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01 04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입니다
어제저녁 47.5k를 재차 돌파 시도를 했지만 맞고 46.5k를 지켜주지 못하고 말씀드린 45k 라인까지 빠진 모습입니다.
쌍바닥이 만들어진 모습이지만 아직까진 상승 힘이 강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위 추세 라인도 세 번 터치 후 고점을 낮추는 모습은 좋지 않은 모습입니다
45.5k~45.7k를 지켜주는지 1 차 체크
만약 46.6k 뚫어준다면 윗추세라인을 뚫어주는지 체크
맞고 떨어지면 작도처럼 움직임 가능성 커 보이고
그림처럼 움직인다면
하방 가능성 80% 상승 가능성 20% 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더리움 (크립토커런시)
2022 01 03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입니다.
주말 카톡방에 공지드린 시황에
1차 체크 구간 47.5k 라인을 돌파 후
거래량 동반 힘 있게 뚫어줘야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고 말씀드렸지만
매수세가 붙어주지 못하고
세 번 돌파 후 다시 떨어진 모습은 좋지 않은 그림입니다
다시 올려준다 하더라도 48.3k ~48.7k 구간을 거래량 동반 힘 있게 뚫어주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하방 압력이 여전히 매우 큰 자리입니다
46.5k 라인을 지켜주지 못하고 표시해드린 rsi 지지를 지키지 못 할시
다시 45k 라인까지 열고 보셔야 하며
그 후 노란색 선 추세선을 지켜주는지 체크하셔야 합니다
노란색 선 이탈 시 큰 덤핑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큰 자리입니다
어제 파워렛저 폴리매쓰 시작으로 마이너 알트들이 펌핑을 주고 있는데
큰 의미를 두고 투자하시기 보단 단타성으로 짧게 먹고 빠지는 투자를 추천해드립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이번년도는 모두 하시는 일 잘 되시길 빌겠습니다
비트코인 (BTC) - 1월 3일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XBTUSD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5164.5 지점 부근
두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지지 구간 : 38225.0 지점 부근
46695.0-49518.0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간입니다.
이에 따라서, 45211.0 지점 이하나 50876.0 지점 이상으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온다면, 그 방향으로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50876.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5211.0-46695.0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승 추세선(2)나 하락 추세선(3)을 터치하고 반등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큰 변동성 기간은 3월 9일경이지만, 1월 7일경(1월 6일-8일)에 45211.0-47536.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ETHUSDT 1W 차트)
1741.38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을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3582.10 지점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582.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375.08 지점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781.93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상승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4013.1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3781.93 지점에서 하락함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하락 추세선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343.06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2910.0 지점 부근을 지나가고 있는 상승 추세선(3)을 터치하고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14일경 입니다.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Ethereum (ETH) - 1월 1일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상승 추세선(1)에서 벗어나 하락함으로서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3375.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W 차트)
1741.38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을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3582.10 지점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582.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375.08 지점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781.93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상승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4013.1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3781.93 지점에서 하락함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하락 추세선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3582.1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3343.06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2910.0 지점 부근을 지나가고 있는 상승 추세선(3)을 터치하고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14일경 입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021 12 30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봉 차트입니다
어제 말씀드린 1차체크구간 47.3k를 뚫어준 후 하모닉 1차타겟 48.2k를 조금 못미친 47.9k를 맞고 떨어진 모습 입니다
<이평선 초록색 5일선 노란색 20일선 하얀색 60일선>
이평선 관점으로 5일선을 60일선을 맞고 떨어지며 20일선 골든크로스를 만들며 내려온 모습이며
여기서 다시 단기간 빠르게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줄려면
그림처럼
46.5k지지를 지켜주며 5일선 쌍바닥을 만들면서 힘있게 60일선을 뚫어주는 모습이 나와줘야합니다
만약 이런 모습을 보여준다면
1차목표가 48.6~48.7k
2차목표가 49.4k~49.6k
46.5k 지지를 못해준다면 45.9~46k 까지 열고 지켜주는지 체크
*작도는 5일선 기준
[단기] 비트코인 단기프레임 4H 매매전략안녕하세요. 미래를 예측하는 RAY 트레이더 입니다.
비트코인 및 메이저 알트 단기 프레임 매매 전략 입니다.
단기매매는 말 그대로 단기로 거래전략을 마무리 지어야합니다.
기간설정 (12월 29일 ~ 22년 1월 8일 =10일간)
한 해가 마무리되는 시점인 만큼 큰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전략을 세워보실 수 있습니다.
추가 저점을 만들지 않는다는 가정시 47000 매수 포인트로 단기 매매자금으로 운용하시길 바랍니다.
1차(#TP1) = +6%
2차(#TP2) = +10.5%
손절(#SL) = -5.3%
메이저 알트(시총 20위까지) 매수 동일 (잡알트 X)
큰 리스크 거래는 피하시고 단기적인 가벼운 마음
(전체 자산의 1~20%)으로 임하시길 바랍니다.
시장의 변동성이 급격하게 발생될 시 큰 손실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위치 입니다.
레이 트레이딩(RAY TRADING)
비트코인 암호화폐 시장 및 해외 주식, 금, 달러(화폐) 전 세계 자산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감정없는 객관적인 트레이딩 및 개인적 견해를 공유 합니다.
정기적 기술적 분석 ( ENTRY,TP,SL 관점공유 )
정기적 기본적 분석 ( 개인적 칼럼 공유 )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2021 12 29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하모닉 싸이퍼
A(51.8k)~D(46.9k) 피보 기준
1차 타겟 : 0.382(48.6k~48.8k)
2차 타겟 : 0.618(49.8k~50k)
D(46.9k) 이탈시
하모닉 샤크
A(51.8k)~D(46.9k) 피보 기준
1차 타겟 : 0.382(48.3k)
2차 타겟 : 0.618(49.6k)
*어제말씀드렸다시피 C값이 1.272이상이 아니기 떄문에 싸이퍼가 아니다 샤크패턴이다 라고 말씀하실 수 있지만
경험상 C값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이상 성립되는 경우가 많고
하모닉은 X~D까지의 무빙을 예상하는 패턴이 아니고 D(prz)라인의 변곡을 예상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저는 1순위로 싸이퍼를 먼저 열어두고 D값 이탈시 샤크 열어두고 봅니다
2021 12 27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입니다.
말씀드린 2차 목표가 달성 후 다시 단기 상승추세를 깨며 내려온 모습입니다
오늘 새벽 상승을 보여주며 다시 추세인으로 들어오는 돌파 시도를 해주었지만 그 라인을 맞고 떨어지는 모습은 좋은 그림은 아닙니다
빠른 시간 내에 51.4k 위로 돌파해 주는 모습이 아니라면 단기적 조정 가능성이 커 보이는 자리입니다
대응전략
*51.4k를 돌파해 주는지 체크
돌파해 주지 못한다면
1차 지지선 49.4k~49.5k
중요한 지지선 48.4k~48.6k
Ethereum (ETH) - 12월 27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KRW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1749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을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1D 차트)
5080000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747000-4872000 구간에서 하락한다면,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4452000 지점 부근을 터치하고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ETHUSDT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1741.38 지점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2285.94-2558.23 구간 이상 : 새로운 파동을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1D 차트)
(eng)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4013.13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4191.93-4464.22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4191.93-4464.22 구간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적인 대응으로는 4013.13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중장기적인 대응으로는 3582.10-3781.93 구간에서 하락한다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3375.08 지점 부근에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BTC) - 12월 23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상승 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XBTUSD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5164.5 지점 부근
두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지지 구간 : 38225.0 지점 부근
50876.0 지점 이상을 터치함으로서 49205.0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또한, 45211.0-46695.0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49518.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0876.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거래량지표에 있는 OBV의 적색 폭이 녹색 폭으로 전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녹색 폭으로 전환된다면, 매수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CCI-RC지표에서 CCI선이 0 지점 이상, EMA선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53976.5-55164.5 구간에서 Fake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OBV지표(녹색폭으로 전환)와 CCI지표(+100지점 이상 상승)가 상승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면 두번째 저항 구간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여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4191.9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중기적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3781.93 지점 이상)
하락한다면, 3885.52 지점 이상에서 지지를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상()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6942.5 지점 부근
두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지지 구간 : 39677.8 지점 부근
12월 23일-27일 이전에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48310.2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50758.4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51187.6 지점 이상을 터치하였으므로, 48310.2 지점 이하로 하락한다면,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또한, 하락 추세선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MS-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0758.4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기관점에서 상승 추세를 이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022년 1월 12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 차트에서 큰 갭 상승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갭 상승은 USDT 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3.374 지점에서 저항을 받고 3.164 지점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021 12 24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 비트 시황 ※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이틀전 시황에 1차지지라인을 지지 후 다시한번 49.3k를 돌파 시도 한다면 그땐 힘있게 뚫어줄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드렸고 1차 목표가 달성후 상승중에 있습니다
2차목표가 51.6k~52k 까지 터치 해줄 가능성이 매우커보이며 그후 살짝 스탑걸렸다가
52.9k~53.5k 까지 상승 해줄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그 후 움직임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 이대로 상승장이 와주면 정말 좋겠지만 불안한점은 이 구간 선물과열이 심하다는 점 입니다
심지어 온체인지표상 신고점을 찍을 당시보다 선물과열이 심해진 상황이며
올라가주더라도 이걸 해소해주지 못하고 간다면 크게 가줄 수 있을까 의문이 듭니다
사실 45k라인에서 한번 눌러주고 빠르게 상승해줬어야 제일 베스트 그림이라 생각했지만
거길 살려주고 올라온그림이 여러시나리오를 만들어주는 상황입니다
표시해드린 라인에서 하락장 상승장 시나리오 , 패턴들이 모두 겹치며 성립되는 구간 입니다
상승을 해주었다고 안심하기보단 확실히 안전한자리가 어딘지 찾고 시드를 지키는 매매를 하는게 우선순위라 생각이 듭니다
2021 12 23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입니다
1시간 보기 준 300일선을 지지해 주며 어제 말씀드린 1차 지지 라인 48.2k를 단기간 지켜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기간 48.6k~48.8k까지 약 반등해 줄 가능성이 커 보이며
그 라인을 뚫어주는지 1차 체크를 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48.6k~48.8k를 뚫어주지 못하고 떨어진다면
어제 말씀드린 중요 지지라인 47.6k~47.8k까지 열고
어제 시황 대응전략대로 임해주시면 됩니다
대응전략
48.6k~48.8k 뚫어주는지 1차 체크
뚫어주지 못할 시
중요 지지라인 47.6k~47.8k 열고 대응
* 어제 시황 참고
Ethereum (ETH) - 12월 23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 : 4191.93-4464.22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부근
지지 구간 : 3375.08 지점 부근
12월 21일-23일 사이에 a-c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하락 중 입니다.
12월 26일-28일 이전에 3885.52 지점 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b선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3885.52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582.10-3781.93 구간에서 급격한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31일경 입니다.
(a, b, c 선은 wRSI_SR지표의 다이버전스를 확인하기 위한 선입니다.)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에서 하락하면서 단기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이전 고점 구간인 3582.10-3885.52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이 나오고 있는 상태입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MS-Signal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3781.93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BTC) - 12월 22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상승 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XBTUSD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5164.5 지점 부근
두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지지 구간 : 38225.0 지점 부근
46695.0-49518.0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55164.5 지점 이상 상승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4521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8225.0 지점 근처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승 추세선(2)을 터치하고 급격한 움직임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여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4191.9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하락한다면, 3885.52 지점 이상에서 지지를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상()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두번째 저항 구간 : 74207.2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6942.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8310.2-51187.6 지점 근처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0758.4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12월 23일-27일 이전에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48310.2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022년 1월 12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차트에서 12월 20일-22일의 변동성 기간에 3.374 지점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021 12 22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일봉차트입니다
어제 카톡방 실시간 대응으로 말씀드린 49.3k를 정확히 터치해 준 모습이며
4시간 보기 준 120일 이평선 일봉 기준 20일 이평선 돌파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일봉 기준 봉완성도 나쁘지 않게 만들어졌고
MACD 지표도 골든크로스를 만들어진 모습입니다
하지만 49.3k를 힘 있게 뚫어주지 못하거나 맞고 떨어진다면
47.7k~47.8k 단기 조정까지 염두에 두셔야 하며
그림처럼 47.7k~47.8k 라인을 지켜주며 다시 한번 49.3k를 돌파 시도를 한다면
그땐 힘 있게 뚫어줄 가능성이 크고
47.7k~47.8k를 지켜주지 못할 시 다시 안 좋은 그림을 연출될 가능성이 큽니다
대응전략
1. 49.3k 바로 뚫어주는 경우
1차 목표가 50k~50.4k
2차 목표가 51.7k~52k
2. 49.3k를 바로 뚫어주지 못하고 떨어지는 경우
1차 지지라인 48.2k~48.3k
중요 지지라인 47.7k~47.8k
2021 12 21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4시간 봉 차트입니다
어제 45.5k를 한 번 더 지지를 해주며
단기적 반등을 보여 주었지만 다시 한번 고점을 낮추면서 맞고 떨어진 모습입니다
이제 조만간 위든 아래든 큰 방향성을 한번 보여줄 가능성이 커 보이며
49.5k~50k 구간을 뚫어준다면 51.4k~51.8k 구간까지 상승 여력이 있어 보이며
말씀드린 중요 지지라인 45.5k를 지지해 주지 못한다면 큰 덤핑을 열고 보셔야 합니다
비트코인 3일 차트입니다
전에 말씀드렸던 18년도부터 대 폭락장에 만들고 있던 RSI 지지 구간에 걸려 봉완성이 된 모습입니다
과연 이 지지라인을 잘 지켜주며 추세 전환을 해줄지 체크해 봐야겠습니다
주의할 점은 단기적 덤핑을 주고 이 지지라인을 깨지더라도 RSI는 후행성이기 때문에 3일 봉 완성되기 전 가격을 말아올리며 RSI까지 이 지지라인까지 위로 지켜주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지금 이 지지라인에 걸려있다 하더라도 덤핑은 한 번 더 줄 수 있으며 그 후 빠르게 살려주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지금 이 RSI 지지구간을 살려주며 추세까지 살려줄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 됩니다
이번 주가 정말 중요한 한 주가 되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하락장이 오더라도 본인이 이 시장의 믿음이 있다면 천천히 매 집하며 물량을 늘려가는 건 베스트라고 생각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밑단 가격을 욕심내다가 쉽게 물릴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확실한 방향성이 나오기 전까지는 관망 포지션이 최선입니다.
개인적인 관점은
지속해서 말씀드리지만 4년 전 장과는 느낌 자체가 다릅니다
정상적인 프로젝트, 펀더멘털 좋은 코인들이 탄탄해지기 시작했고
정부 기업들까지도 블록체인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시장이 더 성장을 하려면 거품 한 번은 더 빠져야겠죠
하지만 현재 그만큼 거품이 꼈다는 생각도 들지 않고 지금 거품이 빠질 때는 더욱더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비트코인 (BTC) - 12월 19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상승 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7010.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여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XBTUSD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두번째 저항 구간 : 72104.0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5164.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6695.0-49518.0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3)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거래량지표에 있는 OBV의 적색 폭이 녹색 폭으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4521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8225.0 지점 근처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승 추세선(2)을 터치하고 급격한 움직임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여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락한다면, 3885.52 지점 이상에서 지지를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885.52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582.10 지점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다만,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인 3781.93 지점 근처에서 급격한 움직임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4191.9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1D 차트상()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두번째 저항 구간 : 74207.2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6942.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8310.2-51187.6 지점 근처
12월 17일-19일의 변동성 기간에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단기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7000 지점에서 저항을 받는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1187.6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12월 23일-27일 이전에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48310.2 지점 이상 상승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하락 중 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022년 1월 12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BTC) - 12월 17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상승 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7010.0 지점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여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XBTUSD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두번째 저항 구간 : 72104.0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5164.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6695.0-49518.0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3)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거래량지표에 있는 OBV의 적색 폭이 녹색 폭으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4521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8225.0 지점 근처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단기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승 추세선(2)을 터치하고 급격한 움직임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여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락한다면, 3885.52 지점 이상에서 지지를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885.52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582.10 지점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다만,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인 3781.93 지점 근처에서 급격한 움직임으로 반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4191.93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1D 차트상()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두번째 저항 구간 : 74207.2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6942.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8310.2-51187.6 지점 근처
12월 17일-19일의 변동성 기간에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단기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700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다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3233.1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022년 1월 12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이더리움] 일간 차트분석 (2021.12.16.목)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 채널분석
이더리움 일봉입니다.
추세가 좋았던 이더리움은 빨간색 삼각형 내에서 조정 및 횡보하고 있습니다.
3,700달러 부근에서 강한 양봉을 보여주며 빠르게 몇 차례 반등하고 있지만 저점을 조금 낮춘 모습이 관찰됩니다.
고점을 낮추고 저점을 낮춘 것은 위협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편, 빨간색 점선은 이더리움이 지난 9월 3일 고점을 만들고 조정을 받았던 캔들의 고가입니다.
4,025달러에서 일봉을 마감하지 못하고 눌린 모습이 관찰되고 있기에 이 또한 위협적인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검은색 추세선은 이더리움이 1,750달러부터 4,868달러까지 강한 상승을 견인했던 추세선입니다.
해당 추세선을 총 3번 이탈하고 다시 올라왔지만 이번에 내려가서 다시 올라오지 못한다면 해당 추세선은 지지에서 저항으로 바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빨간색 삼각형을 완전히 상방돌파하고 4,025달러 위에서 지지받고 더이상 내려오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 지표분석
위 차트 MACD 보조지표에서 골든크로스 시도가 관찰됩니다.
MACD선과 시그널선이 골든크로스가 유지되고 0 이상으로 올라오면 반등파동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계속 조정의 연속으로 시장을 관찰해야겠습니다.
이더리움은 지속적으로 12시간 봉 볼린져밴드 중심(빨간선)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볼린져밴드 중단을 강하게 돌파하고 지지를 받을 때 진입을 해도 결코 늦지 않겠습니다.
지표분석에서 긍정적인 요소는 MACD 골든크로스 시도가 관찰된다는 점이며 부정적인 요소는 볼린져밴드 중심(빨간선)에서 저항이 관찰된다는 점입니다.
즉, 현재는 상승과 하락의 힘의 균형이 팽배한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힘의 균형이 어느 쪽으로 쏠리는지에 따라 단중기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정리
① 이더리움은 고점을 낮추고 저점을 낮춘 것은 위협적인 요소입니다.
② 그렇기에 빨간색 삼각형을 상방돌파하고 4,025달러에서 지지 받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습니다.
③ 한편, 12시간 봉 MACD 골든크로스 시도가 관찰됩니다.
④ 반면, 볼린져밴드 중심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⑤ MACD 골든크로스를 유지한 채 볼린져밴드 중심을 돌파하고 지지를 받으면 반등파동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⑥ 현재는 상승과 하락의 힘의 팽팽한 구간에 있으며 힘의 균형 방향에 따라 단중기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021 12 15 비트 차트분석 및 시황BINANCE:BTCUSDT
안녕하세요 Boocap (부캡) 입니다.
최대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있는 시황을 쓰려 노력하고 있으며
팔로우를 하시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림 받을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저에게 큰힘이 됩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위에뜨는 투자전략 셋팅해놓은 롱포지션은 기본값이니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주말에는 운영중인 카톡방에서만 시황 공유 해드립니다
시황 시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 차트입니다
오늘 새벽 여러 번 수렴 안 돌파 시도 끝에 48.7k까지 터치해 준 모습입니다.
단기적인 그림은 하모닉 패턴을 만들고 있는 그림이며
A~D(prz) 피어 보상 1차 타겟 0.382(47.6k) , 2차 타겟 0.618(46.8k)까지 열고 보셔야 합니다.
만약 46.8k 라인 뚫어준 추세선 밑으로 내려간다면 다시 하방을 보며 흔들 가능성이 큽니다
대응전략
하모닉 패턴이 성립이 된다면
1차 타깃 47.6k
2차 타깃 46.8k
최종적인 지지선 45.5k~45.6k
패턴을 깨고 올라가준다면
1차 목표가 49k
2차 목표가 49.5k~49.8k
뚫어줘야 할 저항선
50.2k~50.4k
비트코인 (BTC) - 12월 14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M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두번째 저항 구간 : 72104.0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5164.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6695.0-49518.0
상승 추세선(1)에서 벗어나면서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 추세선의 전환은 새로운 파동을 만들게 되므로 중요한 움직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면, 아랫글에 계속 게재하고 있는 XBTUSD 1M 차트의 예상 목표 구간을 터치하게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때, 중요한 지지 구간은 46695.0-49518.0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45K대에 형성되어져 있는 고점 구간으로 인해 급격한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급격한 움직임은 현재 나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후에 상승 추세선(2)에서 벗어나면서 상승 추세선(3) 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 추세선(3)을 전환되었을 때 핵심 지지 구간은 27650.0-29350.0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M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이전에 게재하였던 차트로서 A 구간을 터치하고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승 추세선(1)을 따라 상승할 수 있을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첫번째 지지 구간인 3375.08 지점 근처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 추세선(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면, B 구간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하락한다면, 본격적인 하락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데 중요한 지점은 4220.37 지점 입니다.
따라서,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D 차트상()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두번째 저항 구간 : 74207.2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6942.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8310.2-51187.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4700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다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3233.1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8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차트에서 12월 13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A구간과 같은 움직임이 나오고 있습니다.
2.910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상승 추세로 이어지게 될지, 아니면,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 단기 하락 추세를 보이게 될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BTC) - 12월 12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XBTUSD 1W 차트) - 중장기적인 관점
27650.0-29350.0 구간 이상 : 상승 추세 지속 예상.
47010.0 지점 이상 : 새로운 파동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됨.
상승 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0811.0-63634.5
두번째 저항 구간 : 72104.0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5164.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6695.0-49518.0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50876.0 지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3976.5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45211.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8225.0 지점 근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거래량지표에 있는 OBV의 적색 폭이 녹색 폭으로 전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입니다.
---------------------------------
(ETHUSDT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5008.79 지점 근처
두번째 저항 구간 : 5553.35-5825.64
첫번째 지지 구간 : 3343.0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2275.68-2531.05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데 중요한 지점은 4220.37 지점 입니다.
따라서, 4191.93-4464.22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885.52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343.06 지점 근처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CCI-RC지표에서 CCI선이 EMA선 이하로 하락하면서 +100 지점 이하로 하락 중 입니다.
이에 따라서, CCI선이 0 지점을 터치하고 +100 지점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EMA선이 0 지점 이하로 하락하면서 다시 큰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31일경(최대 12월 26일-1월 1일) 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첫번째 저항 구간 : 62697.4-65574.9
두번째 저항 구간 : 74207.2 지점 근처
첫번째 지지 구간 : 56942.5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 : 48310.2-51187.6 지점 근처
두번째 지지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47000 지점에서 하락한다면, 39677.8 지점 근처로 다시 하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53233.1 지점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8일경입니다.
------------------------------------
(Market Cap 차트)
(전체 : )
가격 차트의 변화보다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USDT 차트와 USDC 차트의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USDT 차트와 USDC 차트가 상승 추세로 있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T.D 차트에서 A구간과 같은 움직임이 나오게 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2월 13일이 포함된 주 전후로 움직임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2.910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상승 추세로 이어지게 될지, 아니면,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 단기 하락 추세를 보이게 될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 추세로 전환되기 위한 전조 현상
- BTC 가격 하락
- BTC 도미넌스 상승
- USDT 도미넌스 상승
그런 의미에서
BTC 도미넌스(BTC,D) : 47.64-48.81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함.
USDT 도미넌스(USDT.D) : 3.374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함.
코인 시장이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현상
- USDT 차트 : 58.376B 지점 이하로 하락
- USDC 차트 : 23.858B 지점 이하로 하락
- BTC.D 차트 : 56.78 지점 이상 상승
- USDT.D 차트 : 4.158 지점 이상 상승
-------------------------------------------
(XBTUSD 1M 차트) - 큰 추세
모든 패턴이나 파동은 완성이 되었을 때 알 수 있으므로 예측에 의한 거래보다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았을 때, 4-5 파동이 진행 중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A 구간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파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직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거래에 있어서 더욱 더 신중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상승 구간으로 80574.0-83397.0 구간 근처입니다.
이는 1번 구간에서 2번 구간으로 상승한 변동폭을 감안한 예상 값입니다.
예상 구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이 있습니다.
두번의 큰 저항 구간은 a 구간과 b 구간입니다.
a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A 구간과 같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의 상승으로 72104.0 지점 이상 상승하게 된다면, 하락장이 진행된다하더라도 26K-29K 구간(최대 21K 구간) 이하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8K 구간를 터치하게 된다면,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신의 평균 단가에 맞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 흐름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자신의 평균 단가 이하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큰 수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거래의 중심은 자신이 거래하기 시작한 평균 단가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이것을 무시하게 된다면, 잘 못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고 투자금 비중을 조절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에 해당되는 자금이 스스로 수익을 재창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O, MRHAB-B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차트를 공유받아 지표를 복사해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wRSI_SR 지표는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에서 설정값과 옵션을 추가하여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해석은 기존 Stochastic RSI 지표와 같습니다. (K, D선 -> R, S선)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