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419.83-2706.1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ETH는 2419.83-2706.1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 구간은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 지지 받아야 하는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TH는 거래하고 한다면, 2419.83-2706.15 구간에서 지지 여부가 확인되었을 때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더리움 (크립토커런시)
이더리움(ETH) 6월19일 분석 안내.BINANCE:ETHBTC
이더리움(ETH) 차트입니다. 전체적인 종목들의 숏 포지션을 이달 말까지 유지하자고 하였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4월부터 만들어 온 상승 추세에 맞닿기까지 약 열흘 정도가 남은 모습입니다.
해당 구간에서 쏘아 올릴 가능성도 있고, 현재의 추세를 무시하고 이탈할 가능성도 있겠지요.
시장은 다시 이더리움의 방향성에 따라 알트코인들의 움직임이 정해질 것으로 보이며
이더리움(ETH)/BTC마켓의 차트는 여전히 0.025 수준이 주요 저항으로 최근 강세 때 보다 살짝 내려온 모습입니다.
따라서 해당 구간 돌파 전까지는 그대로 비중 추가 없이 진행 권장합니다.
반대로 해당 구간 완벽한 이탈 전까지 숏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더리움 2,900달러 구간이 중요한 세 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코잘남입니다
이더리움 2,900구간이 중요한 세 가지 이유 및 저의 매매전략을 말씀드리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매물대
24년 4월부터 이어져온 신뢰도 높은 매물대 구간입니다
주황색 구간을 보시면 해당 매물대가 돌파 된 이후 급락이 나왔고 V자 반등을 보여주었지만
매물대를 리테스트하고 추가하락이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이 매물대 위에 안착하지 못한다면
저번처럼 리테스트 이후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2. 빗각 리테스트
해당 빗각의 리테스트 움직임일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단기간에 강한 장대양봉으로 상방돌파 하지 못한다면 이 또한 이더리움의 하락에 강력한 근거가 될것이라 보고있습니다
----------------------------------------------
3. RSI 하락 다이버전스
일봉상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포착되고있는 모습입니다
----------------------------------------------
매매 전략
저는 해당 상승추세가 돌파되는 것을 확인 후 진입하는 확인매매로 대응 할 생각이며
손절은 이탈 당시 고점에 손절을 걸어 둘 예정입니다
만약 손절이 나가면서 장대양봉으로 2900을 돌파해준다면 현물을 매수해볼 생각입니다
이상입니다
+)
1억챌린지는 현재 약 3260만원 달성 한 상태입니다
1억챌린지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돌파(breakout) 매매 지점 : 2706.1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2419.83-2706.15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2706.15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돌파 매매가 가능한 지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돌파 매매를 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 OBV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면서
- OBV 오실레이터가 상승세를 보여야 하고,
- StochRSI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단,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이면 더 좋습니다.
상승이 시작되면, 저항 구간은 3265.0-3321.30 부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거래량이 감소한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로 생각되는 것은 BTC 도미넌스가 대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무으로 생각됩니다.
BTC 도민너스가 상승한다는 의미는 코인 시장의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라 대체적으로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느껴진다고 생각합니다.
알트코인의 상승장이 시작되어야 더 많은 거래가 발생하게 될 것으로 코인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났다고 생각이 들게 될 것 입니다.
따라서,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이어가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하에서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이어간다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앞서 말씀드린 BTC 도미넌스에 따라 BTC에 집중된 상승세인지 알트코인도 함께 상승하는 상승세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BTC 도미넌스가 상승세를 유지한다면,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은 점차 횡보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알트코인을 거래 중이라면, 짧고 빠른 대응을 해 가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즉, 매수 단가별로 가격 상승시 매수 금액(+거래 수수료 포함)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기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렇게 늘어난 코인(토큰)은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코인(토큰)으로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될 때 심리적인 부담을 줄여주어 좋은 매수 평균 단가를 얻게 만들어 줄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암호화폐 시장 도미넌스 흐름BTC.D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상승세를 유지하며 단기 고점을 계속 갱신 중이며, 현재 구간에서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는 흐름이 관찰됩니다.
ETH.D
전일 이더리움으로의 자금 유입이 다시 확인되었으나, 금일 급격한 하락과 함께 수급이 크게 이탈한 모습입니다.
OTH.D
기타 알트코인 도미넌스는 여전히 바닥권에서 약세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저점 갱신이 반복되면서 수급이 지속적으로 빠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요약
현재 시장은 비트코인 중심의 자금 집중 흐름이 뚜렷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이더리움 및 알트코인에서의 수급 불안정은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시장 내 주도권은 여전히 비트코인에 있는 만큼, 알트 코인으로 자금이 유입되었다 하면 하락하는 구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ETH 완벽한 매수자리 찝어봤습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경기 침체속에서 시장에 참여하여 고군분투하는 우리 트레이더분들 모두 다시 한번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이더리움..
하늘색 =중요한 각도의 장기 추세선
검정색 =하늘색 라인을 위 아래로 보조해주는 추세선
검정색 위+하늘색+검정색 아래 이렇게 총 3개의 라인을 ZONE이라고 부릅니다.
관점1.
박스권을 하락돌파 할때 TRAP(속임수)을 예상했었습니다.
중파동기준 전저점을 뚫지 못했기 떄문에 BOX로 다시 들어와준다면 이건 확실히 TRAP일 것이다 라고 말이죠
현재는 박스권 TRAP 발생후 BOX 미들라인 까지 올렸지만 저항받고 있는 상태 입니다.
1W FVG와 상승추세ZONE이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지는 지점이 또 하필이면 BOX 하단 입니다.
저는 이 자리가 온다면 엄청난 매수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FVG는 무려 주봉에서 나온것으로 자리만 와준다면 엄청난 신뢰도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ZONE의 시작점이 중요한데 큰 상승이 나오기 바로 직전 파동에서 이어진 ZONE으로 이것또한 신뢰도가 엄청나게 높습니다.
관점2.
다음은 장기 추세선 관점입니다.
차트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하늘색 =장기 하락추세선
파란색 =단기 하락추세선
빨간색 =장기 하락추세 매물대
검정색 =장기 상승추세선
굵은 검정색 = 목표값이 되는 라인
먼저 모든 차트에서 중요한 각도의 추세선을 찾아 의미 있는 곳에 대입하는 방식으로 추세선 기술적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파란색 단기 하락추세선은 돌파 후 리테스트롱을 잡을 수 있는 각도의 추세선으로 현재 위치 돌파 후 아직 리테스트하기 전이기 때문에 관점1 에서 FVG의 위치에 신뢰도를 가질 수 있겠습니다.
빨간색 장기 하락추세 매물대를 상승돌파 후 봉마감 하게 되면 이제 상승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테스트와 중파동의 저점을 올리는 형태를 보여주며 결국 검정색 라인에 닿게 될것입니다.
다시 관점1 로 돌아와보면 1W FVG의 갭을 채우러 온다면 박스권 하단+ZONE+FVG갭을 무시하고 하락하기는 힘들것이라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이곳을 기준으로 잡고 매수포지션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FVG에 닿지 않고 바로 올리는 경우라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될까요?
저는 현재 위치에서 아래의 ZONE이 아닌 위의 ZONE을 뚫는다면 BOX 미들라인 까지 상승돌파로 보고 리테스트때 낮은봉 잉걸핑캔들이나 유동성을 해소시킨 조건을 판단하고 상승을 볼것입니다.
관점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좋은 전략은 항상 미리 경우의 수를 두고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각도의 추세선도 좋고 ZONE도 좋고 다 좋지만 기다림과 판단력도 겸비해야 되는것이라 또 다른 좋은 판단이 있을때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꿀을 물고오는 꿀차트 벌(bee) 입니다.안녕하십니까 벌(bee) 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현 날봉기준 흰색라인 써클을 4번이상 터치하고 내리고 있습니다.
노랑색 선까지 열려 있으며
노랑색 선을 뚫고 내려온다면 녹색선까지 열려 있습니다.
rsi도 하락 다이버젼스 빨강색 선으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rsi 현재 50선 아래로 뚫고 내려가 모습이 보입니다.
시간봉 기준 차트 입니다.
현재 rsi 다이버젼스 뚜렷하게 나왔습니다.
날봉기준으로 숏을 보고 있으나
시간봉 기준으로 orber block을 뚫고 올라 간다면
빨강색 선까지 보고 있습니다.
흐름으로 보아 숏이나 시간봉 기준으로
잠깐 상승을 한뒤 하락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더리움(ETH) 6월10일 분석 안내.CRYPTO:ETHUSD
이더리움(ETH)의 문의가 많아지는 것을 보면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관심도가 많아지는 것은 결코 시장에 도움되지 않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더리움은 1,600달러에 보유 중에 있습니다. 숏 포지션을 유지중이신 분들도 , 없으신 분들도 계실텐데
여전히 아직 상방 돌파는 이뤄지지 않았기에 0.0252 돌파하지 않는 부분 익절한 비중 추가는 없습니다.
SHORT의 경우 대략 2,750 - 2,800 수준까지 열어두고 가져가면 손익비 좋은 구간이 되지 싶습니다.
이번 달 안에는 추가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이니 조금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이더리움도 마찬가지로 주봉에서는 하락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고 현재는 주요 저항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구간을 돌파할 경우에는 20% 수준 정도의 추가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타겟은 대략 3,200불 정도며 BTC마켓 기준 0.029부근이 됩니다.
현재로서는 2,400불 구간을 지켜줘야 합니다.
정리 하나. 2,750 - 2,800불 (BTC마켓 기준 0.0252 저항)
정리 둘. 단기적으로 2,400불 지켜야하며 상방 돌파 시 타겟은 3,200불 (BTC 마켓 기준 0.029)
이더리움(ETH) 6월06일 분석 안내. CRYPTO:ETHUSD
이더리움(ETH)입니다. 네차례의 저항을 맞고 오늘 눌린 모습입니다.
현재 주봉 21EMA선에서 지지가 나타났으며 이제 2,379 부근을 깨트리면 기다렸던 하단의 자리를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략 2,100 - 1,900 구간이 적절한 비중 추가, 신규 진입 구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300 구간에서도 자리를 주지 않고 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분할로 진입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여전히 이더리움의 최종 타겟은 3,400 - 3,900 BTC 마켓 기준 0.03 부근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572.5-2783.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MET1! 1D 차트)
현재 가격이 위치한 구간인 2572.5-2783.5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지지 구간인 1693.5-1933.0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승하게 되면,
1차 : 3293.0-3448.0
2차 : 3902.0-4141.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
2783.5 이상 상승하기 위해서는 OBV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마음의 여유를 갖고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중요한 분기점 : 1M 차트의 M-Signal 지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에 따라서, StochRSI 20 지점인 2498.6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즉, 2498.60-2609.74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으로 하락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현재 중요한 지지 구간은 1647.06-1861.57 구간입니다.
저항 구간은 3265.0-3321.30 구간입니다.
다만,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어찌되었든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여야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는 거래시 짧고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521.05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위의 두개의 차트는 HA-MS 지표를 활용하여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한 차트입니다.
단지 아래의 차트는 HA-MS 지표를 숨김 처리한 차트입니다.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자세히 보면, HA-Low, HA-High 지표로 그려진 지점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A-Low 지표는 오랜지색(#ff9800)으로 표시하였고, HA-High 지표는 파란색(#0000ff)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차트 분석을 하는 사람의 생각을 모두 글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글을 보는 사람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면, 차트를 보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아이디어에 지표가 많다고 생각되시면, 아이디어 글에서 "Grab this chart"하여 지표를 비활성화여 보시면 됩니다.
지표가 비활성화된 차트를 보면, 무언가 더 잘 보인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왜 이러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 그려졌는지를 다 알 수 없기 때문에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는 차트에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신이 그려놓은 지지와 저항 지점도 시간이 지날수록 차트의 움직임으로 인해 믿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 남이 그려놓은 지지와 저항 지점은 더욱 믿지 못할 것 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도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 객관적인 정보로 저는 HA-MS 지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세 관점의 지표로는 M-Signal 지표가 있고, 거래 관점의 지표로는 HA-Low, HA-High 지표가 있습니다.
세부적인 움직임을 알기 위해서 DOM(60), DOM(-60), StochRSI 50, StochRSI 80, StochRSI 20 지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HA-Low, HA-High, M-Signal 지표만 활성화하여 차트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차트를 해석해 보자면, 현재 가격 위치에서 상승하게 되면 3265.0-3321.30 부근이 저항 구간이 되고, 하락하게 되면 1647.06-1861.57 부근이 지지 구간이 됩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어지고 있고,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으므로 중요한 분기점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609.74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아니면 2359.35 이하로 하락하게 될지가 중요한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하락할 가능성이 좀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참 OBV 지표에서 OBV가 High Line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다시 OBV EMA를 터치하고 High Line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수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하고, 5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매도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OBV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 흐름을 유지한다면 가격을 결국 상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맥점] [25.05.22] 공급부족을 겪는 이더리움 분석안녕하세요 Mac 입니다. "팔로워" 하시면 새로운 글의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기술적 지표들을 통해 이더리움의 현재 위치를 분석해보겠습니다.
파동분석
1. 주봉의 파동
주봉의 차트입니다. 이더리움의 파동의 세부적인 움직임은 조금 변칙적입니다만 큰 그림에서는 정석적인 움직임을 따르며 움직입니다. '5파 상승 - 3파 조정 ' 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따릅니다. 1400불 근처에서 초장기 추세선의 지지를 받으며 1파의 상승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위로 3400불, 최대는 4000불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후 조정구간에서 최대하락폭은 1600~1800불 구간을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두번의 사이클에서 1파가 크게 상승한 이후에 2파조정 깊이가 1파에 근접하게 내려온 다음 마지막 5파가 폭발적인 상승을 만들었던 그림이 반복된다면 1800불은 충분히 도달 가능한 시나리오가 됩니다.
2. 12시간봉의 파동
12시간봉에서 상승5파로 추세의 폭발적인 상승을 앞두고 있습니다. 상승5파가 반드시 폭발적인 상승은 아니지만 지금의 흐름을 이어간다면 2850불 돌파이후 슈팅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맥점은 언제나 2파에서 결정됩니다. 이것은 파동을 보는 누구나 가지는 합의점입니다. 2파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쉽게 부정할 순 없습니다. 다만 파동카운팅의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2파의 질적인 차이가 개개인마다 발생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전략은 분명합니다. 지금 12시간봉에서 상승5파 구간이라면 베스트 of 베스트 위치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언제나 저의 매매법은 일관됩니다. BoB 자리라면 포지션을 길게, 그 외의 자리는 포지션을 단타로 접근합니다. 쉽게 말해서 포지션이 없는데 지금 진입하고자 한다면 단타가 효율이 좋다는 뜻입니다.
3. 4시간봉의 파동
4시간봉의 파동은 12시간봉의 파동을 쪼개는 것입니다. 모든 차트가 그렇습니다. 작은 시간이 모여서 큰 시간이 됩니다. 12시간봉에서도 2파를 만들고, 4시간봉에서도 2파를 만들면서 같은 기준의 2파가 중첩되는 자리가 맥점입니다. 제가 파동에서 맥점을 찾는 방법은 이것이 전부입니다. 현재 4시간봉에서는 5파 조정후 3파로 상승중에 있습니다. 2파가 지나갔으므로 전고점에서 한번 더 눌리고 4파를 만든다음 올라가는 길에 마지막 5파를 단타 롱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분석
1. 12시간봉의 BB
지난 아이디어에서 알려드린대로 필승공식은 동일합니다. 볼린저밴드에서 상단을 종가로 돌파했다면 하단을 종가로 돌파하는 자리에서 최저점이 결정됩니다. 타이밍을 잡는 쉬운 방법입니다. 볼린저밴드의 상단을 종가로 이탈했다면 볼린저밴드의 하단을 종가로 이탈하기 전까지 롱을 잡지 않습니다. 1400불대에서 마지막으로 볼린저밴드 하단을 종가이탈한 이후 해당 자리가 현재까지 저점영역을 지키고 있습니다.
2. 4시간봉의 BB
제가 만드는 기준은 시간프레임이 달라진다고 바뀌지 않습니다. BB 상단을 종가이탈했다면 하단을 종가이탈하는 자리에서 저점이 결정됩니다. 4시간봉에서도 동일하게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4시간봉 상단을 종가이탈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매매의 롱을 어디서 기다려야할지는 너무도 명확합니다. BB 하단을 종가로 이탈하기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매물대 분석
월봉과 주봉의 기준에 따른 매물대 분석입니다. 월봉과 주봉을 결정짓는 시가부근에서 만들어진 흔적에 따라 매물대를 찾습니다. 매물대가 촘촘하지 않다는 것은 방향을 정하고 움직일 때 연속적인 양봉으로 빠르게 상승이나 하락을 만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뜻입니다. 매물대가 촘촘하지 않은 중간의 구간에서 포지션은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상하단에 원하는 위치 도달시에 매매를 할 경우 좋은 손익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시간 분석
시간분석입니다. 변곡점을 보는 시간분석의 도구에 따르면 6월 4일, 6월 17일에 변곡점이 발생합니다. 방향은 30분봉 이하 캔들의 모양을 최우선순위로 따릅니다. 이번 시간 도구는 단지 변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간만을 의미합니다.
지난 24시간 속보 정리
🚀 비트코인 시가총액, 아마존을 제치고 세계 5대 주요 자산으로 부상
📈 이더리움, 2,500달러 돌파하며 상승세 진입
📈 BNB 생태계 프로젝트인 빌드온, 시가총액 18억 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경신
📈 이더리움, 2,600달러 돌파
📈 비트코인, 10만 8천 달러 돌파 후 상승세 지속
📉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 후 3.3% 하락, 현재 10만 6,247달러로 하락
🔒 코인베이스 해커, 토르체인을 통해 이더리움 이체 및 매도
📈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역사적인 이정표 세움
📈 제임스 윈, 비트코인 40배 롱 포지션으로 2,500만 달러 이상 수익 기록
📉 20년 만기 채권 입찰 부진으로 미국 주식, 채권, 환율이 하락했습니다.
📉 미국 주식 시장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이 바이낸스에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 월드코인(WorldCoin),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A16Z와 베인 캐피털로부터 1억 3,500만 달러 투자 유치
이더리움 뉴스
거래소에서 이더리움 공급이 고갈되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더리움의 거래소 공급량은 4.9%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이는 10년 역사상 최저 수준입니다. 참고로, 이는 유통 중인 전체 ETH 중 거래 플랫폼에 보관된 ETH는 5%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거래소에 보관된 비트코인(BTC)은 전체 공급량의 7.1%에 불과하며, 이는 2018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역사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모든 주요 강세장은 이러한 공급 부족을 동반했습니다.비트코인의 거래소 공급량이 이렇게 낮았던 마지막 때는 그 후 몇 년 동안 약 20배나 급증했습니다. - comment : 가격상승의 요인은 다양하므로 공급치만으로 전부를 판단할 수 없으나 우선 공급부족, 수요의 증가는 가격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참고해서 살펴볼만합니다.
어떠한 경로를 거쳐왔고, 현재 가격의 위치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정확하게 읽는 것은 매매의 첫걸음입니다. 현재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잘못된 결론을 내리기 쉽습니다. 가격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했다면 전략도 이에 맞게 세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현재 위치를 파동에 따라 살펴보는 이유입니다. 저는 여러분과 함꼐 시장에서 살아남는 것을 제1목표로 앞으로 계속 함께 하겠습니다. "팔로워", "부스트", 감사합니다.
2627.18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2677.1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OBV가 A선 이상 상승하게 되면, 가격이 한번 더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3265.0-3321.30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627.18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5(2295.84)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 지점 부근으로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결국 머지않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이 하락이 어느 정도로 나타날지는 알 수 없지만, 현재 StochRSI 50 지표가 2359.35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신규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한 다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때 지지 지점을 확인한 다음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지지와 저항 구간 : 2273.58-2359.3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1M 차트에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0.382(2674.80) ~ 0.382(2723.46)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전에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5(2295.84)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5(2295.84)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므로, 오른쪽 피보나치 비율 0.5(2295.84)을 상향 돌파할 때 돌파 매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상승폭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A 구간, 즉, 1861.57 지점을 상향 돌파하면서 큰 상승을 보였습니다.
어찌되었든 현재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아직 매수할 시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앞서 말씀드린대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나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0.382(2674.80) ~ 0.382(2723.46)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 매수 시점을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ETH는 정형적인 역배열 상태(1M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D 차트의 M-Signal)입니다.
따라서, 마음의 여유를 갖고 상황을 지켜보면서 매수 시기를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이대로 상승을 이어간다면,
1차 : 2273.58-2359.35
2차 : 2627.18
3차 : 2921.73
위의 1차-3차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1861.57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돌파(Breakout) 매매가 가능한 지점 : 1861.57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861.57 지점은 1W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입니다.
A 구간, 즉, 1861.57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647.06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1647.06-1861.57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1647.06-1861.57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1647.06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하락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0(1190.57) ~ 0.786(1259.39)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단타 거래(day trading)이나 단기 거래 관점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1861.57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돌파 매매가 가능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거래는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이상에 위치해 있으면 매도할 시점을 찾는데 집중하고, 중간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으면 매수할 시점을 찾는데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보조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 때는 반드시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단기 상승세 전환 예상 지점 : 1647.06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647.06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647.06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다만,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2500 부근에서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마음의 여유를 갖고 거래를 진행해야 겠습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1D 차트의 HA-Low 지표 부근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1647.0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세선이 하락 채널을 보이고 있고, StochRSI 지표가 50 이상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승폭에 제한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StochRSI 지표가 50 이하에서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HA-Low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647.06 이상 상승하여 추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면 피보나피 비율 0.618(1868.21)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지지 구간 : 1340.12-1935.34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2M 차트)
비행기를 타지 못하고 하락 중 입니다.
현재로서 최대 하락 구간은 피보나치 비율 0(1190.57) 부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M 차트)
지지와 저항 구간을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므로 마음의 여유를 갖고 턴하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736.47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볼 때 생각하지 말고 무조건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보유 시간은 1년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에서 볼 때, 1340.12 지점에 1W 차트의 HA-Low 지표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만일 1340.12 이하로 하락한다면, 다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1M 차트의 설명에서 736.42 부근으로 하락하게 되면 무조건 매수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최소 1년 이상 보유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면, 1340.12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
(1D 차트)
ETH의 변동성 기간은 4월 5일-7일까지이군요.
ETH의 다음 변동성 기간은 4월 17일경(4월 16일-18일)입니다.
-
ETH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승 추세선 (1)입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선 (1)을 통과할 때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단기적인 관점에 차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1D 차트의 HA-Low 지표는 1935.34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1935.34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코인의 매수 평균 단가를 생각하여 대응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
가장 좋은 방법은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락추세일 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매수별 단가와 금액을 따로 작성해 두었다가 매수별 단가 이상 상승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매수별 금액 범위 내에서 매수 금액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설명드리는 이유는 단타 거래(day trading)나 단기적인 거래를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상승세로 전환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상승세로 전환되었을 때 큰 수익을 얻게 될 것 입니다.
또한, 자금의 압박이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매수의 기회를 잡을 기회도 얻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271.0-2356.31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4월의 트레이딩뷰의 대회는 PEPPERSTONE이 후원하는 대회입니다.
이에 따라서, 대회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토큰), 종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THUSD 차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ETHUSD 1W)
1W 차트를 보면, 현재의 가격 위치가 얼마나 중요한 구간에 해당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진다면, 1337.54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0.236(2089.91)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W 차트에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0.382(2646.14)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1935.88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 이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1871.5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626.9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피보나치 비율 0.382(2646.14) 부근을 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2271.0-2356.31 부근으로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다만,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0.382(2646.14)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OBV가 Price channel 상단선 이상 상승하여 상승세를 보이지 못한다면, 상승세가 나오더라도 지탱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가 다시 상승으로 전환될 때 1935.88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2271.0 부근으로 상승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대회가 시작되었을 때,
- StochRSI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지 않았거나
- OBV가 상단선 이상 상승하여 상승세를 보이지 않거나
- 1935.88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한다면, 매도(SHORT) 포지션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935.3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장기 상승 추세선 (1) 이하로 하락하면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변경되었습니다.
ETH의 이번 변동성 기간인 3월 18일 이후에 1935.34 부근에서 지지 받고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즉, 피보나치 비율 0.236(2090.8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1935.34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1340.12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피보나치 비율 0.382(2647.80)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30m 차트)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지더라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30m 차트이기 때문에 단타 거래(day trading)이나 짧은 단기 거래를 기준으로 대응해 나가야 겠습니다.
1935.34 부근에 HA-High(1936.67) 지표와 BW(100)(1944.96) 지표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저항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 상승이 있더라도 이 저항 구간(1936.67-1944.96)에서 저항 받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1923.43 이하로 하락한다면,
1차 : 1D 차트의 Heikin Ashi의 Close
2차 : HA-Low 지표 (1885.30)
3차 : 1865.10
위의 1차-3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그러므로, 1935.34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1차 : 1D 차트의 M-Signal (피보나치 비율 0.236(2090.85))
2차 : 1M 차트의 M-Signal (피보나치 비율 0.382(2647.8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승이 있더라도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법칙을 무시하기 위해서는 폭발적인 거래량이 발생하거나 시장의 호재가 나와야 가능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장기 상승 추세선(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최소 장기 상승추세선 (1)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2706.15-2879.90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2403.2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장기 상승 추세선(1)에서 하락한 상태인데다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리플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레츠고!안녕하세요 ho-man입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잘 반등하고 있으며 도미넌스 또한 보합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일시적 빠른 상승을 더 보여주지 않는 이상 도미넌스는 결국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라이트코인/비트코인 페어 차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전 리플 분석에서 리플/비트코인의 차트를 예시로 들며 역대급 저점 구간에 도달했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현재 라이트코인도 라이트코인/btc 차트를 보면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7년과 2021년 알트코인 불장 시작점에서 리플과 라이트코인이 거의 동시에 올랐었습니다
이번에는 리플이 먼저 크게 상승하였고 라이트코인도 곧 큰 상승을 앞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더리움은 어떻게 될까요?
이전 분석에서 리플/이더 차트를 통해 리플 먼저 상승하여 알트코인 상승장의 시작을 알릴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더대비 리플이 크게 올라줬습니다
현재 이더리움 대비 리플이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일봉 차트로 보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언제든지 이더리움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더블 다이버전스가 생성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이더리움도 상승을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리플과 이더리움의 가격 움직임을 보면 2017년 상승장과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시가총액이 큰 메이저 코인들이 상승한 뒤 다른 알트코인들도 모두 큰 상승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674.1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2513.01-2706.15 부근에서 지지 받고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거래를 멈추고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추가적인 하락이 더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1W 차트)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최소 2706.1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그 지점 부근에서 교차될 가능성이 있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2316.10 이하로 하락한다면, HA-Low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격이 하락하면서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새롭게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현재 HA-Low 지표는 1340.12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
(1D 차트)
2316.10-2513.01 부근에서 지지 받고 2674.1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하락세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1M 차트의 M-Signal 지표와의 거래가 멀지 않기 때문에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HA-Low 지표 지점인 2674.15 지점이 반등의 고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우리가 거래할 수 있는 시기는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때 입니다.
그리고,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정배열이 되었들 때 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거래는 짧고 빠르게 대응해야 합니다.
현물 거래시 하락세가 시작되면, 바빠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보유 수량을 늘려 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유 수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을 투입하여 매수하는 방법과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거나 총 투자금의 약 20% 정도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였을 때 매수하여 수익을 얻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만일 보유 현금이 적거나 없다면, 결국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매도하고 다시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유 수량을 늘려나가야 합니다.
즉, 반등이 나왔을 때 매수 원금의 일부를 매도하고, 하락하였을 때 매도한 금액만큼 다시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유 수량을 늘려나가야 합니다.
이 방식의 최종적인 목표는 매수 원금을 모두 회수하고 남은 코인(토큰) 갯수를 보유하는 것 입니다.
장기적인 투자에 있어서 이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