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신고가 도전 or CME 갭 메우기BINANCE:BTCUSDT
비트코인(BTC)이 추세 전환을 시도하는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시나리오 두 가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상승 시나리오
상단 매물대와 6월 저점 빗각을 돌파한다면, 다시 한번 역사적 신고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조정 시나리오
111K 구간에서 발생한 더블 갭(Double Gap) 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입니다.
더블 갭은 되돌림이 빠르게 일어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되돌림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습니다.
보조지표도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4시간 봉 RSI는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고, 일봉 기준으로는 FVG와 OB 구간 역시 참고할 만합니다.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Cmegap
셧다운, BTC에 호재?BINANCE:BTCUSDT
비트코인(BTC)은 금일 미국 정부의 셧다운 발표 이후 삼각수렴을 상방 돌파했습니다. 현재는 상단 매물대와 채널 0.5 구간에서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월봉 전환과 함께 "업토버(Up+October)" 랠리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지만, 111k 구간에서 발생한 더블 갭(Double Gap)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블 갭은 추세 가속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갭은 결국 메워졌으며, 특히 더블 갭은 되돌림이 빠르게 일어난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과거 92k 구간에서 만들어진 갭과 함께 111k 되돌림 가능성도 반드시 열어두고 시장을 관찰해야 합니다.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BTC), 업토버(Uptober) 랠리 올까?BINANCE:BTCUSDT
9월은 전통적으로 약세장이 자주 나타났지만, 10월은 반대로 강세장이 자주 찾아오는 달로 유명합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업토버(Up+October)” 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추세선 반등에 성공한 뒤, 점차 삼각 수렴 패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보통 변동성이 축소된 이후 강한 방향성 돌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업토버라는 계절적 기대감을 고려한다면 상방 돌파를 우선 시나리오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금일 111k 구간에서 더블 갭이 발생한 점은 주목해야 합니다. 과거 92k 구간에서 만들어진 갭과 함께, 다시 한번 111k 되돌림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결국 이번 업토버의 핵심은 삼각 수렴 돌파 방향입니다. 거래량과 미결제약정 추이를 함께 살펴보면서 상방 돌파 시에는 강세 랠리, 하방 이탈 시에는 단기 조정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BTC, 유동성 흡수 후 반등? vs 장기 사이클 종료?BINANCE:BTCUSDT
최근 비트코인(BTC)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큰 프레임에서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어제의 하락으로 단기적으로는 추세선을 이탈한 상태이며, 계단식 하락이 이어진다면 1차 EMA 200, 2차 FVG 구간에서 반등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특히 103k~104k 부근은 매물대가 많아 유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중요한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 유동성을 흡수하고 상승하여 준다면 이번 상승 사이클의 랠리를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반대로 EMA 50과 200이 데드크로스 되거나, 장기 추세선을 돌파하고 EMA 400 아래에 있는 92k CME 갭을 메운다면 상승 사이클 종료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번 상승 사이클에서 EMA 400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 적절 매수구간
CME 갭 채우는 경향
비트코인은 과거에도 CME 갭을 상당히 높은 확률로 메운 사례가 많았지.
현재 남아 있는 주요 갭이 78-80K 부근이고, 여기가 강한 지지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
다이아몬드 패턴은 흔히 반전 패턴으로 간주되는데, 현재 차트 상에서는 하락 조정이 시작된 모습.
내가 느낀 경험상 다이아몬드 패턴 이후 조정이 발생한 후 다시 추세 전환하는 경우를 많이 봄
CME 갭 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할 가능성 높음
78-80K 부근을 매수 타점으로 보고 있으며, 여기서 꽤 많은 포지션을 잡을 계획.
만약 갭을 완전히 메운다면 거기가 강한 지지선이 될 가능성이 높고
이후 마지막 상승 랠리를 기대하는 시나리오.
지금까지의 시장 움직임을 보면
갭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강한 매수세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으니
부분 분할 매수 전략을 병행하는 것도 괜찮아 보임.
이제 관건은 80K를 지지선으로 확정 짓고 반등하느냐,
아니면 추가적인 하락이 나오는지 지켜봐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