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크립토커런시)
Celsius는 19.8만개의 ETH를 담보로 옮겼고, 19.7만개의 ETH를 Figment를 통해 담보로 잡았다.21 Shares 모회사 21.Co 체인 데이터 분석가 Tom Wan의 모니터링에 따르면 Celsius는 어제 22만2000개의 ETH를 stETH의 인출 주소에서 자체 이더리움 스테이징 풀로 보냈습니다. 만약 Celsius가 스테이징 풀을 통해 42만8000개의 ETH를 모두 스테이징하면 이더리움에서 7번째로 큰 스테이징 실체(58만6000개의 ETH)가 됩니다.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Celsius는 stETH 인출 주소에서 42만8000개의 ETH를 받은 후 19만8000개의 ETH를 보증 풀에, 19만7000개의 ETH를 피그먼트를 통해 이전 보증된 ETH 주소에 저장했으며 3만2000개의 ETH를 유지했습니다.
중요한 구간에서 상승할 수 있을지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6월 26일경의 변동성 기간 이후에 0.07248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ETHUSDT 차트)
1572.69-1879.61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므로, 1862.46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 1일-3일 정도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최소 1일-3일 정도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매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가격이 위치한 지점이 구간이 어떠한 타임 프레임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인지에 따라 투자 기간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를 보고 형성되어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함으로서 거래하고자 하는 코인(토큰)의 거래 전략을 만들거나 수정해 나가야 합니다.
현재 1M 차트에서 보면, MS-Signal지표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MS-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그러므로, MS-Signal지표가 상승 표시로 전환되었을 때 MS-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계속 유지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위의 사항이 확인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할 시점에 해당됩니다.
1W 차트, 즉,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HA-High지표 부근에 가격이 위치해 있으므로 최근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 부근, 1862.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확인하였다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할 시점에 해당됩니다.
다만, HA-High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게 되므로, HA-High지표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손절은 필수입니다.
1D 차트, 즉, 단기적인 관점에서 1862.0 부근은 1D 차트의 HA-Low, HA-High지표가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1862.0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거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1862.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1차 매도 구간은 2075.10-2196.53 구간입니다.
또한, 1790.2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손절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투자 기간에 따른 거래 전략을 생각하였다면, 선택한 투자 기간에 따른 투자 규모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투자 규모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현재 가격이 전체적인 가격대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30%-50% 정도에 해당되는 비중으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너무 많은 비중으로 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낮은 가격에서 더 많이 매수함으로서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거래를 진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심리상태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투자 비중으로 더 많이 매수하게 되었을 때 자신이 받게 되는 심리적인 부담을 견딜 수 있는지가 거래를 지속할 수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격적인 매수 시기는 1M 차트의 HA-High지표 부근에서 지지받는 모습을 보일 때 입니다.
--------------------------------------------
(ETHKRW 차트)
23700000-24660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장기적인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7월 1일경의 변동성 전후로 2920000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 아니면, 1D 차트의 HA-Low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M 차트를 보면, 1911000-2920000 구간에서 횡보(sideways)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1M 차트의 HA-High지표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 1M 차트의 HA-High지표 지점(3973000) 부근으로 상승하거나 위아래로 흔들어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현재 거래할 이유가 없습니다.
중장기적인 관점, 즉, 1W 차트를 보면 2370000-28700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매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HA-High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게 되므로 2370000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손절이 필수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비트코인(BTC) 관망의 근거비트코인, 이더리움과 함께 가상화폐 시장의 거래량이 바닥을 치며, 횡보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는 시장입니다.
금리 인상과 미국 디폴트 뉴스에 크게 반응하는 나스닥과 코스피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매매하는 입장에서는 답답하고, 무포지션을 길게 유지하는 시장일 것이죠.
헤드엔숄더 패턴이 완벽하게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어느정도 3중 천장을 형성하고 상승의 힘이 떨어지는 것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의 대한 거래량이 등장하지 않았기에 아직 방향성에 대해서는 예측하기 힘든 자리이기에 조금 더 수렴에 의한 방향 설정이 필요하죠.
하단 추세 라인과 상단의 추세 라인으로 만들어지는 삼각 수렴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상방 하방을 향하는 구간에서 거래량이 등장하는 것을 보며, BullTrap을 유의하며
매매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차트를 배제하고 시장의 분석으로 확인했을 때, 금리 인상의 동결과 인하의 기대감으로 시장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중이기에, 결국 금리 동결과 인하가 결정될때가 하락의 시작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변수를 제외할 수 없는 시장입니다.
전쟁으로 인한 공급병목 현상이 이끈 물가 상승이 종전과 함께 물가 상승이 멈춘다면, 강한 금리 인하를 이끌 수 있죠. 미국 디폴트의 이슈도 덤이지만, 사실 디폴트의 가능성은 없다고 보는게 힘들기에 단순히 단기적으로 시장을 흔드는 이슈일 것 입니다.
결국 시장의 한 방향보다는 상승과 하락의 양방향 매매가 중요하기에, 단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매매를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
하락이 시작되면 하단 추세 라인에서 반등 타점을 먹는 것이 좋고, 상승이 시작되면 매도 타점에서 매도 후 다시 방향성을 지켜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다들 저조한 거래량에서 많은 매매를 통해 수수료를 내기보다는, BullTrap을 항상 유의하면서 거래량 등장하기를 기다리는 무포지션이 가장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네트워크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더 많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전환함데이터에 따르면 Solana 네트워크의 새로운 주소 수(7일 평균)는 이번 주 월요일에 304,640개로 2022년 6월 이후 가장 많습니다.
또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거래 비용은 지난주 모두 3개월 최고치를 기록했고,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자금을 송수신하는 액티브 주소 수도 2021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새로운 주소의 증가는 이더리움의 비용이 상승하고 사용자들이 다른 네트워크를 찾아 거래하기 시작한 5월 초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폴리곤과 같은 이더리움 확장 네트워크도 비슷한 새로운 주소 증가를 보였습니다.
Lido Finance 투표로 ETH 인출 활성화 및 v2 업그레이드머니월드는 이더리움 모바일 지분 프로토콜인 리도 파이낸스가 v2 버전을 업그레이드했으며, 이번 업그레이드로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이더리움을 1:1 비율로 추출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새로운 모듈형 아키텍처 설계를 통해 독립적인 스테이커에서 DAO 및 분산 검증기 기술(DVT) 클러스터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노드 운영자를 위한 포털을 개발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검증기 생태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 승인 투표는 미국 동부 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 15분에 완료되었습니다.이번 업그레이드는 베팅 검증자가 이더리움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지난달 샤펠라 하드포크에 이은 것이다.Lido Finance는 다중 보안 감사로 인해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추가 한 달이 필요합니다.
[EHT/USDT] 끝의 상승, 시작의 하락현재 이더리움 차트의 차트 패턴, 매물대, 모멘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하락반전형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포지션 진입하기에는 다소 이른 감이 있습니다. 충분히 눌려서 하단 트렌드라인에 닿았을 때 롱 진입, 혹은 살짝 눌렸다가 다시 한번 더 고점을 갱신하면서 라이징 웻지를 완성할 때 숏 진입이 좋아보입니다. 라이징 웻지가 컨펌될 때는 RSI 하락 다이버전스 혹은 스토캐스틱 고점을 낮추는 쌍봉 패턴이 함께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시장이 굉장히 과열된 상태이고 잠시 쉬었다 갈 타이밍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시고,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이더리움] 반등의 서막(序幕) (2023.05.15.월)⭐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팀 입니다.🚀
이더리움은 지난 4월 2,140달러까지 반등 후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반등의 서막"이라는 주제로 주봉, 일봉, 4시간봉 순서로 이더리움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ETHUSDT(Binance) 주봉
이더리움 주봉 입니다.
이더리움은 2021년 11월 4,868달러 고점을 만든 후 반전하여 약 217일에 걸쳐 881달러까지 폭락했습니다.
이후 숏커버링 등으로 2,030달러까지 반등했지만 볼린져밴드 중심선(빨간색) 위에서 지지받지 못하고 2차 저점인 1,073달러까지 조정을 받았습니다.
주봉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검은색 화살표 : 저점 및 고점을 높임
② 볼린져밴드 중심선 : 하방에서 상방으로 전향
③ 검은색 동그라미 : 반등 중 1,440달러(2018년 고점)까지 조정이 있었지만, 망치형 캔들을 만든 후 장대양봉 출현
④ MACD 지표 : 히스토그램(막대) 위로 올라옴
즉, ①번 ~ ④번을 참고할 때 이더리움은 현재 반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4,868달러를 고점으로 881달러를 저점으로 피보나치 되돌림을 계산했을 때 저항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항구간 : 제1차(2,404달러), 제2차(2,874달러), 제3차(3,315달러)
다음으로 일봉 입니다.
•ETHUSDT(Binance) 일봉
이더리움은 고점을 높인 후 조정을 받았지만 2021년도 중요 매물대인 1,700달러를 하회하지 않고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주황색 추세선 돌파 시 고점을 높일 수 있는 반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하락 시 중요 지지구간은 1,700달러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700달러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 최소 제1차 저항구간인 2,404달러까지 반등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음으로 4시간봉 입니다.
•ETHUSDT(Binance) 4시간봉
상위 차트 보조지표는 MACD입니다.
즉, MACD는 골든크로스를 만들었고 히스토그램(막대) 위로 올라오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 됩니다.
한편, 이번 주는 15일부터 20일까지 FOMC 위원들의 연설이 이어지며 매크로 변동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5월 19일(금) / 24:00 연준 파월 의장 연설 전후로 변동성이 심화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크립토마켓의 중대장격인 이더리움도 매크로 변동성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FOMC 위원들의 발언에 따라서 가격이 출렁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더리움 매매와 관련해서는 1,700달러 부근에서 매수를 대기하거나 주황색 추세선 돌파 시 추격매수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겠습니다.
⭐ 결 론 ⭐
① 이더리움은 4,868달러에서 881달러까지 폭락했습니다.
② 주봉의 주요 확인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저점 및 고점을 높임
- 둘째, 볼린져밴드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전향
- 첫째·둘째 등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반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③ 5월 19일(금) 파월의장 연설에 주목이 필요함
④ 저항구간
- 제1차(2,404달러), 제2차(2,874달러), 제3차(3,315달러)
⑤ 개인적인 관점으로 1,700달러 아래로 크게 내려가지 않으면, 최소 2,404달러까지 반등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하락장의 끝은 경기침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비트코인 장 단기 분석안녕하세요 코인랩스 킴쥬드입니다.
2023년 새해를 맞이하여 비트코인 장 단기 관점 및 매크로 관점하나 올려드리려 아침부터 부리나케 달려왔습니다만, 하우스룰에 의해 숨김을 당하여 다시 이렇게 업데이트합니다.
많은분들이 기대했던 금리인상 속도조절은 지난 FOMC에서 점도표와 매파인사들, 파월의 연설로 인해 기대감이 쏙 들어갔다고 생각하며,
기대감으로 올린만큼 실망매물이 여전히 나오고 있는중이다 라고 보고 있습니다. 나스닥 뿐만아니라 비트코인, 이머징국가의 주가 모두 좋치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굉장히 주관적인 저의 견해는 아직 바닥이 오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팬데믹쇼크 이후 그 많은 유동성 공급으로 끌어올린 주가는 다시 금리인상과 QT로 인해 하락하고 있고.
현재까지 시장이 금리인상으로 인한 경기둔화를 선반영해 하락해 왔다면, 이제부터는 경기침체를 선반영하고있고 경기 선행지표에서 이제 슬슬 침체의 징조를 보여주고 있고,
주가가 침체를 충분히 반영하게 된다면, 연준이 침체를 인정하는 그 순간이된다면 하락장의 끝이 보일거라 생각합니다.
제가 지인분들께 항상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리는 일생일대에 기로에 서있다. 우리가 졸업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현재는 현물이든 선물이든 잃으면 안되고
현금보유 해야되는 시점이다. 바닥이 언제인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아직 아닌건 확실하다. 그 바닥을 찾기위해 찾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지금은 잃으시면 안됩니다. 트레이딩뷰에 선물매매하신는분들 정말 많은거 알고 있습니다. 계속 해서 잃고 계시다면 그냥 쉬고 기다리세요. 내년이 될지 내후년이 될지는 모르지만
찐 바닥이 오고 찐 공포가 왔을때 그때가 되서 기회를 잡는다면 다시는 못 볼 저점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발바닥 각질은 아니더라도 발목은 되도록 노력하고 공부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카운팅 관점으로 가서
69K부터 카운팅 관점은 아래 업데이트에 링크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복합관점에 더블컬렉션으로 저점갱신을 하고있으며, 라지 Y파중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Y - x가 다왔는지, X가 진행중인지 애매모한상황이지만,
Y-x가 다 나왔다고 보고있지만, 17300~600 가능성은 열어두고 매매 하고있으며, 수렴 관점 또한 열어두고 현재 숏 진입한 상태 입니다.
위에 설명대로 침체에 대비하여 저점갱신을 열어두고 매매중이며, 라지 Y파에 트리플 컬렉션이나(Z파 오랜시간 횡보) 더블컬렉션(535)로 마무리 되고 마무리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단기적인 매매관점은 계속해서 업데이트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사다난 했던 2022년 너무나 고생 많으셨고, 2023년 흑토끼해 우리 투자자 여러분들 항상 성투하시고 건강하고 행복한 한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790.20-1883.90 부근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 차트에 대한 분석은 일주일에 한번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다만, 변동성이 발생하거나 예상 흐름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일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위 상황을 제외한 매일 업데이트로 BTC 분석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
(ETHBTC 1W 차트)
큰 그림으로 보면, 0.048765-0.053586구간에서 0.072484-0.079552구간에 걸쳐 큰 박스 구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ETHUSDT 차트)
(1W 차트)
1W 차트의 HA-High지표가 1790.20 지점에서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790.20 지점에 HA-High지표가 생성되고 그 지점 부근에서 지지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2419.83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1차 : 1611.62
2차 : 1338.6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4월 28일-30일 사이의 변동성 기간에 1883.90-2075.10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1883.9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기 매수가 가능합니다.
이 단기 매수에 대한 1차 목표 지점은 2075.10 부근입니다.
이와 같이 HA-Low, HA-High지표는 쌍을 이루는 지표로서 그 역할을 합니다.
1W 차트의 HA-High지표가 1790.20 지점에서 생성된다면, 1790.20-1883.90 부근에서 지지받게 되면,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2075.10-2196.53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매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BTC의 1M 차트와 마찬가지로 HA-High지표가 상당히 높은 지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HA-High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이 보여야 장기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현재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위아래로 흔드는 시점에 위치해 있다고 봐야 합니다.
ETH는 높은 가격대에 속하는 코인입니다.
따라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거래할 때는 그만큼 여유를 갖고 흐름을 확인해 나가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자주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그만큼 더 많은 자금이 필요로 하게 되고 보유 수량은 감소하게 되는 악영향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가 추천하는 매도 전략은 매수 단가별 최소 30% 이상의 수익 발생시 일부 매도하여 현금 수익을 얻거나 매수 원금만큼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 갯수를 늘려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추세전환 지금인가? 31k도달 후 하락? 숏이라 했제 (중요 추세선 매물대 + 시장 흐름 분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꾸기'입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좋아요 팔로우 꾹꾹 부탁드립니다.
현재 31k 정확히 도달 후 어느정도 꺾이는 모습을 보여주며 하락봉에도 볼륨이 어느정도 터져주며
29094매물대에 지지받고 rsi상 1시간봉 상승 다이버젼스가 걸리며 반등이 오고 있는데
이것이 추세를 이어나가는 움직임인지 또는 롱물량 소화후 추가 하락을 염두한 일시적 반등일지의 여부는 29972~30242 매물대를 맞고 떨어지느냐 또는 뚫어서 추세를 이어가느냐의 중요 분기점으로 보며
5월 추가 금리 인상이 별일이 터지지 않는 이상 굳어질 정도로 현재 추가 인상을 예상하는 비율은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리세션까지 언급된 시장상황에 비해 과열된 상태로 보고있지만
장기적인 시장흐름이라 5월의 금리인상까지 천천히 가져갈 매크로적 해석이며
중기적으로 일단 가장 중요한 지지선인 디스조인트 채널의 상단 28323은 최소로 도달하고 다음움직임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요한 구간에서 지지받는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 차트에 대한 분석은 일주일에 한번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다만, 변동성이 발생하거나 예상 흐름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일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합니다.
** 위 상황을 제외한 매일 업데이트로 BTC 분석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
(ETHBTC 1W 차트)
0.06766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0.05719-0.060484
2차 : 0.048765-0.053586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ETHUSDT 차트)
1M 차트에서 HA-High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1D, 1W, 1M 차트 모두에서 상승세를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1572.69-2531.05 구간에서 위아래로 흔들어서 HA-High지표가 하락하게 만드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W 차트)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의 중심선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2871.13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338.65-1611.6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871.13 부근으로 상승하는데 힘을 받기 위해서 HA-High지표가 상승하게 만드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HA-High지표가 상승하여 생성되려는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지 받지 못한다면, 반대로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1572.69-1879.61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2196.53 부근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777.05-1879.61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572.69-1611.62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음 변동성 기간은 4월 29일경에 1995.50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코인 시장의 상승세를 ETH가 주도하게 되면, 그 상승세는 단기적일 간으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BTC 가격이 하락하지 않는 모습 속에서, 즉, 횡보(sideways)하는 모습에서 ETH의 가격 변동이 나와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4월 3일경의 움직임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BTC의 상승세를 이겨내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0.06766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0.05719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ETHUSDT 차트)
(1M 차트)
MS-Signal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MS-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는 것은 추세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HA-High지표가 3321.30 지점에 위치해 있으므로 위아래로 흔들어대서 HA-High지표가 하락하기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1W 차트)
BTC 차트와 마찬가지로 1M 차트의 M-Signal지표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M-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실패한다면, 1611.6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2월 27일경-4월 3일경 사이가 중요하다고 말씀드렸는데 이제 그 기간이 마무리되려고 합니다.
위의 기간동안 1879.61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879.6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2531.05 부근으로 상승하기 위한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입니다.
만일 1879.61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1차 : 1572.69
2차 : 1340.12-1460.54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월 3일경의 변동성으로 어떠한 움직임이 나올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BTCUSDT) 단기 조정에 대한 가능성 안녕하세요 소울트리입니다.
저번 아이디어에서 기다린 매수타점까지는 와주지 않았네요. 지나간 자리는 미련없이 보내주고 재차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보겠습니다.
금일 올라온 상승파동은 위 사진과 같이 파란 플랫 파동의 (C)파를 만들러 올라간 임펄스 파동이라 판단됩니다.
한 단계 큰 카운팅을 보면 검은 B파동의 완성이 되기도 하는 자리이고, 그렇다면 남은 방향은 검은 C파동을 만들러 가는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29,100을 찍자마자 양봉캔들의 대부분을 되돌리는 음봉캔들이 나왔고, 해당 음봉캔들을 트리거로 하락 임펄스 파동이 나올 수 있겠네요.
지지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 포인트는 차트에 나와있듯 27,800 부근과 26,900 부근입니다. 파동관점은 이렇게 마무리하고 다음으로 하모닉 패턴 관점으로 보겠습니다.
4시간 캔들 기준 B포인트를 꼬리가 아닌 몸통으로 잡게되면 샤크패턴의 B포인트를 얻을 수 있고, 샤크패턴의 PRZ에서 반전 후 내려오는 파동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샤크패턴 이후에 이어나오는 5-0 패턴의 prz는 샤크패턴CD leg 0.5 비율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B포인트 매물대 + 검은파동 ABC의 피보나치 확장 0.618과도 겹치는 자리입니다. 그래서 27,800 부근은 한 차례 지지가 나와줄 수도 혹은 새로운 상승파동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자리입니다. 5-0 패턴에서 의미있는 반전 근거가 보이지 않는다면 빨간 하락추세선과 검은 플랫파동의 1:1 비율이 겹쳐있는 26,900 자리에서 재차 매수 시도를 해볼 수 있으며, 검은C파동의 하위 파동이 5개의 파동으로 나오는지도 함께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스닥은 재차 전고를 향해 올라가고 있으며 13,400 부터는 매도세가 나올 수 있으니 함께 체크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