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iotwaveanalysis
비트코인 차트분석 (조정)#비트코인 #조정파동진행중 #횡보 #또는 하락
고점에서부터 하나의 abc패턴이 보여진이후,
어제 30.6k까지의 상승에서 작은 abc가 보여집니다
작은abc를 x파동으로 가정한다음 차트에 대입해보니
WXY 복합조정파동으로 진행될 가능성도보여집니다
Y파가 수렴으로 나올지, 지그재그로 추가적인 가격하락을 야기할지는
이후 눌림에 저점을 지켜지는지 이탈하는지로 접근해석하면될것같습니다
어제 갱신된 저점을 이탈한다면 큰폭의 하락을 할것으로 해석하겠습니다.
어제 갱신된 저점을 이탈하지않는다면 수렴Y파동 진행될것으로 해석하겠습니다.
조정파 이후에 상승파동을 기대중입니다
단순 눌림목 이후 재차 상승? 아니면 하락추세로의 전환?반갑습니다.
차트보는 공대생입니다.
팔로우를 해두시면 빠르게 저의 가장 최근 관점을 접해 보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도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하락세가 단순 눌림목으로 끝나며, 31k 고점을 넘어설 것인지,
혹은 아예 하락세로 전환이 될 것인지에 대한 여러분들의 의문이 극에 달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만큼 현재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됩니다.
일단 큰프레임인 주봉부터 보는 건 국룰이죠? 비트코인 주봉차트 입니다.
지지의 역할을 해주었던 보라색 트렌드라인이 하방돌파되며 추가하락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후에 두개의 저점을 만들고 반등을 주고 있는 상황인데,
이 반등으로 끝날지 아니면 추가상승을 이어갈지가 저희에게 관건입니다.
이걸 알아보기 위해선 현재 주봉구조를 좀 더 파헤쳐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서 과거의 예시와 함께 볼건데
해당 예시가 적합한 예시인지에 관해서도 논의해볼겁니다.
저희가 함께 볼 예시는 우측 2019년 하반기 차트입니다.
현재와 마찬가지로 가파른 상승세 이후에(검정색 화살표)
고점에서 큰 박스를 만든 후
일정한 지지레벨을 깨부수며 추가하락이 나왔습니다.
이후 저점을 두개 만들고나서 반등세를 주었네요
현재차트도 마찬가지인 상황입니다.
이 때 반등세를 주기전 특징이 하나가 있는데,
하락세 => 저점1 형성 => 횡보세 => 저점2형성=> 반등
이러한 과정을 거친후에 반등을 준다는 것 입니다.
이과정을 해석하여 다시한번 적어보자면,
하락세(추세의 폭발) => 저점1형성 => 횡보세 (추세를 식힘) => 저점2형성 (남은 추세 털기)=> 반등
대다수의 추세가 이러한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즉 가파른 하락세 이후의 횡보는 한 추세의 종료가 임박했다는 뜻이 될 가능성이 있고,
이를 rsi 지표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캔들차트상의 두 저점은 낮아졌지만 rsi 지표의 저점은 높아지며 괴리가 생겼습니다.
이를 "다이버전스" 라고 하며, 이 다이버전스는 한 추세가 일단락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여기까지 봤을 때 상당히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반등이 나오는 과정까지 봤습니다...
저희에게 중요한건 이 반등이 어디까지 가냐 겠죠??
우선 2019년도차트에서는 보라색 트렌드라인을 테스트하는 구간까지 올라갔습니다.
또한, 직전고점 근처까지 올라가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상승도 40k를 넘어가는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겠죠
다만, 여기서 눈치채신 분들도 계실겁니다.
" 반등전까지는 유사하지만, 반등의 과정속에서 그 모양이 아예 다른데...? "
네 맞습니다. 위치상으론 매우 유사하지만 모양이 다릅니다.
2019년도에는 숨쉴틈도 없이 올렸습니다. 다만 현재는 중간중간 쉬어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따라서 2019년도 차트에서 조금 옆을 보겠습니다.
역헤드앤숄더로서 파란색 저항라인을 돌파해주고
리테스트까지(저항=>지지로 바뀜) 완료 시키며 반등이 나온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도 매우 유사합니다.
정리하자면,
=> 주봉상 파란색 가로선 지지를 확인하며, 40k 이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의 경우를 생각했을 땐 똑같이 파란색 가로선의 하방이탈을 주시하면 된다.
즉, 파란 가로선이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주봉상의 분석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엔 좀 더 단기프레임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현재 채널을 형성하며, 앞선 상승에 대한 조정중에 있습니다.
저는 올라가려면 저점을 낮추지 않고 "지금 올라가야 한다" 고 생각합니다.
주봉상으로도 현재 자리가 밀리게 되면 근처에 지지를 기대할 만한 자리가 없습니다.
또한 지난번 평행채널 교육 아이디어에서 다뤘듯이,
채널하단부를 예쁘게 딱 찍고 반등하기 보다는
살짝 못미치던가 아니면 하단부를 약간 뚫고 반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현재 자리에서 주봉상 25k 이탈을 허용하지 않으며,
상승을 위한 매집을 하는 형태가 가장 베스트 시나리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덧붙혀서 파동이론의 관점에서 간략하게 보겠습니다
현재 뚜렷하게 보이는 파동 두개가 있습니니다
바로 연속된 abc 파동입니다
두번째 abc가 첫번째 abc의 0.618이상 되돌리지 못하고
0.5에서 그쳤기 때문에 플랫패턴보단 복합조정(wxy)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파동의 규모상으로도 두번째 파동이 좀 더 작은 모습이네요
X파동은 보통 앞선 W파동의 비해서 시간상으로 좀더 규모가 작은편이기 때문애
X파동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렇다면 뒤에 Y파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파동이론 서적을 참고하여 봤을 때
Y파동에는 삼각형이나 C- 미달형 플랫이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두 파동다 횡보의 기간이 길기 때문에 매집의 형태로서 볼 수 있는 파동들입니다.
복합조정 패턴의 예시를 들어보자면 20년도 6월 과 21년도 12월을 들어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25K아래에서 주봉마감이 되었을 때, 혹은 24.8K 밑으로 저점을 낮추었을 때는
해당시나리오가 모두 깨지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해보입니다.
오늘의 결론 => 올라가려면 지금 올라가야 한다.
다음 퍼블리쉬에는 좀 더 단기 파동으로 들어가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차트분석 (조정관점)#비트코인 #1시간차트 #임펄스파동종결 #조정ABC
저점에서부터 임펄스 5개파동 형태의 상승이 발생한 모습이 보여집니다.
피보나치비율도 잘 맞아떨어지고,
RSI 하락다이버전스 컨펌된모습입니다.
상승분에대한 조정 or 하락시작으로 보고있으며,
고점을 이탈하지않는선에서 최소 26.2k 구간까지 눌림이 유효하다고 보고있습니다
27.2k를 손절점으로 잡고, 오름 숏으로 대응하는것이 좋아보입니다
총 조정분량을 0.382~0.618까지 되돌릴것으로 보고있으나
또 차트에서 상승의 모습이 포착된다거나
이전 고점을 상회하면 해당관점은 폐기입니다.
횡보구간(박스권)에서 매매를 해보자 반갑습니다 차트보는 공대생 입니다.
바로 본론 갈게요.
어제는 하락의 한단위를 파악하여 롱포지션 전략을 짜봤습니다.
오늘은 횡보구간 한 예시를 알아볼게요
1. 가파른 하락세
2. 파란색 타원처럼 약간의 반등세
3. 지저분하게 횡보하다가 보라색 지지레벨을 하방이탈
4. 보라색 지지레벨은 저항레벨로 전환 #(s/r flip 에 의해)
=> 이제 보라색 저항레벨을 돌파해주면 롱포지션 진입이 가능해짐
(보라색 저항레벨은 연관링크의 저항레벨과 겹칩니다.)
#s/r flip 이란?
support => resistance flip 의 줄임말로 저항이 뚫리면 지지로
지지가 뚫리면 저항으로 바뀌는 성질을 말합니다.
※저의 돌파기준은 항상 캔들의 종가 마감입니다.
파동의 규모에 따라 한시간봉 마감을 볼지 4시간봉 마감을 볼지,,, 등등
타임 프레임이 달라집니다.
NASDAQ 파동 카운팅나스닥 파동 카운팅입니다.
나름대로 지금까지의 하락추세 소파동들까지 카운팅해온 결과입니다. 토론, 질문 모두 환영입니다.
최근 2달간(2022.10 ~ 2023.02) 의 파동은 확정적이지 않습니다. 열심히 보고 있지만 여전히 헷갈리고 찜찜한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파동은 사람마다 제각각이니까 참고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 2월봉 마감이 약 하루 남았습니다. gravestone doji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일단은 잠정적으로 이미 C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고 그렇지 않다면 3월 중순 늦으면 4월에 형성되기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FOREXCOM:NSXU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