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시장 자금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였습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차트)
1D 차트를 보면,
1D 차트의 HA-High지표 이상 갭 상승하였습니다.
USDT의 이러한 움직임은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다시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 단기 횡보(sideways)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역대 USDT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코인 시장에 큰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볼리저밴드(bollinger bands)는 수축과 확장의 개념으로 활용하는 것이 핵심 해석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USDC 차트)
26.129B 이하는 USDC의 위험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거래가 필요합니다.
자금이 극단적으로 유출되는 것은 자금 흐름을 붕괴시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BTC.D 차트)
1W 차트의 HA-High지표가 49.72 지점에서 생성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49.7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BTC 도미넌스는 56.78-61.73 부근으로 상승한 다음 방향을 다시 선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알트코인 거래시 단타(day trading)나 단기적으로 짧게 거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장기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알트코인을 거래하고자 한다면, BTC 29K-32K 구간에서 거래하고자 하는 알트코인을 찾아서 관찰하여야 합니다.
그런 다음, BTC 32K-43K 구간에서 알트코인의 흐름을 보고 2차 매수를 진행해야 합니다.
------------------------------------------------
(USDT.D 차트)
USDT 도미넌스가 6.85-7.27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큰 그림으로 볼 때, 6.21-8.25 구간에서 벗어나야 코인 시장의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단타(day trading) 관점으로 차트를 보기 보다 중장기 관점에서 차트를 보고 향후 거래 전략을 재정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변동성 기간은 7월 5일경-8월 2일경입니다.
이번의 변동성 기간에서 6.21-8.25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는 하락하여야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은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커뮤니티 아이디어
샤크를 만들러 올라가나? 헤숄의 넥라인을 부시러 가나? 이더리움의 방향은?안녕하세요 하모닉 뿌수는 남자 (a.k.a 청바지) 입니다.
오랜만에 트뷰 아이디어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에 올렸던 아이디어에서 방향을 시원하게 틀려버려서 조금 민망 했습니다만 다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 한번 보려고 합니다.
현재 날봉상 큰 프레임으로 봤을때 어센딩 형태의 수렴을 형성하면서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주요 지지라인과 저항라인은 각각 아래와 위에 표시해놓고 지켜보며 이탈하는 방향대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조금만 확대해서 최근의 모습을 본다면 하모닉 샤크 패턴을 기대해도 될만한 모습입니다.
PRZ 구간은 2114 부근으로 보여지는데 해당 구간까지 무조건 반등 한다는것은 아닙니다.
도달하지 않을 수도 있고 PRZ에서 추세 반전 없이 상방으로 계속 향해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PRZ 구간인 만큼 중요하게 지켜 볼만한 구간이라 생각합니다.
만약 샤크 패턴을 컨펌 시킨다면,
그림과 같은 경로로 5-0패턴까지 연계시켜 주길 기대 합니다.
만약 2114에서 추세 반전이 일어난다면 1870 부근까지의 눌림을 기대할 수 있겠죠. (5-0 패턴 PRZ)
이후 5-0 패턴의 PRZ에서 반등이 끝나고 고점을 뚫는 큰 상승 또는 더블탑을 형성하면서 뱃 패턴을 만들러 내려오든지 이 부분은 아직까지 큰 뷰라 조금 더 지켜봐야할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무엇보다 더 좁은 시간대로 차트를 좁혀 들어갔을때,
단기적으로는 헤드앤 숄더 패턴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에 헤드부분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넥라인이 무너져 버린다면 샤크 패턴의 컨펌은 아무래도 힘들어 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단기 관점으로는 헤드앤 숄더의 넥라인이 무너지는 방향의 추세대로 대응하고 헤드의 고점이 돌파 된다면 샤크패턴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하려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관점은 항상 참고로만 하시고 매수 매도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CCI지표의 핵심 해석 방법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rength' 보조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CCI지표는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만 표시하도록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지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 보강 설명을 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CCI 설정값은 150 입니다.
이에 따라서, 중기 이상의 흐름을 보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CCI의 기본적인 소스값은 (고가 + 저가 + 종가) / 3 으로 한 값을 활용합니다.
이에 따라서, 150 SMA 선과 보조지표로 CCI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150 SMA선에서 많이 상승하게 되면, CCI값이 +100 이상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100 이상 상승하게 되면,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해석합니다.
이렇게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다는 것은 멀지않아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는 동안에는 상승하려는 힘이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확인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반대로 150 SMA선에서 많이 하락하게 되면, CCI값은 -100 이하로 하락하게 됩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CCI가 과매도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면, 횡보(sideways) 구간에 진입하게 되므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CCI가 -100 ~ +100 구간에 있을 때 가격은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CCI지표로 횡보 구간에 있을 때 CCI지표로만으로 분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CCI지표로는 과매수 구간(CCI +100), 과매도 구간(CCI -100) 구간으로 진입할 때와 벗어날 때에 거래의 근거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본 가격 차트에 표시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와 CCI의 과매수 구간과 과매도 구간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볼린저밴드와 함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지표들만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기란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가격 차트에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설정하고 지표들이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므로서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차트에서 사용된 볼린저밴드의 설정값은 60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엘리엇파동으로 보는 조정의 끝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엇파동으로 비트코인 조정의 끝지점이 어디일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1,2파동이라 생각되는 지점입니다. 2파동은 연장플랫 형태를 띠며 0.5의 되돌림이 나오고 36날 동안 진행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3,4파동이라 생각되는 지점인데 해당 파동은 3중복합조정으로 진행되며 마지막 Z파가 복합조정의 끝답게 무한강세삼각수렴으로 진행된 모습입니다.
이후 강세삼각형의 특징 중 하나인 "강세삼각형 이후 임펄스는 강세삼각형의 가장 큰 파동의 1.618~2.618만큼 상승한다."를 충족해준 모습입니다.
이후 동일한 기간동안 형성된 두 플랫은 AA추세선을 그어봤을 때 상승 힘이 강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 러닝플랫을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러닝플랫은 335움직임을 보여주며 B파는 강한상승 C파는 쐐기형 형태를 그리며 미달로 마무리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대형X파는 정확히 해당 플랫의 1.272비율로 형성이 되었구요.
두 번째 플랫 또한 B파의 강한상승 C파 미달 형태를 보여주는데 W파에 비해 복잡하게 형성되면서 WXY가 두 파동으로 나오고 마지막 C파가 터미널형태를 그리며 5파절단으로 마무리된 모습입니다. 해당 파동은 정확히 W파동과 1:1비율을 형성하였구요. 형성기간이 5날1시간으로 동일한 모습입니다.
이후 형성된 두 번째 대형X파동은 W,Y와 정확히 1.382 비율을 형성한 모습입니다. 또 해당 X파로 우리가 알 수 있는건 미달형 또는 터미널 임펄스가 나오면 해당 임펄스를 완전히 넘겨야 된다는 요건또한 충족하고 있는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조정파동들을 이렇게 해석하면 이후 남은건 Z파라고 볼 수 있는데 큰 X파동으로 형성된 삼중 복합조정은 뒤에 플랫 또는 삼각형 둘 중 하나만 올 수 있습니다. 또 추세선을 보면 AA추세선과 BB추세선은 깨지고 XX추세선(BB추세선이 뜷리면 XX추세선을 사용합니다)만 딱 맞게 떨어진모습입니다.(현재 나온 큰 파동을 하나의 A파동이라 가정했을때) 이러한 양상들로 인해 플랫이 아닌 삼중조정조합으로 구성된 무제한삼각수렴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복합조정의 끝은 무제한 삼각수렴)
이후 시작된 새로운 파동은 현재 지그재그의 AB파동으로 보고 있구요 공교롭게도 C파의 1.618구간과 이전 확장플랫의 0.618구간이 딱 맞아떨어지는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시나리오대로 진행된다면 어떤 형태의 삼각형이 형성될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그 끝에는 수렴하며 W,Y와 딱 떨어지는 피보나치 비율을 만든 후 강한 임펄스 3파동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상승채널을 형성한 삼중조정조합은 매수세가 우위에 있다는 것을 암시)
예상대로 삼각수렴을 만든 후 3파가 강력한 임펄스 형태로 나와준다면 3파의 이상적인 비율인 1파의 1.618비율로 형성되며 22년 대형임펄스의 0.5구간과 겹치도록 임펄스가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에는 2파가 오랜 기간동안 복합조정으로 형성된 만큼 4파는 짧은 기간동안 급격한 하락을 보이는 지그재그나 연장플랫으로 구성되는 것 까지 예상해 볼 수도 있겠네요.
로그차트의 기간상 항상 상승관점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상이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당신을 두렵게 만드는 일을 하나씩 하라.안녕하세요 제노비오입니다.
6월/7월 중의 한 중턱에서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되었습니다.
비록 많은 비가 내린 데다가 습기도 높아 기분도 우중충할 수 있지만
먼지가 씻겨내려가는 것처럼 상쾌하고 기분 좋은 마음 잘 유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빗길 안전운전하시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셨으면 합니다.
인사가 길었네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이더리움 1시간봉 입니다.
제가 비트보다 이더리움을 분석한 이유는 우선 비트도미넌스가 너무 높은 이유도 있고,
개인적으로 알트들의 상승이 기대돼서 오늘은 이더리움과 테더도미넌스 차트를 다뤄볼 예정입니다.
이더리움은 다른거 필요없이 1815~1825 구간 강력 반등구간입니다.
근거 : 상승분의 382 되돌림 / 하락파동의 1:1 확장비율 / 4시간봉상의 중장기 이평 지지 및 볼벤 지지가 있네요.
이구간에 로스잘 거시고 안전하게 평소 좋게 보셨던 알트들 담아두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테더 도미넌스는 말씀드렸던 7.81 % 구간을 이탈하자마자 채널이탈과 함께
매도세가 쭉 빠진 상황이에요.
현재는 4파로 추정되는 상승채널에서의 움직임 중인데, 추세 상단인 7.49% 부근에서 저항확률이
커보입니다. 해당 구간에 닿을때 이더기준으로 아까 말씀드렸던 가격대 와 맞물리는지 체크하시는게
가장중요해보이네요.
테더로써의 반등구간은 6.95%~7 % 구간으로 보여지네요 아마 이구간이 하방이탈하면
6.6%까지 열리게 되고 알트들이 큰상승이 일어날 수있어보입니다.
감사합니다.
고점 근처에서의 횡보.... 그 의미는??반갑습니다.
차트보는 공대생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저의 의견은 "상승이 아직 안끝났다" 입니다.
그 이유를 말씀드리기에 앞서서
현상황을 먼저 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보자면,
가파른 상승추세를 만들다가 횡보중인 상태입니다.
여기서 좀 더 디테일 하게 들어가보겠습니다.
캔들과 보조지표사이에 괴리가 생기며
한 추세의 종료를 암시하는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현 상황과 비슷한,
"가파른 상승세 이후에 횡보를 하는" 형태를 가진 과거의 차트를 살펴보면
이후에 추세가 종료되며 눌림의 수준이 아닌 ,
앞전 상승세를 거의 전부 되돌리는 가파른 하락세가 나왔습니다.
이와 같은 형태는 위 예시말고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형태 입니다.
그렇다면 이 횡보세가 뭐길래 이후에 자꾸 추세를 전환시킬까요??
엄밀히 말하면, 횡보세의 역할은 추세를 전환시키는게 아닙니다.
추세의 전환이든 추세의 지속이든 다음 추세를 터뜨릴 준비를 하기위해
웅크리는 것이죠. 소위 매집이라고도 말합니다.
조금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추세와 추세를 연결짓는 역할을 해준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횡보세는 추세와 추세를 연결짓는 역할을 해준다"
그렇다면 현재 진행중인 횡보세가 추세를 전환 시킬놈인지
추세를 지속시키기위해 쉬어가는 놈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추세를 전환시키기 전에 나타난 박스(횡보세)의 크기는
직전추세의 30프로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 입니다.
(예시 하나 더)
현재차트를 보시면
아직 모자라죠?? 30프로가 안되는 모습입니다.
추가상승을 보는 근거가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지난번 아이디어와 중복되는 내용이긴 한데, 역헤드앤숄더 패턴이 등장하였습니다.
넥라인 까지 돌파를 해주었고,
해당 패턴의 타겟가는 35k 입니다. 아직 5k가 남은 모습이죠.
또다른 근거와 반대 시나리오도 존재하지만, 이번 퍼블리쉬의 목적은
"박스권에 대한 이해" 였기 때문에 코멘트기능을 이용하여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결론>
현재 낮은 타임프레임상에서 진행중인 박스권 횡보는
박스의 크기상, 하락 전환을 위한 매집이라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눌림 수준으로 끝나고 추가상승을 바라보고 있다.
이동평균선(MA),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 1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가격이동평균선(MA로 통칭함)은 차트를 구성하는 지표 중 기본적인 지표에 해당됩니다.
MA는 차트의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에 해당되기 때문에서 이를 활용하고 거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version=5
Line11 = request.security(syminfo.tickerid, "D", ta.ema(close, 5))
plot(Line11, title="5EMA in 1D chart", color=color.new(#FF0000,50), display=display.none, linewidth=4)
위의 수식에 활용한 request.security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5EMA의 예)
(1D 차트)
(1h 차트)
위의 함수를 활용하여 1D 차트의 5EMA선을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확인시 수평선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위의 1h 차트를 보면, 짧은 수평선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MA로도 거래가 가능해지게 됩니다.
5EMA은 단타(day trading) 거래를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MA입니다.
그러므로, 빠른 대응이 요구되므로 차트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으시다면, 도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기간의 MA를 활용할지는 본인의 투자스타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많이 활용하다 보다 자신에게 맞는 MA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기본적으로 추천하는 MA는 26, 50, 200 EMA 입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한 공부를 하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20 MA 입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활용되었던 방식이기 때문에 코인 시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너무 짧은 기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MACD의 수식에 활용되고 있는 26 기간을 활용한 26 EMA를 추천합니다.
1달을 기간을 26일로 환산함으로서 매수할 시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60EMA 대신 50 EMA을 활용합니다.
200 EMA는 중장기 관점으로 MA를 활용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200 EMA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 변동이 있더라도 보유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200 EMA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다면, 하락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보유하기 보다 분할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MA는 대부분의 지표에 포함되어 있을 만큼 차트 공부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를 무시하고 그냥 넘어간다면, 언젠가는 다시 공부하게 될 것 입니다.
그만큼 시간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캔들 공부 다음으로 이동평균선에 대한 공부를 필수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로 볼린저밴드, MACD 지표 등의 수식에도 이동평균선이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거래하는데 활용하기 쉽지 않지만, 차트의 추세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MA를 활용하여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거래량(Volume)에도 이동평균선이 있지만, 잘 활용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OBV나 PVT와 같은 지표를 활용하여 거래량의 추세를 확인합니다.
본 차트에 포함되어 있는 'Vol & Trend' 보조지표의 OBV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Vol & Trend' 보조지표의 OBV 지표의 해석 방법은
1. 녹색 폭 증가시 매수세 > 매도세
2. 적새 폭 증가시 매도세 > 매수세
위의 1, 2번 처럼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지표를 활용하여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나와 있지만, 볼리저밴드의 핵심적인 해석 방법은 수축과 확장 입니다.
코인 시장에서 이러한 수축과 확장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20 보다 60 기간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수축하게 되면, 가격이 횡보(sideways) 구간에 진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축된 상태에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의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따라 추세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을 활용하는 방법은 수축 상태로 진입하는지를 확인하고 수축되었다면, 그때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여 매수를 진행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충격파동 굳히기반갑습니다 :)
팔로우를 해두시면 새 아이디어 업로드와 업데이트 알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읽고 도움이 되신다면 부스터 부탁 드리겠습니다. 🔥🔥🔥
동기부여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거두절미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썸네일에서 보셨던 구간에서 충격파동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와
그 전에 있었던 파동들이 궁금하시다면 바로 이전 아이디어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BTCUSDT / 1시간봉 / 이중플랫
이중 플랫 (Y) 파동의 c파동이 터미널 미달형 으로 나와주면서 급격한 반등을 만들어주었습니다.
미달형이란 반대 추세로의 힘이 강력할 때 등장하는 패턴으로
이후 강력한 추세가 이어진다는 특징 이 있습니다.
(Y) 플랫파동은 1:1 비율로 형성되었으며 신뢰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BTCUSDT / 1시간봉 / 이중 플랫 이후의 충격파동
▼ BTCUSDT / 파동 연장의 법칙
▼ BTCUSDT / 파동 변화의 법칙
▼ BTCUSDT / 파동 균등의 법칙
소파동 카운팅부터 근거까지 나열했습니다.
파동 연장의 법칙, 파동 변화의 법칙, 파동 균등의 법칙
전부 다 지켜주고 있으므로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3번 파동이 연장된 충격파동은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 두 개의 추세선이 존재 합니다.
이 또한 존재하므로 신뢰있는 충격파동의 완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 BTCUSDT / 1시간봉 / 충격파동의 되돌림
현재 충격파동 완성 이후 되돌림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3파 연장 충격파동은 내부파동의 4번 파동까지 되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는 충족해준 모습이며,
0.236 되돌림까지 충족해주었습니다.
4파 되돌림까지의 공통구간은 현재 충족해준 모습입니다.
이후의 향방은 어찌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이 충격파동이 0.618까지 되돌려진다면 15K부터 카운팅했던
복합조정은 모두 마무리됐다고 판단하는게 객관적인 판단입니다.
하지만 미달형 이후 충격파동이 출현한 이상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재차 강력한 반등이 나와준다면 지속적인 상승이 나와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본 관점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캔들 공부 마무리와 활용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DXY 차트)
(SPX500USD 차트)
(NAS100USD 차트)
(USDT 차트)
(USDC 차트)
(BTC.D 차트)
(USDT.D 차트)
(BTC1! 차트)
(BTM1! 차트)
(BTCUSD 차트)
(BTCUSDT 차트)
(BTCKRW 1D 차트)
캔들에 대한 공부를 하여도 막상 위에 열거한 차트나 기타 다른 차트를 보고 배운 내용을 적용시켜 생각하기란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어느 차트 분석 공부를 하여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을 먼저 인정하여야 차트 공부를 지속할 수 있으며, 결국 차트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게 될 것 입니다.
이전의 영상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코인 시장은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나와 있는 어떠한 책이든 교육 자료든 간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책이나 교육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관계 입니다.
(절대로 패턴이나 캔들 구조에 대해서 외울려고 하지 마세요.)
제가 말씀드린 날부터 캔들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였다면 약 3분의 2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공부가 진행되었을 거라 생각됩니다.
아무리 읽고 시청해도 모르겠다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일단 공부를 시작하였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말씀드릴 여러 지표, 지지와 저항, 추세선 등을 공부하면서 캔들의 공부 내용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 지원하는 각종 캔들)
캔들 공부를 하고 난 다음 각종 캔들에 눈이 가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있는 각종 캔들 중 제가 활용하고 있는 것은 하이킨 아시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도 나중에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코인 차트에서 캔들의 모양, 변화를 그나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W, 1M 차트입니다.
이 변화는 차트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캔들에 대한 공부는 3번 정도 보는 것을 것을 추천합니다.
연속해서 보든 시간을 두고 보든 상관은 없지만, 공부한 내용이 머리 속에 남아 있을 때 다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변화가 보일 때, 다른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여러분의 공부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비트코인] 블랙록과 파월의 힘 (2023.06.25.일)⭐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팀 입니다.🚀
비트코인은 블랙록의 현물 ETF 신청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연준은 스테이블코인을 화폐의 한 형태로 본다”라는 언급 등에 힘입어 한때 31.5K까지 반등했습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을 복기하며 주봉, 일봉, 4시간봉 순서로 비트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 차트복기 "6월 FOMC를 앞두고" (2023.06.12.월)
① 개인적인 관점으로 25.3K를 하회하지 않으면 이전 고점(31K)을 돌파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② S/R Flip 및 폴링웻지를 근거로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③ 단, 25.3K 미만 4시간봉 종가마감 시 롱포지션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④ 6월 FOMC 결과가 변곡점이 될 수 있기에 이를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S/R Flip 및 폴링웻지를 근거로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25.3K를 밑돌지 않으면 높은 확률로 이전 고점(31K)을 돌파할 것이라 보았지만 아쉽게도 24.8K까지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빠르게 반등하면서 지지/저항 교대가 확인되었고 블랙록 호재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하락채널을 돌파했습니다.
• 주봉
본격적으로 바이낸스 주봉 입니다.
비트코인은 작년 6월부터 주황색 박스권에 갇혀 오랜 기간 횡보하다가 지난 3월 장대양봉으로 31K까지 반등했습니다.
이후 미국 금리인상 및 규제 당국인 SEC의 크립토시장 압박으로 저점을 지속해서 낮춰 왔습니다.
한편, 주황색 박스권 상단은 25.3K이며 비트코인이 반등하기 위해서는 돌파했던 박스권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비트코인은 조정을 받았지만 25.3K 부근의 지지를 확인한 후 반등하여 결국 이전 고점(31K)을 돌파했습니다.
다음으로 첫 번째 지표는 MACD이며 두 번째 지표는 RSI(매수세) 입니다.
금번 양봉으로 MACD(빨간색선) 및 시그널(파란색선) 골든크로스가 확인됩니다.
RSI(매수세)는 현재 62.6이며, 51.5 부근에서 3차례 지지를 받은 것 또한 확인됩니다.
즉, 비트코인 매수세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를 고려할 때 주요 저항구간은 35.5K~36K 입니다.
이에 중기적 관점에서 35.5K~36K는 마의 구간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주봉 주요 확인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R Filp 확인
2) 이전고점(31K) 돌파
3) MACD 골든크로스 및 RSI 지지 확인(균등한 매수세)
4) 35.5K~36K(강한저항)
이를 정리했을 때 반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주봉 저항구간은 35.5K ~ 36K 입니다.
다음으로 일봉 입니다.
• 일봉
비트코인은 지난 4월 14일부터 이어져 온 평행채널을 거래량이 실린 양봉으로 돌파했습니다.
새로운 반등추세가 형성되면서 시장 내 기대심리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RSI(매수세)는 71.2으로 과매수를 기록하고 있어 조정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지지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지구간 : 제1차(29.3K) / 제2차(28.8K~28.5K) / 제3차(27.4K)
28.8K~28.5K까지 조정을 받아도 반등추세는 살아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고점을 높이면 다음 저항구간은 31.9K / 32.9K가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4시간봉 입니다.
• 4시간봉
비트코인은 3번 고점을 높이면서 반등했습니다.
그러나 빨간색 동그라미를 볼 때 상승 폭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에 바이낸스 선물차트 기준 31,241달러 이상 올라가지 못하면, 검은색 화살표처럼 저점을 낮출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매매와 관련해서는 1배율 헤징 숏포지션을 취한 후 31,241달러 위로 올라가면 포지션을 종료하거나
현재 구간에서 3분할로 숏포지션 오픈 후 31,241달러에 손절매를 걸어두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최근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 신청과 전통 기관 투자자 중심의 새로운 암호화폐 거래소 EXDM 출시 호재 등으로 시장 분위기가 반전되었습니다.
그동안 그레이스케일, 반에크, 위즈덤트리, 피델리티 등 여러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신청한 사례가 있고 모두 거부 되었습니다.
시장 내에서는 블랙록도 신청서가 승인되지 않을 것을 알고 있지만, 정치적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제출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저도 위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기에 블랙록 ETF는 승인은 거부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중요한 것은 크립토시장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행동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라 사료됩니다.
⭐ 결 론 ⭐
① 비트코인은 S/R Flip 확인 후 반등하여 결국 이전 고점(31K)을 돌파했습니다.
② 새로운 반등추세가 형성되면서 시장 내 기대심리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③ 주봉 확인사항
- S/R Filp 확인
- 이전고점(31K) 돌파
- MACD 골든크로스 및 RSI 지지 확인
- 35.5K~36K(강한저항)
- 위를 고려했을 때 반등 기대 가능
④ 하지만 일봉 RSI는 과매수를 기록하고 있어 조정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합니다.
⑤ 지지구간 및 저항구간
- 지지구간 : 제1차(29.3K) / 제2차(28.8K~28.5K) / 제3차(27.4K)
- 저항구간 : 제1차(31.9K) / 제2차(32.9K) / 제3차(35.5K~36K)
⑥ 매매관련
- 1배율 헤징 숏포지션 오픈 후 31,241달러 스탑로스 설정
- 3분할 숏포지션을 오픈 후 31,241달러 스탑로스 설정
⑦ 블랙록 ETF 신청은 거부될 수 있지만, 기관 투자자들의 행동 변화는 고무적인 상황 입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비트는 "채널을 통과 하였다"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상황을 봐 보자
저번에 비트가 박스권 형성 후
비트 방향은
호재,악재에 따른 박스권 돌파시 그 쪽으로 쏠린다고 했었어
지금 봐 보면
비트가 크게 상방이탈을 해 주었어.
무슨 호재가 있었을까?
1. '시타델 연합' 암호화폐 거래소 EDX, 운영 시작
2. 금융기관 위스덤트리, 블랙록 이어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
4. BIS, 자산 토큰 거래 위한 글로벌 통합 원장 아이디어 제시
5. 제미니 "아태지역으로 사업 확장 본격화"
6. 도이체방크, 독일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라이선스 신청
이렇게 호재가 터졌고.
호재에 따른 상승으로
저 추세선을 이탈하였으므로
저번 관점에서도 말 했다시피
앞으로의 내 관점은 "숏 관점에서" -> "롱 포지션"으로 조정나올때 롱 포지션 진입을 할거야.
그러면 앞으로의 큰 관점은 어떻게 될까?
나는 RSI에 전부 나와있다 생각해.
RSI로 두가지 관점을 볼 수 있어.
현재 5파 진행중인 RSI 또는
현재B 상승조정 후 하락 C를 거친 상승.
하지만 지금 "큰 상승 추세"에 들어온 이상
나는 1번째 관점을 볼 수 있을 것 같아
그럼 RSI 5파 끝은 어디로 보는게 좋을까?
고점 저점을 피보나치로 재 보았을때 0.5반등.(저점 잡는 기준은 다음에 기회 된다면 설명할게)
1대1 자리 위 지점, 까지 나는 "롱"으로 내림 롱타점을 잡으며 수익을 낼 거야.
그럼 "내림롱" 현재 어디서 잡는게 좋을까?
현재 가까이서 1 시간봉을 봐 보게 되면
5파동 최대치인. 4.236 구간에 도달 했어.
그럼 조정을 줄 수 있는 구간을 보자.
4.236 구간까지 파동이 발산 되었을때 (큰 상승흐름추세)
보통 5파동의 0.618 조정까지만 받는 편이야.
그럼 타점을 잡아보면
나는 위의 618구간 거래량과 차트패턴을 보고 쭉 가져갈지.
또는 382구간에서 받을지를 결정 해야 할 것 같아
그럼 여기까지 비트분석 마칠게.
도움이 되었다면 부스트 한번 꼭 눌러줘
24.8k는 빅롱을 위해 꼭 지켜줘야 하는 이유반갑습니다 엘스입니다.
비트코인 지금 굉장히 중요한 순간입니다.
중요한 순간에 중요한 타점을 잡기 위해서 비트를 제대로 부셔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주 적어도 1번 이상은 관점을 공유하고 있기에 오늘 글을 처음 보시는 보신다면 팔로우를 해두시면 알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항상 부스트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지금 현재상황에서 여러분과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2가지 입니다.
'가격이 더 빠질 것인가' 아니면 '가격 조정은 끝난 것인가'입니다.
그걸 알아보려면!
얘가 끝났는지를 먼저 봐야 합니다. 그럴려면 당연히 이전 파동이 어떻게 흘러갔는지를 봐야겠죠?
일단 이렇게 조정파동 2개가 끝났다는 관점은 아직까지 변하지 않았습니다.
WXY일 수도 있지만 ABC로 일단 카운팅 해놓겠습니다. 중요한건 조정파동이었다는 것입니다.
🟢 초록색 박스안에 있는 파동이 한 단계 큰 파동의 A or W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죠?
🔵 파랑박스는 초록색 파동의 되돌림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이후에 나오는 파동이 도대체가 끝난것인지 더 진행이 될 것인지에 대해서 판단을 할 때
저는 이처럼 피보나치 확장 비율을 찍어서 체크를 합니다.
이처럼 3번째 파동 즉 파랑박스 이후에 나올 파동은 이전 초록박스 안에 있는 파동과의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입니다.
그럼 첫 번째 초록박스를 그대로 가지고 와서 체크를 해볼까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간으로 봤을 때나 가격으로 봤을 때에도
'부족하다'
라는 생각이 저는 듭니다.
그렇다면 아직 끝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하겠죠?
물론,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을 적용 했을 때 1대0.618 구간에서 스톱하는 경우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 가능성도 같이 보면서 생각을 하겠습니다.
파랑박스 이후에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노랑박스로 부르겠습니다.
이 노랑박스 안의 내부를 조사해봅시다.
첫 번째로는 시작된 파동이 5파 연장 임펄스? 인가로 접근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것이 5파 연장이라면 5파를 전부 되돌리지 않고 다음 파동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A or 1파동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5파연장 임펄스의 5파의 크기는 보통 1파와 3파를 합친 크기를 3파의 끝점에서 그대로 체크했을 때
첫 번째로 1.618
두 번째로 1대1
세 번째로 2.618
로 나올 확률이 존재한다고 하지만
🟣 보라색 박스를 보면 1대1도 오지 못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터미널패턴의 5파연장 아님?
그렇다고 보기에는 1파 끝점과 4파의 끝점이 만나지 않았기에 이 경우의 수는 빼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보셨듯이 얘는 ABC일 경우의 더 높겠죠? 어떤 모습이냐면
이렇게 1대1 확장비율 까지 잘 나와준 ABC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 다음이 문제입니다. ABC가 나왔으니 이제 이후에는 이 ABC파동에 대한 되돌림이 나오겠죠? 근데 여기서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뭐냐면
🔴 빨강 박스 1개를 X파동으로 조정파동 끝으로 볼 것인가
🟠 주황 박스 1개를 B파 삼각수렴으로 볼 것인가
입니다.
그럼 주황 박스의 B파 삼각수렴을 먼저 보겠습니다.
삼격형의 거래량은 보통 힘이 없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거래량 또한 수렴하는 경우가 많죠.
우측 주황박스가 있는 차트를 보시면 거래량이 튄 곳들을 체크해뒀습니다. 이렇게 까지 차이가 심하게 튀지 않기에 저는 수렴이라고 생각하지 않겠습니다.
그럼 남은 가능성은 뭐가있죠?? 맞습니다 빨강박스 1개가 X파동으로 조정파동으로 보는 것입니다.
X파동은 보통 첫 번째 파동의 0.618%을 넘어서지 않는 되돌림 수준을 기록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X파동의 복잡성 등급에 있어서 분리되는 2개의 파동보다 한단계 낮은 등급으로 형성된다고 합니다.
위 차트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X파동은 0.618을 살짝 넘어서고 바로 저점을 갱신하는 파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엘스야 저건 넘어선거지"라고 하신다면 사실상 할 말은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론을 책에 반영했을 때 저 정도의 오차 범위는 자주 등장했기 때문에 저는 허용하는 편입니다.
만약 허용이 안되신다면 다른 걸 보시면 됩니다ㅎㅎ
또한 이전 파동으로 봤을 때 보다 한 단계 작은 파동이라는 것도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봐야 하는데?? 파동의 끝이 WXY로 끝나는 것이 애매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전에 보던 관점과 동일합니다.
이 WXY는 한 단계 큰 파동의 첫 번째 파동일 확률이 높다! 가 저의 생각입니다.
이렇게 나오는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본다면
초기에 봤었던 첫 번째 파동 주황 박스와 비교해봤을 때 가격으로는 부족하겠지만 기간으로 넘어서는 관계를 가져줄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제가 틀렸을 수도 있죠?
제가 원래 보던 관점으로는 지금 현재 상태에서 어느 정도 상승해주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떨어진다면? 내가 보던 것이 틀렸다면?!
플랜B의 대처 방안은 이렇습니다.
첫 번째로 부족한 부분을 가격을 채우면서 1대1 자리까지 23,267까지 목표로 잡고
이전에 낮은 확률로 보던 삼각형이 나온 것이었고 이게 B였다면 이는 이전에 보던 큰 파동의 1대1 자리와 비슷하게 맞물리는 자리인 23,021자리까지 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전체 상승의 되돌림 0.5자리와 겹치는 구간까지 내려올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보시는 것과 같이
전체 상승의 되돌림 0.382자리와도 현재는 겹쳐있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피보나치 채널로 보았을 때도 1.272 구간에서 반등하고 있는 모습도 근거로 추가해 볼수 있겠죠.
여기에 제가 애용하는 지표에서 또한 흰색 무지개 하단부를 맞고 정확하게 반등해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봉으로 봤을 때 이 초록색 박스 안으로 진입 한다는 것 자체가 롱을 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좋은 무빙이 아닙니다.
만약 제가 보던 자리와 틀렸고 그로 인해 더 하락 한다면 이 초록색 박스에 진입할 수 밖에 없을 것이고 이로 인해서
강하게 지지받던 25.2k~24.3k 구간은 결국 강한 저항으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될 경우 고점을 넘어서 다시 올라가는 상황은 아무래도 기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빅롱이 나오기 이전에 조정파동이 삼각형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전에 2020년 9월의 대형 빅롱이 나오기 직전에도 나왔던 적이 있었죠.
그렇기에 여러모로 봤을 때 지금은 24.8k는 빅롱을 위해 꼭 지켜줘길 바라고 있습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조지표] MACD 추세전환의 지표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추세지표인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서론
단기 모멘텀(Short-term momentum), 추세를 예측하여 거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이를 적용할 적절한 방법을 알지 못할 때, 난이도는 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 (골든크로스 or 데드크로스)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경우 시차 (time lag) 가 생기는 문제 가 있습니다.
즉, MACD는 이동평균선에 비해 조금 더 빠르게 추세 전환을 예측하게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일한 이동평균기법 중 하나이지만 시차에서 좀 더 유리한 입지를 가질 수 있는 보조지표인 MACD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독자분들께서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보조지표로써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TradingView에서 적용하고 매매하실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ACD 주요 요약
1️⃣ MACD 선과 Signal선(신호선)으로 구성 (Histogram, Oscillator 부가 활용 가능)
2️⃣ MACD 선 : 단기(12주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26주기) 지수이동평균
Signal선 : 9주기 지수이동평균
3️⃣ MACD선이 Signal선 위로 교차하거나 (매수) 아래로 떨어질 때 (매도) 신호 포착
4️⃣ 추세의 변화 예상에 도움을 주며, 과매수/과매도 여부 판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5️⃣ Bullish/Bearish Divergence는 가격 추세 반전을 암시할 수 있음
--------------------------------------------
2. MACD란
Gerald Appel이라는 사람이 1970년대에 이 지표를 개발했으며 그 이름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해하기 그리 어렵지 않은 지표입니다.
장단기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 으로,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교차된다는 성질 을 근거로 합니다.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 그 과정속에서 교차되는 지점을 이용하여 매수/매도 타이밍을 찾아내는 지표 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MACD의 가장 큰 장점은,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주가의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중장기적인 방향성 결정에 유용한 지표 입니다.
--------------------------------------------
3. MACD의 구성 요소
1) MACD선
: 단기 지수이동평균 - 장기 지수이동평균
2) MACD Signal 선
: MACD의 n일 지수이동평균
3) MACD 오실레이터(≒ MACD histogram)
: MACD선 - 시그널선의 값을 막대로 표현
단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12일 이동평균을 사용하며, 장기 지수이동평균은 보통 26일 이동평균을 사용합니다.
시그널 선의 경우 9일 지수 이동평균을 적용한 선입니다.
MACD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표준 변수인 12와 26을 기본 일수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MACD를 설정하기 위해 날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더 짧은 이동평균값을 사용한다면 더 빠르고 민감하게 추세변화를 감지할 수 있지만 동시에 더 많은 false signal을 유발하게 됩니다.
--------------------------------------------
4. MACD의 장단점
가장 큰 장점으로는 앞서 설명한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후행성)를 극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단기적인 매매를 진행할 시 유리한 점 을 가집니다.
또한 매우 직관적 으로 트레이더에게 단기 방향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확인하는데 사용하기 쉽습니다.
이 지표를 사용하여 거래 신호를 생성할 때의 단점은 경우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가격 움직임으로도 지표가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여러번의 False negative signal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즉, 트레이더는 왜곡된 신호(Whipsaw)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 해야 합니다.
MACD의 또 다른 단점은 서로 다른 자산 간의 비교가 불가 하다는 것입니다.
MACD는 같은 자산의 두 이동 평균 사이의 비교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목을 서로 비교할 때 이용될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인 이동평균을 활용하여 추세를 파악 (장기 이동평균이 26) 함으로써 장기적인 추세나 전환점을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5.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해석을 위해서는 MACD선과 시그널 선의 기울기 와 교차(cross) 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MACD선과 Signal선이 교차될 때 그 기울기가 가파를 수록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서로의 기울기가 완만할 수록 변동성이 작고 추세전환이 분명하지않아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MACD선이 Signal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골든크로스) ,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데드크로스) 로 인식합니다.
또한 MACD선의 값 자체가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 으로 보고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으로 판단 할 수 있습니다.
--------------------------------------------
6. Trading Strategies & Examples
1️⃣ MACD 값의 증감
앞서 MACD의 개념에서도 살펴보셨듯이 MACD 값은
단기 이동평균값 - 장기 이동평균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ACD 값이 증가 혹은 감소 하고 있다는 것은 (기울기가 + 혹은 -)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의 값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우 상승 추세
음의 값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 하락 추세
또한 증가하던 값이 감소로 추세가 바뀌거나 감소하던 값이 증가로 추세가 바뀌는 경우
상승/하락의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신규 포지션 진입과 기존의 포지션을 청산하는 기준점 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사례
2️⃣ MACD와 시그널
앞서 시그널은 MACD값의 9일 이동평균임을 말씀드렸습니다
MACD값이 시그널을 골든 크로스 / 데드 크로스 하는 경우
가장 최근의 추세가 9일 간의 추세를 상회하거나 하회한다는 의미이므로 각각 신규 롱 포지션, 숏 포지션을 계획 할 수 있습니다.
📌 사례
3️⃣ MACD zero-line 돌파
MACD zero-line은 MACD 값이 0인, 즉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이 동일한 지점 을 의미합니다
⭕️ MACD 값이 음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상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상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하고
⭕️ MACD 값이 양의 값을 가지다가 zero line을 하방 돌파 했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값이 장기 이동평균값을 하회하기 시작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rading strategy 1에서 말씀드린 것과 병행하면 false signal을 좀 더 걸러내는데 유용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MACD가 증가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long position의 설정
2) MACD가 감소하면서 zero line을 돌파
➡️ 보다 확률 높은 short position의 설정
📌 사례
4️⃣ MACD with PSAR
현재 추세 및 추세의 전환을 알려주는 지표로 PSAR에 대한 컨텐츠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PSAR 역시 추세 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가격의 하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상승 추세 / 가격의 사방에 점이 위치한 경우 하락 추세
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3가지의 MACD 전략과 같은 방향성을 보인다면 ⭐️ 서로 다른 지표의 결합으로 좀 더 확률 높은 추세 분석을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사례
--------------------------------------------
7. TradingView에서 적용하기
실제로 Trader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TradingView 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글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원하는 차트를 불러온 뒤
1️⃣ 상단 바의 지표 클릭
2️⃣ 무빙 애버리지 컨버전스 다이버전스 검색
3️⃣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기본 세팅은 단기 이동평균 12 / 장기 이동평균 26, 시그널은 MACD 이동평균 9를 이용합니다
이때, 조금 더 길거나 짧은 호흡으로 적용하고 싶어 MA의 기준을 수정하고자 할 때는
위와 같이 접근하여 해당 칸을 같이 수정합니다.
--------------------------------------------
8. 마무리
이번 컨텐츠를 통해 MACD의 개념부터 실전 적용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MACD는 추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정보와 추세 전환 여부를 알려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TF를 더블체크하여 같은 신호를 보이는지 확인해야 하고
맹신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하나의 매매 기준으로 활용하며
다른 지표나 패턴을 ((Ex) PSAR, RSI 등) 함께 활용하는 것이 그 유용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비트코인] 6월 FOMC를 앞두고 (2023.06.12.월)⭐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팀 입니다.🚀
비트코인은 6월 FOMC를 앞두고 변동성이 적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약 횡보하고 있는 비트코인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바이낸스 선물차트 3일봉 입니다.
비트코인은 금주 FOMC를 앞두고 다시 변동성이 적어지고 있습니다.
차트상 주황색 영역은 비트코인이 15.4K 저점을 만들고 강한 양봉으로 돌파한 구간입니다.
현재 저항으로 작용했던 구간이 지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락쐐기(폴링웻지) 구조가 관찰되며 통상 이러한 형태는 하방이탈 보다 상방돌파 확률이 높습니다.
즉, S/R Flip(지지 저항 교대) 및 폴링웻지를 근거로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이에 선물거래는 25,297.6달러(바이낸스 기준)에 스탑로스를 설정하고 롱포지션을 취하면 손익비가 좋은 구간입니다.
한편, 비인크립토 기사에 따르면 4월 9일 이후 100개 ~ 1만 BTC 보유 고래들은 총 5만7578BTC(약 2조원)를 추가 매수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하락장 ‘코인 줍기’에 나선 비트코인 고래들의 행보가 궁금해지는 시기이며, (반등)고점 갱신이 유력해지는 때는 약 28.8K 4시간봉 종가 마감 시 입니다.
금일 비트코인 관찰 포인트는 "25,297.6달러를 밑돌지 않고 저점을 높이는지?"가 되겠으며
나아가 오는 15일 오전 3시에 예정된 6월 FOMC 기준금리 발표가 향후 추세를 가를 변곡점이 될 수 있기에 이를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 결 론 ⭐
① 개인적인 관점으로 25.3K를 하회하지 않으면 이전 고점(31K)을 돌파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② S/R Flip 및 폴링웻지를 근거로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③ 단, 25.3K 미만 4시간봉 종가마감 시 롱포지션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④ 6월 FOMC 결과가 변곡점이 될 수 있기에 이를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선물 시장에서 현물 시장으로 이동 중!!! (영상 : 차트 공부의 시작 : 캔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영상 설명)
가격의 변화, 거래량의 변화만이 선행지표에 해당된다는 말은 맞는 말이긴 하지만, 이것을 읽고 해석하기를 쉽지않습니다.
따라서, 결국 가격과 거래량의 이전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가격과 거래량의 변화를 읽고 해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결국 우리는 과거 데이터를 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차트 분석을 통해 거래 전략을 만들게 됩니다.
그러기에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생성에 따른 움직임을 해석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캔들의 생성과 변화, 움직임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BTCUSDT.P 차트보다 BTCUSDT 차트에 대한 설명을 더 많이 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선물 시장에서 현물 시장으로 주도권이 이동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선물 시장(BTCUSDT.P 차트)의 움직임보다 현물 시장(BTCUSDT 차트)의 움직임, 즉, 지지와 저항 지점, 변동성 기간이 더 맞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용은 주관적인 생각일 수 있지만, 거래의 목적을 다시 확인할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
(BTCUSDT 차트)
6월의 본격적인 변동성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
변동성 기간은 6월 12일경-18일경 입니다. (최대 6월 11일-19일)
중요한 횡보(sideways) 구간은 26013.28-30184.24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에 BTC가 중요한 횡보(sideways) 구간을 기준으로 어떠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W 차트)
26574.53 지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러번 강조하였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였을 거라 생각합니다.
1W 차트에서 보면, 26574.53 이하의 다음 지지와 저항 지점은 20862.47 입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1W 차트의 HA-Low지표가 상승하여 새롭게 생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HA-Low지표가 어디에서 생성되는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
현재 1D 차트를 보면, 26013.28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빠르게 26574.53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23141.57-24113.48
2차 : 21023.14-21853.06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BTCKRW 차트)
34820000-37821000 구간 중 34820000 이하로 하락하였습니다.
따라서, 3482000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이 확인된다면,
1차 : 31024000-32042000
2차 : 27317000-2963900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6월 10일경-16일경 사이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되므로 이 기간에 어떠한 움직임을 보일지 확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TOTAL 3날봉 일목과 Gann 관점 (점성술과 부두술)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긴 글을 퍼블리싱하려고 합니다.
바이낸스발 악재로 마켓이 흔들리고 있고, 나스닥의 훈풍과 반대로 크립토 마켓은 흔들리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개인 메시지로 현재 관점을 물어보기도 하고요.
그분들은 단지 듣고 싶어합니다. 곧 반등할거라고. 올라갈거라고. 탈출할 수 있을거라는 한 마디 말을 듣기위해 문을 두드립니다.
답은 그분들도 알고 있습니다. 감당 못할 포지션은 정리해야한다는 것을요. 크게 내려갈 수도 있다는 것을요.
하지만 대부분 정리하지 못하죠.
살아있는 장어가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계속 움직일 것인데,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다만 왼쪽은 벽이 있으니 막혀서 이젠 오른쪽으로 가겠지 등으로 예측 해 보는 것이죠.
차트도 살아있는 생물이고 어디로 갈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떤 매매이론을 가져오더라도 결국은 추세를 판단하고 지지/저항을 찾아 매수/매도를 실행하는 것이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안타까운 사연들을 접하다보니 서론이 길었네요.
크립토 토탈차트 3일봉으로 가져왔습니다.
1. 각도
먼저 차트의 각도 기준은 1캔들당 10B로 계산하여 45도를 맞췄습니다.
저점부터 작도하였고, 현재 2/1 구간에 가까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반전이 일어나기 좋은 위치로 볼 수 있어 보입니다.
2. 변동성
6/3 fullmoon과 함께, 금성과 목성이 가장 멀리 떨어진 날이었습니다.
financial astrologer 들은 이런 상황을 시장 변동성 또는 반전의 잠재적 지표로 생각한다고 하네요.
오랜 횡보 끝에 바이낸스발 악재로인한 급락과 급등이 나와서 약간 신기하긴 합니다.
3. square of nine
(이거 원리를 어떻게 잘 말해야 할지 자신이 없다...)
음.. 저도 아직 공부가 덜되어서 Gann의 용법을 완벽히 활용하면서 사용 중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본질적으로 기준가격과 unit 설정만 적절하다면 상당히 괜찮은 결과값이 나오는 건 증명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100개 이상의 차트에 제가 이해했던 기본 원리를 이용한 square of nine 계산값을 적용 해 보았고,
생각보다 괜찮은 결과값에 놀랐던 것 같습니다.
이 차트에는 빨간색은 저점을 기준으로, 주황색은 고점을 기준으로한 계산값을 작도하였습니다.
45도로 잡은 간팬과 full moon / planets opposition
그리고 square of nine의 주황색 45도 값이 일치하는 기분좋은 위치에 차트가 있습니다. (파란색 하이라이트)
4. 일목 시간론
1) 기본수치
3/10부터 시작된 파동의 13변화일에서 반전, 26에서 단기 반등, 다음 수치인 33은 다음주 월요일에 시작되는 캔들입니다.
반전이 나오기 좋은 상황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그 날짜에 강한 하락이 나올 가능성도 마찬가지로 있습니다. (__)
시간론은 변곡뿐이 아니라 큰 변화가 있을 가능성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2) 대등수치
미리 말씀드리면 이거는 무당론에 가깝습니다..
차트를 볼때 좌우대칭을 연상 시키는 차트들이 종종 있습니다. 대등수치 기간에서 이런 모습이 자주 나옵니다.
11월 FTX 사태부터 42캔들(일목수치) 동안 S를 옆으로 돌린 모습의 파형이 생성되었고,
3/10부터 출발한 파동도 같은 기간동안, 7월 초까지 '대등수치'로 진행 된다면-
대등수치 기간에는 비슷한 파형 / 모습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S를 반대로 돌린 모습의 파형이 보기에는 좋을 수 있겠다.. 싶긴 합니다.
5. 일목 균형표 해석
기준선과 전환선의 트위스트 이후, 캔들이 전환선과 양운대 사이에 위치한 전형적인 조정 국면입니다.
래깅스팬이 아직 구름대와 기준선 전환선 위에 위치하고 있어 당장 하락 국면으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급락이 없는한, 아직 음운으로 전환 되려면 시간도 더 많이 필요하고요.
변화일에 맞춰 구름대를 따라 움직이는 상승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으며-
양운대가 박살나거나 전환선 돌파에 계속해서 실패한다면 하락으로 국면 전환을 생각 할 수 있어 보입니다.
제 퍼블리싱이 많은 분들이 좋아할만한 것들은 아니라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어차피 대부분의 뷰가 엘리어트 파동과 하모닉이 주류다 보니.. 가끔 이런 해석도 재미삼아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참, 저도 실제 매매할때는 보통 일목과 하모닉, 피보나치 주로 이용하는 편입니다 (....)
부두술과 점성술은 재미로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빅숏패턴] - 더블 탑의 심화 반갑습니다.
차트보는 공대생 입니다.
차트를 보다보면,
상승추세가 이어지다가 꺾여서 반전이 일어날때
그냥 내리 꼽기보단, 그전에 특정 패턴을 만들며 신호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예시를 보시죠.
위 차트를 보시면 상승추세가 하락추세로 전환되기 전에
특정 형태를 만들며 준비기간을 갖는 것이 보입니다.
이 특정 형태를 한시간봉으로 뜯어보면,
1. 상승 추세가 이어지던중 높이가 엇비슷한 두개의 봉우리를 만든다.
2. 봉우리 아래쪽에 일정한 지지레벨을 형성한다.
3. 추가적으로 해당 모양들을 백테스팅 해본결과, 두개 봉우리사이에 움푹 패인 골짜기의 폭이
앞전 상승추세의 30프로 이상이다.
4. 일정한 지지레벨을 깨부수며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된다.
이런 특징들을 살펴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번째로, 매우 유사한 형태를 만들었지만, 하락하지 못한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1.상승추세가 이어지던중 높이가 엇비슷한 두개의 봉우리를 만든다.
2.봉우리 아래쪽에 지지레벨을 형성한다.
3. 두개 봉우리사이에 움푹 패인 골짜기의 폭이
앞전 상승추세의 30프로 이상이다.
4. 일정한 지지레벨을 깨부수며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된다???? <= 여기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형태를 근거로 숏포지션 전략을 셋업 할 때,
위 두 차트에서 주황선으로 표시한 지지레벨 하방이탈 여부를 잘 체크하고 매매하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하방이탈의 기준을 무엇으로 삼느냐" 가 중요한데, 제 기준을 설명드리자면
캔들의 개수가 대략 100개가 넘어가지 않는 타임프레임을 선정한 후에, (위 예시는 1시간봉이 적합)
주황색 지지라인 아래에서의 캔들 종가마감이 된다면 돌파로 인정합니다.
그렇지 않고 꼬리만 달고 올라온다면 돌파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자, 이번에는 두 봉우리의 크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두 봉우리의 크기가 아예 같은 경우도 있지만
보시는 바와 같이 1.13 또는 1.236이라는 피보나치 비율에 맞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주황색 지지레벨 돌파를 확인하지 않고 ,
두번째 봉우리의 길이를 예측해서 들어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이경우에는 , 패턴이 완성되기 이전에 진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패턴의 타겟가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자면,
보통 봉우리의 폭만큼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추세가 전환될 때 나타나는 패턴인 만큼, 때에 따라서
더 큰 하락폭을 만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상
더블탑 패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부디 실전매매에 사용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트레이딩뷰의 라이브방송 TVTV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
벌써 곧 10회를 맞이하는, '트레이딩뷰의 라이브 방송 TVTV'를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
TVTV 라는 뜻은 트레이딩뷰(TradingView) 티비(TV) 라는 뜻으로, 짧고 간결하게 부르기 쉽게 이름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컨텐츠는 트레이딩뷰의 라이브스트림 코너에서 한 달에 1번, 주제를 정해 방송되고 있습니다.
물론, 트레이딩뷰 뿐만 아니라, 다른 전문가분들도 스스로 방송을 연결하여 라이브 스트림 할 수 있으며,
트레이딩뷰는 언제나 새로운 분들의 다양한 방송과 좋은 유저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고대하고 있으며, 언제나 환영합니다.!!
(실시간 소통 방송을 할 수 있는 라이브스트림은 우측 바에 아이콘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TVTV 는 경험이 풍부한 다양한 전문가분들과 함께,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금융 시장과 관련하여, 투자와 트레이딩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시간, 인내, 노력 등 다양한 이야기와 경험을 들어보세요.
전문가들의 분석 노하우, 기술 연구 등을 배우고, 모르는 것이 있다면 함께 소통하고 의견을 나누어 보세요.
TVTV는 벌써 곧 10회를 앞두고 있으며, 각 컨텐츠들은 트레이더 또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을 포함하여,
시장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도록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해주며, 도움이 될 수 있는 통찰력과 노하우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 TVTV 방송 진행 : 트레이딩뷰 하모린 @HARMORIN )
에피소드 1 - 첫 번째는 트레이딩뷰의 모더레이터인 리드크립토 @readCrypto 님과 함께하였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2 - 트레이딩뷰의 2022년 TOP 작가분이신 토미 @Tommy_Trader 님께서 함께 해주셨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3 - 온체인 데이터 전문가이신 댄 @Dan_lim 님과 함께하였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4 - 코인하는해달 @SinNoIn 님과 함께 코인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5 - 엘리어트 파동이론 60분 토론: 베이지컬리@basically_always 석류차트 @SukRyu-Chart 님과 함께 하였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6 - 2022년 트레이딩뷰 브로커 어워즈 수상자인 BingX거래소를 인터뷰 하였습니다. ( 재업로드 링크 )
에피소드 7 - 트레이딩뷰의 '뉴스레터 후기 이벤트' 당첨자 발표를 실시간 방송을 통해 하였습니다. ( 방송 링크 )
에피소드 8 - MACD 및 온체인데이터 분석가로 활동중이신 MAC.D맥디 @Machiavelli46035 님께 MACD지표 사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방송 링크 )
에피소드 9 - 업라이즈의 CIO(투자최고책임자)이신 윤수목님 @soomok 과 함께 트레이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 방송 링크 )
그리고 이번 주 6월 8일 목요일 밤 9시 !!! 에피소드 10번째가 트레이딩뷰 라이브스트림을 통해 실시간 방송 될 예정입니다. ~!
전 세계에서 동시에 진행된 OKX 거래소와 트레이딩뷰 '아이디어 공모전'에 입상하신 한국 수상자분들과 함께 비트코인( CRYPTOCAP:BTC ) 차트 아이디어와 의견을 나누어 볼 예정입니다.
방송 진행 : 트레이딩뷰 하모린 @HARMORIN
게스트: 베이지컬리 @basically_always
차트의재평가 @jhnee
차티스트랩 @Master_Chartistlab
많은 관심과 참여, 응원 부탁드리며, 시간을 내어 함께 소통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고, 여러분의 많은 참여 기다리겠습니다!
(트레이딩뷰 라이브스트림은 트레이딩뷰 홈페이지 내의 우측 바 10번째의 라이브스트림으로 실시간 방송되며, 트레이딩뷰 한국 유튜브 채널에 재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트레이딩뷰 홈페이지의 메인에서도 찾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팀 트레이딩뷰 ❤️
[ETH Analysis] Multiple TF에서 관찰되는 Bullish Structure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장기적 Long 관점을 유지 중에 있었습니다.
이더리움의 차트 구조는 현재 다양한 타임프레임에서 bullish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요 저항 level을 확실히 알아두는 것은 언제나 필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을 Top-Down 방식으로 분석하며 ETH Market Structure의 주요한 포인트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ETHUSDT, W1 Chart - 예측하였던 Bullish Movement가 나타나는 양상
1) 이더리움의 주봉 분석은 중장기 Bullish한 관점이 맞아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첫 번째 Bullish Deep Gartley 패턴 은 2020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형성되었으며, 0.382 level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의 Type 1 Reaction을 보인 후, 약 2차례의 Retest 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 작년 11월부터의 상승은 Type II Reversal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Type I Reaction이란 D Point 주위에서 형성되는 PRZ에서의 반전 이후 TP1 까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Type I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PRZ까지의 Return 이후 Retest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PRZ Retest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을 Type II Reversal 혹은 Reaction이라 부르며, TP1 이후 TP2 까지의 상승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3) 되돌림이 일어난 최근의 고점을 이용하여 Bearish Shark Pattern 을 작도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4월 중순의 하락 이후 0.382 Level에서 Support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Type 1 Reaction 이후 Return이 일어났으며, Bullish 5-0 Pattern과도 매우 유사한 움직임 입니다.
1차적으로 Shark Pattern의 0 Point인 $2030, C Point인 $2140 , 2차적으로 Bullish Deep Gartley 패턴의 TP1인 $2400 에서의 저항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지난주 주봉의 마감 또한 Morning Star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이번주의 움직임 역시 지난주 주봉 상단을 지켜주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Bullish 한 구조는 유지중이라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ETHUSDT, D1 chart - Wyckoff's Accumulation의 Phase E를 기대하며.
1) 이더리움의 일봉은 Wyckoff's Accumulation 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Phase D의 LPS (Last point of support) 과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780 선을 깨지 않으며, 삼각수렴을 상방돌파 한 점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사실상 미국의 '디폴트' 위기가 일단락됨에 따라 Phase E로의 움직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 지난 분석에서 말씀드렸던 하락 삼각수렴 패턴 은 Sweep 없이 상방돌파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4) 강조하였던 중요한 구간인 $1780 ~ $1920 구간에서 나타나는 High Volume Nodes (HVNs) 의 저항 을 돌파하지는 못하였습니다.
5) 향후 Liquidity를 확보하기 위한 Upthrust와 하방 Sweep 움직임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Phase E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1920, $2030, $2140 근처의 저항 을 반드시 돌파하여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ETHUSDT, H8 chart - ABCD Pattern을 완성하며 TP1을 돌파,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1) ETHUSDT H8 chart입니다. 지난 주 분석을 복기하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지난 분석에서 설명드렸던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3월 중순부터 2달 간에 걸쳐 생성된 Bullish Gartley Pattern (Blue Pattern)
Bullish Gartley와 대응되는 "3 Tap Setup"의 구조 (Green Box)
i) 첫 번째 Low Point ⇔ Gartley B Point
ii) 두 번째 Low Sweep ⇔ Gartley D Point
iii) 세 번째 Low Retest ⇔ Gartley Type II Reversal
D Point 이후의 움직임 (Type I, II Reaction) 에서 AB=CD Pattern 예상
3) 현재 이더리움의 상승은 예측과 같이 Bullish Gartley 패턴의 0.382 Level 에서 저항을 받았으며, 예측하였던 AB=CD Pattern은 완성되었습니다.
4) 약간의 되돌림 이후 재차 0.382 Level을 Test 하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돌파할 경우 0.618 ($1988) Level 까지의 상승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ETHUSDT, H4 chart - B Point Support가 일어난 "BAMM"
1) ETHUSDT, H4 차트입니다.
2) H8 Bullish Gartley Pattern의 C-D Leg를 Impulse Leg로 사용하는 Bearish Bat Pattern 을 예측해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난 상승과 되돌림, 재상승을 통해 B Point ($1872.5) Support가 확인되었으므로, Magnet Movement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BAMM 효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ETHUSDT, H1 chart - Bullish PO3 & 3 Tap Setup
1) ETHUSDT, H1 차트입니다.
2) 지난 주의 Consolidation 이후, Distribution 과정이 나타나며 Monday Range는 $1873 상방에서 형성 되었습니다.
3) 한 차례 되돌림이 나타났으며, 되돌림의 깊이는 Monday Range를 기준으로 정확히 1.618 지점까지의 Retracement 가 나타났습니다.
4) 현재 이더리움은 LTF 상에서 Bullish PO3의 구조 를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Monday Range의 영역에서 Accumulation, 그리고 $1840 ~1873 area에서의 3 Tap setup (Low ⇒ Low Sweep ⇒ Low Retest) 이 나타났습니다.
5) 현재의 상황은 B ullish Movement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Imbalance가 해소된 후 나타난 저항을 어느 정도 돌파한 상태 로 보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주요 지지 / 저항 Level 정리
RESISTANCE
1) D1 Chart 상 HVN들이 위치하고 있는 $1920 Level
2) H1 Chart 에서의 Monday High $1927 Level
3) H4 Chart 에서의 Bearish Bat Pattern D Point인 $1988 Level
4) $1988 Level의 경우 H8 Bullish Gartley의 TP2에도 해당함.
5) D1 Chart 상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Range인 $2030, $2140 Level
6) $2140 Level은 W1 상 Bearish Shark Pattern의 "C Point"이기도 합니다.
SUPPORT
1) H1 Chart 상 Manipulation의 저점 $1840 Level
2) H4 Chart 상 Bearish Bat Pattern의 B Point인 $1872.5
3) H8 Chart 상 3 Tap Setup이 일어난 가격 $1785 Level
4) D1 Chart 에서의 Wyckoff's Accumulation의 주요 지지선인 $1780 Level
5) H8 Chart 상 Bullish Gartley D Point인 $1740 Level
감사합니다 :)
[손익범위] 단타와 장투는 어느 캔들봉으로??#타임프레임 #손익범위 #캔들봉 #Confluence
안녕하세요. 트레이더분! 토미입니다.
많은 트레이딩 입문자분들이 저에게 종종 이런 질문을 하곤 합니다. ‘이 종목은 어느 봉이 잘 맞아요?’, ‘이 지표는 몇 분봉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손절과 익절은 몇 퍼센트/틱으로 잡아야 해요?’ 오늘 이런 질문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차트의 타임프레임 개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이런 의문이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매일매일 구멍이 뚫리도록 보는 이 차트라는 도구는 2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차트는 X축에 가격과 Y축에 시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눈여겨보던 종목의 주가가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봅시다. 과연 많이 오른 걸까요? 시간적 측면에서 한번 곰곰이 생각을 해봅시다. 만약 주가가 하루만에 뛰었다면, 분명히 큰 상승이겠지만 십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일어난 상승이라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른 게 아닐 겁니다. 이처럼 주가의 변동폭을 판단할 때 우리는 가격폭만이 아니라 시간폭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즉, 주가 변동은 특정한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기준에 따라 가파를 수도 있고 완만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고자, 우리 트레이더 선배님들은 차트에 ‘타임프레임’ 혹은 ‘시간봉’이라는 객관적인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차트 세계에서의 타임프레임은 한 개의 캔들스틱이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전 제 캔들스틱 교육자료에서 언급했듯이, 단순한 1차원 라인차트와는 달리, 시/고/저/종가들로 이루어진 캔들 차트는 보다 심도 있는 해석이 필요합니다. 더 높은 타임프레임일수록, 캔들의 종가는 더 큰 의미를 가지게 되며, 더 장기적인 시장 추세를 반영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주봉의 종가 마감은 한시간봉의 종가 마감보다 더 중요하게 간주해야겠죠. 다른 말로, 주요 고점/저점/천장/바닥을 한시간봉이 돌파하고 종가마감을 하는 것보다, 주봉이 돌파하고 종가마감할 때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 좌측에 한시간봉 차트에서 그려진 하락채널이 있습니다. 채널 상단을 뚫어준 후에 한시간봉 캔들의 종가마감이 채널 밖에서 이루어졌기에, 우리는 채널이 상방돌파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두시간봉 차트로 넘어가 보면 어떨까요? 두시간봉상에서는 아직 캔들의 종가마감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타임프레임에서는 완벽한 상방돌파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조금 더 흘러보니, 두시간봉에서도 종가마감이 채널 밖에서 이루어졌네요. 그렇다면 세시간봉, 네시간봉에서는 어떨까요?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타임프레임을 높여가면, 평생 채널을 상방돌파 하지 못하는 걸까요?
높은 봉일수록 캔들의 종가마감이 더 중요해지는 반면, 기존에 고려했던 채널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한시간봉 캔들 24개로 형성된 하락채널을 일봉 차트에서 보면, 달랑 한 개의 캔들스틱으로만 보여질 것입니다. 그럼 이런 경우에, 기존의 하락채널이 여전히 유의미할까요? 캔들스틱 한 개만 가지고는 의미 있는 채널을 작도할 수 없겠죠. 이렇듯 타임프레임이 높아질수록, 우리는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큰 그림에서 도출된 채널을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로, 본문에서는 평행채널을 대표 예시로 들었지만, 이 개념은 추세선, 피보나치, 매물대 등 모든 기술적 이론과 보조 지표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자, 그러면 이제 Price Action에 대해서 이야기해볼 시간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세계에서, 보통 지지/저항구간은 사각형 박스로 표현됩니다. 이 2차원의 박스는 가격 범위와 기간 범위로 이루어져 있고, 범위가 넓어질수록 박사의 면적 또한 넓어집니다. 한시간봉 차트에서 찾은 지지구간의 면적(가격 범위 x 기간 범위)이 일봉 차트에서 보면 터무니없이 작을 것입니다. 반대로 일분봉 차트에서는 상당히 크겠죠? 이와 같이 각 타임프레임마다 적합한 Price Action의 크기가 존재합니다. 다시 말해, 지지/저항 구간의 가격 및 시간 범위는 낮은 봉일수록 좁아지고, 높은 봉일수록 넓어져야 합니다.
Price Action의 면적은 트레이딩 셋업을 디자인할 일종의 토대 혹은 기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박스의 크기에 따라 손익범위, 손익비율, 그리고 진입 대기기간 등이 바뀔 수 있어, 이 모든 것을 잘 고려하여 전략을 세워나가야 합니다. 같은 타임프레임 내에서도 Confluence Zone(여러 기술적 요소들이 겹치는 구간)의 형성 방식에 따라 지지/저항 구간의 크기가 달라지며 가급적이면 면적이 작고 얇은 게 좋습니다. 제가 이전 글들에서 여러 차례 강조했듯이, 좋은 진입자리란 손절가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리스크, 즉 손절범위를 타이트하게 잡을 수 있다면, 손익비를 더 유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반면, 어쩔 수 없이 손절범위를 넓게 설정해야 한다면, 이에 따른 기대수익도 상응하게 늘려야 하므로 손익비를 설계하는 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래 두 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Confluence Zone이 작게 잡힐 시 다양한 손익비율을 설계하거나, 심지어 손절범위를 넓혀 승률을 높이는 전략도 취해볼 수 있습니다. 한편 Confluence Zone을 크게 잡아야만 하는 경우라면, 익절범위도 그만큼 확장해야 합니다. 만약 차트 상황 상 그게 불가능하다면, 어쩔 수 없이 손익비율을 낮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로 상단에 큰 저항 매물대가 있거나 중요한 추세선 리테스트 저항구간이 자리잡고 있는 경우, 익절가를 쉽게 올리기 어렵겠죠. 이렇게 진입구간 박스가 커질수록 손익범위도 함께 늘려야 하며, 익절가를 더 올릴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전체 트레이딩 설계 범위가 늘어난 만큼 더욱 장기적인 관점으로 차트를 봐야 합니다. 참고로 손익범위가 커질수록 진입기간 혹은 대기 시간도 길어진다는 점도 잊으면 안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찾아낸 자리가 단타에 적합한지, 아니면 장투에 더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안목이 있어야 합니다. 높은 봉 차트일수록 Confluence Zone의 면적이 커져서, 그에 따라 손익범위도 넓어지고 진입기간도 길어지게 되죠. 결국, 스윙이나 장투에 더 가까운 트레이딩일테며, 장기적인 추세(더 넓은 가격 및 기간 범위)를 간주해야 합니다. 반대로 낮은 봉 차트는 단타에 더 가까운 트레이딩이겠죠,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장기적인 추세를 등한시하고 너무 단기적인 추세에만 머물러 있으면 안됩니다. 큰 그림에서 보지 못한 메이저 요소들을 놓치게 될 수 있거든요. 예상치 못한 장기 추세선이나 이평선, 매물대 등이 근방에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도를 보듯이 차트도 항상 더 큰 그림, 즉 장기적인 추세와 요소들부터 높은 봉 차트로 파악하고, 그 후에 점차적으로 단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요즘 저는 차트와 우리 인생이 참으로 닮아 있다고 느끼곤 합니다. 우리 삶에서도 일상의 작은 파도에 정신 없이 휩쓸려 간혹 넓은 바다를 잊곤 합니다. 다들 큰 목표와 꿈을 보고 쫓아갈 수 있는 넓은 시야로 항상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트레이더가 되길 바라며, 저는 이만 마치겠습니다. 성투하세요.
여러분의 구독, 좋아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조정이 끝나고 다시 반등하는 것인지, 추가 하락을 위한 반등인 것인지....안녕하세요. 청바지 입니다!
오랜만에 아이디어 올리게 되었습니다.
최근 주춤하던 비트가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같이 한번 살펴 보도록 할께요.
현재 비트는 날봉 기준 5 20 이평선의 골든크로스가 재차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60 이평의 꼬리가 조금씩 수그러들고 있으며 현재 저항으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3개의 스토캐스틱을 살펴보면,
소파동과 중파동 대파동 모두 상방으로 꼬리가 향하는 모습이라, 아무래도 상방으로의 추세 전환 확률이 더 높아 보입니다.
또한 이전에 27450 부근에서 계속된 저항으로 종가 마감을 4시간봉 기준 한번도 위에서 해주지 못했지만, 이번에 완전히 뚫어 버린 모습입니다.
여러 차례 저항으로 작용했던 구간을 돌파한 만큼 해당 구간에서 flip으로 인한 지지테스트만 완료 된다면 재차 상방으로 전환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리테스트만 완료 후 오늘 저항으로 작용한 28300 구간을 돌파하는 모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해당 구간 역시 이전에 저항으로 작용을 했었고 오늘 리테스트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4시간봉을 보조 지표로 봤을때, 5 20 60 이평선 모두 상방을 향해 있으며, 20 60은 이제 막 골든 크로스가 발생한 모습입니다.
그러나 현재 5 이평선과의 이격이 조금 벌어져서 해소할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3개의 스토캐스틱을 봤을때, 소파동은 데드크로스 후 꺾이고 있고 중파동 역시 데드크로스 되려 하고 있습니다.
대파동은 과열권에 진입하려 하는데, 이 부분을 봤을때는 현재 구간에서 횡보하며 지표를 좀 식힌 이후 고점을 한번 더 갱신하는 모습이 나오면
RSI 역시 하락 다이버전스가 컨펌 날 것이고, 스토캐스틱이 모두 하방으로 향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평선들이 수렴하며 한쪽으로 큰 추세가 정해 질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더 큰 시간프레임인 날봉에서는 스토캐스틱이 모두 상방을 향한 모습이라, 위로 방향이 나올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래로 향할 확률도 없지는 않지만 아래로 향한다면 중요한 지지 라인은 27450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조금씩 롱포지션을 모아가는 전략으로 임할 계획이지만
현재 고점에서 내려오는 하락 추세선 또한 무시하지 못하기에 돌파 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저배율 소액으로 모아갈 계획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관점은 참고로만 하시고, 매수매도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