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_10.1st┃비트코인 장기파동 분석※파동의 크기는 Ⅰ > 1 > (1) > ①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제가 보고 있는 비트코인의 장기파동을 점검코자 합니다. 단기적인 매매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좀더 긴 시간에서의 매매플랜을 세우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계속해서 변할 수 있는 카운팅입니다. 다만 최근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저는 아래와 같은 카운팅의 확률을 높게 생각합니다.
: 비트코인의 10년 장기상승 사이클의 마지막이 남아있다.
: 최근의 고점이었던 31.8K를 상승 돌파한다면 본격적인 상승장이 열릴것이다.
: 본격적인 상승 이전에 마지막 하락이 남아있다.(21-22K)
엘리엇 웨이브
불규칙일경우 한파동 더 상승가능성만약 앞선 파동의 조정이 불규칙 조정일 경우 위로 한파동 더 올라간다고 봤을 때
1. abc 1대1구간이 28.3k 까지 도달할 수 있다.
2. 28.3k 는 떨어진 전체파동의 0.5 구간이기 때문에 2개의 파동의 피보나치가 겹치는 구간이 형성된다.
3. 4시간봉 하락다이버 전스가 파동간의 다이버로 작용할 수 있다. 큰 시간대의 다이버는 한파동 더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하락다이버전스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4. 혹여나 불규칙조정이 맞을경우 28.3k 까지는 열려있으므로 낮은확률로 롱도 열어놔야 한다.
현재 빠르게 떨어져 할 구간이지만 누군가 계속 매수가 들어오는 것으로 보아 상방의 가능성을 아예 배제했었는데 조금 열어놔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스닥과 코스피와 이더리움은 빠졌는데 비트코인만 유일하게 하락폭이 굉장히 낮다. 그리고 시간봉으로 보았을 때 연속해서 꼬리를 생성하고 올리고 있다. 누군가 매수를 계속 받고 있다는 뜻인데 이더리움은 그런 매수세가 느껴지지 않지만 비트코인은 누군가 매수를 받고 있다고 느껴진다. 이렇게 횡보하다가 떨어질 경우 크게 떨어지거나 한파동 더 올라가기에 마냥 숏고배치기도 망설여진다.
Short 어쩌면 빅숏의 시작일지도 ?파동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불규칙으로 보고 있었지만
불규칙을 최대한 카운팅에 안집어넣기 위해 여러카운팅을 해보았다.
최선의 카운팅은 명확하게 abc 가 나온지점을 토대로 이렇게 카운팅을 하는거였다.
현재 4시간봉 ,1시간봉에서 과매수 구간에서의 하락다이버전스가 생성되었다 .
-----24.9k 새로운 저점형성 이후 시간순으로 차트를 분석하였다.----
1. 처음 첫파동은 제법 임펄스 처럼 나왔다 (강력한 매수세가 들어왔다고 판단)
<1시간봉>
2. 하지만 조정이 0.5까지 빠져 너무 깊었고(매수세가 임펄스를 형성하기엔 약함) (1) 그리고 차트는 웻지형태이지만 카운팅 상 고점을 넘겨줘야 할 구간에서 고점을 넘기지 못했기에 (2) 단순히 웻지형태이지 리딩 a or 1파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1시간봉>
3. 명확한 abc 이후 좀처럼 조정이 깊게 나오지를 않아서 처음에는 이게 불규칙조정으로 조정 끝이고 상승가능성을 보았지만
<1시간봉>
4. 파동이 이렇게 진행될 경우 소파동에서의 조정은 충분하게 주었다고 볼 수 있고 파동이 아직 더 남았다고 볼 수 있는 상태였다. 일요일 밤~ 월요일 오전시간에 하락이 나오질 않고 매도세가 붙지 않는 것을 보고 상승확률이 높다는 것을 바로 판단했었다.
<1시간봉>
5. 이 구간에서의 차트는 상당히 어려웠는데 차트가 워낙 빠르게 진행되며 변동성도 크고 추세 읽기가 정말 힘든 구간이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1시간봉>
6. 결국은 고점끼리 연결한 추세선에서 저항을 맞았고 31.8k에서 내려온 파동의 382부근에서 매도세 압력이 심해질 구간이었다고 보고 1차 저항구간이라고 생각하였다 + 시간봉 과매수구간 돌입 + 이평선저항 그리고선 바로 직전 매물대 구간에서 반등이 나왔다.
<4시간봉>
<1시간봉>
7. 현재는 한 파동의 마지막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판단, 웻지형태로 파동이 나오고 있고 모든 엔딩의 조건을 부합하고 있다. 줄어드는 거래량, 시간봉 하락다이버전스, 웻지형태 추세선에서의 고점 저점 형성 + 일봉 이평선 저항구간
<15분봉>
<일봉>
8. 1번구간에서의 볼륨이 전 파동보다 더 높이 올라가서 튀는지를 확인 , 2번 아랫추세선에서의 돌파하는지를 보고 숏전략을 펼침이 좋아보인다. 올라가면서 물량을 모으던지 기다렸다가 윗추세선에서 숏 or 트랩확인 후 숏 or 볼륨,트랩확인 후 아랫추세선 돌파 후 숏 , 뒤로 갈수록 리스크와 수익은 줄어든다 결국 차트 분석은 분석일 뿐 매매를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
9.하락하였을 경우 매물대가 618과 382에 형성되어있는데 지금 현재 큰 시간봉대에서 다이버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618과 382에서 지지받지 못할 확률이 높다 즉 만약 저점을 깨고 내려간다면
이평선과 채널 연장선상인 24k나 21k까지는 내려가는 빅쇼트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30분봉>
<일봉>
< 마무리 > 정리하자면 지금 현재는 숏전략이 우세해보이고 추세변곡점이라 생각되어지고 하락추세가 시작한다면 저점을 지키는지 안지키는지 체크해야할 것 같다. 이후 차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고 분석해야할 듯 싶다.
한번더 고갱후 abc 마무리 될 듯
결국 삼각수렴 보이는 구간을 상방 돌파 했다.
삼각수렴에서 위로 터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난 글에 적었는데 비트스탬프, 업비트나 다른 현물
차트를 봤었을 때 저갱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무조건적인 하방이 아니라 상방의 가능성
을 열어둔 상태에서 차트를 지켜봤었다.
마지막 삼각수렴구간이라고 생각한 곳에서 15분 상다 걸린 것을 보고 매수하였고 삼수연장가능성을 보고 1차 익절 31.8k에서 내려온 하락파동의 382구간에 2차 익절 5파 완성되었다고 카운팅 되는 부분에서 완익 , 위에서는 숏으로 짧게 익절하고 취침했다.
현재 큰 추세의 추세선에도 저항받는 구간이다.
1시간봉 장기이평선도 모여있는 구간이라 저항이 강력하다
볼륨이 상당히 많이 터졌는데 새로운 상승파동의 시작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파동 카운팅상 618라인을 지켜준다면 롱을 들어가봅직하고 (임펄스의 가능성) 5파 마무리 이후 숏으로 스위칭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