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패턴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지표를 활용한 시장 분석 및 트레이딩 전략암호화폐 시장의 복합적인 흐름과 투자 심리를 읽어내기 위한 4가지 핵심 지표, 즉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간의 연관성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실제 트레이딩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4가지 지표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전반적인 추세와 알트코인 시장의 활력, 그리고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도까지 파악하여 중장기적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우선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볼 수 있도록 부스트(🚀) 클릭 부탁드립니다.
💡핵심 지표 이해하기
1. 비트코인 도미넌스: CRYPTOCAP:BTC.D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과 알트코인 시장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냅니다.
2. USDT 도미넌스: CRYPTOCAP:USDT.D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테더(USDT)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회피 심리 및 시장의 현금 유동성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3. TOTAL3: CRYPTOCAP:TOTAL3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제외한 모든 알트코인의 총 시가총액입니다.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활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4.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트레이딩뷰 보조 지표
코인베이스의 BTC 가격과 다른 주요 거래소(예: 바이낸스)의 BTC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양수 프리미엄) 또는 매도세(음수 프리미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지표의 상호작용 및 트레이딩 전략
이 4가지 지표는 시장의 다양한 국면에서 특정한 패턴을 보입니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트레이딩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BTC 가격과 지표 간 상관관계:
BTC 가격 vs BTC.D: 복합적 상관관계.
BTC 가격 vs USDT.D: 주로 반비례 (USDT.D 상승 = 시장 불안 및 BTC 하락)
BTC 가격 vs TOTAL3: 주로 정비례 (BTC 상승 = TOTAL3 상승)
BTC 가격 vs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주로 정비례 (양수 프리미엄 지속 = BTC 상승 추세 유지)
✔️시나리오 1: 상승장📈 (비트코인 주도 랠리)
BTC.D 상승: 비트코인으로 자금 집중
USDT.D 하락: 시장 리스크 선호, 현금 유입 증가
TOTAL3 횡보 또는 완만한 상승: 알트코인 약세 또는 반응 미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상승 및 양수 지속: 기관 매수세 유입
해석:
기관 투자자들의 활발한 비트코인 매수세가 시장을 이끌며, 스테이블코인으로 대기하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알트코인 시장은 아직 이 흐름에 편승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전략:
비트코인 단기 조정 시에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양수를 유지한다면 비트코인 매수 포지션을 구축하는 데 유리합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양수 상태가 지속되며 비트코인 시세가 주요 저항을 돌파할 경우, 강력한 매수 시그널로 볼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알트코인보다는 비트코인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시나리오 2: 강세장📈 (알트코인 동반 강세)
BTC.D 하락: 비트코인에서 알트코인으로 자금 분산
USDT.D 하락: 시장 리스크 선호 지속, 현금 유입 지속
TOTAL3 상승: 알트코인 시장 활력 최고조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양수 유지: 지속적인 유동성 유입
해석:
비트코인이 견조하게 상승하거나 횡보하는 가운데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본격적으로 이동하는 시기입니다.
TOTAL3의 상승은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활황을 의미합니다.
전략:
펀더멘탈이 강한 알트코인을 선별하여 분할 매수 기회를 찾습니다.
이 시기에는 라지캡 알트코인 및 스몰캡의 특정 테마 그룹이 순환 펌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련 트렌드를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나리오 3: 약세장📉
BTC.D 상승: 비트코인 하락과 함께 알트코인들이 더 큰 폭으로 하락
USDT.D 상승: 시장 리스크 회피 심리 강화, 현금화 증가
TOTAL3 하락: 알트코인 시장 전체 약세 심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하락 및 음수 지속: 기관 매도세 또는 매수 중단
해석:
시장 전체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투자자들이 리스크 자산을 정리하고 현금 자산(USDT)으로 대피하는 시기입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나타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되거나 하락세를 이어갑니다.
알트코인 시장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전략:
암호화폐 포지션을 축소하거나 현금화(USDT 보유)하여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기술적 반등 구간에서 포지션 축소 또는 숏 포지션(높은 리스크 수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4: 횡보 및 조정
BTC.D 횡보: 박스권 횡보 및 기간 조정
USDT.D 횡보: 리스크 회피 심리 지속, 시장 볼륨 감소
TOTAL3 횡보: 알트코인 시장도 횡보 또는 약세 지속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보합: 양수와 음수를 오가며 보합세
해석: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며 횡보하거나 단기 조정에 돌입하는 시기입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도 보합세를 보이면서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입이 불확실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전략:
주요 지지선에서의 BTC 및 TOTAL3 반등 여부를 확인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시장의 투자 심리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이나 기관 투자자들의 확실한 움직임이 나타날 때까지 관망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0월 30일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된 이후 11월 7일까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현물 ETF에서는 6거래일 연속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대규모 청산 사태 이후 기술적 반등이 나왔지만 ETF 자금 유출로 비트코인 가격은 다시 저점을 갱신하며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음수로 전환되며 하락폭을 키우는 시점에는, 도미넌스 지표들의 상호작용을 함께 분석하여 시장 약세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트레이딩뷰 차트 설정 및 활용 팁
멀티 차트 레이아웃: 트레이딩뷰의 멀티 차트 기능을 활용하여 BTCUSDT, BTC.D, USDT.D, TOTAL3 차트를 동시에 띄우고 상호관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은 보조지표 활용)
시간 프레임: 단기 분석은 1H, 4H, 1D, 중장기 분석은 1W, 1M 차트를 사용합니다. 여러 지표가 동일한 시간 프레임에서 비슷한 움직임을 보일 때 신뢰도가 높습니다.
추세선 및 지지/저항: 각 지표 차트에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을 그려 중요한 변곡점을 파악합니다. 특히 USDT.D와 BTC.D의 주요 지지/저항선 돌파 여부는 시장의 큰 전환점을 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 지표 활용: 각 지표 차트에 RSI, MACD 등 기술적 보조 지표를 함께 적용하여 다이버전스나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파악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지표로서의 가치 및 유의사항
종합적인 시장 통찰력: 이 네 지표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크게 높여줍니다.
선행/동행 지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은 시장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나머지 도미넌스 및 시가총액 지표는 시장의 동행 지표로서 현재 상태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확률적 분석: 이 지표들 또한 미래를 100% 예측하는 도구가 아니며,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 항상 손절매(Stop Loss) 설정과 리스크 관리는 필수입니다. 예상과 다른 시장 움직임에 대비해야 합니다.
🌍결론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 도미넌스, TOTAL3, 그리고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표는 암호화폐 시장의 복잡한 퍼즐을 맞추는 데 있어 핵심적인 조각들입니다.
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분석한다면 시장의 심리를 더 깊이 이해하고, 다가올 기회와 위험을 예측하여 더욱 현명하고 안정적인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분석이 유익하셨다면,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부스트를 안 누르신 분들은 꼭 부스트도 부탁드립니다!
🔔 다음 인사이트를 놓치지 않으려면 팔로우해주세요!
비트코인, 10만 달러 밑에서 버벅대는 이유 —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제국’을 삼켜버렸다“비트코인, 10만 달러 밑에서 버벅대는 이유 —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제국’을 삼켜버렸다”
요즘 코인판 느낌 이상하지?
ETF는 쏟아지고, 기관은 들어오고, 근데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밑에서 꿈틀거려.
그 이유? 숫자만 보면 진짜 소름 돋는다. (이어서 계속👇)
1️⃣ 💣 2,520억 달러 — 이미 ‘디지털 달러 제국’이 됐다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총 공급이 2520억 달러(한화 약 340조)야. 그중 USDT 1,620억·USDC 640억이 대부분. 작년보다 23% 늘었어. 신흥국 송금·결제 트래픽의 70%를 이 둘이 먹었다. 비트코인이 할 줄 알았던 ‘돈의 일’을 스테이블이 다 하고 있는 셈이지.
2️⃣ ⚡ 30만 달러 — 캐시 우드가 지운 비트코인의 ‘결제 프리미엄’
2030년 비트코인 강세 시나리오가 150만 → 120만 달러로 -20% 하향. “스테이블코인이 비트코인의 실사용 기능을 대체했다”는 게 이유야. 이제 BTC는 ‘디지털 금’으로만 남는다는 뜻. 이건 비관이 아니라 역할 재정의야.
3️⃣ 💰 17만 달러 — JP모건이 계산한 비트코인의 ‘진짜 값’
JP모건은 금 대비 리스크 보정 모델로 비트코인의 공정가치를 17만 달러로 산출했어. 지금 10만 달러면 금 대비 약 40% 할인된 상태. 금보다 싸게 거래되는 ‘리스크 프리미엄’ 자산이라니, 아이러니하지?
4️⃣ 🐋 40만 BTC — 고래들이 던진 매도 폭탄
10월 한 달 동안 고래들이 약 40만 개(400억 달러 규모)의 BTC를 시장에 풀었다. ETF 유입보다 공급이 많으니 단기 눌림은 당연한 흐름. 지금의 조정은 패닉이 아니라 ‘공급 정리 구간’이라고 봐야 돼.
5️⃣ 💀 12만 6,273 → 10만 412 — 20% 빠진 고점 대비 낙폭
10월 고점에서 -19.8% 떨어졌어. 10만 달러가 깨지면서 시장 심리가 동시에 무너졌지. 이건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심리적 붕괴선이야. 투자자들이 ‘10만이면 안전하다’는 믿음을 잃은 순간.
6️⃣ 🧊 190억 달러 — 10월 10일 하루 만에 녹아버린 포지션 규모
불과 하루 만에 190억 달러(26조 원)가 증발했어. 미결제약정은 220B → 141B로 급감, 시장 유동성이 반토막 났다. 이때 청산된 트레이더만 160만 명. 시장은 아직 그 여진을 소화 중이야.
7️⃣ 🧭 “결제는 스테이블, 저장은 비트코인” — 이게 2025의 공식
비트코인은 이제 ‘화폐’가 아니라 ‘기준 자산’이야. 반대로 USDT와 USDC는 ‘실제 달러보다 더 쓰이는 달러’가 됐지. 달러의 그림자 금융이 완전히 블록체인 위로 이주한 거야. 이건 혁명이야.
8️⃣ 🏦 ETF 자금 유입? 그런데 ‘유동성 블랙홀’이 되고 있다
ETF 자금이 계속 들어오지만, 그만큼 현물 유동성이 잠겨. 갤럭시디지털은 이걸 ‘ETF 흡수 효과’라고 부른다. 비트코인 ETF가 전체 공급의 6%를 들고 있는데, 시장 회전율은 오히려 줄어드는 중.
9️⃣ 📉 9.2만~10만 달러 — 단기 생존선, 깨지면 알고리즘 매도 자동 발동
지금 시장은 10만 달러 심리선을 두고 롱·숏이 싸우는 중이야. 만약 이 선이 깨지면 9.2만 달러까지 열릴 가능성. 반대로 방어 성공하면 ‘ETF 유입 반등 랠리’가 다시 시작될 수도 있어.
🔟 🚀 2030년,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은 ‘공존’으로 끝난다
스테이블은 달러의 디지털 버전, 비트코인은 금의 디지털 버전으로 자리 굳힘. 캐시 우드의 30만 달러 감산은 ‘약화’가 아니라 진화 과정의 가격 조정이야. 달러와 금이 공존하듯, 둘은 결국 한 시스템 안에서 역할을 나눌 거야.
1️⃣1️⃣ 🔥 ‘죽은 코인’이 아니라 ‘성숙한 자산’으로 바뀌는 중
지금 시장은 버블이 아니라 구조 재편이야. 스테이블코인이 통화 역할을 맡고, 비트코인이 기준 자산으로 격상되는 과정. 변동성이 줄고, 가치가 깊어지는 시기지. 진짜 부자는 이런 ‘질서 교체기’를 읽는 사람한테 생긴다.
💬 결론:
비트코인은 죽은 게 아니라, 역할을 바꾼 거야.
이건 하락이 아니라 세력 재편,
그리고 그 사이에서 돈 버는 사람은 늘 ‘숫자를 이해한 사람’이더라.
지금이 바로 그 타이밍이다. 🚀
11월7일 비트코인 분석 마이크세일러 단기 목표가 변경?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마이크세일러가 2025년 단기 목표가 150K 변경?
2028년 전까지 비트코인 은행 담보대출이 인프라가 깔기기 시작하면 1M 시나리오까지도 열릴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WHY?
지금까지는 중장기로 보유한 고래들이 현금이 필요하면 매도하면서 하락의 유동성으로 흘러갔지만 여기에 신용이 얹히는 순간 수요가 폭증 할 수 밖에 없다고 보는겁니다
이제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CRYPTOCAP:BTC 1시간봉
최대 빠지더라도 101.8K 아랫꼬리 체크 했으나 현구간에서도 버틸 수 있는 힘은 살아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당구간 되돌림은 0.886 되돌림 부근인데 상승흐름으로 봤을때 해당자리까지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
쌍바닥을 만들어주고 상승하는 흐름
까지도 염두에 두셔도 됩니다.
하지만 이 관점보다도 상승관점을 보기위해서는 코인스쿨에서는 이자리에서는 버티는 흐름이 나오면서 102300 돌파가 핵심이 됩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중요저항 102.3K / 104K
돌파 후 지지받는게 포인트⭐️⭐️
(안정적으로 매수하실분들은 해당자리 기억)
주요지지 99.5K⭐️⭐️⭐️
이 자리를 이탈하게 되면
97K - 98.5K
95.5K - 97.5K
94.5K 해당구간은 강한 반등이 나올 수 있는 구간
🔍🔍🔍 보유포지션
LONG 99,165 5만달러
(비중정리 후 sl 진입가 셋팅)
+추가비중받을 구간 나오면 비중추가 할 예정
코인베이스(COIN) 11월 추가 정리 안내.PYTH:COIN
코인베이스(COIN) 추가 정리 안내입니다.
지난 10월 중순 안내드린 후 뱃패턴의 형태를 잘 나타내며 눌림 중에 있습니다.
적절한 매수 구간은 250 - 230 수준이라 말씀드렸습니다.
다만, 이제 295 - 280 부근은 주봉 기준 주요 지지 구간이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 언제든지 반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단의 316 - 326 부근의 하락갭이 있기에 해당 구간까지 채우러 갈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현재구간부터 280까지 진입하여 단기 반등 수익을 내어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 판단됩니다.
진입 295 - 280
타겟 316 - 326 - 340
주워 볼 만한 자리에 온 컴캐스트 (CMCSA)
1년봉 기준 채널 작도 기준점
과거에 지지 해줬던 채널(흰색)
그리고 현재(빨간색) 채널 부근에 거의 다 왔고 아래로는 240선이 있으므로 강력한 지지 구간이 되지 않을까 싶음
(채널을 보는 사람 + 이평을 보는 사람들이 진입해 매수세가 들어올 확률이 높다고 생각함)
-전략-
현재 ~ 240선 까지 분할 매수
240선 이탈 마감시 손절 but 올라타면 재매수
주봉상 일목에 닿을 때 분할 익절(확정 수익 확보)
나머진 하프채널(주황색)에서 정리 or 월봉 일목 닿을 때 or 무한 홀딩 (본인 스타일에 맞게 알아서)
[bitcoin] 비트코인 예상전략 -5차 메모-------------------------------------------------------
개인적인 분석 및 매수 매도 일지입니다 .
참고만하시고 따라서 투자는 하지마세요.
-------------------------------------------------------
안녕하십니까 행님들 헤일로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102K자리를 1차 테스트 후 반등
그리고 2차 리테스트에서 해당 지지 라인을 깨고 하방으로 이탈하엿습니다.
사실 102K 하방 이탈로 인해 98K 찐바닥이 아닌건가 싶어서
94~95K 까지 보고 대응해야 하나라고 생각하고
포지션 숏 스위칭을 고민햇는데
현재 중요한 되돌림 자리인 0.705 까지 보고 진행하자 결정해서
다행히 포지션은 털리지않고 유지중입니다.
일단 0.705 자리를 밟고 반등을 하고있습니다.
오히려 저항자리 돌파만 잘해준다면 98K가 단기 바닥이라는
근거가 하나더 추가가 될듯 하구요
해당라인은 스마트 머니가 진입하기 좋은 라인이기때문에 *OTE
다행히 밟고 반등해주는거로봐선 긍정적 신호로 봐도 될것 같습니다.
(반등시 볼륨이 안터지는게좀 많이 불안하긴 합니다만..)
102K 및 104K 자리만 잘 돌파 해준다면 98K를 찐바닥이라고 판단하고
포지션 셋팅을 준비하시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102K 자리를 저항으로 다시 맞고
하방으로 이탈 진행시 0.705라인이 터질경우
이전 하단인 98K를 깨고 다음 저항라인인
90K중반대까지 하락할 가능성이있으므로
항상 대응을 준비하시고 움직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세줄정리
1.와 포지션 털릴뻔햇네 숏 꼬시기 개무섭네 숏타고 죽을 형들 많겟다.
2.스마트머니형들 메로나빔좀 쏴줘요 ..요즘 잠잠하네 쫌?
3.유동성이 확실히 많이 죽긴했구나 느껴짐..
-끝-
비트코인 6만불 이하 하방.현재 비트코인은 엔딩다이아고날로 신고점 나왔다고 보는 뷰 입니다.
지난8월 시즌종료 선언을 했고 그 이후로 비트코인은 20% 넘는 하락이 진행 되었습니다.
이제는 반등이 나온다 하더라도 b파에대한 중간 되돌림 자리로 보고 있고.
메뉴얼대로 다이아고날 입구까지는 지속적으로 조정이 나올 것으로 판단하며 (6만불)
6만불에서 4만불 언더 레벨까지 매물대를 쌓는 느린박자 조정을 준 이후로
비트코인은 슈퍼사이클 3-3파동 25만불 이상 가는 움직임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선물트레이딩에 있어서는 어쩌면 희소식입니다. 올라오는 B파동 자리에서는 레버리지를 이용한 괜찮은 숏매매로 수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드네요.
신고가 위에서 놀떄는 매매가 다소 불편하나 다시한번 매물대로 내려와 방향이 정해지면
선물 트레이딩 난이도는 오히려 괜찮아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유튭영상 참고.
비트코인 파동이 갈리는구간현재 비트코인은 반등 후 약조정진행중입니다.
1:1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나, 이는 절단의 가능성을 염두할정도로 강한 반등이 발생하였고
그렇기에 더욱 조심해야할 구간인듯하여 아이디어를 게시합니다.
1. Abc 단순 조정일경우 - 상승
2. Abc 중 b파동 진행중인경우 - 하락 후 상승
3. 1 - 2파동 이후 3파동 진행중인경우
1번의경우 강한 하락으로 진행할것이며
2 3번의경우 눌림 후 상승을 바라볼수있습니다
파동자체로는 abc 1개 파동 , 현재 ab 이후 c 충격파동 1개파동으로 보여 2번이 가장 유효한 시나리오로 구성되지않나 싶지만 공통구간이 다수 존재하기에 매매하기에 적합한 자리를 찾는것이 중요한 시기인듯 합니다.
리플(XRP), 코인이 아니라 ‘레일’이다 — ETF·스테이블코인·월가 자금이 엮이면서 금융의 뼈대가 바뀌고 있다🔥 “리플(XRP), 코인이 아니라 ‘레일’이다 — ETF·스테이블코인·월가 자금이 엮이면서 금융의 뼈대가 바뀌고 있다”
요즘 리플 뉴스 보면 그냥 코인 얘기가 아니야.
이번엔 “가격 상승”이 아니라 금융 시스템 자체가 리플 기술 위로 올라오는 흐름이야.
월가, 마스터카드, SEC, ETF — 전부 리플이 있는 한 지점에서 만나고 있다.
(이어서 계속👇)
1️⃣ 💰 5억 달러 투자 유치, 기업가치 400억 달러
2025년 11월 5일, 리플이 포트리스·시타델 같은 월가 대형 기관들로부터 5억 달러(약 6,900억 원) 투자를 받았어.
이걸로 기업가치는 400억 달러(약 55조 원)로 평가받았지.
단순한 코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금융 인프라 기업”로 인정받은 첫 순간이야.
이 돈 대부분은 스테이블코인 ‘RLUSD’ 생태계 확장에 투입될 예정이야.
2️⃣ 🏦 마스터카드가 리플 기술로 카드 정산을 테스트 중
같은 날 열린 ‘Swell 2025’에서 리플이 마스터카드·제미니·웹뱅크랑 손잡고
RLUSD 기반 결제 파일럿을 시작했어.
이게 뭐냐면, 우리가 카드 긁으면 은행→결제망→상점으로 돈이 이동하는 데 하루가 걸리잖아?
그걸 리플 원장(XRPL) 위에서 바로 정산하는 구조야.
한마디로, 카드 결제도 이제 블록체인에서 돌아가기 시작했다는 뜻.
3️⃣ ⚖️ SEC 소송 완전 종결 — 리플의 최대 족쇄 해제
2025년 8월, 리플이 1억 2,500만 달러(약 1,700억 원) 벌금 내고 SEC와 합의하면서
몇 년을 끌던 소송이 완전히 끝났어.
법원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XRP는 증권이 아니다”라고 재확인했고,
이 판결 덕에 이제 리플은 ETF 심사에도 법적 장벽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야.
4️⃣ 📈 ETF 승인 임박 — 월가 자금 대기 중
ETF Store 대표 Nate Geraci가 “11월 13일 XRP ETF 런칭 유력”이라고 직접 언급했어.
그레이스케일, 프랭클린, 비트와이즈 포함 7개 운용사가 이미 서류 제출 완료.
ETF가 나오면 기관 자금 100억 달러 이상이 들어올 거란 분석이야.
단기 가격 목표는 $3.8~$5.0, 비트코인 ETF 초반 패턴이랑 비슷하지.
5️⃣ 🌍 리플은 이미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다
리플은 현재 60개국 이상에서 결제 라이선스,
20개국 이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 중이야.
HSBC나 산탄데르 같은 대형은행들도 리플의 네트워크를 테스트 중이고,
이제 중요한 건 “누가 먼저 실사용까지 완성하느냐”야.
6️⃣ 🚀 ODL 결제액 1,500억 달러 돌파 — ‘진짜 사용’ 시작됐다
리플의 결제 네트워크인 ODL은 2025년 3분기 거래액이 1,500억 달러(약 206조 원)를 넘었어.
2023년 대비 +257% 성장, 하루 평균 거래만 100만 건 이상.
이건 “리플이 진짜 결제망으로 쓰이고 있다”는 명확한 데이터야.
7️⃣ 📵 가짜 뉴스 주의 — ‘극비 락업 해제’, ‘트럼프 경고’ 전부 낚시다
리플 락업은 매월 1일 10억 개 해제 후 70~80% 재잠금, 전부 공개된 일정이야.
‘비밀’ 같은 건 없어.
트럼프도 오히려 XRP·SOL·ADA를 “전략적 예비 자산”으로 언급했지,
경고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어.
8️⃣ ⚠️ 단기 리스크 — ETF 일정과 거시 변수
현재 XRP 가격은 $2.35(+7.8%), 저항선은 $2.81, 지지선은 $2.17.
ETF가 예정대로 나오면 $3.10까지 가능하지만, 지연되면 $1.90까지 조정될 수도 있어.
거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연준 금리 인상 이슈까지 겹치면 변동성 커질 수 있음.
9️⃣ 💹 2026년 중기 시나리오 — ETF + 스테이블코인 결제 본격화
ETF 자금이 들어오고 RLUSD 결제가 상용화되면
리플 네트워크 사용량은 폭발적으로 늘 거야.
그땐 가격이 $3.3~$4.0, 강세 지속 시 $5 이상도 충분히 가능해 보여.
🔟 🌐 2030년 장기 전망 — ‘결제의 인터넷’을 만들고 있다
2030년까지 실물자산 토큰화(RWA) 시장은 최대 26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야.
리플이 그 중 단 1%만 담당해도 2,600억 달러 결제 인프라를 감당하게 돼.
즉, XRP는 ‘코인 시가총액’이 아니라 결제 수수료·유동성 가치로 평가받는 시대가 온다는 거지.
🔥 정리하자면, 지금 리플은 가격보다 ‘구조’를 바꾸고 있어.
ETF는 불씨, RLUSD는 기름, ODL 트래픽은 불길이야.
이건 단순한 상승장이 아니라 “금융의 운영체제(OS)”가 교체되는 과정이야.
결국 진짜 중요한 건, 누가 이 레일 위를 먼저 깔고 달리느냐라는 거지.
비트코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보는 법, 트레이딩뷰에서 인덱스 지표 활용하기1.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란 무엇인가?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Coinbase Premium Index)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특정 암호화폐의 가격과 다른 주요 거래소(특히 바이낸스)에 상장된 비트코인의 가격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 (코인베이스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다른 거래소 BTC 가격 * 100
양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높을 때 발생
음수 프리미엄: 코인베이스 가격이 다른 거래소보다 낮을 때 발생
📌컨텐츠가 유익하셨다면 부스트와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여러분의 작은 격려가 더 나은 분석과 컨텐츠를 만드는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차트 분석, 트레이딩 전략, 비트코인 단기 시그널 등 다양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업로드할 예정이니 팔로우도 부탁드립니다.
2.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원인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관 투자자의 수요: 코인베이스는 미국 내에서 규제를 준수하는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많은 기관 투자자 (헤지펀드, 자산운용사 등)들이 코인베이스를 통해 암호화폐를 매수합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 주문은 일시적으로 코인베이스 내의 가격을 상승시켜 프리미엄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법정화폐 유입: 코인베이스는 주로 달러(USD) 기반의 거래가 활발하며, 미국 투자자들에게 가장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입니다.
새로운 법정화폐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때, 코인베이스를 통한 유입이 활발하여 프리미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장 심리 및 유동성: 특정 시기에 미국 시장의 투자 심리가 다른 지역보다 강하거나, 코인베이스 내의 유동성이 일시적으로 부족할 경우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금 이동의 제약: 자금세탁방지(AML) 규제 등으로 인해 거래소 간의 자금 이동에 시간적, 비용적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차익 거래 기회를 제한하여 프리미엄을 유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네트워크 혼잡 및 수수료: 암호화폐 네트워크 혼잡 시 거래 속도가 느려지거나 수수료가 높아져 거래소 간의 신속한 차익 거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3.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트레이딩에 활용하는 방법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의 시장 흐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강세장 신호 (양수 프리미엄):
기관 매수세 유입: 지속적으로 높은 양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꾸준한 매수세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강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추세 전환: 약세장에서 음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갑자기 양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과 함께 시장 심리가 개선되어 추세 전환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0%를 넘어 상승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블랙록 iShares Bitcoin Trust (IBIT)나 피델리티 Wise Origin Bitcoin Trust (FBTC)와 같은 ETF로의 일일 순유입액이 크게 증가한다면, 이는 강력한 저점 매수 기회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약세장 신호 (음수 프리미엄):
기관 매도 압력 또는 관심 저하: 지속적으로 낮은 음수 프리미엄이 나타난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 압력이 높거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약세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고점 신호: 강세장에서 양수 프리미엄이 지속되다가 음수 프리미엄으로 전환되거나 그 폭이 급격히 커진다면,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거나 새로운 매수 유입이 줄어들어 고점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예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던 중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동시에 블랙록 IBIT나 피델리티 FBTC 등 ETF에서 대규모 순유출이 관찰된다면, 이는 과매수 상태이거나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매도 포지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유의해야 할 부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활용할 때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다른 지표와의 병행: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하나의 보조 지표일 뿐입니다.
이동평균선, RSI, MACD, 거래량 등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 및 온체인 데이터, 거시 경제 지표 등을 함께 분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ETF 유출입 데이터의 중요성: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기관 투자자의 실제 자금 흐름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과 더불어 이들 ETF의 일일 순유입/순유출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의 기관 매수/매도 압력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변동성: 프리미엄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미묘한 변화에 의해 급격하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내의 일시적인 프리미엄 변화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장 상황의 변화: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합니다.
과거에 유효했던 패턴이 미래에도 반드시 유효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규제 환경, 주요 거래소의 정책 변화, 새로운 시장 참여자의 등장 등 다양한 요인들이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적용 범위: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주로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알트코인에는 그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5. 트레이딩뷰에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활용하기
트레이딩뷰(TradingView)는 다양한 기술적 지표와 차트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인기 있는 플랫폼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지표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로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현물 자산(예: BTC/USD) 간의 가격 차이를 계산하여 차트 하단에 별도의 패널로 표시해줍니다.
📊트레이딩뷰 지표 활용 팁:
지표 검색: 트레이딩뷰 차트에서 '지표(Indicators)' 버튼을 클릭한 후 검색창에 'Coinbase Premium' 또는 'Coinbase vs Binance'와 같은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지표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이러한 지표들은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의 비트코인 현물 가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져와 프리미엄을 계산하고 차트에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시장 가격 차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트레이딩 전략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표와의 조합: 트레이딩뷰의 강력한 장점은 여러 지표를 한 차트에 오버레이하여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비트코인 가격 차트와 함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 지표를 추가하고, 필요하다면 블랙록, 피델리티 ETF 유출입 데이터를 별도로 참조하여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알림 설정: 트레이딩뷰의 알림 기능을 활용하여 코인베이스 프리미엄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특정 범위에 진입/이탈할 때 알림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으로 시장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인 미국 시장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여기에 블랙록, 피델리티 등 주요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유출입 데이터를 함께 고려한다면, 기관 자금의 실제 흐름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시장의 강도와 추세 전환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맹신하기보다는 다른 분석 도구들과 함께 활용하여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높이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11월 6일 비트코인 분석 비트코인의 바나나존의 예측은 틀렸나?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코인의 대 상승 (바나나존)의 예측은 틀린것일까? 코인스쿨에서 보는건 아니라고 보고있습니다.
조건이 아직 성립 하지 않았다 보고있습니다
🟣글로벌 유동성 증가
🟣통화가치 저하 (디베이스)
🟣맞물리며 암호화폐가 폭발적으로 상승
이번 사이클은 과거처럼 단발성 급등이 아니라 바나나🍌 → 조정 → 바나나🍌 → 조정 → 바나나🍌 구조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와 다른 흐름으로 상승이 나오고 있다고해서 이번 사이클은 끝난게 아니다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CRYPTOCAP:BTC 4시간봉
102.5K - 103.5K 돌파후 리테스트를 해주면서 자리를 지켜주고 있습니다. 상승추세를 깨지 않으려면 102.8K 위에서 1시간 4시간 프레임 캔들이 마감되어야합니다.
최대 빠지더라도 101.8K 아랫꼬리 체크 해두시면 됩니다.
아직은 안심하기 이르며 추세가 상승추세로 바뀐게 아니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접근해야합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중요저항 103.5K - 105.3K
돌파 후 지지받는게 포인트⭐️⭐️
(안정적으로 매수하실분들은 해당자리 기억)
주요지지 101.9K⭐️⭐️⭐️
이 자리를 이탈하게 되면
97K - 98.5K
95.5K - 97.5K
92.5K - 94.5K
🔍🔍🔍 보유포지션
LONG 99,165 10만달러
(신규포지션 오픈)
코인시장은 어렵게 본다면 끝까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정답은 손익비 싸움이 됩니다.
근거에 맞게 대응하는게 핵심
구독자분들이 매일 하나라도 배울 수 있을때까지
알려드리고 수익으로 평생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겠습니다.
XRP 500달러? 숫자로 따져보면 판이 달라진다 — 진짜 부자는 ‘가격’보다 ‘레일’을 본다”🔥 “XRP 500달러? 숫자로 따져보면 판이 달라진다 — 진짜 부자는 ‘가격’보다 ‘레일’을 본다”
사람들이 코인을 사지만, 진짜 돈이 몰리는 건 ‘결제망’이야.
토큰화는 코인 싸움이 아니라 금융 인프라 교체전쟁이다.
(이어서 계속👇)
1️⃣ 💥 2030년 토큰화 시장, $16조~$30조로 폭발: 2025년 현재 글로벌 토큰화 시장은 약 $0.5조 수준인데, BCG·McKinsey·BIS 보고서 전부 2030년엔 최소 30배 성장을 본다. 즉, 전 세계 주식·채권·부동산이 디지털 토큰 형태로 유통되는 시대가 5년 안에 열린다는 거지.
2️⃣ 🧮 XRPL이 1%만 잡아도 얼마냐? $30조 × 1% = $3,000억 달러 규모. 하지만 이건 XRPL 안에서 거래되는 총 자산이 이 정도라는 뜻이고, XRP 시총이 $3,000억이라는 뜻은 절대 아님. 거래망 점유율이랑 토큰 가격은 별개의 문제야.
3️⃣ 💰 XRP $100~$500 계산해보면 이렇다: 총 발행량 1,000억 기준,
$100 → 시총 $10조,
$500 → 시총 $50조.
참고로 전 세계 주식 ETF 시총이 약 $12조, 비트코인 시총이 $2조야. XRP가 $500 가려면 글로벌 금융 절반을 통째로 먹는 규모가 돼야 한다는 말이지.
4️⃣ 🏦 블랙록 CEO 래리 핑크의 핵심 메시지: “토큰화가 금융의 미래다.”
그가 말한 건 코인 펌핑이 아니라, 기관 자산이 블록체인으로 이동하는 방향성이야. 블랙록의 토큰화 펀드 BUIDL AUM이 이미 $15B까지 늘었고, 이제는 월가가 직접 체인을 깔기 시작했어.
5️⃣ ⚙️ XRPL이 기관이 좋아하는 이유: 거래당 수수료 0.0001달러, 처리속도 3~5초, 전력소모 비트코인의 0.1% 미만. 이런 효율은 은행·CBDC 결제망에 딱 맞아.
즉, XRP는 코인이라기보다 “글로벌 결제 엔진”으로 진화 중이야.
6️⃣ 🧠 하지만 점유율이 곧 가격은 아님: 브릿지 코인은 쓰고 바로 팔리는 구조야. 결제량이 늘어도 토큰을 오래 보유하지 않으면 가격에 반영이 안 돼.
그래서 리플은 버닝(소각)·락업(유통량 제한)·수수료 구조 개편으로 토크노믹스를 손보는 중이지.
7️⃣ ⚔️ 경쟁자들 판도 봐라:
ETH: 기관 표준, RWA 토큰 절반이 이더리움에서 발행.
SOL: 속도 압도적, TVL $50B 돌파.
USDC·JPM Coin: 이미 글로벌 송금 네트워크에 붙음.
즉, XRP는 단독왕이 아니라 “다핵화된 판”의 한 축으로 가는 게 현실적이야.
8️⃣ 📊 2025년 XRPL 현황 체크: TVL 약 $12억, 파트너 금융기관 320개+, 리플넷 결제량 분기당 $1,500억 달러. 성장세는 있지만 아직 시장 점유율 0.1%도 안 되는 초기 단계.
9️⃣ 🕹 내가 보는 현실적 시나리오
베이스라인 (채택 완만): $3~$12
불런 시나리오 (기관 확장·소각 강화): $12~$30
슈퍼불 시나리오 (CBDC 브릿지 확정): $30~$100
드림 시나리오 (거의 독점급): $100 이상
즉, $500은 가능성 <3%, 하지만 $30~$100은 충분히 열려 있음.
🔟 ⏳ 규제 타임라인이 핵심이다:
미국: SEC ETF 승인 대기 (2026 예상)
유럽: MiCA 2.0 시행 (2025.11)
아시아: 싱가포르·UAE CBDC 테스트 가속.
이 흐름이 정착되면 기관 자금이 한 번에 들어온다.
1️⃣1️⃣ 🌍 2025~2030은 게임 체인지 5년:
이 기간 동안 파일럿→상용화로 넘어가는 금융기관이 100곳 이상 될 전망.
즉, XRPL이 이 시기에 “필수 결제 레일”로 자리 잡으면 가격은 따라온다.
1️⃣2️⃣ 🔍 내가 매달 보는 핵심 데이터 4개
① RWA 토큰화 자산 AUM ($500B → $1T 속도)
② XRPL RWA 발행 잔액 및 거래 회전율
③ 수수료 소각률 (유통량 감소 속도)
④ 기관형 결제 파일럿 수 증가율
1️⃣3️⃣ 🔥 결론은 이거야:
XRP 가격은 “점유율”보다 “필수성”에서 결정돼.
“이 체인 없으면 금융이 안 돌아간다” 수준이 돼야 $100도 현실이야.
즉, 가격보다 구조, hype보다 infra.
💥 “XRP 500달러는 꿈일까? 아니, 계산과 구조가 안 맞으면 꿈조차 안 돼 — 진짜 부자는 ‘가격’이 아니라 ‘레일’을 본다.”
10만 달러 붕괴”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다 — 지금 코인판에서 진짜 벌어지는 10가지 현상💣 “10만 달러 붕괴”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다 — 지금 코인판에서 진짜 벌어지는 10가지 현상 💣
요즘 시장, 분위기 이상하지? ETF도 있고 QT도 멈췄다는데 비트코인이 왜 이렇게 처참할까?
지금은 단순한 하락장이 아니라 ‘거대한 리셋’ 이 진행 중이야.
누가 끝까지 살아남는지, 이번 사이클이 판을 완전히 갈라버릴 거야. (이어서 계속👇)
1️⃣ 🔥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 – 심리적 방어선이 무너졌다
이번 주 비트코인(BTC)은 한때 $99,500 (6월 이후 최저) 까지 빠졌고, 주간으로 –10.14% 하락했어.
이건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심리의 붕괴’야. 이제 시장은 “10만 달러면 안전하다”는 믿음을 잃었고,
그 자리를 다시 쟁취하지 못하면 다음 스테이지는 $92k → $72k 까지 열려버린다.
2️⃣ 💧 이더리움 –18.21% 폭락, 알트는 도미노처럼 무너졌다
ETH가 $3,268 → $3,350 로 약간 반등했지만, 주간 기준 –18.21%.
솔라나(SOL) –20.7% , XRP –16.1% , BNB –15.9% 까지 줄줄이 폭락.
이건 시장이 “위험회피 모드”로 완전히 돌아섰다는 뜻이야. 리스크 자산은 한 줄로 세워져 있다.
3️⃣ 😨 공포·탐욕 지수 20 → 극단적 공포 진입
불과 일주일 전엔 65(‘탐욕’)이었는데, 지금은 20(‘극단적 공포’) .
심리 온도가 일주일 만에 영하 40도로 떨어진 셈이지.
역사적으로 이런 시점은 바닥이었지만, 이번엔 다르다 — AI 버블 붕괴 + 셧다운 + ETF 유출 이라는 3연타 리스크가 겹쳤어.
4️⃣ 🤖 팔란티어 쇼크 – AI 버블 붕괴의 시작점
팔란티어(PLTR) 실적은 좋았는데 주가는 207달러 → 190달러(-8%) , 애프터마켓에서 추가 –3% 하락.
PER이 200배 를 넘으면서 시장이 “AI도 비싸다”는 현실을 인정하기 시작했어.
AI 대장주가 흔들리자, 위험자산의 대표격인 코인도 그대로 무너졌다.
5️⃣ 💣 마이클 버리의 1.1조 원 하락 베팅
‘빅쇼트’의 주인공 버리가 엔비디아+팔란티어 풋옵션 11억 달러(약 1.5조 원) 포지션을 깠다.
그는 “이건 1999년 닷컴 버블 직전의 차트”라고 했다.
그 말 한마디에 나스닥이 흔들렸고, 코인 시장도 무너졌다.
결국 AI 버블 붕괴 공포 → 글로벌 유동성 경색 → 코인 급락 순으로 이어진 거야.
6️⃣ 🇺🇸 셧다운 36일째, 미국 역사상 최장 기록
2019년 35일 셧다운 기록을 깨고 지금은 36일째 , 사상 최장.
연방공무원 140만 명이 월급을 못 받고, SNAP(저소득층 식품보조) 프로그램도 멈췄다.
경제 데이터 발표도 중단되면서 시장은 ‘눈 가리고 운전 중’.
정책 불확실성은 코인 시장의 최악의 적이다.
7️⃣ 🐋 고래들, 40만 BTC 현물 시장 던졌다
10x Research와 Glassnode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장기보유자(LTH)가 380,000~400,000 BTC(약 65조 원) 을 매도했다.
이건 레버리지 청산이 아니라 ‘현물 차익실현’.
즉, 진짜 돈을 오래 묶어뒀던 플레이어들이 “이번 사이클 고점”이라고 판단했다는 뜻이야.
8️⃣ 📉 ETF 자금 8억 달러 유출, 기관 수요 급속 냉각
11월 첫째 주에만 BTC ETF에서 $800M 유출 , 현물 수요는 –30% 감소 .
코인베이스 프리미엄도 –0.5% 로 전환되며 미국 내 투자자 수요가 식었어.
‘기관이 받쳐줄 거야’라는 기대는 잠시 꺼졌고, ETF가 시장을 살리던 시대는 일시 정지 상태야.
9️⃣ ⚡ 온체인 심리: 장기보유 지표 15%↓, 단기 트레이더 급증
HODL 비율이 15% 감소 , 대신 단기 트레이더 거래 비중이 폭증했어.
시장이 ‘긴 호흡 투자’에서 ‘즉각 반응 매매’로 전환됐다는 뜻이지.
이건 장기적으로 변동성 확대를 의미해 — 리스크는 올라가고, 보상은 짧아졌다.
🔟 📊 변동성 65%, 청산 규모 20억 달러 돌파
11월 5일 하루 동안 청산 규모 $2B 돌파, 대부분 롱 포지션이 터졌다.
30일 기준 변동성은 65% , 역대 상위 10% 수준.
지금은 수익을 내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게 실력 이야.
1️⃣1️⃣ 🌅 그래도 희망은 있다 — 연말 반등 가능성 55%
Bitwise의 매트 호건은 “지금은 소매 투자자의 최대 절망기, 역사적으로 이런 구간은 바닥 근처였다”고 말했어.
그는 연말에 $125,000~$130,000 까지 반등 가능성을 봤고, ETF 확산과 QT 종료가 트리거가 될 거라고 했다.
즉, 패닉이 끝나면 유동성이 돌아온다.
📌 최종 인사이트
비트코인 10만 달러는 그냥 숫자가 아니야.
이건 시장의 ‘신념지수’이자, 생존과 재기 사이의 경계선 이야.
72k까지 흔들리든, 130k까지 다시 뛰든 —
이 구간에서 어떻게 버티느냐가 다음 사이클의 승자를 결정할 거다.
지금은 ‘벌 때’가 아니라 ‘배울 때’야.
공포 속에서 시장을 해석할 수 있는 놈만이, 다음 불장에서 웃는다. 💥
11월 5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드디어 찍을자리 찍었다!! 이제 부터의 비트의 운명은??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1월 05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비트코인은 3일 과 4일에 나뉘어 조정이 나왔으며 이 구간들은 전에 설명 드렸던
내용의 자리에서 최대 99K 의 양운의 지지구간까지 설명을 드렸고
그 구간까지 정확히 터치 하면서 어느정도의 자리가 완성이 되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주요 내용 정리 해보겠습니다.
1. 현재 비트코인은 주봉차트 지지선 및 3주봉 차트 중앙선의 지지구간 및
각 일별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을 터치 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버틸 수 있는 힘의 조건이 생긴 자리들 입니다.
이 구간에서 지지구간의 지지반등 자리 및 양운들이 잘만 유지가 되어 준다면
비트코인은 버틸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구간에서의 움직임을 보셔야 합니다.
2. 비트코인은 현재 월봉차트 MACD 눌림구간에서의 압박을 버텨 내는지 체크 하여야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월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의 압박이 유지가 되고 있는 구간이며
이 구간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각인이 완료 또는 강한 반등의 힘이 나와줘야 합니다.
하지만 양운의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강하게 반등하기는 힘이 많이
필요한 자리들이며 각인이 되는것이 빠른 움직임이라고 판단 합니다.
3. 비트코인이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103,133 자리까지는 상승해서 버텨야
지지의 힘을 받을 수 있는 자리 입니다.
103,133 구간은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 및 단시간내의 음운을 양운으로 바꿔주는
중요한 자리가 됩니다.
이 구간에서의 버팀이 가장 중요한 자리들이며 이 구간까지 상승하지 못한다면 비트코인은
쌍바닥의 지지구간에서 반등을 노려보셔야 하며 저점을 갱신 할 가능성이 있는 자리들 입니다.
####종합####
현재 비트코인은 중요구간인 주봉차트 지지선 3주봉차트의 중앙선 및
양운의 지지구간을 터치 하면서 반등의 힘이 있는 자리이지만 월봉차트 MACD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의 싸움이 치열해 보입니다.
현재 구간에서 상단의 저항구간 103,133 자리까지 상승하지 못한다면
다시 되돌림이 나오면서 쌍바닥을 터치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입니다.
상하단의 지지구간 및 저항구간 체크 해놨으니 여러분들 차트 보시는 구간에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Zcash 솔직히 좋게 보는 코인중 하나이다.
비트코인은 익명성은 보장되는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추적이 가능한 투명한 코인이기에
실제 누가 운용하는지 추적이 가능하다.
Zec 코인은 영지식증명 (내용없이 인증만 하는 개념)을 기반한 비트코인 이라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편할것이다.
실제로 비트코인 코드를 모방하여 만들었으며 zk기능을 추가하여 사용 되어 다크코인으로도 불리며
각 거래소에서 제한 하는 것도 없지 않아 있다.
차트로는 상승이 마무리 되지 않았을까 조심스레 추측한다.
솔직히 ATH 올타임 하이에 대한 차트는 분석하기 힘들고 비트코인의 모양을 닮은 녀석이라
중국에서 가치를 높게 쳐주지 않을까 생각되고 또 중국M2가 크게 상승하는데 가장 큰 수혜를 받는중이라
감히 분석하긴 어려우나 엘리엇 파동 카운트가 다 나온것 같아 보인다.
단기간 하락을 하더라도 0.5자리 근방에서 몇개 정도 매수 해봐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