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T의 트래블룰 / 10-26 / 일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더리움이 지난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비트코인에 비해서 강한 상승 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같이 상승다이버전스를 컨펌하고 올라온 것으로 오래간만에 시원한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다만 현재 차트에 있는 보라색 박스와 같이 매물대 부근에 근접하고 있으니 피보나치 0.382 구간 1500불 후반에서 1600불 후반까지
저배로 숏 포지션 진입하시는 것 추천드리며 손절라인은 피보나치 0.236으로 1700불 중반 부근을 추천드립니다.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하락 4파 조정으로 2000불 부근까지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니, 손절라인은 꼭 지키시고
4파 조정이 끝났을때 다시 숏 포지션 진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더리움 (크립토커런시)
[10월 25일 - 비트코인] 언제까지 기다려야하는가?안녕하세요 로또띠입니다
"이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딱히 장에 변화가 없어서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24일 새벽 중기 하락추세선을 뚫는듯 하였으나
이내 무너지면서 다시한번 무너진 모습인데요
앞으로 어떻게 되는걸까요?
먼저 박스권 부터 보겠습니다.
6월 하락이후 박스권을 보면 박스권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빨간색 -> 초록색 -> 흰색(현재)
10월 14일(흰색 박스권 시작) 이후에는 1500불에서 움직이는 것이 보이네요
박스권이 점점 작아진다는 이야기는 수렴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언제 정확히 방향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곧"인거 같네요
그럼 위로 갈지? 아래로 갈지? 가능성을 봐야겠습니다
9월19일부터 현재까지 가격대를 보면 크게 변화없이 옆으로 가는것이 보이는데요
그에 비에 누적분포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눈여겨 봐야할 것 같습니다
다이버전스로 이해하시면 편할것 같네요
코인베이스
비트파이넥스
추가적으로 두 거래소까지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누적분포가 올라가면 어떻게 되는데?라고 생각하실텐데요
과거 차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21년 5월~7월
가격은 하락하고 누적분포가 올라가는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진 후 투더문이 되었습니다.
21년 9월
마찬가지로 가격은 하락하고 누적분포가 올라가는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투더문이 되었네요
자! 그럼 상승의 가능성이 생기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상승이 나오더라도 두개의 고점을 돌파해줘야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이 한가지 있습니다
18년~19년
초록색 화살표를 보면 다이버전스가 나왔지만 하락빔이 한번 더 나온것을 볼수있는데요
다이버전스가 떳다고 상승으로 생각하여 포지션을 잡으면 큰 손실을 볼수있는 것도 주의해야합니다
노란색 화살표를 보면 마찬가지로 다이버전스가 나와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18~19년도 처럼 하락이 나오더라도 한번의 상승은 나올꺼라고 생각합니다
앞선말한 두개의 고점을 돌파하는지 돌파하더라도 절대 전고점(69k)은 돌파하는 상승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thereum (ETH) - 10월 20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 1D 차트)
1340.12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1.13(1228.15)-0.886(1349.2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기 하락 채널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이 채널에서 벗어야 추세를 전환할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하락하게 되면, 1196.81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여 하락 채널에서 벗어나는 시도로 이어지는지를 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196.81 부근, 즉, 1.27(1158.66)-1.13(1228.15) 구간이나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변동성 기간은 10월 21일경-24일경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2.10.18] 기특한 이더리움 차트분석 / 단기프레임
안녕하세요
안전한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굳라이프입니다.
위기의 이더리움이 힘을 내주고 있습니다.
매우 기특한 모습입니다.
단기프레임으로 볼때 조정을 기다리는 모습입니다.
고점을 한번 정도 더 올리고 조정을 받을지
여기서 조정을 받아도 무리가 없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기대해보는건 긴 시간프레임의 구조에서
상방으로 돌파될시 강한 추세가 나올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정을 주더라도 방향을 선회하지 않는다면
1278 부근을 지키고 다시 상방으로 돌파해준다면
강한 가격적인 발산이 나올 위치라고 보여집니다.
만약 여기서 조정이 나온다면.
오늘의 지지매물대 부근에서 반등이 나오는지 체크.
숏 들어가시면 지지 매물대에서 익절
롱 기다리시는 분들은 오늘의 지지 매물대에 집중하시면 되겠습니다.
조정없이 위로 슈팅이 나온다면 4시간 차트상에서 돌파된 자리들을
잘 지키는지 보시면 될것같네요.
아래 긴시간프레임의 구조도 올려두겠습니다.
WANT의 트래블룰 / 10-14 / 일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보다 최근 좋은 상승세를 보여줬습니다, 머지 이슈가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만약 비트코인이 박스권을 깨고 상승 파동이 시작된다면 그 반등의 힘은 ETH > BTC > NASDAQ 순으로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더리움도 현재 횡보하면서 꾸역꾸역 어제 상승 다이버전스가 컨펌 되었으니, 현물 같은 경우에는 현재 가격대에서
1차적으로 매수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다만 선물 같은 경우에는 비트코인이 박스권을 돌파한 이후에
내림롱 추천드리고 정확한 타점 관련해서는 이후에 추가적으로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모두 상승 다이버전스가 컨펌 된 상황에서는 코인러로써 상승파동을 기대하지 않을수가 없네요.
다만 다이버전스가 컨펌 되더라도 흐르거나 더 큰 거래량으로 다이버전스를 무시하고 내려오는 경우도 매우 많으니,
항상 아니다 싶으면 손절하시고 재 진입하시는게 좋습니다. 이더리움은 6월 저점 기준으로 큰 상승 1파가 나오고 현재 조정중이라면
2000불을 넘기는 상승 파동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큰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작년부터 시작된 대하락추세가 임펄스라고 가정한다면
4파 ABC 조정 후 2000불을 넘기고 마지막 하락 5파가 다시 오는 것도 어색하지 않은 관점으로 보입니다.
[22.10.13] 위기의 이더리움, 몇층을 누르셨나요?
위기의 이더리움 차트입니다.
일봉관점으로 구조를 체크해보았습니다.
뚫고 올렸던 1층의 천장(= 2층의 바닥)을 다시 여러번 두들기고 있습니다.
만약 일봉상 뚫리고 1층의 영역으로 떨어지게 된다면
1층의 바닥인 약 1000불 까지는 가격의 레벨이 열린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1층 바닥도 뚫리면..(지하가 있다..)
지하1층 까지도 염두할 수 있지만
아직 오지 않은 구간에 대한 예측보다는
현재 2층 바닥을 뚫고 1층으로 내려갈것이냐에 집중하셔야할 구간이라고
보여집니다.
위기의 이더리움 관점은 따라 내려오는 노란색 장기 하락추세선(점선)을
뚫고 올리면 폐기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시 위로 튕긴다고 하여도 노란색 하락추세선은 강한 저항대로 작용될 수 있으니
작도해두시고 형들이 그리는 그림을 따라가는걸 추천드립니다.
작도는 전략적으로 그물을 던져놓고 캔들이 닿을때마다
진입 / 익절 / 손절로 대응하는 단순한 기준으로 활용하실 때
확증편향에서 벗어나서 보이는 그대로 수익과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을것입니다.
요약
- 2층 바닥 깨는 지 체크 (4시간 이상 캔들 마감 확인)
- 1층 바닥까지 열린다.
- 지하도 있다..
- 하지만 노란 하락추세선도 기준점으로 있다는걸 염두하자.
예측보다 대응을
확신보다 확인을
항상 안전한 트레이딩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차트분석][이더리움][예측] 2022.10.11 이더리움 중단기 관점이더리움 중단기 차트분석이다.
어쩌면 괜찮은 타점이 될 수도 있겠고, 어쩌면 이번 관점은 바로 실패한다.
그래도 눈에 보이는거라 일단 공유는 하겠다.
올해 6월, 이더리움은 바이낸스 ETH USDT 기준 올해 최저점인 881달러를 찍고 반등했다.
작업증명에서 지분증명으로의 채굴방식 변경은 이슈는 시장 참여자들의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리하여 쉬지않고 2k까지 올라줫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접목했을때 임펄스 상승파동은 조금은 복잡하게 올라간 거로 보인다.
현재는 ABC 조정파동 구간의 A, B파가 마무리됐고, C파 상승이 남았다고 보고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악재로 인해 현재 가격이 많이 빠진 상태이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이 B파의 저점을 지켜준다는 가정 하에,
피보나치 레벨로 A파의 1.0 구간까지 도달해준다면 1,443달러가 되겠다.
하지만 첫 익절은 더 빨리 0.618구간인 1,374달러 구간이 더 좋겠다.
이렇게 1.618구간인 1,554달러를 타깃으로 보고 매물대 마다 분할 익절을 해봐야겠다.
손절은 B파의 저점을 깨는 순간이다.
이렇게 하면 손절을 짧게, 익절은 길게 가져가며 손익비 거래를 할 수 있다.
장 분위기 리스키하기 때문에 선물보다는 현물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비중을 조절하여 비교적 소량으로 도전해보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인다.
WANT의 트래블룰 / 10-10 / 일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전에 공유드린 아이디어와 같이 현재 4시간봉에서 이더리움이 삼각수렴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롱 포지션을 잡기에는 현재 위험한 자리라고 판단이 되며 롱 포지션을 진입하더라도
현재 진행중인 수렴이 하방 이탈한 후에 하락채널 하단 부근에서 매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저 구간까지 수렴 이탈 후에 하락한다고 가정하면 충분히 패닉셀이 나올 수 있는 구간이니
채널을 볼륨과 함께 하방 이탈한다면 미련없이 바로 손절하시기 바랍니다.
수렴에 관한 아이디어는 아래 연관 아이디어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thereum (ETH) - 10월 9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1340.12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196.81 부근으로 하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HA-Low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1320.4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대에서는 1696.52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거래가 요구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10월 8일 - 비트코인] 추세선을 넘었다고 착각하면 안되는 이유안녕하세요 로또띠입니다
"이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장기 하락추세선을 넘어주고 상승을 보여주는가 했지만 다시 힘을 못쓰고있는데요
하지만 하락추세선이 넘었다고 무조건 오른다고 생각하는건 착각일수 있습니다
왼쪽은 현재이고 오른쪽은 2018년차트입니다
2018년을 보면 장기 하락추세선을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모습을 볼수있습니다
2021년에도 마찬가지로 장기 하락추세선은 넘었지만 내려오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장기 하락추세선을 넘었다고 무조건 오른다고 착각하면 안되는 것이죠
그럼 무엇을 체크해야할까요?
현재, 2018년, 2021년을 한꺼번에 살표보겠습니다
정답은 바로 전고점을 돌파하느냐 못하느냐 입니다
흰색 화살표가 보이시나요?
추세선을 넘고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니 바로 고꾸라 지는 모습입니다
현재 차트에서는 22.8k or 25.2k정도 부근으로 보여지네요
상승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있지만 전고점을 넘는지 못넘는지를 체크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WANT의 트래블룰 / 10-07 / 4시간 봉 관점 - ETH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현재 이더리움이 삼각수렴 상단 부근을 터치하고 크게 밀리지 않고 약하락 횡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장이 열린 이후에 삼각수렴 하단 터치 없이 현재 자리에서 횡보하다가 그대로 올릴수도 있는 모습입니다.
첫번째 매수 포지션은 삼각수렴을 상승 돌파한 이후에 수렴 부분을 지지해준다면 지지 구간에서 매수를 추천드립니다.
최근에는 너무 명확하게도 횡보장을 보여주고 있어서 돌파매매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두번째 매수 포지션은 이대로 삼각수렴 하단부까지 흘러 내려와서 하단부를 지지할 경우에 지지 구간에서 매수를 추천드립니다.
요즘과 같은 횡보장에서는 추세선을 돌파한 이후에 반대로 추세선이 지지 저항이 되기전에 진입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매매법 입니다. 하락이던 상승이던 큰 파동이 하나 나올때까지 매매를 쉬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매매라는게 그렇게 마음처럼 쉽게 되지 않으니, 최소한 지금같은 수렴이나 횡보중일때는
해당 구간에 고점과 저점을 미리 파악하셔서 고점이 오면 돌파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말고 저항 받고 내려갈 것이다. 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반대로 저점에 왔을 경우에는 지지 받고 다시 올라갈 것이다. 이런식으로 역추세 매매하기에 좋은 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차트 관점에서 롱 포지션만 추천 드린 이유는 비트코인이 현재 하락추세선을 이탈한 이후에 횡보중이라서
언제든지 상방으로 슈팅이 나와도 이상할게 없는 자리입니다.
(ETHUSDT) 파동과 하모닉패턴으로 보는 이더리움 안녕하세요. 파동과 하모닉 패턴을 이용해 매매를 하는 소울트리 입니다.
이더리움은 888달러 부터 시작된 상승 파동에 대한 되돌림을 겪는 과정입니다.
2000달러부터 현 위치까지 떨어진 파동을 WXY 파로 해석하고 있으며 Y파동 안의 ABC 파동이 진행중이라고 생각합니다.
ABC파동 안의 B파동이 종결이 되고 하락 임펄스가 진행중이냐 혹은 아직 삼각수렴의 형태로 진행중이냐에 따라 바로
하락이 나올지 수렴의 과정을 조금 더 거칠지 나눠지며, 오늘까지도 전저점을 깨는 하락이 나오지 않는다면 삼각수렴의 가능성에 대해 무게를 둘 것 같습니다.
B파가 삼각수렴의 형태로 나온다면 1A=0.618C의 비율로 C파가 짧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점도 고려해 매수의 위치를 보면 좋겠네요.
해당 아이디어 관련 영상이 있으니 링크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힘든 시기 모두들 힘내십시요.
Ethereum (ETH) - 10월 2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M 차트)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924.52.1196.81 구간이나 그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77.81-736.42 구간에서 지지 받거나 267.90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D 차트)
1340.12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196.81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196.81-1340.12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WANT의 트래블룰 / 10-03 / 일봉 관점안녕하세요. WANT의 트래블룰 입니다.
관점을 공유하기 전에 앞서 개개인 마다 시드머니, 익절가, 손절가 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저의 차트 관점은 단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석 근거는 아래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 빨간색 7일선, 주황색 25일선, 노란색 99일선 / 이는 바이낸스 기본 세팅과 동일합니다.
RSI : 14
이더리움이 현재 정말 애매한 가격대에서 횡보중이라 쉽사리 타점이 보이질 않네요.
현재 피보나치 0.618 구간에서 매물대를 만들며 횡보중이고 숏 타점은 빨간 스마일이 위치한
피보나치 0.5 구간+상승추세선과 매물대가 함께 있는 1430~1470 부근이 좋아보입니다.
반대로 롱 타점은 초록 스마일이 위치한 6~7월에 생성된 매물대 부근 피보나치 0.786 구간 1100~1150 구간 입니다.
현재 하얀 박스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들이 짧은 시간 프레임 봉에서 좀 더 자세히 차트를 볼 경우에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나, 파동의 크기가 매우 작고 6월에 볼륨을 동반한 하락 이후에 나온
3바닥 후 반등이라 패턴만 보고 저 부근에서 롱 진입을 하신다면 현재 횡보중인 매물대 구간에서
익절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사실상 비트코인, 나스닥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 해보았을때
큰 하락 이후에 제대로 된 반등이 나오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롱 포지션은 멀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추세과 피보나치 구간에 리테스트로 상승이 나왔을때 숏 진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TH/USDT 단기 움직임 이후의 매수/매도 포지션8월의 고점 2030불부터 내려온 이더리움 하락파동의 타겟가는 1180불 부근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현 위치는 단기적으로 상,하방의 움직임이 모두 가능한 자리로 성급한 진입보다
1270정도를 지키고 상승할 시 1430~1500불 레벨에서의 매도 포지션,
현재 자리에서 그대로 하락할 시 1180불~1120불 구간에서의 매수 포지션
상기 두 자리를 기다린 후 포지션을 오픈함이 매매에 보다 근거있게 접근할 수 있겠습니다.
매크로가 좋지 않은 관계로 상승에 대한 모멘텀을 쉽게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단기적인 추세 스퀴징 성향이 짙은 상승파동 등장이후 매도포지션을 오픈함은 합리적으로 보이고,
매수포지션은 시기상 매도포지션에 비해 리스키함을 인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도포지션은 긴 호흡으로, 매수 포지션은 줄 때 먹자는 마인드를 깔고 매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다들 성투!
Ethereum (ETH) - 9월 26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924.52-1196.81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1340.1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924.52-1196.81 구간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924.52에서 하락한다면, 714.29 구간에서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손익 보존을 위한 Stop Loss가 필요합니다.
중기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1340.1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och RSI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습니다.
따라서,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196.81 부근에서 지지 받게 된다면, 1340.12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Long/Short-S지표의 배경색 : RSI의 과매도, 과매수 구간 표시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Ethereum (ETH) - 9월 22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D 1D 차트)
ETH가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ETH 도미넌스가 18.54-20.13 구간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급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ETHUSDT 1D 차트)
1340.12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 중 입니다.
924.52-1196.81 구간은 추세를 결정하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924.52-1196.8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특히, 1091.48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RSI, Stoch RSI지표가 과매도 구간에 진입해 있습니다.
따라서,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Long/Short-S지표의 배경색 : RSI의 과매도, 과매수 구간 표시
** CCI-C지표의 배경색 : 단기 CCI선이 -100 이하일때, +100 이상일때 과매도, 과매수 구간 표시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38 주차 [On-chain 글래스노드 주간 뉴스레터] 온체인으로 분석해보는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 Yonsei_dent 입니다.
Glassnode Insights 플랫폼의 주간 뉴스레터를 번역 / 분석해보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이번주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었던 이더리움 Merge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레포트에서는, Merge에 대해 온체인 지표들을 통해 낱낱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론에서 간단히 결론을 언급하고 본론으로 이어가겠습니다.
주 내용은 여러 지표들을 통해 세세하게 분석하여 양이 상당히 많음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0. 서론 & 간단 정리
지난 9월 15일, 블록체인 업계에 큰 인상을 남긴 업그레이드인 이더리움 Merge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ETH 초기 로드맵에서 부터 제시했던 작업 증명(PoW)에서 지분 증명(PoS)으로의 합의 메커니즘 전환이 결국 현실로 나타난 것 자체도 놀라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여러 개발자들이 ETH 초기 단계에서 부터 적극적으로 임한 결과 이토록 놀라운 업적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겠지요.
9월 15일 06:46:46 UTC 기준 이더리움 블록 높이 (Blockheight) 15,537,393에서 최종 PoW 채굴 블록이 생성되었으며 PoS Beacon Chain이 합의 체제 (Consensus)를 넘겨 받았습니다. 즉, 이더리움 병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체제 전환이 얼마나 드라마틱 했는지는, 위 그래프의 이더리움의 평균 및 중앙값 (Mean & Median) 블록 생성 시간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9월 15일을 기점으로, 기존 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 요동치던 블록 생성 시간 평균 값 (주황색 🟠 ) 과 중앙값 (파란색 🔵 )이 12sec 블록 생성 시간으로 일정하게 전환된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트레이딩 시장 뿐 만 아니라, 온체인 네트워크 지표들을 통해 Merge에 대해 면밀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물 및 옵션 시장의 레버리지 투자자의 현재 포지션
2) 합의 매개변수 (Consensus Parameters)에 대한 Merge의 효과
3) 현재 스테이킹 된 총 ETH 및 스테이킹 제공자의 분포
4) ETH 공급에 끼칠 영향에 대한 가상 모델 VS 실제 영향 분석
---------------------------------------------------------------
38주자 결론 & 의견
1) ETH Merge 업그레이드, 큰 오류 없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ETH 커뮤니티의 신뢰도는 마찬가지로 높다.
2) Merge 직후 ETH 시장가가 22% 가량 떨어지긴 했지만, 이익 실현 후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는 차원의 하락으로 보인다.
3) 채굴자 역할을 하는 검증자의 참여율 (participation rate) 과, 검증 증명 수 (Attestation Count) 자체가 높은 것으로 봐서, 안정적으로 ETH 발행 역시 이어지고 있다.
4) 시장 투자자들은 “곧 오르기 시작할 거야!” 라는 심리를 보이고 있다.
5) 다만 EIP 1559 메커니즘에 의한 ETH 공급 디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이라 생각했지만, 아직은 약한 증가 추세 (미약한 인플레이션) 경향을 보이는 중이다.
6) 투자자들의 선택이 옳을지는 ETH 공급 추세가 어떻게 변할 지 꾸준히 지켜보아야 알 수 있다.
→ 이처럼, 글래스노드 및 ETH 커뮤니티는 Merge를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PoW 기반 ETH의 하드포크 가능성 / 상하이 업그레이드 전까지 스테이킹 된 ETH 출금 불가 / 확실치 않은 PoS 체제 안정성 검증 과 같은 여러 리스크 요소가 아직 남아 있으므로, ETH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속단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
--------------------------------------------------------------
I. New Ethereum Metrics, Workbench Presets, and Dashboards : “머지” 후 ETH를 위한 지표와 여러 설정 값 소개
글래스노드는 본래 가상자산들의 온체인 네트워크 상의 활동 들을 여러 지표 (metrics)들을 통해 분석하고,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는 데에 중점을 둔 사이트입니다.
이번 ETH Merge가 이루어진 이후, 새로운 PoS 관련 ETH 지표 및 워크벤치 설정값들을 고안해 내었는데요, 목록만 간략히 다루고 넘어가보겠습니다.
◆ New PoS Metrics ◆
1) 블록 생산 관련 (Block Production) : Slot Height, Epoch Height, Missed Blocks, Orphaned Blocks
2) 네트워크 안정성 (Network Stability) : Participation Rate, Attestation Count
3) 검증자 이동량 (Validator Movement) : Voluntary Exit Count, Active Validators, Slashing Event Count
4) 검증자 잔고, 잔액 (Validator Balances) : Total Effective Balance, Stake Effectiveness, Average Validator Balance, Staking Deposits
5) 검증자 기반 경제학 (Validator Economics: Estimated Annual Issuance ROI per validator ,Estimated Annual Issuance)
6) 새로운 대시보드 (New Dashboards : 사용자 친화적 정보 관리 인터페이스 - UI의 일종) : Proof-of-Stake Consensus and Proof-of-Stake Supply Dynamics
7) 작업 설정 값 (Workbench Pre-sets) : Net Inflation Rate, Net Supply Change, Post-Merge Supply Dynamics, Change in Active Validators, Cumulative Exit Events, Total and Effective Balance, Staked Realized Price
--------------------------------------------------------------
II. Selling The News - 호재에 대중들이 관심을 보일 때, 오히려 매도한다
Sell the News : 호재에 팔아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번 Merge 이후 이루어진 하락세가 이 문장과 어울리는 상황이라 생각되네요. ETH 시장가의 경우, 주 최고 $1,777, 에서 Merge 당시 $1,650 까지 하락한 후, 일요일에는 최저 $1,288 로 큰 폭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사실, Merge를 악재로 반영한 폭락이라기 보다는, 지난 7월 중순부터 Merge에 대한 기대감으로 올랐던 ETH 상승분이, 이익 실현 세력에 의해 다시 정상 범위로 되돌아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습니다. 최근 거시경제 상황이 썩 좋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이 그나마 이익 실현이 가능했던 ETH 종목에서 매도를 통해 수익 실현을 하려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Merge가 일어나기 직전에는, 무기한 (Perpetual)선물 시장 투자자들이 숏 포지션 유지를 위해 눈물을 머금고 연이율 1,200%의 마이너스 펀딩피를 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2020년 3월 -998% 보다 더한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현재는 펀딩피가 중립 범주로 돌아온 상태로, 단기 투기 프리미엄이 상당 부분 사라졌음을 의미합니다.
총 선물 미결제약정(결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선물·옵션계약) 의 규모는, Merge 이후 80억 달러에서 68억 달러로 15 % 가량 대폭 감소했습니다. 물론, 2021-2022 시장에서 이 정도 낙폭은 그리 특별한 것은 아니긴 한데, 그 이면에 숨은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ETH 코인의 가격 변화가 어떻게 ETH 선물 시장에 영향을 끼치는지 이해하여야 합니다.
ETH 미결제약정 규모를 보면, 선물 미결제약정 금액 규모가 실제로 5월 초 이후 거의 80%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달성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한 주간, 레버리지 선물 거래가 감소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증가하였단 의미이고 이는 리스크 헷지 포지션이 아직 청산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근래 뜨거웠던 ETH 옵션 투기 시장에서 콜옵션 미결제약정 규모 (초록색) 는 Merge 후 6억 달러 가량 감소했습니다(10% 감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결제 콜옵션 포지션 규모는 총 52억 달러로 2021년 기준보다 훨씬 높은 상태입니다. 풋옵션 시장 (붉은색) 은 19%라는 더 큰 상대적 하락을 경험했으며, 현재 콜옵션 정도에 비하면 훨씬 작은 규모인 2억 9,400만 달러 가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러 면에서 ETH 는 시장가 -22%의 조정을 직격으로 맞았음도 불구하고 앞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맞물린 투기 심리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III. The On-chain Merge : 온체인 관점에서의 “Merge”
Merge 직후, PoW ETH는 채굴 난이도가 즉시 0으로 되어버리면서 (파란색) 그 끝을 알렸습니다. 유예 기간이나 난이도 조정 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진 만큼, PoW 채굴자들의 보상 역시 증발해버렸고, 그들이 쓰던 GPU 및 ASIC 채굴 장비(블록 연산을 위해 구성된 회로)는 이제 애물단지가 되어 버렸습니다.
PoS 체제에서는, 채굴자 대신 일련의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된 검증자 풀을 활용해 블록 생성을 위한 일종의 “위원회”를 구성합니다. 이는 32개의 Slot 단위로 구성된 Epoch 개념을 통해 블록을 제안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검증자 집단으로 이루어진 “워원회” 멤버 전체가 동시에 블록을 생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12초에 해당하는 한 슬롯마다 한 명의 검증인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블록 생산자 역할이 주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 때문에, 유효성 검사 절차 상 오프라인 상태 (해당 검증인이 비접속) 이거나 연결이 힘든 경우 블록 누락 (Block mis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얼마나 성공적으로 누락 없이 블록이 생성되었는지 보는 지표가 “참여율 : Participaction Rate” 이며, 위 그래프 (파란색 : 🔵)를 보시면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합니다. 성공적으로 생성된 블록 수와, 사용 가능한 총 슬롯 (즉, 이론적으로 생성 가능한 블록 수) 간의 비율로 나타나는 이 지표는 “검증자” 들을 통한 유효성 검사 절차 네트워크의 가동 시간이 얼마나 되는 지 (검증자들이 열심히 블록을 생성하려 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022년 들어서는 대부분 99% 정도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들어 수치가 감소 (즉, 누락되는 블록이 늘어남) 하는 경향이 생김을 볼 수 있습니다. 99% 수준에서 약 97.5%로 몇 주간 약간 떨어지긴 했지만, Merge 후 99%+ 범위로 다시 되돌아갔으며, 이는 일부 검증자 하위 집단에서 잠시 블록 누락이 될만한 일이 있긴 했으나, 크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니었다고 해석됩니다. 다만, 앞으로 PoS ETH 체인 상 더 많은 부하가 가해지고, 더 많은 검증자가 진입하려 함에 따라 참여율이 더 낮아질지, 아니면 높은 수준을 유지할 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위 지표는 Attestation : 증명 과 관련된 지표로, 검증 증명이 성공적으로 일어난 수를 센 (count)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Attestation count 역시 Merge 이벤트 이전 잠시 감소했지만, 본래의 32,000~38,000개의 증명/시간 범위로 다시 회복되었습니다. 아마 대규모의 스테이킹 운영자 (거대 거래소 등) 가 영향력을 끼치는 검증자 노드 풀에 문제가 생겼었거나, 소프트웨어 상 버그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회복 되었으니 영구적인 장애 수준으로 우려되지는 않습니다.
현재 Ethereum 네트워크에서 액티브 상태인 검증자 규모 (Active Validators)는 42.9만 가량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해당 Active Validators 기울기 정도가 Merge 이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9월에만 1.1만 이상의 검증자들이 온라인 상태로 활동 중이며, Merge가 기술적으로 성공했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위 그래프는, PoS 지분 증명 상 Active Validators (액티브 상태의 검증자) 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검증자가 스테이킹 풀을 선택 (참여) 하거나 해제 할 때 Epoch 당 총 검증자 수가 얼마나 변하는 지를 반영하는 지표로, 파란색 바코드처럼 보이는 부분이 “Active Validator”의 일일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1~2022 중순까지의 그래프 밀도에 비하면 아직 그리 밀도가 높지는 않으나, Merge 이후 참여 검증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검증자 들의 블록 관련 활동 역시 증가 (파란색 peak)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PoS Total & Effective Balance 그래프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ETH Merge 후, 블록 생성은 더 이상 채굴자를 통하는 것이 아닌, 검증자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검증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 지분 이상의 ETH를 통장에 예치하듯 보관하여야 하지요. 위에서 다루는 Balance도 그러한 관점에서의 예치 잔고를 의미합니다.
총 42.9만에 달하는 Active Validators (검증자) 와 함께, 현재 총 ETH 공급량의 12.2 %에 달하는 1456만 개의 ETH가 스테이킹 된 상태입니다. 이렇게 예치된 총 ETH 수는 다음 요인들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1) 추가 예치를 통한 잔고 증가, 추후 인출을 통한 (상하이 포크 업그레이드 이후 가능할 것으로 추측) 잔고 감소
2) 발행 및 수수료 수익 축적을 통한 잔고 증가
3) 비활성 누출 (Inactivity Leak) : 검증자가 블록이나 증명을 자주 놓치는 경우 잔고 감소
4) 악의적인 행동으로 간주되는 슬래싱 시 잔고 감소
이에 더해, 단순히 스테이킹 된 총 잔액이 모두 ETH 블록 생성을 위한 consensus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ETH 양을 Effective Balance : 유효 잔고로 분리하여 나타내도록 하였습니다. 즉, 검증자 지위를 얻어 블록 생산을 할 수 있는, 32 ETH 예치 잔고를 유지하는 스테이커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있는 지를 알아보는데 쓰입니다.
총 유효 잔고는 현재 1,380만 ETH이며, 결과적으로 지분 효율성 비율은 94.6%입니다.
스테이킹 된 ETH의 대부분은 몇몇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예치된 것으로, 1,000만 ETH (전체의 69.04%) 만큼의 예치 코인량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상위 4개 서비스 제공업체는 Lido, Coinbase, Kraken 및 Binance로, 총 818만 ETH 지분을 관리하며 전체 지분의 56.08%를 차지합니다.
최근 고도로 성장하는 스테이킹 풀 중 하나인 Rocketpool은 현재 시장을 리드하는 Lido와 경쟁 관계에 있는 업체입니다. Rocketpool은 규모가 매우 작지만 성장하고 있으며 22만 8천 ETH가 호스팅 되었고 이는 총 지분의 1.56%를 차지합니다.
--------------------------------------------------------------
IV. The Reality of Supply : ETH 공급의 실태
사실 Merge 업그레이드의 관전 포인트는, 자체의 기술적 결함 여부보다는 EIP1559 알고리즘을 통한 코인 소각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ETH 공급 측면에서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지의 여부라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12월 1일 비콘 체인 (PoS 방식) 생성 이후 이더리움은 PoW 체인과 PoS 체인을 통한 두 갈래의 코인 발행 (공급) 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물론 Merge 후인 현재는 PoS 체인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입니다.
위 그래프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및 실제 조건에서 일일 순 ETH 발행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IP1559가 구현된 이후 (소각이 진행되는 경우) ETH 공급량의 일일 순 변화 정도를 시각화하여 제시합니다. 양수 값 🟢 은 공급이 증가하는 인플레이션 기간(일반적인 조건)을 나타내고 음수 값 🔴은 공급 축소(ETH 공급 디플레이션)를 나타냅니다.
✷ 주황색 🟠 라인의 경우는 기존의 작업증명 기반에서, PoS Merge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시뮬레이션 한 결과인데요, 채굴된 블록 당 2개의 ETH가 발행된다고 가정합니다.
✷ 파란색 🔵라인의 경우, Merge가 2021년 8월 EIP1559 함께 진행되었을 때를 시뮬레이션 하며, 해당 날짜 이후의 모든 PoW를 통한 블록 채굴 보상은 반영하지 않은 값입니다.
✷ PoS 시뮬레이션 값 🔵 은 PoW 시뮬레이션 값 의 ~12.5k ETH와 비교하여 ~772 ETH/day의 매우 낮은 블록 공급량 (발행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Merge는 시뮬레이션과 달리 이제 막 이루어졌으므로 아직 현재 순 ETH 발행량은 인플레이션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Merge 이후 공급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욱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위는 업그레이드 직후 1시간 단위로 순 공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약 4일)
- PoW 이더리움 체인이었으면 해당 기간, 약 48,400 ETH 만큼이 발행되어 공급되었을 것입니다.
- PoS 체인은 순으로 3,893 ETH 만큼을 발행했고, PoW와 비교하면 92.8% 만큼 덜 발행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erge 이벤트 직후에 블록 공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평균 Gas Fee가 올라 초기 12시간 동안 순 ETH 공급 디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혼잡이 해소되고 Gas Fee가 낮아짐에 따라 전체 ETH 공급은 계속 증가 추세 를 보였습니다. 물론 이전 PoW 구현에 비해 극적으로 적은 비율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
V. Summary : 요약 및 결론
이더리움 머지 그레이드를 통해 확장성과 거래속도 개선, ETH 발행 공급물량 조절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발 맞춰 온체인 분석 역시,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설명하기 위한 수많은 지표들을 개발하며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글래스노드를 포함,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전망을 내다보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기존 PoW 기반 체제를 완전히 탈피하면서 몇몇 우려와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1) PoW → PoS 로의 전환에 대한 반발로, ETH 하드포크 가능성
→ 업그레이드 후 채굴자들이 기존 장비를 통한 채굴이 더 이상 불가한 점에 대한 반발로, PoW 를 기반으로 하는 또다른 ETH를 하드포크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PoS 체제의 보안성 검증 여부
→ 지분 증명 방식의 ETH 네트워크가 외부 공격 (해킹 등)에 안전한지 아직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3) 스테이킹 된 ETH 물량이 상하이 업그레이드 후 “출금” 되는 경우, 해당 물량으로 인한 ETH 하락 우려
→ 현재는 PoS를 위해 스테이킹 된 ETH 양이 상당하고 (전체 발행량의 11% 가량), 블록 검증을 통한 보상 역시 다시 Lock up 되어 당장 이러한 물량이 출금되어 ETH market price에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1년 후인 2023년 경 상하이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고, 이를 통해 언락된 ETH 물량이 거래에 쏟아져 나온다면 가격 하락이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 추가로, ETH Merge 호재가 예상만큼 가격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점과, 현재 미국의 긴축기조로 인한 전통 금융시장 및 크립토 시장 모두 하락세 임을 감안한다면 추가적인 강한 호재가 없는 한 상승세로의 반전이 힘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리스크를 항상 염두하며 ETH 의 방향을 예의주시 하여야 할 것이며, PoS를 통한 이더리움 공급이 어떻게 변화할 지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검증자 메커니즘을 통한 ETH 발행과 EIP1559를 통한 소각 간의 관계, 이를 반영한 시장 추세에 의해 ETH 공급은 언제든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THBTC 하락 예상됩니다ETHBTC 임펄스 상승이 완료된 것으로 보입니다
1파- 확산형 다이아고날
2파- ABC 조정
3파- 1파의 2.618 비율 (신뢰도 UP)
4파- 플랫-X-지그재그 복합조정
5파- 임펄스 (절단)
주요 지지매물대 구간인 0.055BTC 까지 하락을 예상합니다.
머지 이슈로 이더리움 상승 기대감이 크지만, 저는 기술적 요인으로 인해 이더리움보다는 비트코인을 매집하는게 좋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