭발 상승 할 준비 끝났나? 비트코인 차트분석 안녕하세요 킴쥬드입니다
2025년 1월 17일
글로벌 시황분석 그리고 비트코인 분석
빠르고 간단하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로 어제 밤
금리결정의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연방준비은행의 윌러 이사의 발언으로
나스닥을 비롯해
비트코인, 러셀과 함께
모든 자산군들의
엄청난 상승을 만들어 냈습니다
윌러 이사는
2025년 금리 인하를
최대 4번으로 예상하며
물가와 고용시장 개선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개선 경로를 이어갈 경우
"금리 인하가 현재 시장이 반영하고 있는 것보다 이르게 이뤄질 수 있다고 본다"
현재 윌러 이상의 발언으로
얼어붙어 있던
금리인하를 바라는 투자자들의
투심이 살아나면서
시장의 큰 반등을 만들어 냈습니다
2. 계속 핫하게 달궈지고 있는 이슈
부채한도 이슈
실제로 이뤄질지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부채한도 폐지로 인한
미국 디폴트 리스크가 사라지면
증시에 단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달러가치 하락을 불러올 수 있는
우려가 굉장히 커집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투자의 방향성은?
2025년 투자 전략의 핵심
금리인하가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현재의 이슈를 다 이겨내고
더 큰 상승과 함께
투자 시장의 큰 수혜를
기대 해 볼 수 있다!!!!
비트코인, 미국주식을 투자하는
우리는 너무 행복할 수 있다!
자 그렇다면
현재 차트에서 보여주는
비트코인 방향성
한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비트코인 차트분석
89K 저점 이후 계속해서 의미있는 하락, 유의미한 하락 없이 강력하게 꾸득꾸득, 작은 프레임에서 단 한번의 추세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프레임의 확장없이 강력하게 상승해 주는 모습입니다.
아주 강하게 상승하여 현재 마지막 보스, 끝판 대장 역사적 고점 매물대를 향해 움직이는 모습이고, 현재 구간에서 중요하게 체크해야 될 자리는 어제 만들어 준 저점 97.4K를 지키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줄것인지, 계속해서 조정없이 "꾸득꾸득" 올려 줄 것인지를 체크 하시고 대응하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작은 프레임에서 반복적으로 보여준 움직임은 다들 아시겠지만, 저점을 만든 이후 계속해서 매수세가 들어와주면서 저점을 갱신하지 않고 돌아 나가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 프레임 더 큰 하락을 만들어 줄거라면 고점 매물대를 계속해서 못 뚫는 모습을 보여줄것입니다.
롱이 없고 계속해서 기다리고 계시다면 작은 프레임에서 접근하셔서 프레임을 키워 나가시면서 대응하셔야 되고, 숏 관점도 마찬가지! 매물대를 직전 고점을 못뚫는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익절해가면서 대응하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강한 상승으로
상당히 큰 심리적인 압박이나
포모를 동반한 뇌동매매를
하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한 상승과 하락을 동반하여 움직일 경우
내가 무포지션이라면
다음 포지션을 기다리고 준비해야 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큰 프레임 그리고 작은 프레임에서
접근 하실 수 있게 계속해서
대응 하실 수 있도록
계속해서 글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22일경-25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구간을 상향 돌파하였습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438.16 지점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지 않았지만, 2895.47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였기 때문에 이번에 3438.1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3265.0-3438.16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단기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면, 3831.12-3996.22 구간이 저항 역할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831.12-3996.22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3265.0-3321.30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하락하면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3265.0-3321.30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0m 차트)
BTC 분석에서 말씀드린대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즉, 3438.1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구간 부근에 여러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만큼 중요한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265.0-3321.30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가격 위치(3136.4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2개의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1W 차트)
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고 1M 차트의 HA-High 지표의 박스 상단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예전과 마찬가지로 3438.16 이하가 매수 시기에 해당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3265.0-3321.30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특히,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3265.0-3321.30 부근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더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고점 경계 구간은 3831.12-3996.22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고점 경계 구간이 저항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3644.71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차트무당 마코 1월 02일 비트코인 오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월 2일 25년 새해 첫 관점 공유 글 공유 드립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 한해 모두 대박 나시길 바랍니다.
비트코인 현재 상황 입니다.
비트코인은 8시간 볼린저밴드 저항선까지 터치 하였고
아직 4시간 일목균형표 상 음운은 살아 있는 구간이며
6시간 이 후 12시간까지는 일목균형표 음운이 유지 되고 있는 중 입니다.
지금 현재구간에서 상승세가 유지가 된다 하더라도 저항 구간들이 아직
상단에 많이 포진되어 있는 구간이니 주의 하셔야 합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구간에서 95,263 자리만 이탈하지 않는다면
비트는 상승우위 패턴에서 지지받고 상승이 가능한 구간입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95,263 구간을 이탈한다면 4시간차트 상
일목균형표 음운이 양운으로 바뀌지 않고 음운이 유지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연출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구간이고 4시간 MACD 골든크로스가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으로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금일 가장 중요하게 보셔야 하는 구간 입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자리에서 조정이 나오지 않고 우상향으로 계속 밀고
올리는 구간이 가장 지금 자리에서는 베스트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유는 상단에 음운이 아직 두꺼운 자리들이 있기 때문에
한번에 올린다면 그만큼 저항을 강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97,688 구간은 일봉차트 중앙선 구간이고 현재도 충분히 과매수 구간 입니다.
과매수 후 에는 과매도가 따라 오는 법!!
지금처럼 우상향으로 밀고 올려야 가장 이쁜 상승세의 그림이 나오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금일 탐구간을 99,909 로 잡은 이유는 8시간 12시간 음운저항구간이며
12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그만큼
강하게 조정도 나올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테더도미넌스 보시면 현재 일봉차트 지지선은 터치 하지 않았고
8시간 12시간 양운 유지 중 12시간 볼린저밴드 지지선까지
터치 했기 때문에 지지받을 수 있는 조건들이 성립되고
이에 따라 비트코인도 조정의 가능성은 분명히 있는 자리 입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단기 상승세 전환 구간 : 3438.16-3472.21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어찌되었든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3438.16-3472.21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3265.0-3321.30 부근이나 3438.16-3472.2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BTC 분석에서 말씀드린대로 현재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인 시장은 언제라도 하락을 보여도 이상할 것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본격적인 매수는 USDT가 갭 상승세로 전환되었을 때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로서는 단기적으로 대응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3265.0-3321.30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을 맞이하여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고 3644.7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1W 차트의 M-Signal
2차 : 1M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하락이 진행될 때,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의 파동을 마감하고 새로운 파동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간의 이격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승시 큰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현재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번 변동성이 끝나게 되면,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22일경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BTC의 다음 변동성 기간이 1월 10일경이므로 이때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이더리움 분석: 주요 지지와 잠재적 하락 24.12.26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오늘의 분석은 이더리움입니다.
30분 봉 차트
이것은 30분 봉 차트입니다.
최근 작성했던 이더리움 분석 이후 단기 상승 추세선의 이탈이 발생하여 다시 분석을 업데이트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은 주황 박스 매물대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오늘의 핵심 지지선은 3356이 될 것입니다.
상승 추세선은 이탈되었지만, 아직 매물대 하단이 이탈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세가 완전히 하락세로 전환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만약 가격이 이 수준 아래로 이탈한다면, 이는 추세 전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첫 번째 하락 목표는 빨간 박스 매물대, 더 큰 하락이 발생할 경우 파란 박스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봉 차트
일봉 차트에서는 기존에 작성된 큰 틀의 추세 방향 분석을 다시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명확한 매매 판단을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결론:
이더리움의 단기적 방향은 3356 지지선에 달려 있습니다.
이 수준이 무너지면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매물대가 지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명하게 매매하시고, 모두 성투하세요!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3265.0-3321.3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2706.15 부근에서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3265.0-3321.60 부근에서 지지 받고 3438.16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기 위해 2895.47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인 12월 27일경(12월 26일-28일)을 지나면서 어떠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하락의 시작 : 3707.61 이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BTC 아이디어에 말씀드렸듯이 StochRSI 지표가 움직이고 있을 때 StochRSI 지표의 값이 변동하는 것은 의미있는 지점을 통과하였을 때라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StochRSI 지표의 값이 100 지점에서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어느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되면 다시 100 지점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캔들이 발생하였을 때 정확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전 아이디어에서 3438.16 이하일 때가 매수 시기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그 이유는 그 이상 상승하게 되면 변동성에 의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만일 이 매수 시기에 알트코인을 매수하였다면 현재 거의 비슷한 가격대에 있거나 수익 중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고 손실 중이라면 그 코인(토큰)은 후순위 코인(토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시장에서 소외되어 있는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
(1D 차트)
HA-High 지표 (3831.12) 이하로 하락한 모습입니다.
또한,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고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가능하면, 3831.1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전에
1차 : 3438.16 ~ 0.618 (3548.07)
2차 : 3265.0-3321.3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하락이 진행될 때, HA-Low 지표나 BW(0)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특히,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현재의 파동을 마감하고 새로운 파동을 만들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644.7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1M 차트의 HA-High 지표의 박스 상단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서 유지되고 있고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으로 접근하고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한 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다만, StochRSI 지표로는 얼마만큼의 변동폭이 발생할지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1차 : 3438.16-3644.71
2차 : 3265.0-3321.3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 오랜 기간 유지된다면, 조금의 하락이 발생하더라도 StochRSI 지표의 하락폭은 상당히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즉, 하락하는 척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고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 OBV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ETH 매수 포지션 7K
1) b 값 $2141 돌파 이후 BAMM reaction 이 진행 중이며, ATH $4868 로 부터 시작한 장기 하락 추세선을 회복하는데 성공했습니다.
d 값 $4700 도달 시, BAMM reaction 종료의 최소 조건을 충족합니다
2) d 값 $4700 에 근접하며, 더 큰 범위에서 새로운 BAMM reaction 이 시작됩니다.
해당 패턴에 의하여 목표가를 D 값 $5950 으로 상향할 수 있습니다.
3) 최종적으로 price discovery 가능성을 점검합니다.
all-time 피보나치 되돌림 1.618 레벨인 $7330 까지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BAMM (4700) > BAMM (5950) > price discovery (7330)
본 글은 주봉 단위의 분석이며, 단기 등락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로직으로 나타나지만.
긴 호흡의 실제 거래를 버틸 수 있는 인원은 소수일 것으로 바라봅니다.
3831.12-3996.2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차트에 여러 선들이 존재하지만, 현재 위치에서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3831.12-3996.22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입니다.
3831.12-3996.22 구간은 HA-High, BW(100) 지표로 구성된 구간으로 고점 구간을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점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고점 구간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거나 고점 구간 이상에서 하락하게 된다면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점 구간(HA-High, BW(100) 지표로 구성된 구간)과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와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므로서 하락세로 전환되는 것인지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드는 움직임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고점 구간과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근접해 있는 관계로 사실상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번에 고점 구간 (3831.12-3996.2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와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과 관건입니다.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6일경이므로 이때,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HA-Low, BW(0) 지표가 생성된다면, 의미있는 구간에 해당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3438.16-3644.71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BTC 아이디어를 보시면 현재의 움직임에 대해서 이해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ETH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3265.0-3321.30 입니다.
이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ETH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3438.16-3644.71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신고가(ATH)를 갱신하기 위한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BTC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고점 구간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3831.12 지점에 HA-High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하게 된다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부근,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이제까지의 상승세를 초기화시키고 다시 추세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이 형성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가 생성되고 그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저점 구간 이하로 하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단신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현재로서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 MS-Signal 지표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6일경이므로 이때,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