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 스크립트 포함
상대강도지수 RSI 매매활용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에 저도 많이활용하고 많이 질문주셨던 RSI 지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일단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는 주식, 선물, 파생상품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에 사용하는 보조지표입니다. RSI는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강도를 비교하여 현재 주가의 위치를 가늠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RSI는 보조지표 중 주가의 모멘텀을 평가하는 보조지표로, 주식이나 코인투자를 하는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석하는 방법도 간단하기 때문에 매매하는 사람이라면 몰라서는 안 될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RSI는 역추세매매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지표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이나 선물, FX, 옵션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수익을 보고자 하는 트레이더에게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RSI의 개념을 살펴보면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대비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 사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기간은 14일 단위로 설정합니다.
개별적인 RSI 데이터는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줄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분석에 용이하게 사용하고자 이를 연속적인 그래프로 도시하게 됩니다.
이때, RSI값을 해석하는 데 의미 있게 여기는 3개의 기준 값이 있는데 70%,50%,30% 값들이 그것입니다.
※ RSI 50%
RSI값은 0%~100%의 값을 가질 수 있고, 50%가 정확히 중립인 지점입니다. RSI는 수학적 산출공식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냅니다.
1. 14일 동안 (전일대비) 상승폭의 평균 > 14일 동안 (전일대비) 하락폭의 평균 // RSI > 50%
2. 14일 동안 상승폭의 평균 = 14일 동안 하락폭의 평균 // RSI = 50%
3. 14일 동안 상승폭의 평균 < 14일 동안 하락폭의 평균 // RSI < 50%
따라서, RSI지표를 보고 다음과 같은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1. RSI가 50% 이상이다 = 최근 14일 동안 주가는 상승의 힘이 하락의 힘보다 강했다.
2. RSI가 50%이다 = 최근 14일 동안 주가는 상승과 하락의 힘이 균형을 이루었다.
3. RSI가 50% 이하이다 = 최근 14일 동안 주가는 상승의 힘이 하락의 힘보다 약했다.
RSI값이 50%인 지점은 특정 기간 동안 주가의 상승세와 하락세가 정확히 균형을 이루는 지점이므로, 이 보조지표에서 의미 있게 다루는 선이 됩니다.
※RSI 70% / 30%
RSI보조지표의 고안자인 Welles Wilder는 70% 이상일 때를 과매수 국면으로, 30% 이하일 때를 과매도 국면으로 규정했습니다.
1. RSI가 70% 이상 : 최근 주가의 상승세가 지나치게 우세했음
2. RSI가 30% 이하 : 최근 주가의 하락세가 지나치게 우세했음
따라서, RSI가 70%를 넘어서면, 매수를 하는 것보다는 매도하는 전략이 유리하고 RSI가 30%를 하회하면 매도를 하는 것보다는 매수하는 전략이 유리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잡기 위해 개발자가 특별히 70%, 30%라는 값을 특정한 것일 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80%, 20%를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 RSI 보조지표
RSI 그래프와, RSI를 해석하는 데 유용한 기준이 되는 70%,50%,30% 선을 조합하여 실제 차트에 도시하면 아래와 같은 보조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아래로 움직이는 연속적인 파동이 RSI데이터를 연결한 RSI그래프이고, 위아래로 그어진 70%, 30%선이 과매수/과매도 기준선입니다. 두 선이 하나의 밴드를 만들고 이 중앙을 가로지르는 선이 RSI 50%선입니다
RSI 지표 설정하는 방법은 Tradingview (트레이딩뷰)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어떠한 거래소든 없는 거래소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트레이딩뷰 좌측 상단의 메뉴바 중 '지표'를 클릭합니다. 클릭하고 나면, 사용자 개발 스크립트와 플러그인 보조지표를 검색하는 창이 열립니다
검색창에 'RSI'를 검색하여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를 클릭하면 차트에 RSI지표가 적용됩니다.
RSI 절댓값을 활용한 매매법
RSI는 30%~70% 사이의 밴드를 이탈했을 때만 의미가 있고, 이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과매수 국면에 있는지, 과매도 국면에 있는지를 구분하고자 만들어 졌기 때문입니다.
RSI가 밴드 안에서 움직일 때는, 시장참여자들의 심리가 중립상태인 것이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2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RSI 절댓값 하나만을 보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인접한 봉우리의 RSI 절댓값 두 개를 비교하여 의사입니다.
(후자를 RSI 다이버전스(Divergence)라고 합니다.)
1. RSI > 70% (과매수) : 주가가 이미 많이 상승했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의 매도세가 강해질 시기
주가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확률보다는 하락할 확률이 높으니 매수하는 것은 지양하고 매도 포지션을 잡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2. RSI < 30% (과매도) : 주가가 이미 너무 많이 하락했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의 매수세가 강해질 시기 주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할 확률보다는 상승할 확률이 높으니 매도하는 것은 지양하고 매수 포지션을 잡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림처럼, RSI가 과매도 구간으로 들어서면 매도하는 것보다는 매수하는 관점으로 생각하고, 과매수 구간으로 들어서면 매수하는 것보다는 매도하는 관점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RSI는 과매수구간도, 과매도구간도 아닌 중립상태에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SI는 상승추세에서 매도관점을 보고, 하락추세에서 매수관점을 보게 되기 때문에 추세를 거슬러서 트레이딩 하는 역추세매매 방식에 사용됩니다.
RSI 절댓값만 보는 것의 한계
그런데 이렇게만 트레이딩 하면 돈이 될까요? 아닙니다.
강한 추세에서는 RSI 오실레이터가 과매수/과매도국면에 오래 머물면서 추세가 연장되기 때문에 섣불리 매수/매도하면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RSI가 70% 이상으로 높아지면 과매수권으로 생각하는 것은, 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올 것임을 가정하는 것인데 재료가 너무나 강하면, RSI값도 계속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차트에서 RSI 과매수권에 진입했을 때 추세가 꺾일 것이라 생각해고 공매도를 해보겠습니다. 차익실현매물이 나올 것이라 기대했지만, 주가는 조정 없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RSI 산출공식의 원리에 기인합니다. 본문 초반의 RSI 공식을 보면, 변수는 '시간'과 '주가의 변화량'입니다.
따라서 RSI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가희 변화량뿐만 아니라, 시간도 포함됩니다.
RSI가 과매수권에 진입한 시점에 매도하는 방식은, 매수세가 약해진 탓에 주가가 하락함으로써 RSI가 중립구간으로 되돌아오길 기대하는 것인데 주가가 하락하지 않은 채로 합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도 RSI는 중립구간으로 되돌아옵니다.
따라서, 우리가 기대한 대로 RSI는 상승했지만, 주가는 상승하지 못해 여전히 손실을 보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RSI 절댓값만을 보는 것은 매수/매도의 독립적인 근거로 사용하기 힘듭니다. 보조적인 판단 근거로서, 보유하고 있던 주식의 RSI가 70% 이상인 과매수권으로 진입했하는 등, 말 그대로 보조지표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보다, RSI를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RSI 다이버전스를 보는 것인데 다이버전스도 제가 정리해서 한번 올려드릴테니 꼭 참고하시길 바라면서 올해 다 끝나가는데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좋은 성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올라온다면 좋은 자리반갑읍니다 훈쌤입니다
각설하고 바로 비트코인 시황 달려보겠읍니다 🔥
▼이전 아이디어 관점 / 현재 시점
하단의 오버슈팅을 바랬었고, 비슷한 느낌으로 한 차례 슈팅이 나와서
좋은 매수자리가 됐습니다
저 또한 저 자리에서 추가매수를 진행했었읍니다
-
▼ 현재 관점1
현재 나비패턴을 기대해봐도 되는 차트입니다
정석적으로 1.272자리인 45.9K가 D-point로 활용되는데,
최근 차트에서는 1.272가 아닌 기존 스탑로스구간인 1.414까지 찍고 내리는 경우가 많았읍니다..
보수적으로 매매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를 고려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 현재 관점2
저번 아이디어에 이어서 파동 관점입니다
바랬던 구간(42.8)이 왔고, 반등까지 나와준 상황입니다
근데 무조건 올라간다기 보단, 공통 상승구간이 나와준 상황같습니다
적당히 익절 후 본절에 스탑로스거는 스탠스를 취해도 좋아보이네요
-
▼ 현재 관점3
이어서 파동 관점의 다른 시나리오입니다
리딩 다이아고날 이후 예쁜 하락 abc가 나온 상황입니다
이 또한 공통 상승구간이 나온 것 같고, 만일 이게 맞다면 상승이 나오는게 예쁜그림이겠네요
-
<요약>
전체적으로 상승뷰를 보는게 예쁜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
아직까진 이렇다할 큰 조정이 나온 적이 없으니
자나깨나 조심해야합니다.
"스탑로스는 차트 위의 안전벨트"
반익반본을 습관화합시다
현 시각 대응전략반갑습니다 훈쌤입니다
비트코인 ( BINANCE:BTCUSDT.P ) 대응 전략에 대해서 다뤄보겠읍니다
▼ BTCUSDT.P / 15M
하단(40,500$)에 나비패턴이 하나 있습니다
패턴의 정석대로라면 원래는 롱포지션 오픈 자리입니다
하지만 이 자리는 신규진입하면 "위험한 자리" 같습니다
숏포지션을 들고 계시다면, 수익실현 구간정도로 생각하는게 좋을 것 같고,
저 또한 숏을 잡고있었다면 익절해봤을 자리같네요.
▼ BTCUSDT.P / 1H
조금 더 큰 프레임으로 보면 39,800$ 쯔음에 반등 유력구간이 있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4시간봉 200EMA
하모닉 패턴 中 나비패턴
롱 스탑헌팅 구간
가격이 저 구간까지 온다면 꽤 매력적인 자리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는 중입니다
스탑 기준은 그 당시까지 생성된 캔들과 구조물을 좀 살펴봐야할 것 같지만
현재로썬 매력적인 자리라고 생각드네요
하지만 크게봤을 땐 상승추세, 작게 봤을 땐 하락추세가 맞기에
오래 끌고가기 보단
짧게 100$~200$ 구간 반익절 후에 본절 스탑로스를 거는 전략을 구사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파동분석 & 지지 저항의 중요성 / 11월 수익 인증 :)안녕하세요 코인랩스 킴쥬드입니다.
한달동안 다들 매매 잘 하셨는지 모르겠네요!
누군가에겐 변동이 커서 좋은장 그리고 대 불장이었을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횡보를 해주면서 힘든 크게 먹지 못하는,
되돌림에 털리는 그런장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물론 저는 잘 먹었습니다^^^
카운팅을 해보면, 11월 고점 이후 기가막히게 ABC를 그려주면서,
아래에서 거래량이 크게 들어왔던 눌림 구간은 모두 지켜주는 무빙을 보여주면서,
아주 이쁘게 매물대를 만들고, 플립구간을 그리고, 지지를 받으며 고점 상승하는 무빙을
보여줬고, 많은 분들이 수렴을 생각하는 구간에 타임 프레임이나, 거래량으로 봤을때,
무제한 삼각수렴이 아니고서야 도저히 컨펌 할 수 없는 그런 삼각형이고,
삼각형으로 보기보다는 단순히 박스권을 그려주면서 천천히 올려준 그림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복합시럽게 단순 파동만 보시는 분들은 힘들었을 장이라고 생각하고,
기본적인 지지저항의 개념이 없이 파동만 보시고 매매 하신분들은 그냥 3파구나!
하면서 수익 다 토해내고, 손절주는 그럼 장이 었을거라 생각합니다.
파동도 중요하지만 먼저 기본으로 돌아가서 무엇이 중헌지 한번 생각하고 공부하며,
12월에는 대박 나셨으면 좋겠습니다:)
카운팅 궁금한점이나, 뭐든 궁금한거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2023년 남은 한달!
화이팅!!!!
금 ALL TIME HIGH 전략금이 올 타임 하이 찍었습니다.
파동 카운팅상 아직 두번의 큰 고점 갱신이 남았다고 보고 있고 가격추론은 현재 못하는 구간이겠죠.
형태가 이럴 것이다. 정도 일겁니다.
현재 5-3-5-5로 보이며 월요일에 고점 갱신 그리고 약간의 조정 그리고 재차 고점 갱신하면
하나의 파동이 마무리 되는 구간으로 보입니다.
연장 파동이 나올 수 있으니 조심해야겠지만 달러 차트를 보면 횡보 후 금요일 저점 갱신하게 되면
반등 나올 수 있는 자리로 보여 집니다.
최소 두번의 큰 고점 갱신이 남았으므로 떨롱 떨롱 입니다.
## 개인적인 비트코인 승인에 대한 견해및 챠트대입--금일새벽에 일어난 xrp etf 신청에 대한 가짜 찌라시로 인해
kr.tradingview.com
리플이 15%가량 상승후 / 거짓이라고 x(구.트위터)에서 발표하자마자
다시 급하락해 제자리로 간 헤프닝이 있었습니다.
이 헤프닝을 듣고 시장에 대입하여 곰곰히 생각해 보니..
비트에 대한 방향이 나오는듯 합니다.
현재 시장은 비트코인의 etf에 대한 기대감을 재료로 하여 높은 상승률을 가져왔습니다.
11월 17일까지 etf승인 결과여부를 전달해야 하는 상품이 2개가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틀안에 결과를 내놔야 하지요. 아마 그타이밍을 노려서 가짜 찌라시가 x로 통해서 전해지고
5-10프로 구간 상승이 있을수 있을듯 합니다. 그이후 찌라시가 거짓이라는 뉴스가 뜬후
본격적으로 시장은 돌아서서 급하게 하락할듯 합니다. 그리고 다시 승인 되었다는 공식 뉴스가 나오지 전까지는
시장의 장기 침체로 빠져들게 할수도 있습니다.
이를 챠트에 대입해 보자면
현재 어제 말씀 드린 시황 에서의 b 추세 지지를 이탈하여 횡보 하고 있는데
a 라인 추세 지지 라인 까지 밀고 나서 (35.8k-36k)
힘차게 상단의 c 추세 저항 라인 및 다이버 까지 을 찢는 상승
캔들이 형성될수도있습니다.
그러니 현재 시장 상황과 챠트를 병합하면
35.8-36k부분까지 와준다면 롱으로 진입 (a 라인 추세선까지 오면 감사하지만 더 위에서도
무리하게 진입해도 괜찮음 단 배수는 리스크 감내할만큼 진입)
익절가는 40k 이상 최고 42.5k 까지 한방에 올라갈수있음. (주봉강력매물대)
거기서 저배로 숏을 타고 찌라시 거짓이라는 기사를 기다려볼수있음.
그리고 기사가 거짓찌라시로 판별되면 홀딩.
*좋은 성과있을시기를 항상 바랍니다.
골드 3가지 전략골드에서 3가지정도 전략을 짜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아직 5파가 안나왔다. 런닝플랫으로 조정중 이다.
현재 레인지에서 전 저점일 이탈과 3파 고점 이후 저점
자리가 깨지지 않고 고점 갱신 하러간다.
2. 5파는 나왔고 abc로 나왔기 때문에 엔딩 다이아고날이 나온 후 조정을 받는다.
런닝 플랫과 결이 같을 수 있으나 고점을 갱신할 때
진행 파동이 임펄스 인지 아닌지가 중요할 것으로 보임.
3. 5파가 나온 상태로 저점이 이탈 될 때 스탑주문으로 진입 한다.
손절은 짧게 저점이상 되돌리는 무빙이 컨펌 되었을 때 손절
1시간봉 엘리어트 카운팅 + 지지저항과 매물대 분석 그리고 수익인증안녕하세요 코인랩스 킴쥬드입니다.
오랜만에 이렇게 아이디어 퍼블리쉬 합니다!
현재 진행중인 일들이 많아 조금 소홀했지만, 다시 열심히 관점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나스닥과 비트코인을 함께보면서
커플링이네, 디커플링이네 하며 매매하시는데 굉장히 힘드셨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쟁, 금리, 부동산 등 다양한 이슈들로 인하여 달러가 폭락하면서
상대적으로 햇징자산들인 골드, 오일, 비트코인등이 크게 반등해주었는데,
많은 분들이 단지 ETF 영향으로만 생각하고 있는듯하여 조금 마음에 걸렸지만,
결국 이렇게 올라주고, 현재 33K를 지지해주면서 윗구간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 구간을 지켜면서 매물대를 소화하고 지켜준다면,
한번더 상승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 진다! 라고 생각하고 대응하면서 매매하고 있습니다!
카운팅 관점 자체를 25K 눌림 구간에서부터 임펄스로도 충분히 볼 수 있겠지만,
복합적인 관점에서 현재 63K에서 내려온것에 대한 충분한 되돌림이 나와주고 있다라고 생각하고,
이 구간이 임펄스든, 복합조정이든, 중요한것은 곧 바닥에서 올라온것에 대한 되돌림이
나올거라는것이고, 그 자리를 잘 찾아서 먹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구간에 대한 설명을 조금 드리면, 횡보 및 박스권 그리고 수렴이라고 표현 할 수 있겠고,
주말간에 횡보이후 수렴 파동 마무리하고 한파동 슈팅 더 해주는 모습을 보여줄거라고 많이들
예상하고 계시지만, 카운팅 상으로 Y-C파가 임펄스로 끝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참고 하셔서 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만약에 한파 더 올리게 된다 하더라도, 슈팅이 어디까지 갈지 알 수 없기때문에, 칼날 받기보다는
항상 되돌림에 잡는, 뇌동보다는 참았다 잡으실 수 있는, 여기가 고점이라는 나만의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매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무리로 수익인증 하고 갑니다!
다들 매매 화이팅하시고, 지루한 주말 알트로 꿀빠시고 변동성 큰 평일 맞이하시면 좋겠습니다!
주간 시장 요약 ETH암호화폐는 BTC ETF 승인 가격을 책정하면서 지난 주 동안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시장은 어제 다시 FOMO를 경험했는데, 이는 주로 Bloomberg 분석가 Eric Balchunas가 iShares Bitcoin Trust가 DTCC(NASDAQ 거래를 청산하는 Depository Trust & Clearing Corporation)에 상장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티커는 $IBTC가 될 것입니다. 이는 SEC가 BlackRock의 BTC ETF 신청을 승인한 것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이전 BTC ETF 신청에서는 이 단계에 도달한 적이 없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 불이 붙었습니다.
거시적 수준에서 원유 가격은 다소 하락했지만 지역 전쟁은 여전히 유가에 압력을 가할 것입니다. 9월 미국 CPI 자료를 보면, 연준의 노력으로 근원 CPI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더욱 개선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CME의 FOMC 금리 인상 예측 확률 차트에서는 11월 FOMC의 25bp 금리 인하 확률이 1.5%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리 인하가 당장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은 사실상 최악의 시기를 지났다.
지난 요약에서 언급했듯이 ETH는 지난 주 BTC보다 계속해서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또한 시장에서 BTC ETF가 BTC를 주도하고 BTC가 다른 토큰을 주도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ETH는 거래량 증가와 함께 10월 초 최고치인 1750년을 넘어섰습니다. 그래서 저항선을 1900으로, 지지선을 1750으로 올립니다. 큰 규모에서 ETH는 중립으로 변합니다. 계속 변동성이 유지됩니다.
지난주 상승세에는 상승초기에는 고래가 출현하지 않았는데, 어제는 고래 출현이 집중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 며칠 동안 ETH의 약점을 확인시켜줍니다. 고래는 좋은 소식이 있을 때만 ETH 거래에 참여할 것입니다.
레벨 4h로 전환합니다. 이 수준에서 ETH와 BTC의 상황은 가깝습니다. 펌프 과정에서 고래들이 거래에 참여했는데, 상향 핀바도 등장했지만 길이가 뚜렷하지 않아 현재의 상승 추세를 방해할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 ME 지표를 보면 ETH는 약세 추세에서 강세 추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위의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는 ETH의 경우 현재 가격 수준이 BTC만큼 강한 매도 압력에 직면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황소는 상승 후반 단계에서 강화되었으며 단기적으로는 BTC를 능가할 수 있지만 여전히 BTC에 의해 주도될 것입니다.
면책 조항: 스크립트의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암호화폐 판매 제안 또는 구매 초대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스크립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내린 어떠한 결정도 귀하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합니다. 이미 진행되거나 진행될 투자는 귀하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
주간 시장 요약 BTC암호화폐는 BTC ETF 승인 가격을 책정하면서 지난 주 동안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시장은 어제 다시 FOMO를 경험했는데, 이는 주로 Bloomberg 분석가 Eric Balchunas가 iShares Bitcoin Trust가 DTCC(NASDAQ 거래를 청산하는 Depository Trust & Clearing Corporation)에 상장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티커는 $IBTC가 될 것입니다. 이는 SEC가 BlackRock의 BTC ETF 신청을 승인한 것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이전 BTC ETF 신청에서는 이 단계에 도달한 적이 없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 불이 붙었습니다.
거시적 수준에서 원유 가격은 다소 하락했지만 지역 전쟁은 여전히 유가에 압력을 가할 것입니다. 9월 미국 CPI 자료를 보면, 연준의 노력으로 근원 CPI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더욱 개선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CME의 FOMC 금리 인상 예측 확률 차트에서는 11월 FOMC의 25bp 금리 인하 확률이 1.5%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리 인하가 당장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은 사실상 최악의 시기를 지났다.
BTC는 어제 10% 상승하여 2023년 최고치를 돌파하고 최고점은 36,000에 가까워 전체 시장에서 FOMO 정서를 주도하고 큰 수준에서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일주일 간의 상승 후 BTC는 2022년 초반 범위(35000, 45000)에 가까워졌습니다. 당시 금리 인상 기대감의 영향으로 BTC는 3개월 동안 이 범위 내에서 등락하다가 결국 루나 이벤트로 하락세를 보였다. (35000, 45000) 범위에 BTC가 많이 축적되어 있으며 매도 압력이 엄청납니다. 모든 정수 위치는 저항 수준입니다. 저항레벨을 35,000으로, 지지레벨을 30,000으로 올립니다.
일일 수준에서 WTA 지표를 보면 어제의 펌프가 고래를 나타내는 파란색 기둥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BTC가 29,000에 접근하자 고래는 사라졌습니다. 거래 참여는 주로 빨간색 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4시간 수준으로 전환하면 ME 지표는 BTC가 계속 강세 추세에 있고 보라색 물결 영역이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WTA 지표에서 볼 수 있듯이 상승세에 고래 개체수는 증가했지만, 캔들 차트에서는 긴 상승 그림자 선이 나타났습니다. 그다지 좋지는 않지만 약세로 변할 만큼은 아닙니다.
위의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BTC가 현재 위치 근처에서 등락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합니다.
면책 조항: 스크립트의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암호화폐 판매 제안 또는 구매 초대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스크립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내린 어떠한 결정도 귀하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합니다. 이미 진행되거나 진행될 투자는 귀하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
10/18 비트코인 분석
오랜만에 분석글 써보겠습니다 :)
지난 분석 복기
지난분석에서는 눌림에 롱을 타자는 전략으로
27600부근과 더 하락시 채널 하단으로 예상되는 26800~26500 타점에서 롱 포지션을 고려했습니다
27600은 아쉽게 뚫어버렸으며
추가하락하고 26800~26500 부근에서는 롱 포지션을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일단 채널을 상방 돌파해서 목표가 까지 모두 나간 상태이고
따로 제공했던 스위칭 혹은 헷징용 숏포지션은 아쉽게 빔으로 손절 나가버렸네요 ㅠ
1TP라도 나갈 줄 알았는데 아쉽
비트코인 차트 분석
일단 바이낸스 기준으로는 빨간색 채널을 만들고있고
빔이 나온 이후 긴 윗 꼬리를 만들었지만, 아직은 상승 추세를 유지 중입니다
보조지표를 참고해서
현재 일봉 주봉에서는 히든하락다이버전스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큰 그림에서는 아직 숏이 유효합니다
눌림에 대한 되돌림 목표가 정도로 일봉에서는 지난 저점의 리테스트 추세선을 정확히 터치했고
주봉에서 피보나치를 그었을때의 피보나치 114구간까지 되돌림을 했네요
2주봉에서는 단기 이평 데드크로스 이후 리테스트 그리고 추가하락하는 시나리오도 그려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전 분석에서도 예상했던 29500 오더블럭을 강하게 돌파못했고 윗꼬리를 남겨 놨기 때문에 29500 부근에 도달한다면 재차 숏포지션을 잡아 볼 수 있겠습니다
삼각 수렴처럼 보이지만 상방으로 깬다면 채널을 형성에서 채널상단이 29500쯤 보이고 저항으로 괜찮아보이네요
그렇지 못하고 지금부근에서 하락한다면
일봉상 어쨋든 MACD가 골크를 만들었고 이전 매물대 중심이자 채널하단인 27500 부근에서 롱포지션 잡아 볼 수 있겠습니다. 일단 손절이 짧으니까 손익비는 좋아보이고요
저는 이번 채널 한번에 뚫지는 못할꺼라 생각은 하고 있어요
일봉 골크를 시켰고 일봉 볼린저밴드 상단을 찢어버린후 20이평 리테스트로 볼수도 있기에
여기를 잘 지지한다면 고점갱신 하는 시나리오도 맘 깊숙히 들고 있음
그래도 스윙보다는 무조건 단기 익절을 추천합니다
채널을 깨고 내려간다면 피보나치 886과 일봉 매물대 중심인 25500-25300이 마지막 지지 자리라고 봐야하고,
뭐 그쯤 되면 추세는 숏으로 보는게 나을 것 같아 롱포지션은 배제할 수 도 있겠네요
정리해서
숏 29500 부근 (오더블럭 저항맞고 리테스트)
롱 27500 (롱입장에서 중요한 지지자리) , 25500~25300 부근 (마지막 지지자리)
크게 위아래 이렇게 지지 저항 자리 잡아 놓고 차트 모니터링 해보겠습니다
날씨가 쌀쌀해져서 감기가 살짝 올듯 말듯하네요
따뜻하게 챙겨입으시고 감기조심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