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CME 갭 자동 감지 지표를 트레이딩뷰에서 활용하기📊Bitcoin CME 갭 자동 감지 및 시각화를 위한 지표
이 Pine Script 기반의 "Bitcoin CME gaps multi-timeframe auto finder" 지표는 암호화폐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 CME(Chicago Mercantile Exchange) 선물 시장의 갭을 다중 시간 프레임에서 자동으로 식별하고 시각화하는 트레이딩뷰 보조 지표입니다.
비트코인 CME 선물 시장은 주말이나 공휴일로 인해 거래가 중단된 후 재개될 때 종종 가격 갭(Gap)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갭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한 가격대가 미래에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믿습니다.
이를 '갭 채우기(Gap Fill)' 이론이라고 하며, 이는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격 영역으로 간주됩니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갭을 수동으로 식별하는 것은 여러 시간 프레임과 주말/공휴일 개장 시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었습니다.
지표 링크: 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지표로 이동합니다.
🔑이 지표의 특징
자동화된 갭 감지: 트레이더가 수동으로 갭을 찾고 표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줍니다.
다른 거래소의 BTC 차트에서도 동기화: BTCUSDT, BTCUSDT.P BTCUSD 차트에서도 CME 갭 박스가 동기화 되어 표시됩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분석: 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 등 다양한 시간 프레임에서 갭을 동시에 표시하여 시장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시각적 명확성: 갭 영역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시하고, 중요한 갭은 강조하여 트레이더의 빠른 판단을 돕습니다.
거래 전략 지원: 갭 채우기 이론을 활용한 거래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ME 갭 히스토리: 과거 캔들에서 발생한 CME 갭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림 기능: 갭 발생 시 실시간 알림을 통해 트레이더가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기능 및 사용법
이 지표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다양한 인풋 옵션을 통해 트레이더의 특정 요구 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CME Gap Settings:
- CME Symbol for Gaps: CME 선물 데이터를 가져올 심볼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BTC1!"(비트코인 CME 선물)입니다.
- Minimum gap percentage (%): 갭으로 인식될 최소 가격 변동률을 설정합니다. 작은 갭을 걸러내고 의미 있는 갭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Display timeframes:
- 각 시간 프레임(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별 갭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사용자의 분석 선호도에 따라 특정 시간 프레임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Box colors:
- 각 시간 프레임 및 갭의 방향(상승 갭/하락 갭)에 따라 박스 색상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갭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Box extension lengths (Bars):
- 각 시간 프레임별로 갭 박스가 우측으로 연장될 바(캔들)의 개수를 설정합니다.
- 이는 갭 영역이 미래에도 유효한 지지/저항 레벨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Label settings:
- Show labels: 갭 비율을 표시하는 라벨의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 Label position: 라벨이 박스 내에서 표시될 위치를 조정합니다.
- Label text size: 라벨 텍스트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Highlight settings:
- Highlight gap % (>=): 설정된 퍼센티지 이상의 갭을 특별히 강조합니다. 중요한 갭에 대한 시각적 경고를 제공합니다.
- Highlight label text color: 강조된 갭의 라벨 텍스트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color: 강조된 갭 박스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 Highlight box border width: 추가된 기능으로, 강조된 갭 박스의 테두리 두께를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중요한 갭을 더욱 두드러지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Alert settings:
- Enable Alerts: 갭 발생 시 알림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 Alert Timeframe: 알림을 받을 특정 시간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모든 시간 프레임에 대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표 작동 방식
이 지표는 CME 선물 데이터(BTC1!)를 가져옵니다.
각 시간 프레임에 대해 이전 바의 종가/고가/저가와 현재 바의 시가를 비교하여 갭을 식별합니다.
특히, 주말/공휴일 폐장 후 개장 시의 특정 시간대를 기준으로 갭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갭이 감지되면, 해당 갭의 박스를 그려 차트에 표시합니다.
갭의 크기가 인풋 옵션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강조 색상과 테두리 두께로 박스를 더 눈에 띄게 만듭니다.
💡활용 전략
이 지표는 다양한 트레이딩 전략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지/저항 레벨 식별: CME 갭 영역은 강력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채워지지 않은 갭(Unfilled Gap)은 가격이 다시 해당 영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잠재적인 반전 지점이나 추세 강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갭 채우기 전략: 많은 트레이더들은 갭이 발생하면 결국 채워진다고 믿습니다.
갭 채우기를 목표로 하는 매매 전략을 수립할 때 이 지표를 활용하여 진입 및 청산 지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 갭 발생 후 가격이 갭 상단으로 회복될 때 매수 진입을 고려하고 갭이 채워지면 청산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분석: 갭의 크기와 빈도는 시장의 강한 움직임이나 불확실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큰 갭은 강한 매수 또는 매도 압력을 시사하며, 강조된 갭을 통해 이러한 중요한 시장 이벤트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중 시간 프레임 컨펌: 여러 시간 프레임에서 동시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해당 가격 영역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1시간 봉과 4시간 봉 모두에서 갭이 감지되면 해당 레벨에서의 가격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림을 통한 기회 포착: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갭 발생 시 즉시 시장 상황을 확인하고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단기 트레이딩에서 유용합니다.
🚨주의사항
갭 채우기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갭이 채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모든 갭이 채워지는 것은 아니며 채워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시간대 설정: CME 선물 시장은 특정 시간대에만 운영되므로, 트레이딩뷰 차트 지표 내 GMT+9 시간대 설정이 사용자의 거래 시간대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단독 사용 지양: 이 지표는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예: 이동 평균, RSI, 볼륨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Bitcoin CME gap auto finder 지표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 함께 활용된 청산 히트맵 지표는 초대전용 스크립트입니다.
IO 스크립트 포함
여러분이 꼭 기억해야 할 비트코인 중요 가격 및 알트코인 매수 시기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 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비트코인의 중요 가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과거 게시글을 통해서 자세한 내용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좋아요와 팔로우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1. BTC 차트 관점
- 과거 브리핑
- 단기 관점
- 4분기 관점
2. OTHER.D(알트코인 도미넌스) 차트를 통한 알트코인 매수 시기
BTC 차트 관점
(1) 과거 브리핑
10월 10일 하락 채널의 상단 저항을 맞고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하였습니다.
이후 늦은 오후와 11일 새벽 시간에 역대급 단기간 하락이 발생하여 대량 청산이 발생했습니다.
큰 하락 이후 반등은 당연한 순서입니다.
그걸 흔히 시장에서는 "데트켓 바운스" 라고 표현합니다.
주봉 5이평의 저항을 받은 이후 채널의 미들선과 112K의 중요 지지 구간을 이탈했습니다.
(2) 단기 관점
- 저항 매물대
일봉의 이평선 배열을 관찰하면 역배열이 되면서
5일 단기 이평선이 급격하게 꺾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일 금요일부터 계속해서 107.6K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으며 보통 추세가 꺾인 경우는
단기 5일 이평선을 따라 저항을 맞으며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4년 6월부터 7월의 차트를 예시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약세 FVG
FVG(*Fair Value Gap)란 공정가치갭 뜻합니다.
급격히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생기는 차이를 의미합니다.
109.2~110.1K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항 매물대와 단기 약세 FVG 107.6~110.1K는 좋은 숏타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이곳을 돌파하여 상승하는 경우는 차트를 확인하셔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3) 4분기 관점
- 상승 쐐기 패턴(라이징 웻지 패턴)
100K 웻지의 지지 구간
100~104K 분할 매수를 받아도 되는 최적의 범위
피보나치 0.5와 중첩되는 마지막 매수 구간
* 100~104k 분할 매수 구간이다.
(이탈하게 된다면 0.618구간과 일봉,주봉 60이평선 지지 95.4K까지 염두해야 합니다.)
꼬리 이탈은 93.1K 매물대까지 열어두기 바랍니다.
- 상승 채널
채널의 하단 98.4K와 주봉 60이평 95.4k를 분할 매수 구간으로 세팅하기
- 하락 채널 복사
112K와 채널의 미들선이 버텨주고 있는 가격대이지만 이 구간을 이탈할 경우
과거의 고점들을 연결해서 만든 추세선과 25K부터 이어진 상승 추세선,
주봉 60이평의 지지, 채널 하단의 지지가 중첩되는 구간 96K 구간이 됩니다.
112K는 중요 저항이자 지지 구간이며 추세를 알 수 있는 가장 빠른 가격대입니다.
여유있게 100~104K까지는 열어두고 그곳에서 첫 매수를 시작해야 합니다.
라이징 웻지의 지지를 이탈한 경우에는 손절한 이후에 93~96K까지 열어두어야 합니다.
93K를 이탈했다면 하락장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결론📌***
112K를 이탈하였으므로 약세 FVG와 저항 매물대를 확인하러 가는 상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
107.5~110.1K 까지 상승할 수 있지만 여기서 112K로 올라가서 캔들이 마감하지 않는다면
'약세 FVG를 메꾸러 왔구나' 생각하시길 당부드립니다.
또한 저는 이번 하락으로 인해 발생한 캔들의 꼬리 근처까지 다시 하락한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징 웻지의 패턴으로 보시는 분들은 100~104K부터 첫 번째 매수를 시작하면서 분할 매수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웻지의 지지를 이탈하는 움직임이 나올 경우에는
손절하고 95~96K를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OTHER.D 차트를 통한 알트 코인 매수 시기
대부분의 사람은 비트코인보다 알트코인을 많이 투자합니다.
21년도의 불장을 경험해 본 사람의 입장에서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에서 빠르게 졸업을 하기 위한 혹은 일확천금의 기회를 잡고자 알트를 투자합니다.
하지만 저는 21년도와 같은 알트코인의 불장이 온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몇 프로의 퍼센트를 먹기 위해서 알트코인에 투자하시나요??
9월15일에 작성했던 글을 인용합니다.
우리가 알트코인을 매수해야 할 시기는 딱 정해져 있습니다.
1. 4.7~6.09% 구간에 돌입했을 때 -40~50%의 하락폭을 열어두고 분할 매수하는 것
2. 하얀 저항 추세선을 돌파하는 상승이 나왔을 때 매수하는 것
최근 알트코인이 엄청난 하락을 맞고 엄청난 반등을 하였습니다.
정확하게 제가 언급했던 첫 번째 조건에 부합되는 구간이었습니다.
저는 이 구간을 천천히 확인하러 다시 올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알트를 매수할 예정이라면 지금부터 -40~50% 하락을 감수할 생각으로 분할 매수하시기 바랍니다.
[Kyu] 비트 싸이클 장기 관점 (비트 주봉 로그차트)| 사이클 | 시작~정점 | 상승률 | 소요기간 | 하락률 | 반감기 구간 |
| :-----------: | :------------------- | :------------: | :------: | :----: | :--------------- |
| 1차 사이클 | 2011.10 ~ 2013.11 | **+51,116%** | 770일 | -86.9% | 2012 반감기 |
| 2차 사이클 | 2015.01 ~ 2017.12 | **+12,838%** | 1,064일 | -84% | 2016 반감기 |
| 3차 사이클 | 2018.12 ~ 2021.11 | **+2,110%** | 1,064일 | -76.5% | 2020 반감기 |
| 4차 사이클 (진행 중) | 2022.11 ~ 2025.10 현재 | **+715%** (현재) | 약 1,050일 | ? | 2024 반감기 이후 진행 중 |
📈 패턴 요약
상승 사이클은 평균 약 1,000일(2.7년) 정도 지속
이후 약 1년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 후 새 상승장 진입
상승률은 점차 감소(지수적 성장률 둔화)
📅 반감기 기준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이후 고점까지 기간
1차 2012-11-28 210,000 약 370일 (2013 고점)
2차 2016-07-09 420,000 약 518일 (2017 고점)
3차 2020-05-11 630,000 약 546일 (2021 고점)
4차 2024-04-20 840,000 진행 중
💡 현재 사이클 전망
과거 패턴을 따를 경우,
→ 고점은 2025년 말~2026년 상반기 예상
→ 상승률은 이전보다 낮아 +600~1000% 범위 예상
→ 즉, $120k~$200k 구간이 4차 사이클의 정점 후보로 자주 언급됨
🧩 ① 과거 사이클 데이터 요약
사이클 기간 상승률 상승기간(일) 반감기~고점까지 일수
1차 2011.10 → 2013.11 +51,116% 770일 370일
2차 2015.01 → 2017.12 +12,838% 1,064일 518일
3차 2018.12 → 2021.11 +2,110% 1,064일 546일
🧮 ② 상승률 감소 추세 계산
1차 → 2차 : 12,838 / 51,116 = 약 0.25배 (75% 감소)
2차 → 3차 : 2,110 / 12,838 = 약 0.164배 (83.6% 감소)
➡️ 평균적으로 다음 사이클 상승률은 이전 대비 약 0.2배(80% 감소)
🔮 ③ 4차 사이클 예상 상승률
이전(3차) 상승률 2,110% × 0.2 = 약 422%
단, 현재(2025.10) 이미 약 +715% 상승 중이므로,
이번 사이클이 과거 평균보다 강세인 편이에요.
→ 따라서 현실적 예측 범위는 400~1,000% 상승 구간.
💰 ④ 가격으로 환산
2022.11 저점: $15,539
상승률 예상 고점(달러)
+400% 약 $77,700
+600% 약 $108,700
+800% 약 $139,800
+1,000% 약 $170,900
📍현재가가 $106,900 부근이라,
중간값(약 $120k~$180k) 범위가 4차 사이클 현실적 고점 구간으로 보임.
⏰ ⑤ 시점 예측 (주기적 패턴)
사이클 반감기 → 고점까지 기간 반감기 고점 예상
1차 370일 2012.11.28 2013.12
2차 518일 2016.07.09 2017.12
3차 546일 2020.05.11 2021.11
4차 평균 478일 적용 2024.04.20 2025.08~12 예상
즉, 이번 사이클 고점은 2025년 8월~12월,
가격은 $120,000~$180,000 구간이 가장 유력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예측
다음 고점 예상 시기 2025년 8월~12월
예상 고점 가격 $120,000 ~ $180,000
상승률 +700~1,000%
이후 조정폭 (예상) -75% 수준 (→ 약 $30,000~$45,000 저점 예상)
다음 반감기 예상 2028년 상반기
📅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정리표 (2009~2032 예상)
반감기 차수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저점 시기 / 가격 고점 시기 / 가격 상승률 반감기→고점까지 기간 다음 반감기까지 기간 주요 특징
🟢 0차 (제네시스) 2009.01.03 0 - - - - 1,420일 비트코인 탄생 (보상 50 BTC)
🟢 1차 반감기 2012.11.28 210,000 2011.10 / $2 2013.11 / $1,163 +51,116% 370일 1,320일 최초 반감기, 알트코인 등장기
🟢 2차 반감기 2016.07.09 420,000 2015.01 / $164 2017.12 / $19,666 +12,838% 518일 1,403일 ICO 붐, 글로벌 관심 폭발
🟢 3차 반감기 2020.05.11 630,000 2018.12 / $3,122 2021.11 / $69,000 +2,110% 546일 1,441일 기관 진입, 코로나 유동성 랠리
🟢 4차 반감기 (현재) 2024.04.20 840,000 2022.11 / $15,539 ⏳예상: 2025.08~12 / $120k~$180k +700~1,000% (예상) ⏳약 480일 예상 ⏳예상: 1,450일 ETF 승인, 메이저 기관 본격 진입기
🟢 5차 반감기 (예상) 2028.05경 1,050,000 ⏳2026~27 / $30k~$45k 예상 ⏳2029~30 / $250k~$400k 예상 ⏳+600~800% 예상 약 500일 예상 ⏳예상: 1,450일 BTC 희소성 극대화, 채굴보상 1.5625BTC
🟢 6차 반감기 (예상) 2032.06경 1,260,000 ⏳2030~31 / $70k~$100k 예상 ⏳2033~34 / $500k~$800k 예상 ⏳+500~700% 예상 약 500일 예상
📈 요약 패턴 (주기별 통계)
구분 평균 상승률 평균 상승기간 평균 하락폭 반감기→고점까지 평균기간
과거 3회 평균 약 +22,000% → +2,000% → +800% (지속 감소) 약 1,000일 (2.7년) -80% 약 478일
예상 향후 패턴 +600~1,000% 상승 후 75% 조정 반복 반감기→고점 약 1.3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까지 약 4년
💬 핵심 요약
비트코인은 약 4년 주기로 ‘반감기 → 상승장 → 버블 → 폭락 → 축적기’ 반복
상승률은 점점 감소하지만, 고점은 여전히 3~4배 이상 상승 패턴 유지
반감기 이후 약 1년~1년 6개월 내 고점 형성
4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5년 하반기,
5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9~2030년 예상
🧩 1️⃣ 먼저, 역사적 사이클 복기 (상승률 / 하락률)
사이클 저점 → 고점 상승률 고점 → 저점 하락률 상승 대비 하락 비율
1차 (2011~2013) +51,116% -86% 0.86 / 511 = 0.00168
2차 (2015~2017) +12,838% -84% 0.84 / 128 = 0.00656
3차 (2018~2021) +2,110% -77% 0.77 / 21.1 = 0.0365
4차 (예상 2022~2025) +700~1,000% (예상) -75% 0.75 / 10 = 0.075
👉 상승률은 급격히 줄어들지만,
하락률은 거의 일정하게 -75~85% 범위로 수렴.
즉, “상승폭은 줄고, 하락폭은 일정한 로그형 구조”가 나타납니다.
🧮 2️⃣ 로그 변환으로 본 ‘감쇠율 패턴’
사이클마다 상승률을 로그 스케일로 보면
log₁₀(51,116%) ≈ 4.7
log₁₀(12,838%) ≈ 4.1
log₁₀(2,110%) ≈ 3.3
log₁₀(1,000%) ≈ 3.0
➡️ 거의 0.6~0.8씩 감소하고 있음.
👉 이 비율 0.618과 매우 근접합니다.
즉, “이전 상승 강도의 약 0.618배로 약화되는 사이클 감쇠” 패턴이 존재합니다.
🌕 3️⃣ ‘황금비 사이클 감쇠 모델’ 예시
비트코인 상승률이 다음처럼 줄어드는 패턴을 보입니다:
사이클 상승률 비율(이전 대비)
1차 51,000% -
2차 12,800% 0.25 (≈ 1/φ²)
3차 2,100% 0.16 (≈ 1/φ³)
4차 (예상) 850% 0.40 (≈ 1/φ².5)
→ φ(황금비, 1.618) 의 거듭제곱 역수를 따라
대략적으로 “감쇠하는 비율 구조”를 따르고 있어요.
즉,
상승률 ≈ 첫 사이클의 1/φⁿ 형태로 줄어드는 로그 감쇠 패턴
📉 4️⃣ 하락률도 일정 비율로 수렴 (수축비율)
사이클 하락률 이전 사이클 대비 하락 강도
1차 -86% -
2차 -84% 약 0.97 (φ⁻¹)
3차 -77% 약 0.92 (φ⁻¹)
4차 (예상) -75% 약 0.90 (φ⁻¹)
→ 하락폭 역시 완만히 줄면서 φ⁻¹ ≈ 0.618~0.9 사이에서 수렴.
🔮 5️⃣ 요약하면
구분 값 비율 관계
상승률 감쇠 1/φⁿ (n=2~3) 상승 강도는 황금비의 거듭제곱에 따라 약화
하락률 수렴 φ⁻¹~φ⁻⁰·⁵ 하락 강도는 일정하게 황금비 비율로 완화
상승→하락 비율 log-scale로 0.618~0.65 자연감쇠 곡선과 유사
패턴 형태 로그·피보나치 구조 사이클이 길어지고, 진폭은 줄어드는 형태
⚙️ 결론:
비트코인 사이클은 완벽히 피보나치 수열은 아니지만,
“상승률 감소”와 “하락률 완화” 모두 황금비(φ≈1.618)의 로그적 감쇠 패턴과 매우 유사합니다.
뀨 비트 싸이클 장기 관점| 사이클 | 시작~정점 | 상승률 | 소요기간 | 하락률 | 반감기 구간 |
| :-----------: | :------------------- | :------------: | :------: | :----: | :--------------- |
| 1차 사이클 | 2011.10 ~ 2013.11 | **+51,116%** | 770일 | -86.9% | 2012 반감기 |
| 2차 사이클 | 2015.01 ~ 2017.12 | **+12,838%** | 1,064일 | -84% | 2016 반감기 |
| 3차 사이클 | 2018.12 ~ 2021.11 | **+2,110%** | 1,064일 | -76.5% | 2020 반감기 |
| 4차 사이클 (진행 중) | 2022.11 ~ 2025.10 현재 | **+715%** (현재) | 약 1,050일 | ? | 2024 반감기 이후 진행 중 |
📈 패턴 요약
상승 사이클은 평균 약 1,000일(2.7년) 정도 지속
이후 약 1년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 후 새 상승장 진입
상승률은 점차 감소(지수적 성장률 둔화)
📅 반감기 기준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이후 고점까지 기간
1차 2012-11-28 210,000 약 370일 (2013 고점)
2차 2016-07-09 420,000 약 518일 (2017 고점)
3차 2020-05-11 630,000 약 546일 (2021 고점)
4차 2024-04-20 840,000 진행 중
💡 현재 사이클 전망
과거 패턴을 따를 경우,
→ 고점은 2025년 말~2026년 상반기 예상
→ 상승률은 이전보다 낮아 +600~1000% 범위 예상
→ 즉, $120k~$200k 구간이 4차 사이클의 정점 후보로 자주 언급됨
🧩 ① 과거 사이클 데이터 요약
사이클 기간 상승률 상승기간(일) 반감기~고점까지 일수
1차 2011.10 → 2013.11 +51,116% 770일 370일
2차 2015.01 → 2017.12 +12,838% 1,064일 518일
3차 2018.12 → 2021.11 +2,110% 1,064일 546일
🧮 ② 상승률 감소 추세 계산
1차 → 2차 : 12,838 / 51,116 = 약 0.25배 (75% 감소)
2차 → 3차 : 2,110 / 12,838 = 약 0.164배 (83.6% 감소)
➡️ 평균적으로 다음 사이클 상승률은 이전 대비 약 0.2배(80% 감소)
🔮 ③ 4차 사이클 예상 상승률
이전(3차) 상승률 2,110% × 0.2 = 약 422%
단, 현재(2025.10) 이미 약 +715% 상승 중이므로,
이번 사이클이 과거 평균보다 강세인 편이에요.
→ 따라서 현실적 예측 범위는 400~1,000% 상승 구간.
💰 ④ 가격으로 환산
2022.11 저점: $15,539
상승률 예상 고점(달러)
+400% 약 $77,700
+600% 약 $108,700
+800% 약 $139,800
+1,000% 약 $170,900
📍현재가가 $106,900 부근이라,
중간값(약 $120k~$180k) 범위가 4차 사이클 현실적 고점 구간으로 보임.
⏰ ⑤ 시점 예측 (주기적 패턴)
사이클 반감기 → 고점까지 기간 반감기 고점 예상
1차 370일 2012.11.28 2013.12
2차 518일 2016.07.09 2017.12
3차 546일 2020.05.11 2021.11
4차 평균 478일 적용 2024.04.20 2025.08~12 예상
즉, 이번 사이클 고점은 2025년 8월~12월,
가격은 $120,000~$180,000 구간이 가장 유력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예측
다음 고점 예상 시기 2025년 8월~12월
예상 고점 가격 $120,000 ~ $180,000
상승률 +700~1,000%
이후 조정폭 (예상) -75% 수준 (→ 약 $30,000~$45,000 저점 예상)
다음 반감기 예상 2028년 상반기
📅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정리표 (2009~2032 예상)
반감기 차수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저점 시기 / 가격 고점 시기 / 가격 상승률 반감기→고점까지 기간 다음 반감기까지 기간 주요 특징
🟢 0차 (제네시스) 2009.01.03 0 - - - - 1,420일 비트코인 탄생 (보상 50 BTC)
🟢 1차 반감기 2012.11.28 210,000 2011.10 / $2 2013.11 / $1,163 +51,116% 370일 1,320일 최초 반감기, 알트코인 등장기
🟢 2차 반감기 2016.07.09 420,000 2015.01 / $164 2017.12 / $19,666 +12,838% 518일 1,403일 ICO 붐, 글로벌 관심 폭발
🟢 3차 반감기 2020.05.11 630,000 2018.12 / $3,122 2021.11 / $69,000 +2,110% 546일 1,441일 기관 진입, 코로나 유동성 랠리
🟢 4차 반감기 (현재) 2024.04.20 840,000 2022.11 / $15,539 ⏳예상: 2025.08~12 / $120k~$180k +700~1,000% (예상) ⏳약 480일 예상 ⏳예상: 1,450일 ETF 승인, 메이저 기관 본격 진입기
🟢 5차 반감기 (예상) 2028.05경 1,050,000 ⏳2026~27 / $30k~$45k 예상 ⏳2029~30 / $250k~$400k 예상 ⏳+600~800% 예상 약 500일 예상 ⏳예상: 1,450일 BTC 희소성 극대화, 채굴보상 1.5625BTC
🟢 6차 반감기 (예상) 2032.06경 1,260,000 ⏳2030~31 / $70k~$100k 예상 ⏳2033~34 / $500k~$800k 예상 ⏳+500~700% 예상 약 500일 예상
📈 요약 패턴 (주기별 통계)
구분 평균 상승률 평균 상승기간 평균 하락폭 반감기→고점까지 평균기간
과거 3회 평균 약 +22,000% → +2,000% → +800% (지속 감소) 약 1,000일 (2.7년) -80% 약 478일
예상 향후 패턴 +600~1,000% 상승 후 75% 조정 반복 반감기→고점 약 1.3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까지 약 4년
💬 핵심 요약
비트코인은 약 4년 주기로 ‘반감기 → 상승장 → 버블 → 폭락 → 축적기’ 반복
상승률은 점점 감소하지만, 고점은 여전히 3~4배 이상 상승 패턴 유지
반감기 이후 약 1년~1년 6개월 내 고점 형성
4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5년 하반기,
5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9~2030년 예상
🧩 1️⃣ 먼저, 역사적 사이클 복기 (상승률 / 하락률)
사이클 저점 → 고점 상승률 고점 → 저점 하락률 상승 대비 하락 비율
1차 (2011~2013) +51,116% -86% 0.86 / 511 = 0.00168
2차 (2015~2017) +12,838% -84% 0.84 / 128 = 0.00656
3차 (2018~2021) +2,110% -77% 0.77 / 21.1 = 0.0365
4차 (예상 2022~2025) +700~1,000% (예상) -75% 0.75 / 10 = 0.075
👉 상승률은 급격히 줄어들지만,
하락률은 거의 일정하게 -75~85% 범위로 수렴.
즉, “상승폭은 줄고, 하락폭은 일정한 로그형 구조”가 나타납니다.
🧮 2️⃣ 로그 변환으로 본 ‘감쇠율 패턴’
사이클마다 상승률을 로그 스케일로 보면
log₁₀(51,116%) ≈ 4.7
log₁₀(12,838%) ≈ 4.1
log₁₀(2,110%) ≈ 3.3
log₁₀(1,000%) ≈ 3.0
➡️ 거의 0.6~0.8씩 감소하고 있음.
👉 이 비율 0.618과 매우 근접합니다.
즉, “이전 상승 강도의 약 0.618배로 약화되는 사이클 감쇠” 패턴이 존재합니다.
🌕 3️⃣ ‘황금비 사이클 감쇠 모델’ 예시
비트코인 상승률이 다음처럼 줄어드는 패턴을 보입니다:
사이클 상승률 비율(이전 대비)
1차 51,000% -
2차 12,800% 0.25 (≈ 1/φ²)
3차 2,100% 0.16 (≈ 1/φ³)
4차 (예상) 850% 0.40 (≈ 1/φ².5)
→ φ(황금비, 1.618) 의 거듭제곱 역수를 따라
대략적으로 “감쇠하는 비율 구조”를 따르고 있어요.
즉,
상승률 ≈ 첫 사이클의 1/φⁿ 형태로 줄어드는 로그 감쇠 패턴
📉 4️⃣ 하락률도 일정 비율로 수렴 (수축비율)
사이클 하락률 이전 사이클 대비 하락 강도
1차 -86% -
2차 -84% 약 0.97 (φ⁻¹)
3차 -77% 약 0.92 (φ⁻¹)
4차 (예상) -75% 약 0.90 (φ⁻¹)
→ 하락폭 역시 완만히 줄면서 φ⁻¹ ≈ 0.618~0.9 사이에서 수렴.
🔮 5️⃣ 요약하면
구분 값 비율 관계
상승률 감쇠 1/φⁿ (n=2~3) 상승 강도는 황금비의 거듭제곱에 따라 약화
하락률 수렴 φ⁻¹~φ⁻⁰·⁵ 하락 강도는 일정하게 황금비 비율로 완화
상승→하락 비율 log-scale로 0.618~0.65 자연감쇠 곡선과 유사
패턴 형태 로그·피보나치 구조 사이클이 길어지고, 진폭은 줄어드는 형태
⚙️ 결론:
비트코인 사이클은 완벽히 피보나치 수열은 아니지만,
“상승률 감소”와 “하락률 완화” 모두 황금비(φ≈1.618)의 로그적 감쇠 패턴과 매우 유사합니다.
25년 4분기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관점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 입니다.
곧 4분기가 시작되며 2025년의 끝자락을 향하고 있습니다.
오늘 관점의 내용은 아래의 순서대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BTC 차트 관점 - 3가지의 차트를 통한 관점과 분석 근거와 손절 근거
2. TOTAL 차트 관점
3. USDT.D 차트 관점과 OTHER.D 차트 관점
4. ETH 차트 관점
5. 눈 여겨볼 알트코인 - SOL, AVAX, ONDO, ADA
BTC 차트 관점
(1) 상승 추세선 바탕의 관점
- 흰색 상승 추세선을 근거로 매우 중요한 전고점으로 작용했던 112K 지지
- 112K 이탈한다 하더라도 상승의 추세선을 지켜줘야 함.
(상승 추세선을 이탈한다면 90~92K의 지지 구간까지 열어둬야 함.)
(2) 과거 고점들의 저항 추세선 바탕의 관점
- 과거의 고점들을 모두 연결해서 만든 추세선의 저항 구간
- 현재 캔들의 몸통을 돌파하지 못하고 계속 저항을 맞는 117.4K
* 추세선과 캔들의 저항 구간으로 117.4K 근처로 겹쳐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 저항이다.
(3) 24년 3월~10월 횡보 채널을 이용한 하락 채널 바탕의 관점
- (1) 관점에서 112K를 지켜줘야 한다고 말했던 이유 중 하나
- 하락 채널의 미들선과 112K의 지지가 중첩되기 때문임.
- 주봉 5이평의 지지와도 중첩되어 있음.
결론 :
<상승을 생각한다면>
112K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117.4K의 저항을 돌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일단 저항을 돌파한다면 이번 상승에서 130K 이상 올라가는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조정을 생각한다면>
비트코인은 주봉의 5이평과 여러 차트를 대입해 보았을 때 112K의 지지가 중요합니다.
112K를 이탈한 경우는 (1) 상승 추세선 차트를 근거로 마지막 지지 구간은 106K가 될 것이며
106K까지 이탈할 경우에는 주봉의 60이평이 있고 과거 지지 구간으로 사용된 90~92K까지
하락할 확률이 높아질 것입니다.
TOTAL 차트 관점
(1) TOTAL1 차트
3.7T의 지지를 지켜주며 상승했고, 이번에는 3.84T를 지켜주는 것이 포인트라고 봅니다.
현재 그곳은 일봉 60이평의 지지가 함께 있으며, 비트가 강한 상승을 해줄 것을 기대한다면
꼭 지켜주어야 할 구간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3.84T = 112K / 3.57T = 106K (추세선 이탈) 예상
(2) TOTAL3 차트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한 알트코인의 대한 시가총액을 나타냅니다.
알트장이 오기를 희망한다면 1.13T를 주봉 캔들로 돌파해서 마감하는 것과 함께 OTHER.D를
함께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USDT.D 차트 관점과 OTHER.D 차트 관점
(1) USDT.D 차트
비트코인 가격과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는 테더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역배열을 하고 있으며 4.37%의 지지를 이탈한 상태입니다.
106K = 4.61% / 112K = 4.37% 저항과 같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OTHER.D 차트
7.98% 아래 있을 때에는 4.7~6.09%가 올 확률이 있기 때문에 성급한 알트코인 매수는 좋아 보이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 위에 있기 때문에 더 위에 저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8.69~8.83%는 23년 7월부터 시작되어 만들어졌으며 25년 1월부터 지금까지 9개월 동안
저항을 받고 있는 주요 저항 구간대이지만 주봉 60이평 저항까지 중첩되어 있습니다.
22년 1월부터 시작되어 강한 저항 추세선을 형성하는 10% 구간에 주봉 120이평의 저항까지 존재합니다.
여러분이 기대하는 21년도 초반 같은 알트장은 결국 10%의 저항을 돌파하며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ETH 차트 관점
이더리움 차트에서 저보다 더 정확한 구간을 근거를 제시하며 예상했던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이 코인 자체를 신규 매수를 들어갈 사람들이 해야할 준비는 매우매우 간단합니다.
4763$ 위로 주봉 캔들이 돌파하여 마감했을 경우입니다.
"하락이 나오기 전에 작성했던 이더리움 관점 글"
눈 여겨볼 알트코인 - SOL, AVAX, ONDO, ADA
(1) SOL 차트
1. 252$의 저항을 받고 하락하는 경우
- 183~201$ 구간에서 분할 매수
(이탈하면 손절)
2. 252$를 돌파하는 경우
- 252$의 손절 근거를 바탕으로 분할 매수
(이탈하면 손절)
3. 상승 채널의 하단 구간을 이탈하는 경우
- 손절 대응
(2) AVAX 차트
1. 32.5$를 돌파할 경우
- 32$를 기준으로 핑크색 저항 추세선 혹은 44$의 저항에서 익절의 근거
2. 32.5$를 돌파하지 못하고 눌림이 나오는 경우
- 26.7$을 기준으로 손절의 근거를 잡고 단기 매수를 진행하되
이탈했을 시 22.7$까지의 하락을 열어두고 매수를 진행해야 함.
(3) ONDO 차트
1. 1.12$ 돌파했을 경우
- 이곳을 근거로 매수하되 다시 이탈할 경우 손절
2. 1.12$ 돌파 실패했을 경우
- 핑크색 추세선을 기준으로 분할 매수
(4) ADA 차트
1. 25년 9월 15일 기준의 경우
- 0.78$를 기준으로 분할 매수 이탈하면 손절
2. 1.2$의 중요 저항 구간을 돌파한 경우
- 1.2$를 기준으로 분할 매수
BSW 저점 거래량이 풍년이로구나!최근 6개월간의 저점 매물대에서의 거래량이 지난 3년간의 거래량보다 3배이상 큽니다.
거래량 풍년이 터진 BSW 그냥 놔주기에는 너무나 아쉽습니다.
현 국간만 확대해보면 이런 모양이 나오는데, 이번 주에 또 역대 최대 거래량을 갱신할 듯 보입니다.
비트코인 상승 전조 현상 '조용할수록 더 큰 기회온다' 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이전에 분석해드린 자료와 함께보세요
박스권이 진행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하단부 114.5K 이구간은 반등이 나와야 하는 구간으로 생각하는건
1. 강한 거래량으로 돌파 (강한 지지라인으로 변경)
2. POC + 골든포켓
(POC 특정 기간동안 거래량이 쌓인 가격대)
(골든포켓 = 0.618 - 0.65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
이제는 그렇다면? 상승으로 봤던이유
1. 1시간봉 기준으로 히든 강세 다이버전스 발생 (단기 상방 모멘텀을 시사)
2. 유동성 확보하는구간 117K - 117.3K
(거래량을 동반하기위한 상승)
그렇습니다. 일단 비트코인이 이러한 근거들 때문에 상승이나오는 도중 전일 하락세를 막아주면서 단기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16.76K - 117K - 118k
단기저항 116,200⭐️⭐️⭐️ 돌파했습니다!!!
단기지지 115.7K - 116.2K
(녹색박스)
114,500⭐️⭐️⭐️해당자리오면 진입
추가 이탈이 나오더라도 중요지지라인 기억
113.2K - 113.5K
⭐️⭐️⭐️ 트레이딩 포인트
FOMC 이전에 바로 117K - 118K가는 숏 스퀴즈 흐름이 나오면 이후 조정이나오면서 상승흐름이 매우 둔화될겁니다.
👆 이 관점은 유지하고 있고
전일과 다르게 추가로
발표 이전에 112K - 113K - 114.5K부근에 온다면 공격적으로 매집할 생각🌺
자리가 온다면 매수하시라는겁니다.
🔍🔍🔍 보유포지션
LONG 114499 1만달러
SHORT 116805 1만달러
(신규 오픈)
비트코인 시간 없습니다. 4가지만 기억하세요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시간 없다. 비트코인, “이것 4개”만 기억
유동성·테더도미넌스·주봉 20~22이평선 · 3일봉 볼밴이 방향을 정한다
금리 인하 자체는 이미 가격 반영. 진짜 변수는 점도표·파월 멘트와 차트의 유동성(스탑로스) 흡수
내 시나리오 : 상방 확률 우위
① 유동성 자석(잭슨홀 고점 위 숏 스탑)
② 테더도미넌스 하락 추세
③ 주봉 20~22일선 재안착
④ 3일봉 볼밴 하단 지지→중단/상단 타깃
위쪽 117~118k(숏 스퀴즈 자석) 아래 112.0~112.3k(첫 지지) / 105.0~102.25k(확대 조정 박스)
① 유동성(스탑로스) 자석
8월 잭슨홀 반등 고점을 약 0.5% 남기고 눌림
저 자리는 숏 손절이 빽빽하게 쌓인 유동성 덩어리. 보통 큰 이벤트 전 개미 숏을 더 모아 두고 이후 한 방에 턴
→ 상단 “터치 후 방향 결판” 가능성 높음
② 테더 도미넌스(TD)↓ = BTC↑
4시간봉 TD가 하락 다우(저·고점 하락) + 하락 추세선 3차례 터치 후 둥글게 말림
TD 한 파동 더 하락 여지 → BTC엔 우호적 시그널
③ 주봉 20~22평 위 상승 가능성높음
주봉 캔들이 20~22선 위에서 전 음봉 먹는 양봉으로 마감
통상 볼밴 상단(≈120k+)까지는 추가 여지 열림
④ 3일봉 볼밴 구조 개선
볼밴 하단 지지 → 밴드 평행화 → 3일 20~22선 재돌파/마감.
통상 밴드 상단까지 한 번은 시도함. (주봉 상단과 타깃 대충 겹침)
1. 저항 지지라인 : 118k / 112.0~112.3k / 105.0~102.25k 표시
2. 알림 세팅 : 위 3구간 + 테더도미 4H 저점 이탈 알림 체크
PEPE 페페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1.1조 토큰 유출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페페 PEPE long +258% ⬆️
(현물관점도 동일)
업비트기준 +30% 상승 이후 -16% 하락이 나와주었습니다.
이제는 중요한 자리가 됩니다.
하락추세선을 로그차트로 봤을때 강하게 돌파해주었고 리테스트 하는 자리입니다.
해당구간을 지켜준다면, 0.0103 - 0.0105달러 (업비트 0.015 - 0.01426원)
추가하락시 0.01 달러 부근
상승흐름은 지속 할 수 있습니다.
페페코인도 펀더멘탈로 접근하시면안됩니다. 가볍게 차트로만 접근하세요
거래소 유출/유입 : 대규모 유입 급증은 단기 매도압 신호, 유출 지속은 공급 경색·변동성 확대 신호
OI / 펀딩비: OI 신고점 + 양(+) 펀딩 과열 → 롱 스퀴즈 경계
RSI / 모멘텀: 4H/1H 상향 재교차 시 단타 진입, 과매수(>70) 구간선에선 익절 우선
BTC가 하락 스윙 땐 알트 베타 확대(하락 가속).
캔들 종가: 라인 ‘찍고’가 아니라 ‘안착’ 확인이 핵심
9월 16일 비트코인 FOMC 주간, BTC 최대 시나리오 117k 스윕 전 눌림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14.5K - 116.2K 사이에서 상단 / 하단을 오가는 박스권 진행 중인데, 이 구간은 와이코프 차트에서 5 Support ~ Resistance 상단 구간과 유사
(교육이미지 참고)
일단은 FOMC 발표전에는 큰 반등이 없이 박스권의 형태로 흘러가기 때문에 박스 상단 하단부를 공략하시는게 현명
당분간의 눌림현상은 막지 못할것으로 보입니다.
오전에도 말씀드렸지만, 늘항상 생각하는 구간은 안주는 경우가 많다보니 소비중으로 매집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15.5k - 116.76K - 117K - 118k
단기저항 116,200⭐️⭐️⭐️ 돌파
단기지지 114.6K - 113.3K
113,222⭐️⭐️⭐️
주요지지 113.2K - 113.5K
⭐️⭐️⭐️ 트레이딩 포인트
숏 유동성 자석 : 117k~118k 위에 가득 언젠가 가서 긁을수 밖에 없다.
이상적 경로(개미 심리 최적화)
사전 눌림(FOMC 전) : 112.0~112.3k 일봉 지지 테스트
더 많이 눌린다면 105~102.25k 까지
이후 117k 상단 숏 리퀴데이션 스윕 → 연장
지금 바로 117~118k 찍기 = FOMC 전 단기 숏스퀴즈. 이후 조정 나오면 윗자석이 사라져 탄력 둔화
🔍🔍🔍 보유포지션
LONG 소량
SHORT 116206 2만달러
(50% 분할 종료 / SL 진입가 셋팅)
매매시에는 이벤트 일정 정도는 알고 있어야한다
9/17(수) FOMC: 25bp 인하 기대 이미 가격 반영 핵심은 파월 발언
매파(타이트): 단기 하락 가능, 중기 물가안정엔 긍정
비둘기(느슨): 단기 상승, 26년 인플레 재가열 리스크
9/16 ARB 언락 5천만 달러: 언락+FOMC 조합 → 눌림 포인트 노림수 유효
9/29 SONIC Summit: 전일·당일은 뉴스 팔기 빈번 → 사전 눌림 진입이 합리적
에이다 ADA, 정말 7달러 갈까? 0.511달러 데자뷰 패턴 정리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창립자(찰스 호스킨슨) 관련 의혹은 감사 결과로 해소됐다는 톤. 프로젝트 리스크 프리미엄 완화
ETF 기대: 폴리마켓 승인 확률 87% 언급, 그레이스케일 서류 갱신에 ADA 포함 소식 → 전통자금 온램프 내러티브 강.
커뮤니티 확장: XRP와 합동 밋업, Midnight(프라이버시 사이드체인) 확장 이슈 → 관심도/트래픽 증가
ADA LONG +71%⬆️
에이다 (현물관점도 동일)
현물기준 +11% 상승
에이다는 재료로 가지고 있느건 창립자 이슈가 모두 해소 되었고, ETF 기대(폴리마켓 확률 87% 언급) 그레이스케일 서류 갱신에 ADA 포함 되었습니다.
XRP와 커뮤니티 협업과 미드나이트 사이드체인 확장까지 심리개선과 주목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락추세선 돌파후 진입 포지션 유지중입니다.
만약 리테스트 할 수 있는 자리와 진입할 수 있는 자리는 녹색 박스로 표시해두었습니다. (2번차트 업비트) 참고
위 저항 1.0146 / 1.0925 저항라인은 동일
눌림자리는 0.8219 / 0.88
(업비트 기준으로 1220원 / 1140원)
도지코인 반등 임박? 10월 막차 좋은 자리나왔네도지코인 반등 임박? 10월 막차 좋은 자리나왔네
DOGE LONG+1040%⬆️
DOGE SHORT+106%⬆️
😇도지 현물 분석 포함
도지코인은 눌림을 줬다 상승한다면 러프하게 37일 룰을 대입하면 10월 중순에 1,150원 까지 갈 수 있습니다.
이유중에 보시면 비트코인을 반감기 +512일차 그리고 과거 사이클 기준으로 본다면 약 37 - 50일과 겹칩니다.
업비트 기준 +44% 상승
0.3달러 까지 결국 갔죠?? 왜 0.3달러라 말씀드린건 해당자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의미있는 지지와 저항을 받았던 구간입니다.
이제는 우리가 봐야하는구간은 0.254달러 까지 내려주기를 기도하기를 해당구간 주지 않고 상승하면 0.32달러에서 그 이상 상승이 어렵습니다.
업비트 기준 356원 기준으로 보시면됩니다.
알트들은 눌림없이 상승하면, 상승폭은 제한적입니다 통상적으로 모든 코인들이 그렇습니다.
단, 만약 돌파시나리오 본다면, 도지는 돌파하려면 0.32달러 위로 일봉기준으로 안착해준다면 충분히 상승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돌파 추격매수는 유효합니다 그전까지는 눌림 매수
9월 15일 비트코인 초대형 상승 앞두고 여러분들은 BTC 있나요?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비트코인 현물로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정부 적자 규모가 민간 대출보다 크다. 금리 인상은 대출을 줄이지만 정부 이자비용을 더 크게 늘려 적자를 키우고 물가 압력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금리만으론 통화가치 방어가 어렵다.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비트코인 보유가 필수
위 구간으로 안착해야하는 자리는 115.4K - 120.4K 안에서 박스권을 형성하면서 흘러가면서 중심값 118K에서 움직여줘야 하며 만약 상승흐름을 이어가려면 116.76K 돌파 흐름이 나와야합니다.
여기서 만약 113.4K 부근 넥라인을 이탈하게되면 ABC 파동의 B파동은 116.5K로 볼 수 있습니다.
(해당자리에서는 지지나온다면 추가적으로 매수진입할 예정)
중요지지구간 녹색박스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해당구간에서는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알트코인들을 비중들을 모두 추가 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도 녹색박스 구간을 꼭 표시해두시길 바랍니다. 정말 중요한 시기가 될 겁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16.76K - 117K - 118k
단기저항 116,200⭐️⭐️⭐️ 돌파
단기지지1114.6K - 113.3K
113,222⭐️⭐️⭐️
주요지지 113.2K - 113.5K
⭐️⭐️⭐️ 트레이딩 포인트
FOMC 이후에 변동성을 주목해야한다
특히나 추세가 상방으로 보고 있고, 이번에는 변곡점에서 타점을 잡기보다도 저배율로 비중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매매하신게 이번상승장에 크게먹는 포인트🌺
PUMP 하루 200만달러 ‘실매수’로 반등 그러나 단기 눌림 온다 POC+0.5 되돌림만 노려라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PUMP LONG+656%⬆️
펌프는 펌핑이 나오기전부터 말씀드린 코인입니다.
초기 폭락때는 불신과 에어드롭에 대한 부담감으로 -66% 하락하였고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를 이어간건 에어드롭의 연기 다이내믹 수수료를 도입하면서 상승했습니다.
단, 여기서 조심해야하는건 200만달러의 바이백인데, 바이백은 자사 토큰을 매수하면서 매출까지도 유지 되면서 강한상승세가 나온겁니다.
여기서 거래가 특정 DEX에 집중되고 고래들의 매집현황이 부족하기 떄문에 이런 변곡점에 큰 하락이 나올 수 있으니 수익이신분들은 리스크관리가 필요
코인스쿨에서 예상하는 최대 상승치 까지 상승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눌림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습니다.
눌림자리로 보이는건 POC + 0.5 되돌림 자리입니다.
0.005621 / 0.005091 달러 (숏 스퀴징 발생시)
해당자리에서 지지가 나와주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자리 이탈시 이전 저점까지도 되돌림이 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M2로 보는비트코인 2개월 뒤 비트코인은 강하게 상승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2개월 경고등 글로벌 M2·역DXY가 가리키는 Q4 시나리오 (정점인가, 대조정인가)
지금부터 두 달이 관건
글로벌 M2는 6개월 급증 뒤 최근 1개월 하락 전환
역(反) DXY도 약세로 돌면서 막판 가속 → 급조정 시그널이 겹친다
패턴 가설 :
① 9월 완화(25bp) → 182k 돌파 스파이크 → 10월 급조정
② 9월 동결/매파 → 재하락 후 10~11월 재돌파
🔎 왜 ‘두 달’이냐
글로벌 M2 90일 선행 가정 : 합산 M2의 추세 전환점 → 약 3개월 후 풍부해진(혹은 축소된) 유동성이 크립토 가격에 반영되는 경향. 최근 6개월 상승 + 1개월 하락이면, 9~10월 구간에 막판 가속 + 급락이 동시 출현하기 쉬운 구조야
(선행 상관이 80~90% 수준으로 보고됨—완벽하진 않지만 방향성 컨플루언스로 유효)
역DXY 확인: DXY는 유로(약 57.6%),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으로 구성된 달러 강도 지수. 달러 약세(역DXY 상승) 국면이 크립토 랠리를 동반하는 일이 잦아 다만 상관은 구간 의존적이라 맹신 금지
DXY 구성은 ICE 산출(유로 비중이 가장 큼)
달러가 강세 전환하면 리스크자산에 역풍이 붙는다
🧭 시나리오
A. 9월 25bp 인하·중립 톤(확률 高)
경로: 기대감 선반영 → 182,631 상향 이탈 스파이크 → 197,705 부근 오버슈트 → 10월 초~중순 20~30% 조정
논리: 선행 M2의 단기 하향 굽힘이 90일 후 가격 조정으로 반영. 상승-급락의 ‘U자 반전’ 위험
리스크: 달러 반등(DXY) 시 조정폭 심화. 조정 폭 자체는 강세장 내 표준(20~30%) 범주
B. 9월 동결·매파 톤(확률 中)
경로: 182,631 재돌파 실패 → 171,153~169,701 지지 재확인 → 10~11월 완화 신호 따라 재상승
논리: 유동성 기대가 시간상 지연. 선행 M2가 재상승으로 돌아서면 연말 고점 경신 시나리오 열림
C. 50bp 서프라이즈 인하(확률 低)
경로: 단기 과열/갭상승 뒤 훨씬 가파른 되돌림(유동성 쇼크성 변동)
논리: ‘빅컷=경제 둔화 신호’로 해석될 경우 달러/채권 변동성↑ → 크립토도 변동성↑
지지(파란 박스): 171,153 / 169,701
→ 일봉 종가 연속 이탈 시 조정 시나리오 강화
분기점(오렌지 트리거): 182,631
→ 상향 돌파·안착 시 197,705 테스트 확률↑
상단권(레인지 탑): 197,705
→ 뉴스/완화 기대 오버슈트 구간. 이후 되돌림 경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